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158B1 - 음향기기의 정신이완 효과음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음향기기의 정신이완 효과음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158B1
KR100191158B1 KR1019950031180A KR19950031180A KR100191158B1 KR 100191158 B1 KR100191158 B1 KR 100191158B1 KR 1019950031180 A KR1019950031180 A KR 1019950031180A KR 19950031180 A KR19950031180 A KR 19950031180A KR 100191158 B1 KR100191158 B1 KR 100191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mental relaxation
relaxation effect
effec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432A (ko
Inventor
정은석
Original Assignee
최석한
주식회사인 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한, 주식회사인 켈 filed Critical 최석한
Priority to KR1019950031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158B1/ko
Publication of KR97001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ic Clock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P, 카세트 데크등의 재생장치와 주파수 수신장치인 튜너가 하나의 콤포넌트로 이루어지는 음향기기에 관한 것으로, 재생장치 또는 주파수 수신장치를 통해 재생 및 수신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에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된 상태로 유도하여 주는 정신이완 효과음을 혼합하여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향기기에 인간의 뇌파활동을 가장 안정된 상태로 유도하여 주는 정신이완 효과음을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소정의 방식으로 저장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되는 음원정보와 혼합시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므로써 다수인이 동시에 정신이완 효과음을 청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신이완 효과음의 출력레벨과 출력순서 및 출력주기가 선택조절되어 정신이완, 효과음을 효율적으로 청취할 수 있고, 음향기기의 녹음수단을 통해 외부의 잡음이 유입되지 않는 순수한 정신이완 효과음 또는 출력되는 음향과 믹싱된 상태의 음향을 녹음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기기의 정신이완 효과음 발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의 정신이완 효과음 발생장치 구성 블록도.
제2도는 중앙제어부에서의 정신이완 효과음 출력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모리부 2 : D/A 변환기
3 : 제1 증폭부 4 : 부 볼륨
5 : 혼합기 6 : 주 볼륨
7 : 제2 증폭부 8 : 스위칭 회로부
9 : 헤드폰 10 : 스피커
11 : 키 입력부 12 : 중앙제어부
13 : 타이머 14 : 감쇄기
15 : 입력선택부 16 : CDP
17 : 카셋트 데크 18 : 튜너
19 : 녹음회로부 20 : 녹음용 데크
본 발명은 다수의 기기가 하나의 콤포넌트로 이루어지는 음향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CDP, 카세트 데크, VCR 등의 재생장치와 주파수 수신장치인 튜너를 통해 재생 및 수신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에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된 상태로 유도시켜 주는 정신이완 효과음을 혼합하여 출력하도록한 음향 기기의 정신이완 효과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뇌파는 모든 의식적인 활동을 수행할 시 발생하는 베타(β)파와, 어떠한 생각에 몰두해 있을 경우 발생하는 알파(α)파 및 쎄타(θ)파, 그리고 숙면을 취하고 있을 경우에 발생하는 델타(δ)파로 구성되는데, 알파(α)파 및 쎄타(θ)파가 지배적으로 발생될 경우 인간의 심신은 긴장이 이완되어 조화있고, 건강하며, 창조적인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심신의 상태는 단속적으로 반복적인 음향을 청취하므로써 유도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인간의 뇌파를 알파(α)파 및 쎄타(θ)파로 유도시키기 위한 정신이란 효과음을 발생시키는 단일의 장치는 이미 제시되어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선택한 일정한 정신이완 효과음만을 정해진 시간동안 출력할뿐 정신이완 효과음의 발생순서 및 반복 출력 주기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는 하나의 정신이완 효과음 출력이 완료되면 키 입력수단을 통하여 이미 출력된 정신이완 효과음의 반복선택 또는 다른 정신이완 효과음의 선택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정신이완 효과음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이어폰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수의 제약이 발생하고, 출력되는 정신이완 효과음을 녹음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출력되는 정신이완 효과음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타이머 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임의의 시간을 설정하여 정신이완 효과음의 청취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CDP, 테이프 데크, 튜너 등으로 구성된 음향기기의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시켜 놓은 정신이완 효과음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동안 원하는 순서로 출력되도록하며, 스피커를 통한 정신이완 효과음의 출력으로 여러사람이 동시에 청취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정신이완 효과음을 자체의 녹음용 데크를 통해 외부의 잡음 유입없이 녹음할 수 