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787B1 - 센터포커스방식의쌍안경 - Google Patents

센터포커스방식의쌍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787B1
KR100190787B1 KR1019900015456A KR900015456A KR100190787B1 KR 100190787 B1 KR100190787 B1 KR 100190787B1 KR 1019900015456 A KR1019900015456 A KR 1019900015456A KR 900015456 A KR900015456 A KR 900015456A KR 100190787 B1 KR100190787 B1 KR 100190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ring
focus
electrophoretic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447A (ko
Inventor
사또아끼라
Original Assignee
요시다 쇼이치로 ; 오노 시게오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쇼이치로 ; 오노 시게오,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filed Critical 요시다 쇼이치로 ; 오노 시게오
Publication of KR910008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02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involving prisms or mirrors
    • G02B23/06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involving prisms or mirrors having a focussing action, e.g. parabolic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6Focusing binocular pai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Telescop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터포커스 방식의 촛점 조절 장치를 가지는 쌍안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우 1쌍의 경체를 상대 회전가능하게 축지하는 기능상에 회전가능한 촛점 조절환을 가지는 쌍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원하는 관찰 거리에 촛점맞춤한 상태에서 촛점맞춤 상태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록크 방식을 첨부함으로써, 촛점 고정식 쌍안경 및 촛점 조절식 쌍안경을 겸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센터포커스 방식의 쌍안경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기축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II-II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III-III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중의 촛점 조절 록크용의 3각치열의 맞물림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쌍안경의 구성을 도시하는 접안부를 제외하는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한 쌍안경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종래의 센터포커스식 쌍안경의 기축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경체 4 : 기축 죔나사
8, 108 : 중심축환 11, 111 : 촛점 조절환
14 : 슬라이드환 16 : 걸어맞춤핀
18 : 촛점 조절 록크환 107 : 중심축간
109 : 작은나사 112 : 접안 브리지
113 : 접안 렌즈경통
본 발명은 센터포커스 방식의 촛점 조절 장치를 가지는 쌍안경에 관하며, 특히 좌우 1쌍의 경체를 상대회전 가능하게 축지하는 기축상에 회전가능한 촛점 조절을 가지는 쌍안경에 관한다.
종래, 센터포커스 쌍안경에 있어선 여러가지의 촛점 조절기구가 고안되어 있는데 일예를 도시하면 예컨데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것이 공지이다. 제7도에 있어서 좌우에 경체(101),(102)의 아암부(101A, 101B)(102A, 102B)에 와셔(106a),(106b)가 끼며, 또, 그 좌우의 아암부(101A)(102A)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에는 기축(103)이 끼워맞춰져 있다. 좌우 경체(101)(102)는 전기의 끼워맞춤에 의해 기축(103)을 중심으로 회전자재이며, 기축 죔나사(104)를 죔으로서 좌우의 경체의 아암부(101A),(101B),(102A, 102B)에 낀 와셔(106a),(106b)를 거쳐서 소망의 원활한 회전우력이 부여되어 있다. 기축(103)의 내경에 중심 축간(107)이 축방향으로 습동가능하게 끼워맞춰지며, 중심 축간(107)에 심어 설치된 작은 나사(110)의 머리부는, 기축(103)에 설치된 축방향으로 긴홈(103A)과 걸어맞춰져서, 긴홈(103A)의 긴손 방향으로 비벼 움직이며, 중심 축간(107)의 직진 이동을 가능케하고 있다.
