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655B1 - 잠금기구 및 레치장치 - Google Patents

잠금기구 및 레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655B1
KR100189655B1 KR1019910016951A KR910016951A KR100189655B1 KR 100189655 B1 KR100189655 B1 KR 100189655B1 KR 1019910016951 A KR1019910016951 A KR 1019910016951A KR 910016951 A KR910016951 A KR 910016951A KR 100189655 B1 KR100189655 B1 KR 100189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ing
housing
pair
circulating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6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966A (ko
Inventor
마쯔오 구로사키
Original Assignee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가부시끼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687990A external-priority patent/JP30729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2340669A external-priority patent/JP3108091B2/ja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가부시끼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Publication of KR92000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6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05C19/063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66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made of plastics, e.g. hook-and-loop type faste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11Single disc box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7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Abstract

카버 또는 박스의 문등과 같은 개방식 부재를 이 개방식 부재가 눌러질때에 메인 보디와/로부터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게 하는 레치장치이며, 밀어넣음 상태 및 철수상태에서 하우징내에 레치보디를 보지하기 위한 레치장치.
이 레치장치에 있어서 한쌍의 아암의 각각의 선회중심은 스트라이커를 보지하기 위한 각 아암의 보지면위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선과 대체적으로 동일한 선위에 형성된다. 하우징에 트레이싱 부재를 조립할때 이 레치장치의 트레이싱 부재가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조립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조립구멍, 안내구멍, 경사진 안내면이 주어져 있다. 잠금기구 및 레치장치에 있어서, 트레이싱 부재는 탄성 트레이싱 부재의 탄성 복원력의 사용에 의해 한쌍의 순환식 안내경로의 측벽을 트레이싱하게 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트레이싱 부재는 트레이싱 동안 순환식 안내 경로의 바닥면과 비 접촉상태로 유지된다.

Description

잠금기구 및 레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의 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아암이 스트라이커를 클램핑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의 실시예에 따른 아암의 쌍이 스트라이커를 클램핑 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의 실시예에 따른 아암을 가지는 레치장치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아암이 스트라이커를 클램핑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5도는 종래의 아암이 스트라이커를 클램핑 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치장치의 트레이싱 부재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레치장치의 후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치장치의 트레이싱 부재 조립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치장치의 분해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치장치의 단면도,
제10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치장치의 트레이싱 부재 조립기구에 트레이싱 부재를 조립하는 절차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치장치의 트레이싱 부재 조립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14는 종래의 레치장치의 부품 조립 구조롤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세번째 특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 기구의 전체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세번째 특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기구를 가지는 푸쉬형 재털이의 후면 사시도,
제17도 내지 제25도는 본 발명의 세번째 특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1 사이클동안 잠금기구의 순환식 안내경로에 대한 트레이싱 부재의 작동상태에 대한 평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세번째 특징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기구의 전체사시도,
제28도는 본 발명의 네번째 특징에 따른 레치장치의 부분 절단 사시도,
제29도는 제27도의 선 29-29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네번째 특징에 따른 레치 장치의 단면도,
제30도는 종래의 잠금기구의 순환식 캠 홈과 트레이싱 부재의 평면도,
졔31도는 제16도의 선 31-31을 따라 취한 종래의 잠금기구(280)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래치보디 16 : 개구부
34 : 스트라이커 20, 32 : 돌출부
14 : 하우징 22 : 원형구멍
24 : 압축코일 스프링 26 : 스프링 지지구멍
31 : 안내구멍 34A : 확대직경부
10A : 중앙부 35, 50 : 아암
40 : 사각 프레임, 36A, 50A : 홀더부
36C : 측부 148, 30, 180, 282 : 캠홈
114 : 후벽 117 : 관통구멍
115 : 지지편 116 : 조립구멍
122 : 조립홈 120 : 안내판
124 : 설편 212A : 후면
212 : 제털이 케이스 12B,182B : 후단부
214,12,182,284 : 트레이싱 부재
184 : 조립구멍(고정구멍) 188 : 압력리프스프링
186 : 스크류 12A,182A,286 : 팁부
210,280 : 잠금기구 290 : 누름수단
28,292 : 리세스부 288 : 계단부
본 발명은 오디오 장치의 개방식 카버, 오디오장치 수용케이스 등 또는 박스의 도어와 같은 개방형 부재 등의 개방식 카버를 누름에 의해 개방식 카버 또는 개방식 부재가 메인 보디와/로 부터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는 잠금기구 및 이 잠금기구와 그것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게 하기 위해 하우징속에서 레치보디가 밀어넣음 상태 또는 철수 상태로 보지되는 레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오디오장치 등에 있어서, 제4도에서 처럼 개방식 카버를 보지하기 위하여 개방식 카버위에 레치장치 L이 주어져 있다.
도면에서처럼, 레치창치 L은 레치보디(10)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스트라이커(34)에 의해 눌려질때 마다 하우징(14)에 주어진 트레이싱 부재는 레치보디(10)에 형성된 심장형의 순환식 캠홈 도중에서 이동하며, 그것에 의해 레치보디(10)가 밀어 넣어진 상태 및 철수된 상태에서 교대로 하우징(14)속에 레치보디(10)를 보지되게 한다.
동시에 제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레치보디(10)에 형성된 한쌍의 아암(50)이 하우징(14)의 한쌍의 사각 프레임(40)에 의해 각각 눌러질 동안 개방식 카버에 고정된 스트라이커(34)가 클램핑 또는 해제되며, 그것에 의해 개방식 카버를 개/폐 상태로 셋팅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레치보디(10)위에 주어지는 아암(50)의 각각은 스트라이커(34)를 클램핑하기 위한 홀더부(50A) 및 홀더부(50A)의 회전 중심 역할을 하는 힌지부(50B)로 구성되어 있다. 아암(50)은 힌지부(50B)의 밴딩을 도우고 사각프레임(40)에 대한 그것들의 마찰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나일론 등의 플랙시블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그러나 아암(50)의 각각의 홀더부(50A)가 스트라이커(34)를 홀딩하고 있는 동안 큰 인장하중(제5도의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작용함)이 이 스트라이커(34)에 연속적으로 가해지면 힌지부(50A)가 플랙시블하기 때문에 힌지부(50B)는 홀더부(50A)가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있는 방향으로 연신 또는 편위되어 있어 스트라이커로 하여금 홀더부(50A)에서 빠지게 한다는 결점이 있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5도의 인장력 W가 스트라이커(34)를 경유하여 각 홀더부(50A)에 작용할때 아암의 길이를 L이라고 가정하면 굽힘 모우먼트 M (M = WL/2)이 각 힌지부(50B)에 작용한다. 따라서 각 힌지부(50B)는 홀더부(50A)가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있는 방향으로 선회한다. 또는 굽힘 모우먼트 M으로 인한 인장력 σ (σ= M/Z, Z : 단면계수)가 각 힌지부 50B에 작용하기 때문에 힌지부(50B)는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늘어난다. 그 결과 홀더부(50A)는 서로 일정거리 떨어지게 되는 동안 화살표B의 방향으로 편위된다. 그러므로 스트라이커(34)가 홀더부(50A)에서 빠지기 쉽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힌지부(50B)의 외측이 만곡부 D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력 W가 작용할때 만곡부 D가 당겨져 힌지부(50B)가 늘어나버린다고하는 또 다른 결점이 있었다.
