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973B1 -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973B1
KR100190973B1 KR1019970011919A KR19970011919A KR100190973B1 KR 100190973 B1 KR100190973 B1 KR 100190973B1 KR 1019970011919 A KR1019970011919 A KR 1019970011919A KR 19970011919 A KR19970011919 A KR 19970011919A KR 100190973 B1 KR100190973 B1 KR 100190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time
menu
cooking
foo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5674A (ko
Inventor
유상욱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1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0973B1/ko
Publication of KR19980075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 조리 장치에 있어서 메뉴에 따라 그 메뉴의 특성에 맞게 조리 가열공정 시간의 최소시간 및 최대시간을 설정해 두므로써, 사용자가 그 설정된 조리시간 내에서만 선택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방법은, 사용자가 키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한 메뉴모드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메뉴에 해당하는 조리시간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저장수단에서 억세스해서, 그 최소값을 음식을 완성하기 위한 조리시간으로 세팅하는 단계(S30)와; 사용자가 조리시간을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조리시간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S40)와;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시간이 상기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소값보다 큰 값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0)와; 사용자 설정값이 최소값보다 크면 상기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대값과 비교하는 단계(S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본 발명은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 조리 장치에 있어서 메뉴에 따라 그 메뉴의 특성에 맞게 조리 가열공정 시간의 최소시간 및 최대시간을 설정해 두므로써, 사용자가 그 설정된 조리시간 내에서만 선택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 조리 장치의 일예로 전기밥솥은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제어 시스템 구성도와 같이, 전기밥솥의 각종 동작모드을 설정하는 키로 구성된 키 입력부(100)와, 전기밥솥의 바닥과 몸통 및 뚜껑에 설치되어 있어 각 부위에서 발열되는 온도를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감지부(200)와, 상기 키 입력부(100)의 키 입력과 감지부(200)의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값을 기초로 하여 전기밥솥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0)와, 전기밥솥의 바닥과 뚜껑 및 몸통에 설치되어 전기밥솥의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동시키는 히터 구동부(400)와, 전기밥솥의 각종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기밥솥의 종래의 취사동작 기능을 설명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00)는 전원이 연결되면 키입력을 대기하고, 사용자가 키 입력부(100)를 통해서 소정의 키입력 형식으로 메뉴모드 선택 및 조리시간 등의 동작모드를 입력한다. 또한 사용자가 취사 키를 온 했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00)는 메뉴모드와 조리시간의 입력값을 체크하여, 입력된 시간동안 히터구동부(400)의 히터를 구동하여 취사가열공정을 수행한다.
상기한 종래의 전기밥솥의 취사가열공정에 있어서, 사용자가 메뉴의 특성에 대해 조리시간을 더 작게 또는 크게 설정하면 취사 특성이 나쁘게 된다. 예를 들면 죽을 만들고자 할 때 사용자가 조리시간을 1시간으로 입력했다면 제대로 죽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또한 식혜를 만들고자 할 때 사용자가 실수로 3시간으로 입력했을 때에는 밥솥에 이상이 생길 정도로 가열되어 버린다. 이처럼 사용자는 입력한 메뉴에 따라 조리시간 입력설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루어진 것으로, 음식 조리 장치에 있어서 메뉴에 따라 그 메뉴의 특성에 맞게 조리 가열공정 시간의 최소시간 및 최대시간을 설정해 두므로써, 사용자가 그 설정된 조리시간 내에서만 선택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조리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방법은, 사용자가 키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한 메뉴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메뉴에 해당하는 조리시간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저장수단에서 억세스해서 그 최소값을 음식을 완성하기 위한 조리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조리시간을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조리시간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시간이 상기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소값보다 큰 값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 설정값이 최소값보다 크면 상기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대값과 비교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음식 조리 장치의 일예로 전기밥솥의 일반적인 제어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음식조리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방법에 따른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전기밥솥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방법에 따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키(key) 입력부 200 : 감지부