있도록하여 정신이완 효과음을 효율성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음향기기의 조작 제어를 위한 키신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수단과; 녹음매체로부터 재생되거나 방송 수신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발생수단과; 녹음매체에 음향신호를 녹음하는 녹음수단과; 상기 음향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음향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음향출력수단을 구비하는 음향기기에 있어서, 인간의 뇌파활동을 안정된 상태로 유도하여 주는 정신이완 효과음을 저장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키 입력수단을 통해 선택되는 정신이완 효과음의 출력순서, 출력주기, 출력시간, 정신이완 효과음의 종류에 따라 상기 메모리수단의 정신이완 효과음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키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동작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발생수단과 상기 녹음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과; 상기 출력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제어수단측에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방식의 정신이완 효과음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수단과; 상기 D/A 변환수단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정신이완 효과음 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정신이완 효과음 신호의 출력레벨을 사용자가 선택한 음량레벨로 조절하는 볼륨조절수단과; 상기 볼륨조절수단을 통해 인가되는 정신이완 효과음 신호와 상기 음향발생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음향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녹음수단과 상기 음향출력수단측에 출력하는 혼합수단을 더 구비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의 정신이완 효과음 발생장치 구성 블록도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메모리부(1)와, D/A 변환기(2), 제1 증폭부(3), 부 볼륨(4), 혼합기(5), 주 볼륨(6), 제2 증폭부(7), 스위칭 회로부(8), 헤드폰(9), 스피커(10), 키 입력부(11), 중앙제어부(12), 타이머(13), 감쇄기(14), 입력선택부(15), CDP(16), 카셋트 데크(17), 튜너(18), 녹음회로부(19) 및, 녹음용 데크(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메모리부(1)는 소정갯수의 정신이완 효과음에 관한 음원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중앙제어부(12)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저장된 정신이완 효과음에 관한 음원정보를 출력한다. D/A 변환기(2)는 메모리부(1)로부터 인가되는 티지탈 음원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제1 증폭부(3)는 아날로그 신호로 인가되는 정신이완 효과음을 소정의 레벨로 증폭한다. 부 볼륨(4)은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지며 제1 증폭부(3)를 통해 인가되는 아날로그 정신이완 효과음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조정된 소정의 출력레벨로 출력되도록 조절한다. 키 입력부(11)는 음향기기의 조작 제어를 위한 키 신호를 중앙제어부(12)에 입력하는데, 출력하기 위한 정신이완 효과음의 종류, 정신이완 효과음의 출력시간, 출력주기 및 출력순서를 선택하기 위한 키 신호와, 원하는 음원장치(CDP, 카셋트 데크, 튜너)를 선택하여 구동하기 위한 키신호와, 녹음을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를 중앙제어부(12)에 입력한다. 중앙제어부(12)는 키 입력부(11)로부터 인가되는 키 신호에 따라 음향기기의 동작과 메모리부(1)의 정신이완 효과음 출력동작을 제어하고, 녹음용 데크(20)를 통한 정신이완 효과음의 녹음 동작을 제어한다. 타이머(13)는 출력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제어부(12)측에 시간정보를 제공한다. 입력선택부(15)는 키 입력부(11)를 통한 음원장치 선택에 따라 중앙제어부(12)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CDP(16)와, 카셋트 데크(17), 튜너(18)의 음원장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혼합기(5)측으로 스위칭 연결한다. 혼합기(5)는 입력선택부(15)를 통해 인가되는 음원장치로 부터의 음원정보와 부볼륨부(4)를 통해 인가되는 정신이완 효과음을 믹싱한다. 주볼륨(6)은 혼합기(5)를 통해 인가되는 음향신호의 출력레벨을 조절한다. 제2 증폭부(7)는 주 볼륨(6)을 통해 인가되는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스위칭 회로부(8)측에 출력하고, 스위칭 회로부(8)는 음향기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포트를 선택하여 음향신호를 스피커(10)나 감쇄기(14)측에 선택 출력한다. 감쇄기(14)는 스위칭 회로부(8)를 통해 인가되는 음향신호를 감쇄시켜 헤드폰(9)측에 출력한다. 헤드폰(9) 및 스피커(10)는 음향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데, 스피커(10)는 직접 스위칭 회로부(8)의 출력포트를 통해 인가되는 음향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헤드폰(9)은 스위칭 회로부(8)와 감쇄기(14)를 거쳐 인가되는 음향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녹음회로부(19)는 음향기기 사용자가 키 입력부(11)를 통해 정신이완 효과음의 동시녹음을 선택할시 중앙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따라 혼합기(5)로부터 인가되는 정신이완 효과음이 믹싱된 음원정보의 녹음처리를 위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녹음용 데크(20)는 소정의 녹음매체(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를 장착하여 녹음회로부(19)를 통해 인가되는 음원정보를 녹음매체에 녹음한다.