졔14도에 나타난 바와같은 대표적인 레치장치에 있어서, 순환식으로 순환식 캠홈(180)내에서 이동하는 트레이싱부재(182)의 후단부(182B)는 하우징(도시안됨)내에 형성된 조립구멍(184)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싱부재(182)는, 이것이 고정구멍(184)에서 빠지지 않도록 스크류(186)의 수단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된 압력리프 스프링(188)에 의해 눌려진다.
그러나 트레이싱부재(182)의 조립을 위한 위에서 설명한 구조에 의해 트레이싱 부재는 그것의 외측으로 부터 하우징내에 조립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하우징내에 트레이싱 부재를 미리 고정식으로 홀딩한 다음 하우징의 후부내로 삽입되는 레치보디(190)내에 형성된 순환식 캠홈(180)속으로 트레이싱 부재(182)의 팁부(182A)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트레이싱 부재(182)의 팁부(182A)가 조립작업시 흔들리는 경우 팁부(182A)는 순환식 캠홈(180)속으로 삽입될 수 없고, 트레이싱 부재(182)의 팁부(182A)는 레치보디(190)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레치보디(190)가 하우징속으로 삽입이 불가능하여 레치장치의 조립이 골치거리라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누름부재(예 : 누름 리프스프링(188))가 트레이싱 부재(182)를 누르기 위해 필요해지며, 결과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의 수가 불리하게 증가하고 조립효율은 떨어졌다.
한편, 자동차의 중앙 클러스터부에 카버를 누름에 의해 자동적으로 빠져나오는 푸쉬오픈형 재털이가 주어져 있다.
이 푸쉬오픈형 재털이는 제30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잠금기구(280)를 갖추고 있다. 이 잠금기구(28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재털이(도시안됨)의 전면부가 화살표 R의 방향으로 밀려들어가면 재털이의 후단부에 고정된 트레이싱 부재(284)는 박스내에 형성된 심장형 순환식 캠홈(282)내에 삽입된다. 이렇게 하여 눌러지면 삽입된 트레이싱 부재(284)는 순환식으로 심장형 순환식 캠홈(282)내에서 이동한다. 그리고, 트레이싱 부재(284)가 심장형 순환식 캠홈(282)의 리세스부(292)와 결합되면, 트레이싱 부재(284)는 재털이를 밀려 들어간 상태에서 보지한다.
제30도 및 제31도에 있는 잠금기구에서, 트레이싱 부재(284)가 반대방향으로 순환하지 않고 순환식 캠홈(282)내에서 설정방향(화살표 Q)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단이진 부분(288)이 주어져 있다. 또한 트레이싱 부재(284)가 순환식 캠홈(282)의 바닥면과 확실하게 슬라이딩 접촉되는 그것의 팁부(286)에 의해 순환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순환식 캠홈(282)의 바닥면 쪽으로 수직으로 트레이싱 부재(284)의 팁부(286)를 누르기 위해 강제수단(290)이 별도로 주어져 있다.
트레이싱부재(284)의 팁부(286)가 순환식 캠홈(282)의 바닥면위를 슬라이딩 하게되는 기구에 있어서는 트레이싱 부재(284)의 팁부(286)와 홈 바닥면과의 마찰로 인해 때로 순환식 캠홈(282)이 마모 또는 변형되고 단이진 부분(288)이 망가지며, 그로인해 트레이싱 부재(284)가 반대방향으로 순환하게 된다.
재털이가 밀어 넣어진 상태에서는 트레이싱 부재(284)는 순환식 캠홈(282)내에 형성된 리세스부(292) 내에 보지되고 재털이가 밀려 들어간 상태는 압축 코일스프링(도시안됨)의 반발력과 맞선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압축코일 스프링의 반발력이 하나의 홈부(292)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리세스부(292)가 손상을 받게 되기 쉽다. 그러므로 잠금기구(280)의 파괴강도가 낮아졌다. 또한 트레이싱 부재의 팁부(286)가 순환식 캠홈(282)의 바닥면 쪽으로 눌러지기 때문에 별도로 누름수단(290)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로인해 사용부품의 수가 불리하게 증가하며 조립효율이 떨어졌다.
트레이싱 부재(284)는 일반적으로 금속재료로 레버의 형태로 만든다해도 제작시의 제작 정밀도가 낮으면 순환식 캠홈(282)의 바닥면을 갉아 먹거나 순환식 캠홈(282)에 대한 그것의 마찰 저항으로 인해 트레이싱 부재가 변형을 받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잠금기구(280)를 채용한 레치장치의 경우, 레치보디에 주어진 순환식 캠홈(282)내에 단이진 부분(288)을 형성하고 누름수단(290)을 가진 트레이싱 부재(284)를 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레치보디와 트레이싱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은 일정한 두께가 요구된다. 이 때문에 이런 제한을 벗어나 얇은 레치 장치를 만드는 것이 어려웠다.
