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806B1 - 자동차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806B1
KR0142806B1 KR1019940038777A KR19940038777A KR0142806B1 KR 0142806 B1 KR0142806 B1 KR 0142806B1 KR 1019940038777 A KR1019940038777 A KR 1019940038777A KR 19940038777 A KR19940038777 A KR 19940038777A KR 0142806 B1 KR0142806 B1 KR 0142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liquid chamber
engine
piston
fluid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986A (ko
Inventor
이우현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40038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2806B1/ko
Publication of KR96002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을 지지하면서 완충기능을 겸비한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인슐레이터의 상부액실과 하부액실을 연결하는 유체흐름통로 사이에 다른 하나의 보조액실과 통하는 바이패스통로를 형성하고, 엔진의 진동상태에 따라 각각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개통시킬 수 있는 유동매체를 구비함으로써, 미소변위 진폭에 대한 동특성을 저해시키기 않고 대변위 진폭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 즉, 엔진의 아이들링 진동, 고주파(고속)진동, 대변위진동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 자동차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2 도는 종래의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슐레이터 11: 보스
12: 고무체 13: 유체흐름통로
14: 액실 15: 케이스
16: 중공부 20: 피스톤
21: 바이패스통로 22: 실린더
23: 보조액실 24: 로드
본 발명은 엔진을 지지하면서 완충기능을 겸비한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부 액실간의 유체 흐름통로에 바이패스통로를 형성하여 엔진의 미소진동제어에 탁월할 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한 자동차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는 엔진을 지지하면서 차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로서, 엔진운전시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완충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인슐레이터(10)는, 첨부도면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측으로 결합되는 보스(11) 및 그 주위의 고무체(12)와, 유체흐름통로(13)에 의해 서로 연통된 상하부의 액실(14a),(14b)과, 이것들을 감싸고 있는 케이스(15)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고무체(12)의 윗부위에는 중공부(16)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하부 액실(14a),(14b)간의 유체 유동에 따른 체적변화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인슐레이터(10)는 엔진의 아이들링시와 같은 미소진동시에도 상기 유체 흐름통로(13)를 통한 상하부액실(14a),(14b)간의 유체 유동이 이루어져 감쇠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는 진동절연율을 높여주는 결과를 초래하여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제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인슐레이터의 상부액실과 하부액실을 연결하는 유체흐름통로 사이에 다른 하나의 보조액실과 통하는 바이패스통로를 형성하고, 엔진의 진동상태에 따라 각각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개통시킬 수 있는 유동매체를 구비함으로써, 미소변위 진폭에 대한 동특성을 저해시키지 않고 대변위 진폭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 즉, 엔진의 아이들링 진동, 고주파(고속)진동, 대변위진동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 자동차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보스(11) 및 그 주위의 고무체(12)와, 이 고무체(12)에는 중공부(16)가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유체흐름통로(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된 상하부액실(14a),(14b)과, 이것들을 감싸고 있는 케이스(15)로 이루어진 인슐레이터(10)에 있어서, 상기 상부액실(14a)과 유체흐름통로(15) 사이에는 상하 유동가능한 피스톤(20)과 3개의 바이패스통로(21a),(21b),(21c)를 갖는 실린더(22)가 연통 설치되고, 이 실린더(22)의 상부에는 피스톤(20)에 의해 가변체적을 갖는 보조액실(23)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20)은 상기 보스(11)와 연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슐레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상기 실린더(22)는 케이스(15)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부액실(14a)과 통할 수 있도록 수직 설치되고, 실린더(22)의 일측 중간위치 예컨대, 피스톤(20)이 상하 유동없이 정위치에 있는 위치에는 하부액실(14b)로 통하는 유체흐름통로(13)가 연결설치된다.
이러한 실린더(22)의 다른 일측 상부위치, 중간위치, 하부위치에는 하나로 연결된 바이패스통로(21a),(21b),(21c)가 연결 설치되고, 이와 같은 설치구조하에서 각각의 바이패스통로(21a)과(21c)는 보조액실(23)과 상부액실(14a)로 각각 상시 연통되며, (21b)는 피스톤(20)에 의해 간헐적으로 차단된다.