기축(103)의 외주에는 촛점 조절환(111)이 끼워맞춰져 있고, 촛점 조절환(111)에 고정 설치된 작은 나사(109)의 선단부가 기축(103)의 외주에 형성된 원주홈(103b)에 끼워맞춰지고, 촛점 조절환(111)을 회전운동만 가능하게 하고, 축방향의 비벼 움직임을 제한하고 있다. 또, 기축(103)과 촛점 조절환(111)사이의 공간에는 중심축환(108)이 설치되며, 그 외주에 형성된 리이드 나사가 촛점 조절환(111)에 형성된 헬리코이드 나사에 나사맞춤함과 더불어 그 내경은 기축(103)에 비벼 움직임이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전기의 중심축간(107)에 심어 설치된 작은 나사(110)는 그 머리부에서 중심축환(108)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맞춰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쌍안경에 있어서의 촛점 조절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촛점 조절환(111)을 회전시키면 그 안지름에 형성된 헬리코이드 나사에 나사 맞춤하는 중심축환(108)은 그 리이드에 따라서 이동된다. 중심축환(108)의 이동에 따라 기축(103)에 끼워맞춰지는 중심축간(107)에 심어 설치된 작은 나사(110)는 기축(103)에 형성된 긴홈(103A)을 따라서 직선운동(축방향운동)을 한다. 따라서 중심축간(107)은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중심축간(107)에 지지되는 접안 브리지(112)를 거쳐서 접안 렌즈 경통(113)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촛점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종래의 센터포커스식 쌍안경에선 상기와 같이 상하의 아암부간에 촛점 조절환을 구비하는 것이 접안 브리지(112)와 아암(102B)사이에 촛점 조절환을 설치한 것으로 대별되는데, 어느 촛점 방식의 것에서도 원하는 위치에서 촛점 고정(포커스록크)이 가능한 쌍안경은 없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촛점 조절 장치에 있어선 촛점 조절환을 회전시켜서 원하는 관찰거리로 관찰이 이뤄지는데, 관찰 대상물에 따라서는 장시간 같은 관찰 거리로 계속해서 또는 단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생긴다. 그때, 촛점 조절환이 회전하지 않도록 쌍안경을 보지하게 되는데, 관찰을 중단하거나 다른 관찰자에 건네는 경우에 있어선 그밖의 그대로의 촛점맞춤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또, 촛점 조절환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고 있으므로 충분히 주의해도 근소한 힘으로 회전하며, 당초의 촛점맞춤 위치가 이탈되어서 관찰할때는 재차 촛점맞춤 거리를 관찰 대상물에 합치시키는 촛점맞춤 조작의 필요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관찰거리에 촛점맞춤한 상태에서 촛점맞춤 상태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센터포커스식의 쌍안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쌍안경은 기측을 거쳐서 서로 연결된 좌우 한쌍의 경체를 가지는 센터포커스 방식의 쌍안경이며, 기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촛점 조절용 회전 부재와 그 촛점 조절용 회전 부재에 근접해서 기축에 지지되며 또한 기축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 부재와, 이 이동 부재를 축방향으로만 임의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그 이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촛점 조절을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촛점 조절 록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쌍안경에 있어서는 촛점을 원하는 위치에 조절하기 위해서 회전하는 촛점 조절용 회전 부재를 촛점 조절 록크 수단에 의해서 임의의 위치에 록크할 수 있으므로, 관찰시에 같은 촛점 위치에서 다시 관찰하고 싶을 경우, 종래와 같은 촛점의 위치 이탈이 생겨서 재차 촛점 조절을 다시하는 불편이 없다. 따라서, 예컨대 동일한 쌍안경으로 교대로 복수의 관찰자가 같은 피관찰물을 쉽게 관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원하는 위치에서 촛점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촛점 고정식 쌍안경과 촛점 조절식 쌍안경을 1대의 쌍안경으로 겸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에 대해서는 첨부도면에 기준해서 기술되는 다음의 상세한 기재로 충분히 밝혀지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센터포커스 방식이 쌍안경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기축부의 횡단면도이며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제1도에 있어서의 I-I 단면도와 II-II 단면도이다.
제1도, 제2도, 제3도에 있어서 좌우 경체(1)(2)의 아암부(1A)(2A)에 와셔(6a)(6b)가 끼워지며, 좌우의 아암부(1A, 1B)(2A, 2B)에 형성된 끼워맞추기 구멍에는 기축(3)이 끼워맞춰져 있다. 이 기축(3)은 우 경체(2)의 아암부(2B)에 회전불능으로 고정 설치되고, 좌우 경체(1)(2)중의 좌경체(1)는 전기 끼워맞춤에 의해서 기축(3)을 중심으로 회전 자재이며 기축 죔나사(4)를 죔으로서 끼워진 와셔(6a)(6b)를 거쳐서 원하는 원활한 회전 우력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기축 죔나사(4)의 머리부는 장식 캡(5)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기축(3)의 내주에는 중심축간(7)이 습동자재로 끼워맞춰지며 중심축간(7)에 심어 설치된 핀(10)은 기축(3)에 설치된 축방향으로 긴 긴홈(3A)과 걸어맞춰지며 긴홈(3A)에 안내되어서 긴손 방향으로 비벼 움직임이 가능하며, 중심축간(7)의 직진 이동을 가능케하고 있다.