위의 여건의 견지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쌍의 힌지부에 굽힙성능이 우수하고 큰인장력에 대해서도 힌지부가 변형안되는 아암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레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부품수의 감소를 가능케하며, 트레이싱 부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트레이싱 부재에 큰 기기강도를 부여하는 트레이싱 부재 조립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레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더 적은 수의 사용 부품을 가지는 순환식 캠홈의 마모 방지를 가능케하며 큰 파괴감도를 가지는 잠금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잠금기구를 사용하는 얇은 레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에 따라서 메인 보디와/로부터 개방식 부재를 결합 또는 결합해제하기 위한 레치장치의 아암구조는 다음의 것들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보디에 조립되는 하우징 : 개방식 부재에 조립되는 스트라이커 : 레치보디가 하우징속으로 밀려들어간 상태 및 하우징에 철수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의해 보지되는 레치보디 :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선회함에 의해 스트라이커를 클램핑 하기 위한 한쌍의 아암을 가지는 레치보디, 여기서 각 아암의 선회 중심은, 스트라이커가 아암에 의해 클램핑된 스트라이커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 스트라이커를 보지하기 위하여 각 아암의 지지면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선과 대체로 동일한 선 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에 따르면 개방식 부재가 메인 보디와/로부터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도록 하기 위한 레치장치의 트레이싱 부재 조립구조는 다음의 것들로 구성된다 : 메인보디에 조립된 하우징 : 하우징속에 수용된 레치보디 : 레치보디가 철수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레치보디, 그리고 레치보디가 하우징속으로 밀어넣으면 상태 및 레치보디가 하우징에서 철수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의해 보지되는 레치보디: 레치보디에 형성된 순환식 캠 홈 : 레치보디가 하우징속으로 밀려들어간 상태 및 레치보디가 하우징에서 철수된 상태를 레치보디의 밀어 넣음 작동이 실행될때 마다 순환식 캠 홈내에서 순환함에 의해 교대로 유지하기 위한 트레이싱 부재; 하우징내에 형성되어 케이싱부재의 먼쪽 단부가 하우징내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립구멍 : 하우징내에 주어져 핏팅과 연결되며, 트레이싱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채용된 안내 구멍 : 하우징에 주어져 안내 구멍과 연결되며 트레이싱 부재의 후단부 하우징속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진 안내면 : 하우징에 주어져 경사진 안내면과 연속하여 형성되고, 트레이싱 부재의 후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채용된 핏팅홈.
본 발명의 세번째 특징에 따르면, 개방식 부재를 메인보디와/로 부터 결합 또는 결합해제 하게하며, 제1 잠금부재와 제2 잠금부재와 제2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잠금 기구는 다음의 것들로 구성되어 있다 : 제1 잠금부재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안내용 형상을 가지는 한쌍의 순환식 안내홈 : 그리고 제1 잠금부재와의 결합상태 및 제1 잠금부재 결합해제 상태를 교대로 유지하도록 제1 잠금부재에 따라서 이동하기 위해 채용되었으며, 제2 잠금부재에 배치된 탄성 트레이싱 수단, 여기서 트레이싱 수단은 제1 잠금 부재와, 그리고 상대적인 운동의 수단에 의해 순환식 안내 경로쌍의 측면으로부터 트레이싱 수단이 상대적으로 눌림을 받을 때에 일어나는 트레이싱 수단의 탄성 복원력에 따른 그것의 운동을 통해 순환식 안내 경로를 트레이싱하며 이때 트레이싱 수단은 트레이싱 동안 순환식 안내 경로의 바닥면과 비접촉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네번째 특징에 따르면 개방식 부재를 메인보디와/로부터 결합 또는 결합해제 하도록 하는 레치장치는 다음의 것들로 구성된다 : 메인보디에 조립된 하우징 : 하우징내에 수용된 레치보디, 철수 되는 방향에서는 눌려지는 레치보디, 그리고 레치보디가 하우징속으로 밀어 넣어진 상태 및 하우징에서 철수되어진 상태에서 하우징에 의해 보지되는 레치보디 : 레치보디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며 서로 다른 안내용 형상을 가지는 한쌍의 순환식 안내경로 :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레치보디의 밀어넣음 동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순환식 안내 경로내에서 순환됨에 의해 레치보디가 하우징속으로 밀어 넣어진 상태 및 레치보디가 하우징에서 철수된 상태를 교대로 유지하기 위한 탄성 트레이싱 수단, 여기서 밀어 넣음 동작을 통해 순환식 안내 경로의 쌍을 트레이싱 하며 밀어넣음 동작의 수단에 의해 순환식 안내 경로의 쌍의 축벽으로부터 트레이싱 수단이 상대적으로 눌러질때 생기는 트레이싱 수단의 탄성 복원력 트레이싱 동안 트레이싱 수단은 순환식 안내경로의 바닥면과 비접촉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에 따른 레치장치에 대한 위에서 설명한 아암 구조에 있어서, 개방식 부재가 닫혀지면 레치보디는 스트라이커에 의해 눌러지며 장치의 메인 보디에 고정된 하우징내에 밀어넣음 상태로 보지된다.
이때 레치보디에 배치된 아암의 쌍은 하우징의 프레임에 의해 눌러지며,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선회하며, 그것에 의해 스트라이커를 클램핑한다. 스트라이커가 아암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가 아암으로 부터 해제되는 방향으로 스트라이커 위에 힘이 작용하면, 스트라이커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트라이커의 힘은 스트라이커를 보지하기 위해 각 아암의 보지면에 작용한다.
그러나 각 아암의 선회중심이 아암의 보지면위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선과 실제로 동일한 선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선회중심에 굽힙 모우먼트가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인장력 만이 선회중심에 작용하기 때문에 아암이 서로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굽힙 모우먼트로 인한 인장력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회전의 중앙부의 외축이 인장력의 작용선과 평행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힌지부의 연신은 일어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에 따른 레치장치에 관한 위에서 언급한 트레이싱 부재 조립구조에 있어서 트레이싱 부재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트레이싱 부재의 팁부는 레치장치의 하우징내에 형성된 조립구멍을 통해 하우징속에 조립된다. 그 다음 트레이싱부재의 팁부가 하우징속에 삽입된 상태에서 트레이싱 부재의 후단부는 조립 구멍과 연결된 안내구멍으로 이동된다.
