KR100192464B1 - 엔진 마운트 - Google Patents

엔진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464B1
KR100192464B1 KR1019960046700A KR19960046700A KR100192464B1 KR 100192464 B1 KR100192464 B1 KR 100192464B1 KR 1019960046700 A KR1019960046700 A KR 1019960046700A KR 19960046700 A KR19960046700 A KR 19960046700A KR 100192464 B1 KR100192464 B1 KR 100192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orifice
vibration
working fluid
engine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795A (ko
Inventor
김혜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46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46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과 바디와의 사이에 배설되어서 엔진의 진동 및 충격을 제어하여 바디로의 진동 및 충격의 전달을 차단시키는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주액실과 부액실이 구획되어서 엔진의 진동을 제어하는 엔진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주액실과 부액실을 구획시키는 격판부재에 엔진의 진동에 따라서 상기 주액실에서 상기 부액실로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속도 및 접촉면적이 가변되도록 단면적이 상이한 오리피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격판부재에 형성된 오리피스의 단면적이 상이하므로써 엔진에서 저주파 진동이 발생될 경우에는 접촉면적의 증대 및 속도의 가변으로 감쇠값 및 스프링 상수가 증대되어 충격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엔진에서 고주파 진동이 발생될 경우에는 작동유체의 유동이 전체에 걸쳐 발생되지 않으므로써 감쇠값 및 스프링 상수가 저하되어 진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 마운트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엔진 마운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격판부재의 반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마운트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격판부재의 분해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리피스의 단면 전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액실 21 : 주액실
22 : 부액실 30 : 오리피스
31 : 제1오리피스 32 : 제2오리피스
33 : 제3오리피스 40a, 40b : 상/하 격판부재
50 : 탄성부재 51 : 센터보스
52 : 상체결부재 60 : 다이아프램
70 : 결합수단 71 : 하체결부재
72 : 공기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과 바디와의 사이에 배설되어서 엔진의 진동 및 충격을 제어하여 바디로의 진동 및 충격의 전달을 차단시키는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엔진의 저주파 진동시 및 고주파 진동시에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서 승차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과 바디와의 사이에 배설되어서 엔진의 진동 및 충격을 제어하여 바디로의 진동 및 충격의 전달을 차단시키는 엔진 마운트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엔진 마운트의 일예로써는 제1도와 제2도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주액실(1)를 형성시키며 상부에 센터보스(12)에 의해 상체결부재(10)가 고착된 탄성부재(6)와, 상기 탄성부재(6)에 형성된 상기 주액실(1)의 작동유체가 부액실(2)로 공급되도록 오리피스(4)가 형성된 상/하 격판부재(5a, 5b), 상기 부액실(2)을 형성시키는 다이아프램(7), 상기 다이아프램(7)과 상기 상/하 격판부재(5a, 5b)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6)를 체결시키며 하체결부재(9)가 고착된 결합수단(8)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결합수단(8)과 상기 다이아프램(7)의 사이에는 상기 다이아프램(7)이 프렉시블하게 유동되도록 공기실(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엔진 마운트는, 상기 다이아프램(7)에 형성된 상기 오리피스(4)가 그 단면적이 일정하게 형성되므로써 상기 주액실(1)에서 상기 부액실(2)로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유동이 단조로웠다.
또, 상기 오리피스(4)를 통과하는 작동유체의 유동이 단조로우므로써 엔진에서 고주파 진동 혹은 저주파 진동이 발생될 경우 충격 및 진동을 보다 원활하게 제어하지 못했다.