300 : 마이크로 프로세서400 : 히터 구동부
500 : 표시부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따른 일실시예로서 전기밥솥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이 적용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는, 도 1에 도시한 일반적인 전기밥솥의 제어 시스템 구성도에서 키입력부(100)에 사용자가 메뉴의 조리시간을 설정하는 소정 양식의 키가 더 포함되며, 표시부(500)에 상기한 조리시간을 표시하는 장치(일예로 액정표시장치(LCD)를 이용할 수 있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서, 사용자가 키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한 메뉴모드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메뉴에 해당하는 조리시간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저장수단에서 억세스해서, 그 최소값을 음식을 완성하기 위한 조리시간으로 세팅하는 단계(S30)와; 사용자가 조리시간을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조리시간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S40)와;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시간이 상기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소값보다 큰 값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0)와; 사용자 설정값이 최소값보다 크면 상기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대값과 비교하는 단계(S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사용자의 조리시간 입력값이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소값보다 작으면(NO), 사용자에게 표시수단을 통해 에러메세지를 내고 이전 단계로 리턴한다. 이때 음식을 완성하기 위한 조리시간을 조리시간의 최소값으로 세팅하는 단계(S30)로 리턴하면, 다음 단계에서 사용자가 조리시간을 변경하여 재입력하지 않아도 음식의 조리시간이 최소값보다 작지 않으므로(YES) 다음단계(S60)로 넘어갈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S40)로 리턴하면, 사용자가 조리시간의 최소값보다 큰 값으로 재입력을 하지 않으면 계속 루프를 반복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시간이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대값과 비교하여(S60) 더 크면, 사용자에게 에러메세지를 내고 이전 단계로 리턴한다. 역시 음식을 완성하기 위한 조리시간을 억세스 되어진 최소값으로 세팅하는 단계(S30)로 리턴하면, 사용자가 조리시간을 재입력하지 않아도 비교단계(S50,S60)를 거쳐 다음공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조리시간 입력 대기 단계(S40)로 리턴하면, 사용자가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소값과 최대값 이내의 범위에 해당하는 시간을 입력할 경우에만 다음공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도 2에서 사용자의 입력시간을 조리시간의 최소값과 비교하는 단계(S50)를 생략할 경우는, 사용자가 입력시간을 최소값보다 작게 입력하는 경우 최대값보다도 작으므로(YES), 그 입력값이 음식을 완성하기 위한 조리시간으로 설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관계를 도 3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전기밥솥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전기밥솥이 전원에 연결되어 있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00)가 키의 입력을 대기하고 있다가(S1), 사용자의 키입력이 있는 지를 판단하여(S2), 키의 입력이 없으면(N) 상기 키입력 대기 단계(S1)로 리턴한다. 사용자의 키입력이 있으면(Y), 사용자가 조작하여 온시킨 키 중에서 조리시간설정 키도 있는가를 판단하여(S3), 조리시간설정 키가 온이 아니면(N) 메뉴에 따라 다양한 조리시간 동안 가열하는 동작이 아닌 종래 밥솥의 다른공정을 수행하게 된다(S4).
조리시간설정 키가 온이면(Y), 마이크로 프로세서(300)는 사용자가 키입력부(100)를 통해 입력한 사항 중에 메뉴모드를 체크하여(S5), 그 체크된 메뉴모드가 찜인가를 판단하여(S6-1), 찜모드가 맞으면(Y) 메모리에 저장된 찜조리시간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읽어와서, 초기설정으로 조리시간을 최소값의 일실시예인 1시간으로 설정하고(S7-1), 그 다음 사용자가 조리시간을 원하는 대로 설정하도록 잠시 대기한다(S8-1). 대기하는 시간은, 사용자가 보통 키입력을 할 때 여러 동작모드를 한번에 입력하므로, 수 초로 한정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조리시간을 특별히 설정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00)는 초기설정값 그대로 1시간 동안 가열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S8-1) 후, 사용자가 입력한 가열공정 시간을 찜조리시간 최대값의 일실시예인 4시간과 비교하여(S9-1), 사용자의 조리시간 설정값이 허용 최대값인 4시간보다 크면(Y) 조리시간을 최소값으로 초기설정하는 단계(S7-1)로 리턴한다. 찜조리에 4시간이상 가열공정을 하면 이상특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과정이다.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조리시간 최소값보다 작은 값을 설정하지 않는 한, 조리시간은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서 설정된다.