안내구멍으로 이동된 트레이싱 부재의 후단부는 안내구멍과 연결되는 경사 안내면으로 안내되고, 조립홈에 도달할때까지 밀어넣어진다. 이때 조립홈과 경사진 안내면 사이의 연결부는 트레이싱 부재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며, 트레이싱 부재는 조힙홈과 경사 안내면 사이의 이 연결부를 확대하는 식으로 조립홈내에 조립된다. 따라서 트레이싱 부재가 조립홈내에 일단 조립되면 트레이싱 부재는 쉽게 빠지지 못하게 된다. 또한 조립홈과 경사안내면은 그것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해 트레이싱 부재를 완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므로 이 구조는 큰 지지강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세번째 특징에 따른 잠금기구에 있어서, 제 2 잠금기구에 배치된 트레이싱 부재가 제1 잠금 부재내에 주어진 한쌍의 순환식 안내경로 속으로 삽입되면 트레이싱 부재는 제1 잠금부재에 따른 그것의 이동 수단에 의해 고정된 방향으로 순환식 안내 경로를 순환한다.
이때 트레이싱 부재의 팁이 제1 잠금부재의 순환식 안내 경로의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고 트레이싱 부재 팁부의 측면부 만이 순환식 안내경로의 측면과 각각 접촉하는 식으로 삽입된다. 그러므로 순환식 안내경로의 바닥면은 트레이싱 부재에 의해 마모되지 않는다. 한편 순환식 안내 경로쌍의 형상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순환식 안내 경로를 트레이싱 하는 트레이싱 부재는 그것이 순환식 안내 경로의 측벽에 의해 눌려지는 동안 순환식 안내 경로를 순환하며, 그러므로 탄성 복원력은 그것에 의해 제1 잠금부재에 따른 그것의 이동을 통해 전해진다. 이로인해 트레이싱 부재는 이것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순환 방향으로 눌러진다. 그러므로 순환식 안내 경로의 트레이싱 부재의 후진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단이진 벽이 주어져 있지 않다해도 트레이싱 부재는 후진이동을 않고 고정된 방향으로 순환한다. 또한, 트레이싱 부재는 순환식 안내 경로쌍에 삽입되기 때문에 트레이싱 부재의 홀딩은 제2 잠금부재의 두 부분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네번째 특징에 따른 레치장치에서 트레이싱 부재는 레치보디의 밀어넣음 동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순환식 안내 경로내에서 순환하여 하우징내로 밀어 넣어진 상태 및 하우징으로 부터 철수된 상태에서 레치보디를 교대로 홀딩한다. 트레이싱 부재 및 순환식 안내 경로의 구성은 세번째 특징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동작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에 따른 레치장치의 아암구조에 있어서, 스트라이커가 클램핑될때 큰 인장력이 스트라이커에 작용한다해도 힌지부에 굽힘 모우먼트가 일어나기 않는다. 따라서, 힌지부는 홀더부가 서로 일정거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선회하지 못하게 하여 힌지부는 당김방향으로 편위되지 못한다. 또한 각 힌지부의 외측은 인장력의 작용선과 평행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힌지부는 연신되기 어렵다.
이런 이유로 주어진 구조는 아암이 플렉시볼한 재료로 만들어져도 홀더부의 편위가 방지되기 때문에 스트라이커는 홀더부로 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에 따른 레치장치의 트레이싱 부재 조립구조에서 트레이싱 부재를 하우징내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부재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음으로서 사용 부품수가 감소되고 조립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트레이싱 부재는 레치보디가 하우징속으로 삽입된 후 하우징 외측으로 부터 조립 될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이싱 부재의 조립이 수월해 진다.
또한, 트레이싱 부재의 반대측이 하우징내에 주어진 리브와 일체구조로 형성된 조립홈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트레이싱 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큰 강도를 가지는 레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세번째 특징에 따른 잠금 기구와 본 발명의 네번째 특징에 따른 레치장치에 있어서는 순환식 안내경로의 측벽이 트레이싱 부재의 먼쪽 단부의 측면에 의해 트레이싱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순환식 안내 경로의 바닥면의 마모가 방지된다. 또한 별도로 누름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부품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순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트레이싱 이동은 트레이싱 부재의 탄성 복원력의 사용에 의해 방지된다. 순환식 안내 경로에 단(step)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전체구조가 콤팩트해 질 수 있다.
또한, 트레이싱 부재의 이탈 방지가 순환식 안내경로의 두 부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지강도가 크고 잠금 기구의 파괴 감도가 증가될 수 있다.
제3도에서와 같이 레치장치(L)는 레치보디(10)와 속에 트레이싱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14)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4)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상자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레치보디(10)는 하우징(14)의 길이방향의 끝에 있는 개구부속에 삽입된다. 하우징(14)을 오디오장치등에 고정하기 위한 사각프레임(40)이 개구부(16)를 한정하는 식으로 되어 있다. 한쌍의 돌출부(20)가 하우징(14)의 마주보는 측면에 사각 프레임(40)의 측방향 돌출부와 대응하며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는 하우징(14)을 고정판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각 프레임(40)의 측방향 돌출부와 하우징(14)의 각 측방 돌출부(20)에 의해 고정판(도시안됨)이 클램핑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14)속으로 삽입되는 레치보디(10)는 실제로 사각평행육면체 형상이며, 원형의 구멍(22)이 레치보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삽입측 끝으로 부터 뻗어 있다. 압축코일 스프링(24)은 원형구멍(22)내에 들어가고 있다. 압축코일 스프링(24)의 일부는 원형구멍(22)으로 부터 돌출하여 스프링지지 구멍(26)속에 끼워져 있다. 그 결과 레치보디(10)는 하우징(14)으로 부터 당겨 빠지는 방향으로 압축코일 스프링(24)에 의해 일정하게 힘을 받고 있다.
레치보디(10)의 윗면 및 바닥면에는 각각 리세스부(28)가 형성되어 있다. 각 리세스부(28)에는 순환식 캠홈이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싱 부재(12)의 각 팁부(12A)는 각각의 순환식 캠홈(30)속에 삽입되어 레치보디(10)가 밀어넣어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순환식 캠홈(30)의 벽면과 접촉할 동안 순환식 캠홈(30)내에서 순환식으로 움직이게 되어 있다. 레치보디(10)의 윗면에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14)에 형성된 좁고 긴 안내구멍 속에 끼워진다. 그 결과 돌출부(32)가 좁고 긴 안내구멍(31)속에서 움직임에 따라 레치보디(10)는 하우징(14)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돌출부(32)가 좁고 긴 안내구멍(31)의 한쪽 끝과 접촉하게 되면 레치보디(10)의 당겨빠짐 방향으로의 더 이상의 이동은 압축코일 스프링(24)의 반발력에 의해 저지된다.