즉, 종래의 엔진 마운트는, 엔진에서 저주파 진동 혹은 고주파 진동이 발생될 경우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작동유체가 단조롭게 유동되므로써 저주파 진동 혹은 고주파 진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해 주행중 승차감의 저하로 자동차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따라서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작동유체의 속도 및 접촉 면적이 가변되도록 하여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승차감의 향상으로 자동차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엔진 마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엔진 마운트는, 주액실과 부액실이 구획되어서 엔진의 진동을 제어하는 엔진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주액실과 부액실을 구획시키는 상하 격판부재에 엔진의 진동에 따라서 상기 주액실에서 상기 부액실로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속도 및 유동면적이 가변되도록 단면적이 상이한 오리피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엔진 마운트는 격판부재에 형성된 오리피스의 단면적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이하므로써 엔진에서 저주파 진동이 발생될 경우에는 접촉면적의 증대 및 속도의 가변으로 감쇠값 및 스프링 상수가 증대되어 충격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엔진에서 고주파 진동이 발생될 경우에는 작동유체의 유동이 전체에 걸쳐 발생되지 않으므로써 감쇠값 및 스프링 상수가 저하되어 진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엔진 마운트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엔진마운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20)은 엔진에서 진동이 발생될 경우 진동이 제어되도록 유동되는 작동유체가 충진된 액실로써, 작동유체가 유동되도록 오리피스가 형성된 상/하격판부재(40a, 40b)에 의해서 주액실(21)과 부액실(22)로 구획된다.
또, 상기 상/하격판부재(40a, 40b)에 형성된 상기 오리피스는 엔진의 진동에 따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단면적이 상이하다.
즉, 상기 오리피스는 제4도와 제5도 및 제6도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액실(21)과 접하는 입구(31)와 이 입구의 반대편에 상격판 부재(40a)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출구를 갖춤과 더불어 길이방향을 따른 소정부위가 확경된 확경부(32a)를 갖춘 제1오리피스(32)와, 상기 부액실(22)과 연통된 출구(33)와 이 출구의 반대편에 하격판부재(40b)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상기 제1오리피스의 출구와 연통된 입구를 갖춤과 더불어 길이방향을 따른 소정부위가 확경된 확경부(34a)를 갖춘 제2오리피스(34)로 이루어져,엔진의 진동에 따라 작동유체의 속도 및 접촉면적을 가변시켜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또, (50)은 상기 액실(20)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엔진에 고착되도록 상체결부재(52)가 센터보스(51)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고착된 탄성부재로써, 고무등과 같은 탄성력이 있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60)은 상기 부액실(22)을 형성시키는 다이아프램으로서, 엔진에서 진동이 발생될 경우 프렉시블하게 유동되어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그림에서 (70)은 상기 탄성부재(50)와 상기 다이아프램(60)에 의해서 상기 액실(20)이 형성되도록 상기 탄성부재(50)와 상기 다이아프램(60)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으로써, 대체로 중앙에는 자동차의 바디와 체결되도록 하체결부재(71)가 고착되어 있다.
또, 상기 결합수단(70)과 상기 다이아프램(60)사이에는, 상기 다이아프램(60)이 프렉시블하게 유동되도록 공기실(72)이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엔진 마운트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엔진에서 고주파 진동이 발생될 경우 상기 주액실(21)에 가해지는 압력이 저하되므로서 상기 주액실(21)에 충진된 작동유체가 오리피스를 통해 부액실(22)로 유동되지 못하므로서 감쇠값 및 스프링 상수가 저하되어 진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즉, 엔진에서 고주파 진동이 발생될 경우에는 작동유체가 상기 오리피스의 전체에 걸쳐 유동되지 못하므로써 스프링 상수 및 감쇠값이 저하되어 진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엔진에서 저주파진동이 발생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50)가 압압되어서 상기 주액실(21)에 충진된 작동유체가 상기 오리피스를 통해서 상기 부액실(22)로 유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주액실(21)을 통해서 상기 제1오리피스(32)로 유동되는 작동유체는 단면적의 감소로 작동유체의 속도가 증가되고, 상기 제1오리피스(32)의 확경부(32a)에서는 단면적의 증가로 속도가 감쇠되며, 또 상기 제2오리피스(34)로 유동되는 작동유체는 확경부(34a)에서 단면적의 증가 및 속도의 감소로 에너지가 흡수됨과 동시에 스프링 상수 및 감쇠값의 증대로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즉, 저주파 진동시에는 상기 오리피스로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속도의 