사용자의 설정값이 찜조리시간의 최대값인 4시간보다 작으면(N), 취사 키가 온인가를 판단하고(S10), 온이 아니면(N) 온 입력이 있을 때까지 루프를 반복한다. 취사 키가 온이면(Y), 마이크로 프로세서(300)는 가열공정(S11)을 수행하기 위해 히터 구동부(400)가 히터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설정된 조리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하여(S12) 상기 가열공정(S11)을 끝낸다.
상기 메뉴모드를 체크하고(S5) 체크된 메뉴가 찜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6-1)에서, 찜모드가 아니면(N) 탕모드인가를 판단한다(S6-2). 탕모드이면(Y), 마이크로 프로세서(300)는 상기한 찜모드의 경우처럼 탕조리시간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메모리에서 읽어와서, 초기설정으로 조리시간을 최소값의 일실시예인 2시간으로 설정하고(S7-2), 사용자가 조리시간을 설정하도록 대기하고(S8-2), 설정된 조리시간값이 최대값의 일실시예인 6시간과 비교한다(S9-2). 조리시간 설정값이 6시간 이상이면(Y) 탕조리시간의 초기설정 단계(S7-2)로 리턴하고, 6시간보다 작으면(N), 찜모드에서처럼, 취사 키가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0)로 넘어간다.
상기 탕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6-2)에서 아니면(N), 죽모드인가를 판단한다(S6-3). 죽모드가 맞으면(Y), 마이크로 프로세서(300)는 마찬가지로 죽조리시간의 일실시예로 최소값인 3시간과 최대값인 8시간을 메모리에서 읽어와서 조리시간초기설정 단계(S7-3)에서부터 설정된 죽조리시간이 죽조리시간의 최대값인 8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9-3)까지 수행하고, 8시간 이하이면(Y) 취사 키가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0)로 넘어간다.
상기 죽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6-3)에서 아니면(N), 식혜모드인가를 판단한다(S6-4). 식혜모드이면(Y) 식혜조리시간의 최소값의 일실시예인 20분을 가열공정 시간으로 초기설정한다(S7-4). 사용자의 조리시간설정값이 식혜조리시간 최대값의 일실시예인 2시간보다 큰 지를 판단하여(S9-4), 크면(Y) 조리시간 초기설정 단계(S7-4)로 리턴하고, 최대값보다 작으면(N) 취사 키가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0)로 넘어간다. 식혜모드도 아니면(N) 다른메뉴 단계(S6-5)로 넘어가서,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거나 키입력 대기 단계(S1)로 리턴한다.
상기한 과정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0)가 메뉴에 따른 조리시간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서 조리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동안만 가열공정이 수행되도록 히터 구동부(400)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메뉴의 일실시예로 찜, 탕, 죽, 식혜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메뉴에 대해서 응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은, 음식 조리 장치에 있어서 메뉴에 따라 그 메뉴의 특성에 맞게 조리 가열공정 시간의 최소시간 및 최대시간을 설정해 두므로써,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조리가열공정 시간을 작게 하지 않는 한, 사용자가 그 설정된 조리시간 내에서만 선택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제어 기능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메뉴모드의 선택만 하면 메뉴의 특성에 맞게 가열공정의 최소시간이 자동으로 설정되므로 사용의 편이성이 증대되는 효과와, 메뉴의 특성에 비추어 이상특성이 발생할 정도로 장시간 가열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소정갯수의 종류에 따른 메뉴별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각 메뉴에 대한 조리 동작을 달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신호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시키는 메뉴모드와 그 해당 메뉴에 대한 조리시간을 세팅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음식 조리 장치에서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음식 종류에 대응하는 메뉴별 조리시간의 최소값/최대값이 설정되고, 각 음식 메뉴와 그 메뉴에 대응되는 메뉴별 조리시간 최소값과 최대값이 임의의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제 1 과정과;
    음식 조리 장치에서, 사용자가 상기 선택신호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임의의 음식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제 1 과정으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조리시간의 최소값/최대값들 중에서 해당 메뉴의 조리시간에 따른 최소값/최대값을 억세스하는 제 2 과정; 및