본 발명의 일차적인 특징은 레치장치의 아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서와 같이 스트라이커(34)를 클램핑하기 위한 한쌍의 아암(36)이 레치보디(10)에 주어져 있다. 각 아암(36)은 홀더부(36A)와 힌지부(36B)로 구성되어 있다.
자유상태 즉, 레치보디(10)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하우징(14)속으로 밀어넣어지기전의 상태에서 홀더부(36A)는 서로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홀더부(36A)의 먼쪽 끝에 홀더부(36A)의 축과 직각방향으로 돌출한 훅크부(36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훅크부(36C)는 스트라이커(34)가 당겨 빠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스트라이커(34)의 확대된 직경부(34A)와 접촉하게 된다. 작은 두께를 가진 힌지부(38B)는 아암(36)의 각 뿌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힌지부(36B)는 홀더부(36B)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선회할때 지레의 받침점 역할을 한다.
제2도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스트라이커(34)가 홀더부(36A)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각 힌지부(36B)는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스트라이커(34)를 경유하여 훅크부(36C)에 작용하는 인장력 W의 작용선 C의 연장선 위에 놓여지게 된다.
또한 힌지부(36B)의 외측 E는 인장력의 작용선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이 실시예의 작동은 이후에 설명된다. 제1도에서 처럼 레치보디(10)가 스트라이커(34)에 의해 밀려들어가 있지 않으면 아암(36)의 홀더부(36A)는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놓여진다.
그리고, 제2도에서처럼, 레치보디(10)의 중앙부(10A)가 스트라이커(34)에 의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 있으면 레치보디(10)는 하우징(14)속에 들어가 있게 된다. 동시에 홀더부(36A)의 측면이 사각 프레임(40)에 의해 눌러짐에 따라 힌지부(36B), 홀더부(36A)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선회한다.
다음, 큰 인장력 W(화살표 B의 방향으로 작용)가 스트라이커(34)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34)에 작용하면 W/2의 인장력이 확대된 직경부(34A)와 훅크부(36C)의 상호 접속부에 작용한다. 이 인장력 W/2가 각 힌지부(36C)에 작용해도 힌지부(36B)가 인장력 W/2의 작용선 C상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힌지부(36B)에 굽힘 모우먼트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힌지부(36B)가 서로 떨어져 위치하며 힌지부(36B)에 굽힘 모우먼트로 인한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힌지부(36B)는 인장력 W/2가 각 아암(36)의 허용 인장응력을 초과하지 않는 한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편위되지 못한다.
힌지부(36)가 작용선 C연장부로 부터 약간 편위되어도 힌지부(36B)의 외측 E는 인장력의 작용선 C와 평행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밴딩부 D가 졔5도의 힌지부(50B)와 같이 늘어날 여유가 없으므로 힌지(36B)의 늘어남이 방지된다.
아암(36)의 형상은 이 실시예에 나타난 형상에 국한되지 않으며, 홀더부(36B)에 의해 스트라이커(34)가 고정된 상태에서 홀더부(36A)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작용선 상에 각 힌지부(36B)가 위치하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이제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에 관한 제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치장치 트레이싱 부재 조립구조(110)를 보여주고 있다.
하우징(14)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박스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사각 관통구멍(117)이 하우징(14)(제6도 참조)의 후방벽(114)에 형성되어 있다.
제6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이 관통구멍(117)내에 실재적으로 T-형상의 지지편(115)이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관통구멍(117)의 중앙으로 향해 돌출해있고, 한편 설(舌)편(124)은 도면의 외측으로 부터 관통구멍(117)의 중앙을 향해 돌출해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관통구멍(117)내에 안쪽으로 돌출하는 T 형상의 지지편(115)의 해드부와 트레이싱 부재(12)의 팁부(12A)(제8도 참조)가 삽입되는 조립구멍(116)의 역할을 하는 관통구멍(117)의 좌측 사이로 상하 공간이 한정된다. 한편, 도면에서와 같이 T-형 지지핀(115)해드부의 상부팁과 관통구멍(117)의 상부 측면 사이 및 지지편(115) 해드부의 하부팁과 관통구멍(117)의 하측 사이로 각각 정의되는 상하 공간은 상부 조립구멍(116)의 상단 및 하부 조립구멍(116)의 하단과 각각 통하고 있다. 조립구멍(116)과 함께 이들 상하 공간은 트레이싱 부재(12)의 후단부 12B(제8도 참조)를 안내하기 위한 실제로 L-형상의 관통구멍부와 트레이싱 부재(12)의 후단부 12B(제8도 참조)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구멍(118)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관통구멍(117)의 우측을 향한 T-형 지지편(115)의 해드부의 일부는 이것과 관통구멍(117)의 우측 사이의 거리가 트레이싱 부재(12)가 삽입되는 방향쪽이 더 작은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이 경사부는 트레이싱 부재(12)의 후단부(12B)를 하우징(14)(제9도 참조)속으로 안내 하기 위한 안내판(120)의 역할을 한다.
트레이싱 부재(12)의 후단부(12B)를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아치형의 조립홈(122)이 안내판(120)의 최대 내측 단부 즉, 안내판(120)과 관통구멍 (117)의 우측 사이의 거리가 최단 거리인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립홈(122)쌍의 내측 절반은 하우징(14)에 주어진 한쌍의 평행리브(128)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화살표 F의 방향에 작용하는 트레이싱 부재(12)의 인장력은 이들 리브(참조 제7도)에 의해 지지된다.
제7도에서와 같이 관통구멍(117)내에 있는 그것의 후단이 안내판(120)쪽으로 돌출하는 밴딩부(124A)(제10도 잠조)는 리브(128)의 쌍 사이에 배치된 설편(124)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홈(122)의 내부를 좁히는 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설편(124)의 밴딩부(124A)의 단부는 각 조립홈(122)의 1/4 원호부(124B)를 형성한다. 이 1/4 원호부(124B)로 인해 조립홈(122)내에 형성된 반원부와 함께 트레이싱 부재(12) 후단부(12B)의 이탈이 방지된다.(제9도 참조)
다음에 트레이싱 부재의 조립을 위한 위에서 언급된 구조를 갖춘 레치장치가 설명된다. 제8도에서와 같이, 레치보디(10)의 구조, 하우징(14)의 외부 형상 및 압축코일 스프링(24)은 위에서 언급된 첫번째 특징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같다. 그러므로 이들 부품과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 번호 를 사용하며 여기서 그것의 설명은 생략한다.