가변 및 접촉면적의 증대로 에너지가 흡수되어 스프링 상수 및 감쇠값이 증가되어서 저주파진동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자동차의 주행중 승차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엔진 마운트에 의하면, 격판부재에 형성된 오리피스의 단면적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이하므로써 엔진에서 저주파 진동이 발생될 경우에는 유동면적의 증대 및 속도의 가변으로 감쇠값 및 스프링 상수가 증대되어 충격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엔진에서 고주파 진동이 발생될 경우에는 작동유체의 유동이 전체에 걸쳐 발생되지 않으므로서 감쇠값 및 스프링 상수가 저하되어 진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주액실과 부액실이 구획되도록 마련되어 엔진의 진동을 제어하는 엔진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주액실과 부액실을 구획시키는 상하 격판부재에는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의 정도에 따라 상기 주액실에서 상기 부액실 사이로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속도 및 유동면적을 가변시키도록 단면적이 상이한 오리피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주액실과 연통된 입구와, 이 입구의 반대쪽에 상격판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출구, 및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가 확경된 확경부를 가진 제1오리피스와; 상기 제1오리피스의 출구와 연통된 입구와, 이 입구의 반대편에 상기 하격판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부액실과 연통되게 형성된 출구 및,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가 확경된 확경부를 가진 제2오리피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마운트.
  3. 제1항에 있어서,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고주파 진동일 경우에는, 작동유체가 상기 오리피스의 전체에 걸쳐 유동되지 못하므로서 스프링 상수 및 감쇠값이 저하되어 진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마운트.
  4. 제1항에 있어서,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저주파 진동일 경우에는, 상기 오리피스로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속도의 가변 및 유동면적 및 감소로 에너지가 흡수되어 스프링 상수 및 감쇠값이 증가되어서 저주파 진동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자동차의 주행중 승차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마운트.
KR1019960046700A 1996-10-18 1996-10-18 엔진 마운트 KR100192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700A KR100192464B1 (ko) 1996-10-18 1996-10-18 엔진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700A KR100192464B1 (ko) 1996-10-18 1996-10-18 엔진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795A KR19980027795A (ko) 1998-07-15
KR100192464B1 true KR100192464B1 (ko) 1999-06-15

Family

ID=1947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700A KR100192464B1 (ko) 1996-10-18 1996-10-18 엔진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4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795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2674A1 (en) Mount with adjustable length inertia track
EP0595591B1 (en) A controllable support element
EP0178652B1 (en) Liquid-filled type vibration damping structure
JPH01250639A (ja) 液圧で減衰を行なうゴム支持体
US4971300A (en) Motor mount having improved hydraulic damping
JP3383326B2 (ja) 防振装置
GB2306614A (en) Hydroelastic engine mounting
KR100192464B1 (ko) 엔진 마운트
GB2269217A (en) Controlling vibrations
JP2811448B2 (ja) 流体封入型エンジンマウント
US6799754B1 (en) Dual track variable orifice mount
JP3300449B2 (ja) 防振装置
KR100192463B1 (ko) 액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KR200143862Y1 (ko) 엔진마운트
US20030098532A1 (en) Powertrain mount with floating track
JPH08166037A (ja) 防振装置
KR0139440B1 (ko) 방진장치
KR100192491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의 구조
KR100255609B1 (ko) 자동차의 액체봉입형 마운팅장치
KR200143860Y1 (ko) 엔진마운트
KR100199723B1 (ko) 액체 봉입 방진장치
KR0142806B1 (ko) 자동차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JPH0425636A (ja) 防振装置及び防振方法
JPH04272534A (ja) 防振装置
KR100192336B1 (ko) 자동차용 액체봉입식 엔진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