    음식을 완성하기 위한 조리시간이 상기 제 2 과정에서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대값 이내의 범위에서만 설정되도록 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에서 상기 저장수단에 음식의 메뉴들과 그 메뉴에 따른 소정의 조리시간 최소값과 최대값의 데이터가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시점은 음식 조리 장치의 제작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사용자가 상기 선택신호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시키는 메뉴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된 메뉴에 해당하는 조리시간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상기 저장수단에서 억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상기 제 2 과정에서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소값을 음식의 조리시간으로 세팅하는 제 1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선택신호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시킨 조리시간을 음식의 조리시간으로 다시 세팅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세팅된 조리시간을 상기 제 2 과정에서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대값과 비교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조리시간의 최대값보다 세팅된 조리시간이 더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그 세팅된 조리시간을 음식을 완성하기 위한 조리시간으로 설정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조리시간의 최대값보다 사용자에 의해 세팅된 조리시간이 크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조리시간의 입력이 잘못되었음을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조리시간의 최대값보다 사용자가 입력 세팅한 조리시간이 더 큰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재입력이 없으면 상기 제 2 과정에서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소값을 음식이 완성되기 위한 조리시간으로 자동설정하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와 제 3 단계 사이에 제 2 단계의 결과 세팅되어진 조리시간을 상기 제 2 과정에서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소값과 비교하는 단계가 더 포함하므로써, 음식을 완성하기 위한 조리시간이 상기 제 2 과정에서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범위 이내에서만 설정되게 하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세팅된 조리시간이 상기 제 2 과정에서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소값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조리시간의 입력이 잘못되었음을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조리시간의 최소값보다 사용자가 입력 세팅한 조리시간이 더 작은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단계로 리턴하여, 사용자의 재입력이 없으면 상기 제 2 과정에서 억세스 되어진 조리시간의 최소값을 음식이 완성되기 위한 조리시간으로 자동설정하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KR1019970011919A 1997-03-31 1997-03-31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KR100190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919A KR100190973B1 (ko) 1997-03-31 1997-03-31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919A KR100190973B1 (ko) 1997-03-31 1997-03-31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674A KR19980075674A (ko) 1998-11-16
KR100190973B1 true KR100190973B1 (ko) 1999-06-15

Family

ID=1950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919A KR100190973B1 (ko) 1997-03-31 1997-03-31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09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674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1677B1 (ko) 가열조리장치
US4761539A (en) Oven calibration system having variable stored calibration value
US10581490B2 (en) Appliance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diagnostics
CN112578696B (zh) 烹饪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0190973B1 (ko) 음식 조리 장치의 메뉴별 조리시간 설정 방법
KR100275887B1 (ko) 전자레인지의 온도보상방법
KR0128557B1 (ko) 전자렌지의 중량감지 자동조리 제어방법
JPH02118321A (ja) ガステーブル
KR100395936B1 (ko) 전자레인지의 요리시간보상방법
KR100257623B1 (ko) 전자레인지의 연속조리시에 온도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855670B2 (ja) 炊飯器
JPH01161694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539548B1 (ko) 조리기기에서 요리시간 제어 방법
KR0142489B1 (ko) 전자렌지의 조리중 조리메뉴 변경방법
KR0125718B1 (ko) 전자렌지의 냉동식품 조리제어방법
JP3392720B2 (ja) 加熱調理器
JP2797534B2 (ja) 炊飯器
JP2930803B2 (ja) 加熱調理器
KR940008527B1 (ko) 전자렌지의 반복요리 제어방법
KR0162127B1 (ko) 전자렌지의 기억키 제어방법
KR100602701B1 (ko)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KR100276028B1 (ko) 전자렌지의 조리메뉴및 조리시간 표시방법
JPH04108415A (ja) 炊飯器の制御装置
JPH0499517A (ja) 炊飯器
KR19980017919A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온도 임의 설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