레치보디(10)의 상하면에는 리세스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세스부(28)에는 순환식 캠홈(30,148)(제9도 참조)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싱 부재(12)의 팁부(12A)는 순환식 캠홈(30,148)속에 각각 삽입되어 순환식 캠홈의 각각의 벽면과 접촉되는 동안 순환식으로 순환식 캠홈(30,148)내에서 이동된다. 트레이싱 부재(12)는 링의 일부를 절단해버린 것과 같은 C가 형상이다. 팁부(12A) 사이의 갭은 순환식 캠홈(30,148)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도록 설정되어 있다. 돌출부(32)카 레치보디(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14)에 형성된 좁고 긴 안내구멍(31)내에 조립된다. 그 결과 돌출부(32)가 좁고 긴 안내구멍(31)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래치보디(10)는 하우징(14)에 대해 왕복 운동을 한다.
또한 돌출부(32)가 좁고 긴 안내구멍(31)의 한쪽 끝과 잡촉하게되면 레치보디(10)의 당겨 빠지는 방향으로의 더 이상의 이동이 압축 코일 스프링(24)의 반발력으로 인해 방지된다.
제9도에서처럼 아암(36)의 쌍이 하우징(14)속으로의 삽입측과 반대쪽의 측방에서 레치보디(10)에 주어져 있다.
그리고 그것들의 먼쪽 끝이 서로 떨어져 있다. 개방식 카버(도시안됨)에 고정된 스트라이커(34)의 확대된 직경 단부(34B)는 레치보디(10)를 하우징(14)속으로 밀어넣기 위해 아암(36)의 중앙부(10A)를 누르도록 아암(36) 사이에 삽입된다.
이렇게 하여 레치보디(10)가 스트라이커(34)에 의해 밀어넣어지면 아암(36)의 외측은 사각 프레임(40)과 접촉하게 되어 아암(36)은 지레의 받침점 역할을 하는 힌지(36B)에 의해 서로 접근 하는 방향으로 선회한다. 그 결과 스트라이커(34)의 확대된 직경단부(34B)에 의해 고정되고 그로인해 개방식 카버가 닫혀진다.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트레이싱 부재의 조립을 위한 구조를 가지는 레치장치의 조립절차에 대한 설명을 한다. 먼저, 압축코일 스프링(24)이 레치보디(10)에 형성된 원형 구멍(22)속 또는 하우징(14)(제8도 참조)에 주어진 스프링 지지구멍(26)속으로 삽입된다. 그 다음 레치보디(10)는 압축코일 스프링(24)이 압축된 상태에서 하우징(14)속으로 밀어넣어지고 돌출부(32)는 하우징(14)에 형성된 좁고 긴 구멍(31)속으로 삽입되며, 그렇게 하여 하우징(14)속에 레치보디(10)가 들어간다(제8,9도 참조)
그 다음 제10도에서 처럼 트레이싱부재(12)의 팁부(12A)가 조립구멍(116)을 통해 하우징(14)속으로 삽입된다. 이어서, 트레이싱부재(12)의 팁부(12A)가 하우징(14)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트레이싱 부재(12)의 후단부(12B)가 안내구멍(118)쪽으로 이동된다. 트레이싱 부재(12)의 후단부(12B)가 안내구멍(118)쪽으로 이동된 후에 트레이싱 부재(12)의 팁부(12A)가 안내판(120)에 의해 안내되며 순환식 캠홈(30,148)의 테이퍼 안내부(160)속으로 삽입되는 동안 후단부(12B)는 조립홈(122)속으로 밀어 넣어짐으로서 조립작업이 완료된다(제12도 참조)
트레이싱부재(12) 후단부(12B)의 삽입은 나사드라이버와 같은 적당한 삽입공구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에 관한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3도에 있어서처럼 본 발명은 종래의 레치 장치와 같이 계단부를 가지는 순환식 캠홈이 레치보디의 한쪽면에만 형성되어 있는 구조에도 적합하다. 즉, 트레이싱 부재(12)의 후단부(12B)가 조립홈(122)의 쌍 내에 수용됨으로서 조립되는 구조이면 트레이싱 부재(12)의 조립을 위한 고정부재가 별도로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세번째 특징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5도 및 제16도는 본 발명의 세번째 특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푸쉬오픈(push-open)형 재털이에 적용되는 잠금장치(210)를 설명하고 있다.
이 잠금장치는 도면과 같이 박스(216)의 우측에 있는 순환식 캠 홈 조립부재(218)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순환식 캠 홈(30,148)은 물론 재털이케이스(212)(제16도 참조)의 삽입측 후면(212A)에 조립된 트레이싱 부재(214)로 구성되어 있다. 트레이싱 부재(214)는 순환식 캠홈(30,148)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재털이 케이스(212)의 후면(212A)에 배치되어 있다. 재털이 케이스(212)의 전면(212B)이 화살표 의 방향으로 밀어넣어지면 트레이싱 부재(214)는 한쌍의 순환식 캠홈(30,148)속으로 삽입되게 되어 있다.
트레이싱 부재(214)는 링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된 C-자형 형상을 하고 있다. 트레이싱 부재(214)의 마주보는 단부는 트레이싱 부재(224,226)를 형성하고 있다. 트레이싱 부재(224,226) 단부 사이의 갭 t는 순환식 캠 홈(30.148)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시된 구조는 트레이싱 부재(214)의 트레이싱부(224,226)가 순환식 캠홈(30,148)속으로 삽입되면 트레이싱부(224,226)의 단부가 순환식 캠홈(30,148)의 바닥면과는 접촉안되고 벽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트레이싱 부재(214)가 순환식으로 이동한다.
트레이싱부재(214)는 이중머리 화살표 S(제15도 참조)의 방향으로 비툴리는 식으로 재털이 케이스(212)의 후면(212A)위에서 지지되지만, 고정부재(213)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보지부(228,230)는 트레이싱부(224)의 비틀림 운동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한한다. 실선으로 표시된 순환식 캠홈(30)은, 위로 돌출한 심장형의 캠(232)이 순환식 캠 홈 조립부재(218) 상부의 중앙부에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다. 순환식 캠홈, 조립부재(218)의 트레이싱부재(214) 삽입단측에 가로방향으로 뻗은 홈 벽면(234)이 주어져 있다. 그리고 심장형 캠(232)의 리세스부 (236)쪽으로 그것의 중앙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238)가 있다. 한편, 순환식 캠홈(30)과 동일한 방법이지만, 형상이 다른 점선으로 표시된 순환식 캠홈(148)에 심장형 캠(240), 홈 벽면(242)및 돌출부(244)가 형성되어 있다.