기축(3)의 외주에는 중심축 환(8)이 회전 자재로 끼워맞춰지며, 이 중심축환(8)에 경사로 형성된 캠홈(8A)에는 전기 긴홈(3A)을 관통한 전기 핀(10)의 머리부가 끼워맞춰져 있다. 중심축환(8)에는 핀(9)이 비틀어 넣어져 있으며, 핀(9)의 선단이 기축(3)의 외측에 설치된 환상홈(3B)에 끼워맞춰져 있다. 이것에 의해서 중심축환(8)은 축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되며, 회전만 가능하다. 또 중심축환(8)의 한쪽 단면에는 축심을 중심으로한 방사상으로 형성된 3각치열(Serraction)(88)이 설치 되어 있다. 촛점 조절환(11)은 세트 나사(12)에 의해서 중심축환(8)에 위치 조정 후 고정된다. 촛점 조절환(11)의 외주에는 제6도와 같이 ∞ 마크나 거리눈금선이 붙어 있고, 또, ∞ 마크나 거리 위치에 맞춰서 클릭 스톱용의 원추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2A)에 설치된 움푹파인 핀(19), 압축 스프링(20), 및 그 스프링(20)을 압축하기 위한 나사(21)는 클릭 스톱 작용을 위한 부재이다. 촛점 조절환(11)의 외주는 촛점 조절환(11)을 회전 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 고무로렛 환(13)으로 피복되어 있다.
한편,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기축(3)의 외주에는 슬라이드환(14)이 끼워맞춰지며, 기축(3)에 비틀어 넣어진 작은 나사(7)의 머리부가 슬라이드 환(14)에 설치된 키 홈(14C)에 끼워맞춰지고 있으며, 그것으로 슬라이드 홈(14)은 회전이 제한되며, 축방향으로만 직진 이동이 가능하다. 슬라이드환(14)은 경사캠홈(14A), 중심축환(8)의 3각치열(8B)에 대향하는 측면 위치에 형성된 방사상의 3각치열(serraction)(14B)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에 설치한 돌기(14D)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환(14)의 외주에는 경체(1)의 아암부(1B)와의 사이에 설치된 촛점 조정 록크환(18)이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촛점 조절 록크환(18)이 형성된 끼워맞춤구멍(18C)을 관통하고, 경사상의 캠홈(14A)에 끼워맞춤핀(16)이 끼워맞춰져 있다. 이 걸어맞춤핀(16)은 기축(3)에 형성된 원주 방향으로 긴 가로홈(3C)에 회전가능으로 삽입된 코마(15)에 그 선단이 비틀어넣어져 있다. 돌기(14D), V홈(18A, 18B)은 외주에 돌긱부(18D)를 가지는 촛점 조절 록크환(18)의 록크, 프리 작동의 원주 방향의 위치 결정을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촛점 록크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촛점 조절하기 위해서 촛점 조절환(11)을 회전시키면 세트 나사(12)로 고정 설치되어 일체로 되어 있는 중심축환(8)이 기축(3)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한다. 중심축환(8)에는 핀(9)이 고정 설치되며 그 선단부는 기축(3)에 설치된 환상홈(3B)에 걸어맞춰져서 중심축환(8)의 축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있다. 중심축환(8)의 회전으로 중심축간(7)에 심어 설치된 핀(10)의 머리부가 중심축환(8)에 형성된 경사 캠 홈(8A)과 기축(3)에 형성된 긴 홈(3A)과 걸어맞춰지고 있기 때문에, 핀(10)은 긴홈(3A)으로 안내되어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그 핀(10)과 함께 중심축간(7)은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접단 브리지(22)를 거쳐서 중심축간(7)과 결합하는 접안부(23)를 이동시켜 촛점 조절이 행해진다.