한편, 중앙제어부(12)가 정신이완 효과음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경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한다. 먼저, 중앙제어부(12)는 키 입력부(11)를 통해 선택되는 정신이완 효과음의 출력시간, 출력주기, 출력순서 및 정신이완 효과음의 종류를 입력받아 자체의 메모리수단에 저장하여 놓고(스텝 S1), 타이머(13)로부터 인가되는 시간정보에 의해 해당 출력시간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2). 이때, 출력시간에 도달한 경우 중앙제어부(12)는 선택된 출력순서에 의거하여 메모리부(1)의 정신이완 효과음을 출력시키고(스텝 S3), 해당 정신이완 효과음의 출력이 완료되면(스텝 S4) 선택된 출력주기 만큼 정신이완 효과음을 출력하였는지를 확인한다(스텝 S5). 이 스텝 S5에서 선택된 출력주기 만큼 정신이완 효과음을 출력하지 않았으면 정신이완 효과음을 출력 실행한 출력주기값을 1증가 시킨 후(스텝 S6), 상기 스텝 S3으로 진행하여 정신이완 효과음의 출력을 반복 실행하며, 상기 스텝 S5에서 선택된 출력주기 만큼 정신이완 효과음을 출력하였으면 정신이완 효과음의 출력동작을 종료한다.
그리고, 중앙제어부(12)는 메모리부(1)의 정신이완 효과음을 출력하는 경우에 키입력부(11)를 통해 정신이완 효과음의 녹음 지시 명령이 입력되면 녹음회로부(19)를 제어하여, 혼합기(5)를 통해 출력되는 정신이완 효과음을 녹음 회로부(19)에 의해 녹음용 데크(20)의 녹음매체에 녹음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향기기의 사용자가 키 입력부(11)를 통해 동작시키고자 하는 음원장치를 선택한 후, 출력시키고자 하는 정신이완 효과음의 종류와 정신이완 효과음의 출력시간, 출력주기 및 출력순서를 선택해 놓은 상태에서, 선택된 출력시간에 도달하거나 사용자가 음향기기의 음향출력을 지시하면, 입력선택부(15)는 중앙제어부(12)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CDP(16), 카셋트 데크(17), 튜너(18)등의 음원장치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장치를 혼합기(5)측에 연결하여 해당 음원장치의 음향출력을 혼합기(5)측에 인가한다. 이때 중앙제어부(12)가 메모리부(1)측에 정신이완 효과음의 출력을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면 메모리부(1)는 소정의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신이완 효과음을 D/A 변환기(2)측에 인가한다. D/A 변환기(2)는 메모리부(1)로부터 인가되는 정신이완 효과음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후 제1 증폭기(3)를 통해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부 볼륨(4)측에 인가한다. 저변저항으로 이루어지는 부 볼륨(4)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인가되는 정신이완 효과음을 설정된 소정의 출력레벨로 조절한 후 혼합기(5)측에 인가하고, 혼합기(5)는 입력선택부(15)에 의해 선택된 음원장치의 음향신호와 부 볼륨(4)을 통해 인가되는 정신이완 효과음을 믹싱하여 주 볼륨(6)측에 인가한다. 주 볼륨(6)은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신호와 정신이완 효과음이 믹싱되어 인가되는 음원신호를 사용자가 선택한 출력레벨로 음량의 세기를 조절한 후 제2 증폭부(7)를 통해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전력증폭하여 스위칭 회로부(8)를 통해 정신이완 효과음이 믹싱된 음향을 스피커(10)로 출력하거나 감쇄기(14)를 거쳐 헤드폰(9)측으로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정신이완 효과음이 믹싱되어 출력되는 음향을 잡음이 혼합 되지 않는 상태로 녹음을 수행하기 위하여 키 입력부(11)를 이용하여 녹음모드를 선택하면 중앙제어부(12)는 인가되는 키 신호에 따라 녹음회로부(19)측에 소정이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녹음회로부(19)는 중앙제어부(12)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녹음모드로 설정되어 혼합기(5)로부터 인가되는 정신이완 효과음이 믹싱된 소정의 음향을 녹음용 데크(20)에 장착되어 있는 소정의 녹음매체에 녹음된다.
만약, 사용자가 키 입력수단(11)을 이용하여 정신이완 효과음의 출력시간 주기를 간헐적으로 선택하면 중앙제어부(12)는 타이머(13)로부터 인가되는 시간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선택된 시간 주기 마다 메모리부(1)를 제어하여 정신이완 효과음을 출력함으로써 정신이완 효과음의 출력주기를 조절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향기기에 인간의 뇌파활동을 가장 안정된 상태로 유도하여 주는 정신이완 효과음을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되는 음원정보와 혼합시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므로써 다수인이 동시에 정신이완 효과음을 청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신이완 효과음의 출력레벨과 출력순서 및 출력주기가 선택조절되어 정신이완 효과음을 효율적으로 청취할 수 있고, 음향기기의 녹음 수단을 통해 외부의 잡음이 유입되지 않는 순수한 정신이완 효과음 또는 출력되는 음향과 믹싱된 상태의 정신이완 효과음을 녹음할 수 있다.