순환식 캠홈(30)내에서 순환하는 트레이싱부(224)와 순환식 캠 홈(148)내에서 순환하는 트레이싱 부(226)가 홈 벽면에 의해 눌러짐에 의해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순환식 캠홈(30)에 있는 리세스부(236)는 평면도(제1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살표 G의 방향에서 리세스부(246)로 부터 약간 편위되어 있다. 트레이싱부(224)의 공차면에서 트레이싱 부재(214)를 확실히 잠그기 위해 트레이싱 (224)와 리세스부(236) 및 또 다른 트레이싱부(226)와 리세스부(246)의 조합중 어느 하나가 먼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트레이싱 부재(214)는 압축코일 스프링(도시안됨)의 반발력에 의해 늘어나기 때문에 리세스부(236,246)의 편위가 소멸되어 결합된 트레이싱부재(214)는 2개의 지점, 즉, 리세스부(236,246)에서 지지된다.(제21도 참조)
또한, 트레이싱부재(214)의 삽입방향에서 순환식 캠홈(148)의 양측에 홈 벽면(248,250)이 형성되어 있어서도, 순환식 캠홈(30)에는 홈 벽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이유는 트레이싱부(224)가 트레이싱 부재(214)의 비틀림력 또는 비틀림에 의해 심장형 캠(30)의 벽면에 대해 바깥측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트레이싱부(224)가 심장형 캠(30)으로 부터 멀리 이동된다 해도 트레이싱부(224)를 트레이싱부재(214)의 비틀림으로 인한 복원력 때문에 트레이싱부(226)을 뒤 따름에 의해 순환식 캠홈(30)의 삽입부(252)속으로 안내된다. 그러므로 순환식 캠홈(30)위에 트레이싱부(224)의 안내를 위한 홈 벽면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순환식 캠홈(30,148)속으로 트레이싱 부재(214)의 삽입을 위한 순환식 캠홈 조립부재(218)의 삽입부(252)는 트레이싱 부재(214)를 도우기 위해 테이퍼 형상으로 기계 가공된다.
이 실시예의 작동은 제16도 내지 제25도에서 설명된다. 제16도에 보여진 상태에서 재털이 케이스(212)의 전면(212B)이 화살표 G의 방향으로 눌려지면 재털이 케이스(212)의 후면에 고정된 트레이싱 부재(214)의 트레이싱부(224,226)는 각각 박스(216)에 고정된 순환식 캠홈 조립부재(218)의 양표면에 형성된 순환식 캠 홈(30,148)속으로 삽입된다.(제17도)
또한 재털이 케이스(212)의 전면(212B)이 화살표 G의 방향으로 더 눌러지면 트레이싱 부재(214)의 트레이싱부(226)는 순환식 캠홈(148)의 벽면을 따라서 안내된다. 한편 순환식 캠홈(30)의 삽입부에는 홈벽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트레이싱부 224는 트레이싱부 226을 뒤따라 이동한다.
그 다음 제18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재털이 케이스(212)의 전면(212B)이 화살표 G의 방향으로 계속 더 눌려지면 트레이싱부(226)는 홈벽면(250)에 의해 안내될 동안 화살표 G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트레이싱부(224)는 심장형 캠(232A)에 의해 안내될 동안 화살표 I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트레이싱부(224)는 트레이싱부 224 및 226이 서로 일정간격 떨어져 위치하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편위되어 비틀림력이 트레이싱부재(214)에 생긴다.
그 다음 제19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트레이싱부(224)가 심장형 캠(232)의 모서리부(232B)에 도달하면 트레이싱부 224와 226 사이의 편위(offset)는 최대로 되어 비트림력이 최대로 된다.
그 다음 제19도에 나타난 상태에서 재털이 케이스(212)의 전면(212B)이 화살표 G의 방향으로 계속 더 눌려지면 트레이싱부(224)는 비틀림 복원력 때문에 심장형 캠(232A)의 모서리부(232B)위에 올라탐으로서 화살표 J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 트레이싱부(224)는 홈벽면 (234)의 돌출부(328A)와 충돌하여 찰칵 소리를 냄과 동시에 트레이싱부(226)에 대한 편위가 취소된다. 이어서, 제20도 및 제21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누름작동의 오버스트로크부가 압축코일 스프링(도시안됨)의 반발력에 의해 극복되면, 이때 트레이싱부(224)는 심장형 캠(232)의 벽면(232C)에 의해 안내되며 한편, 트레이싱부(226)에 의해 안내되며 한편 트레이싱부(226)는 순환식 캠 홈(148)의 돌출부(244A)에 의해 안내된다. 즉, 트레이싱부 224 및 226이 각각 화살표 J의 방향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화살표 I의 방향에서 트레이싱 부재(214)에 비틀림이 생긴다. 이때, 트레이싱 부재(214)가 화살표 H의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트레이싱부(226)는 홈 벽면의 돌출부(244A)로 부터 해제되고 그것의 트레이싱부(224)에 대한 위치 편위는 복원력의 수단에 의해 취소된다.
결과적으로 위치 편위가 취소된 트레이싱부(224,226)는 벽면(232C)에 의해 안내되고 리세스부(236,246)에 보지된다.
이때 2개소 즉, 순환식 캠 홈 조립부재(218)의 양면에 있는 리세스부(236,246)에서 트레이싱 부재(214)의 당겨 빠짐의 방지가 이루어져 트레이싱 부재(214)는 단단히 잠겨 질 수 있다.
그 다음 잠겨진 상태에서 트레이싱부재(214)에 의한 재털이 케이스(212)의 전면(212B)이 다시 눌려지면 트레이싱부 226과 224는 전자가 심장형 캠(240)의 벽면(240A)에 의해 안내되고 후자가 홈 벽면의 돌출부(238B)에 의해 안내될 동안 화살표 J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트레이싱 부재(214)에 다시 비틀림이 생긴다. 리세스부(236,246)은 홈벽면의 돌출부(244A)의 팁으로 부터 화살표 J의 방향으로 편위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트레이싱 부재(214)가 다시 눌려지고 오버스트로크가 만들어지면 트레이싱부 224,226은 반대방향으로 순환하지 못하게 된다.