상기의 동작으로 원하는 촛점 위치가 결정 되었을때 촛점 조절 록크환(18)을 회전시켜 촛점 조절 록크환(18)의 내부에 설치된 V홈(18A)(18B)과 슬라이드 환(14)의 돌기(14D)와의 끼워맞춤을 그 V홈의 프리측(18B)으로부터 록크측(18A)으로 이동시킨다. 촛점 조절 록크환(18)의 회전으로 운동하는 끼워맞춤핀(16)은 콤마(15)에 의해 축방향의 이동을 제한시키고 회전만 가능케 한다. 끼워맞춤핀(16)의 회전에 의해 경사 캠홈(14A)을 거쳐 슬라이드환(14)이 이동하나, 이때 슬라이드환(14)에서는 키홈(14C)과 작은 나사(17)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회전 방향이 제한되어지므로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이 직선 이동량은 록크측의 V홈(18A)에 돌기(14D)가 움푹파인 때에, 대향하는 중심축환(8)의 3각치열(8B)과 슬라이드환(14)의 3각치열(14B)이 맞물리도록 조절된다.
중심축환(8)은 3각치열(8B)과 (14B)가 맞물리어 회전 불가능하게 됨에 따라 촛점 조절 록크가 된다.
또 원하는 촛점 위치를 변경하고 싶을 경우에는, 촛점 조절 록크환(18)의 돌기(18D)를 기축(3)을 중심으로 하여 록크측(18A)으로부터 프리측(18B)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록크의 동작과는 역동장이 이뤄지며 3각치열(8B),(14B)과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으로 촛점 조절환(11)이 스스로 회전하여 촛점 조절이 이뤄진다.
제4도는 록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중심축환(8)이 형성된 3각치열(8B)과 슬라이드환(14)에 형성된 3각치열(14B)의 맞물림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도면이다.
또, 제5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구성하는 각 부재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사용하고 있는 부재의 번호는 제1도 내지 제4도와 동일함으로 여기에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면이며 좌우의 경체(1), (2)가 기축에 의해 축지되어 기축 죔나사와 와셔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하고 있다. 촛점 조절환(11)에 감아붙인 고무로렛트환(13)을 회전시켜서 촛점 조절을 행하며, 촛점 조절 록크환(18)의 록크 조작으로 촛점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선 중심축환(8)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3각치열의 맞물림으로 행하고 있으나 이것에 구애되지는 않으며, 예컨대 자석 등을 사용해도 되며, 또, 마찰 저항이 높은 부재를 중심축환(8)과 슬라이드환(14)과의 맞닿음면에 사용함으로서 촛점 조절환(11)의 회전을 록크토록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는 접안 렌즈를 계속 내보내는 센터포커스 방식의 쌍안경이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Claims (4)

  1. 전기 기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촛점조절용의 회전 부재와,
    그 회전 부재에 근접해서 전기 기축에 지지되며 또한 전기 기축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부재와,
    그 이동 부재를 축방향으로만 임의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전기 이동 부재와 이동에 응답해서 전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록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축을 거쳐서 서로 연결된 1쌍의 경체를 가지는 센터포커스 방식의 쌍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록크 수단은 전기 회전 부재와 전기 이동 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된 서로 맞물림이 가능한 1쌍의 세레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안경.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이동 수단은, 전기 기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조작되는 조작환과, 상기 조작환의 회전을 전기 이동 부재의 축방향의 이동에 변환하기 위해 전기 이동 부재에 형성된 캠홈과, 상기 캠홈에 습동가능하게 끼워맞추고 또한 전기 조작환 및 함께 회전하는 끼워맞춤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안경.
  4. 제3항에 있어서,
    전기 이동 수단은 또한 전기 록크 수단이 전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록크 위치와 그 저지를 해제하는 프리 위치에 전기 이동 부재가 위치하도록 전기 조작환의 횐전 위치를 정하는 클릭스톱을 포함하는 것을 조작환의 회전 위치를 정하는 클릭스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안경.