즉, 피스톤(20)이 정위치 부근에서 미소유동될 때에는 상하부의 바이패스통로(21a),(21c)를 통한 유체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이때의 중간 바이패스통로(21b)로는 유체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며, 피스톤(20)이 정위치를 벗어난 큰행정으로 유동될 때에는 중간 및 하부의 바이패스통로(21b),(21c)를 통한 유체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이때의 상부 바이패스통로(21a)로는 유체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23)은 로드(24)를 연결 매개체로 하여 부시(11)와 결합되어 있으며, 부시(11)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행정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의 아이들링시와 같은 적은 진폭의 진동이 전달되면, 이때의 상기 피스톤(20)은 정위치 예컨대, 도면에서의 B위치 부근에서 미소 진동되면서, 상부액실(14a)에서 하부액실(14b)로 통하는 유체흐름통로(13)와 중간 바이패스통로(21b)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20)의 미소진동에 의한 상부액실(14a)의 체적변화로 이 상부액실(14a)내의 유체는 바이패스통로(21c),(21a)를 통하여 보조액실(23)로 유동되고, 이렇게 유체가소량 유동되는 과정에서 이때의 미소진동이 감쇠되게 된다.
한편, 비포장도로 주행시나 변속시와 같이 엔진이 큰 변위를 갖는 경우 이때에는 큰 진폭의 진동이 전달되면서 상기 피스톤(20)의 상하 진동폭이 커지게 된다. 즉, 피스톤(20)이 A위치 또는 C위치 까지의 행정변화를 일으키게 되면, 하부액실(14b)로 통하는 유체흐름통로(13)가 개통되면서 상부액실(14a) 내의 유체가 이곳을 통하여 하부액실(14b)로 유동되고, 이때의 유동되는 유체의 양은 상술한 바 있는 보조액실(23)로 유동되는 유체의 양에 비해 상당량에 이르므로 큰 진동의 감쇠가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엔진의 미소진동시에는 상부액실(14a)과 보조액실(23)간의 유체유동을 이용하여 저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엔진의 과대진동시에는 상부액실(14a)과 하부액실(14b)간의 유체유동을 이용하여 고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의 미소변위진동과 대변위 진동을 각각의 동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함으로써, 엔진 운전성능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보스(11) 및 그 주위의 고무체(12)와, 이 고무체(12)에는 중공부(16)가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유체흐름통로(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된 상하부액실(14a),(14b)과, 이것들을 감싸고 있는 케이스(15)로 이루어진 인슐레이터(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액실(14a)과 유체흐름통로(13) 사이에는 상하 유동가능한 피스톤(20)과 3개의 바이패스통로(21a),(21b),(21c)를 갖는 실린더(22)가 연통 설치되고, 이 실린더(22)의 상부에는 피스톤(20)에 의해 가변체적을 갖는 보조액실(23)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20)은 상기 보스(11)와 연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흐름통로(13)와 바이패스통로(21b)는 실린더(22)상의 동일한 높이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은 실린더(22) 내의 전체 구간에 대해 적어도 2/3 이상되는 구간에 걸친 상하 행정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바이패스통로(21a),(21b),(21c)는 피스톤(20)의 1회 상하행정시 적어도 1회 이상의 동시 개통시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KR1019940038777A 1994-12-29 1994-12-29 자동차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KR0142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777A KR0142806B1 (ko) 1994-12-29 1994-12-29 자동차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777A KR0142806B1 (ko) 1994-12-29 1994-12-29 자동차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986A KR960023986A (ko) 1996-07-20
KR0142806B1 true KR0142806B1 (ko) 1998-08-01

Family

ID=19405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777A KR0142806B1 (ko) 1994-12-29 1994-12-29 자동차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28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986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2806B1 (ko) 자동차 엔진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KR100974708B1 (ko) 액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장치
KR0122059Y1 (ko)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
KR101987538B1 (ko) 차량용 세미 액티브 엔진 마운트
KR20030006659A (ko) 유체식 마운팅 조립체
KR100192491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의 구조
KR100204905B1 (ko) 감쇠력이 조절가능한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00246668B1 (ko) 엔진마운터
KR100254348B1 (ko) 개도가변형 오리피스와 이를 이용한 인슐레이터
KR100192339B1 (ko) 액체봉입식 인슐레이터
JPS628162Y2 (ko)
KR100204898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의 구조
KR100192336B1 (ko) 자동차용 액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00192480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9980061233A (ko) 전후방향의 진동억제형 엔진마운트
KR200143862Y1 (ko) 엔진마운트
KR19980054211A (ko) 자동차용 액체봉입식 엔진마운트의 진동저감구조
KR100192463B1 (ko) 액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KR100262083B1 (ko) 액체 봉입 마운트의 가동판 구조
JPH08303520A (ja) 減衰力自動可変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0192464B1 (ko) 엔진 마운트
KR100192488B1 (ko) 자동차용 액체봉입식 엔진마운트
JPH0425636A (ja) 防振装置及び防振方法
KR100192485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20000060179A (ko) 차량용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