Claims (1)

  1. 음향기기의 조작 제어를 위한 키신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수단과; 녹음매체로부터 재생되거나 방송 수신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발생수단과; 녹음매체에 음향신호를 녹음하는 녹음수단과; 상기 음향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음향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음향출력수단을 구비하는 음향기기에 있어서, 인간의 뇌파활동을 안정된 상태로 유도하여 주는 정신이완 효과음을 저장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키 입력수단을 통해 선택되는 정신이완 효과음의 출력순서, 출력주기, 출력시간, 정신이완 효과음의 종류에 따라 상기 메모리수단의 정신이완 효과음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키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동작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발생수단과 상기 녹음수단과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과; 상기 출력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제어수단측에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으로 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방식의 정신이완 효과음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수단과; 상기 D/A 변환수단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정신이완 효과음 신호를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정신이완 효과음 신호의 출력레벨을 사용자가 선택한 음량레벨로 조절하는 볼륨조절수단과; 상기 볼륨조절수단을 통해 인가되는 정신이완 효과음 신호와 상기 음향발생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음향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녹음수단과 상기 음향출력수단측에 출력하는 혼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정신이완 효과음 발생장치.
KR1019950031180A 1995-09-21 1995-09-21 음향기기의 정신이완 효과음 발생장치 KR100191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180A KR100191158B1 (ko) 1995-09-21 1995-09-21 음향기기의 정신이완 효과음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180A KR100191158B1 (ko) 1995-09-21 1995-09-21 음향기기의 정신이완 효과음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432A KR970017432A (ko) 1997-04-30
KR100191158B1 true KR100191158B1 (ko) 1999-06-15

Family

ID=1942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180A KR100191158B1 (ko) 1995-09-21 1995-09-21 음향기기의 정신이완 효과음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1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371A (ko) * 2000-10-31 2002-05-06 이승헌 시청각자극을 제공하는 두뇌개발장치
KR101014234B1 (ko) * 2004-03-31 2011-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기기에서의 맥동 잡음 발생장치 및 방법
KR101441820B1 (ko) 2013-08-02 2014-09-17 (주)다보산업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KR20190035138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샵캐스트 기능성 효과를 위한 매장 음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145B1 (ko) * 1997-10-27 2001-01-15 허진호 학습 및 긴장 완화 정보 기록 매체 재생장치
KR20030043559A (ko) * 2001-11-22 2003-06-02 조성일 초음파를 탑재한 오디오 매체,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371A (ko) * 2000-10-31 2002-05-06 이승헌 시청각자극을 제공하는 두뇌개발장치
KR101014234B1 (ko) * 2004-03-31 2011-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기기에서의 맥동 잡음 발생장치 및 방법
KR101441820B1 (ko) 2013-08-02 2014-09-17 (주)다보산업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KR20190035138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샵캐스트 기능성 효과를 위한 매장 음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77789B1 (ko) 2017-09-26 2019-05-13 주식회사 샵캐스트 기능성 효과를 위한 매장 음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432A (ko)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4498A (en) Automatic sound field correcting system
KR20080069992A (ko) 전자 장치를 위한 등화기 인터페이스
KR100191158B1 (ko) 음향기기의 정신이완 효과음 발생장치
US4937875A (e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930006651B1 (ko) 청취공간 적응형 재생음 레벨 자동 제어회로 및 방법
KR100936227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4289280A (ja) 超音波出力音響装置
US502208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component audio signals
JPS62166698A (ja) 自動音場補正装置
JPH05192406A (ja) ステレオ音響装置
KR950010905B1 (ko) 복수채널 기록재생 오디오시스템
KR0118001Y1 (ko) 배경음악발생장치
KR930007496Y1 (ko) 음성 페이드 인/아웃트 회로
JP3233445B2 (ja) 音量調整装置及び音量調整時の音量制御方法
JPH0724069A (ja) α波増強誘導装置
KR910008761B1 (ko) 센터사운드 보상용 음성신호 출력회로
KR19990051125A (ko) 머리전달함수를 이용한 음향위상 제어장치
JPH0581765A (ja) オーデイオ装置
JP2000217186A (ja) スピ―カ―・シミュレ―タおよびミキサ―
KR100197612B1 (ko) 음량제한장치
JPH06177686A (ja) 音響再生装置
KR200206053Y1 (ko)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레벨 표시장치
KR950006237Y1 (ko) 마이크 내장 tvcr
JPS6166403A (ja) Fm音声ミキシング装置
JPS6115408A (ja) 音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