KR1019900015456A 1989-10-02 1990-09-28 센터포커스방식의쌍안경 KR100190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5945 1989-10-02
JP1989115945U JP2527731Y2 (ja) 1989-10-02 1989-10-02 焦点調節ロック装置を有する双眼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447A KR910008447A (ko) 1991-05-31
KR100190787B1 true KR100190787B1 (ko) 1999-06-01

Family

ID=1467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456A KR100190787B1 (ko) 1989-10-02 1990-09-28 센터포커스방식의쌍안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03248A (ko)
JP (1) JP2527731Y2 (ko)
KR (1) KR1001907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15938U (en) * 1993-04-15 1997-09-11 Nikon Corp Dioptre-adjusting mechanism for binoculars
US20050243445A1 (en) * 2004-04-29 2005-11-03 Barr Dallas N Boresight alignment hardware for commercial optical extension tubes
JP4974537B2 (ja) * 2006-02-08 2012-07-11 鎌倉光機株式会社 焦点調節装置及び光学機器
DE102013200325A1 (de) * 2013-01-11 2014-07-17 Carl Zeiss Sports Optics Gmbh Optisches System zur Abbildung eines Objekts und Verfahren zum Betrieb des optischen Systems
DE102013013480A1 (de) * 2013-08-15 2015-02-19 Carl Zeiss Sports Optics Gmbh Fernoptisches Gerät, insbesondere Binokuiar
AT514600B1 (de) * 2013-09-11 2015-02-15 Swarovski Optik Kg Verstellturm
AT517440B1 (de) * 2015-07-09 2021-02-15 Swarovski Optik Kg Binokulares Fernrohr
CZ308017B6 (cs) * 2018-08-14 2019-10-23 Meopta - Optika, S.R.O. Fokusační mechanismus binokulárního dalekohledu s nastavitelnou tuhostí chodu
EP3654082A3 (en) 2018-10-26 2020-08-12 Bushnell Inc. Selectable fixed-focus binoculars
WO2024031436A1 (en) * 2022-08-10 2024-02-15 Bushnell Inc. Binocular with bridge lockin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8482Y2 (ko) * 1976-04-09 1981-09-08
DE2654325C3 (de) * 1976-11-30 1979-12-13 D. Swarovski & Co, Glasschleiferei, Wattens, Tirol (Oesterreich) Doppelfernrohr
JPS5818212U (ja) * 1981-07-28 1983-02-04 キノ精密工業株式会社 ズ−ムレンズ鏡筒に於けるロツク機構
JPS5930109U (ja) * 1982-08-20 1984-02-24 木村 秀行 双眼鏡
JPS60131510A (ja) * 1983-12-20 1985-07-13 Asahi Optical Co Ltd ラツクピニオン式レンズ繰出機構のロツク装置
US4867533A (en) * 1986-02-27 1989-09-19 Bausch & Lomb Incorporated Friction lock for optical adjustment
US4818086A (en) * 1988-03-09 1989-04-04 Bausch & Lomb Incorporated Focus lock for binoculars
JPH027618U (ko) * 1988-06-28 1990-01-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27731Y2 (ja) 1997-03-05
JPH0354910U (ko) 1991-05-28
KR910008447A (ko) 1991-05-31
US5103248A (en) 199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0787B1 (ko) 센터포커스방식의쌍안경
US4154510A (en) Lens barrel
US5537262A (en) Rotational torque setting apparatus for screw mechanism
JP5074695B2 (ja) レンズ鏡筒
JP2016224471A (ja) 双眼鏡
US6023381A (en) Microscope objective having a correction holder
US4458990A (en) Adjusting mechanism for lens mounting assembly
US3277783A (en) Zoom lens mount having a common setting means for two independent adjustments
JP2001242389A (ja) 観察用光学機器のアイピース着脱装置
JP3584297B2 (ja) クリック装置
US5028123A (en) Focal-length adjusting assembly for binoculars
JP2011507019A (ja) 光学部品の位置調整装置および位置調整方法
GB1241855A (en) Telescopic optical instrument
US11036029B2 (en) Camera lens, camera and method of locking a focus ring in a camera lens
US5510936A (en) Apparatus for adjusting lens position
KR0138733B1 (ko) 나사 장착대를 가진 렌즈 경통
JP4719958B2 (ja) 光学機器の目当て機構
US5894372A (en) Lens barrel
JPH07104470B2 (ja) ズ−ムレンズのズ−ム機構
JP2643284B2 (ja) レンズ移動用カム装置
CA2121080C (en) Apparatus for providing the coordinated rotation of two interrelated components
KR100286629B1 (ko) 쌍안경
JP3713101B2 (ja) 絞口径調整機構を有するレンズ鏡筒
JP2600821Y2 (ja) 双眼鏡の視度補正機構
US3477777A (en) Locking device for an adjustable optical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