그 다음, 잠긴 상태에서 트레이싱 부재(214)에 의해 재털이 케이스(212)의 전면(212B)이 화살표 G의 방향으로 더 눌려지면 트레이싱부(226)는 트레이싱 부재(214)의 복원력의 수단에 의해 벽면(240A)의 팁 위에 올라타며 트레이싱 부(224)에 대해 위치 편위를 취소하며 제 23도의 상태를 취한다.
제23도의 상태에서 트레이싱 부재(214)의 오버스트로크는 최대로 되고 화살표 G방향으로의 누름이 취소되면 트레이싱 부재(214)는 압축 코일스프링(도시안됨)의 반발력에 의해 화살표 H의 방향으로 되밀려진다.
그러나 트레이싱부(226)는 심장형 캠(240)의 모서리부(240B)에 의해 간섭을 받아 순환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은 불가능하다.
또한, 제24에서와 같이 화살표 H의 방향에서 압축코일 스프링이 화살표 H의 방향으로 트레이싱 부재를 되밀면 트레이싱 부재(214)는 심장형 캠(232)의 벽면(232D)과 순환식 캠홈(30)의 벽면(248)에 의해 안내되는 트레이싱부(224,226)에 의해 화살표 H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다음, 제2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트레이싱 부재(214)의 철수가 더 진행됨에 따라 순환식 캠홈(148)의 벽면(248)에 의해 안내될 동안 화살표 I의 방향으로 트레이싱부(226)가 이동한다. 한편 심장형 캠(232)의 벽면(232E)에 의해 안내될 동안 트레이싱부(224)는 화살표 J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트레이싱부 224와 226의 위치는 편위되며 그 결과 트레이싱 부재(214)에 다시 비틀림력이 생긴다. 트레이싱부(224)가 심장형 캠(232)의 팁(232F)에 도달하면 트레이싱부 224와 226사이의 위치 편위는 최대로 되고 비틀림력은 최대로 된다. 이때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되밀림에 의해 화살표 H 방향으로 트레이싱부재가 더 이동함과 동시에 트레이싱 부(224)가 심장형 캠(232)의 팁(232F)를 떠나면 트레이싱부 224와 226사이의 위치 편위는 트레이싱 부재(214)의 비틀림으로 인한 복원력의 수단에 의해 취소된다. 트레이싱 부재(214)가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더 되당겨지면 트레이싱 부재(214)는 순환식 캠홈(30,148)을 떠나며 재털이 케이스(212)는 박스(216)로 부터 당겨 빠진다(제16도 참조)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가 푸쉬-오픈(압개)형 재털이에 적응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들면 본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는 개방식 카버를 잠그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특징의 제2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세번째 특징의 제1 실시예는 트레이싱 부재(214)의 축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트레이싱부재(214)의 탄성 복원력(비틀림)을 사용한다. 이와달리 제26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이 실시예는 트레이싱 부재(260)를 고정된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하기 위해 트레이싱 부재(260)의 축과 평행하게 작용하는 트레이싱 부재(260)의 탄성 복원력을 사용한다. 즉, 본 발명의 세번째 특징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순환식 캠 홈(30,148)은 순환식 캠홈 조립부재(264)의 하나의 표면위에 주어지며 밴딩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화살표 N의 방향으로 순환식 캠홈(30,148)속에 삽입된 후에 순환식으로 이동하는 트레싱부 266과 268사이의 화살표 P의 방향으로의 위치 편위가 트레이싱부재(260)에 형성된다. 밴딩 방향으로의 이 복원력으로 인해 트레이싱 부재(260)는 고정된 방향으로 순환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순환식 캠 홈 조립부재(264)의 양 표면위에 순환식 캠 홈(30,148)을 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잠금장치(258)는 얇아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네번째 특징에 관해 설명한다. 제2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210)가 적용되는 레치장치 L를 보여준다.
레치보디(210), 하우징(214)의 외부형상 및 압축코일 스프링(24)의 구조는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의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 부품과 그것들의 구성부분은 동일한 도면번호로 표시되며 그것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된다.
레치보디(10)의 상면(226)과 하면(도시안됨)의 각각에 리세스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세번째 특징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순환식 캠홈(30,148)이 리세스부(28)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트레이싱 부재(214)의 트레이싱부(224,226)는 순환식 캠홈(30,148)내에 삽입되어 순환식 캠홈의 벽면과 접촉되는 동안 순환식 캠홈(30,148)내에서 순환 이동한다. 이 실시예에는 본 발명의 세번째 특징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순환식 캠홈(148)에 주어진 벽면은 제공되지 않으며, 레치 장치를 콤팩트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14)의 내벽(14A)으로 치환되어 있다. 트레이싱부(224,226)으로 부터 멀리 떨어진 트레이싱 부재(214)의 부분은 하우징(14)의 내벽에 비꼬임식으로 고정되게 되어 있다.
제28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레치보디(10)의 상면에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14)에 형성된 좁고 긴 안내구멍(31)내에 끼워진다.
그 결과 돌출부(32)가 좁고 긴 안내구멍(31)내에서 이동함에 대해 왕복운동을 한다. 또한 돌출부(32)가 좁고 긴 안내구멍(31)의 한쪽 끝에 접촉하게 되면 당겨빠짐 방향에서의 레치보디(10)의 더 이상의 이동은 압축코일 스프링(24)의 반발력과 맞서 방지된다. 제27도에 보여주는 바와같이 하우징(14)의 삽입측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레치보디(10)의 측면에 아암(36)의 쌍이 주어지며, 그것들의 먼쪽끝은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있다. 개방식 카버(도시안됨)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의 확대된 직경단부(34B)가 하우징 (14)속으로 레치보디(10)를 밀기 위해 아암(36)의 중앙부(10A)를 누르도록 아암들(36)사이에 삽입된다.
이 실시예의 작동이 다음에 설명된다.
레치보디(10)가 스트라이커(34)의 확대된 직경단부(34B)에 의해 눌려지기 전에(제27도 참조) 레치보디(10)에 형성된 돌출부(32)는 좁고 긴 안내구멍(31)의 한쪽 끝에 보지되어 레치보디(10)가 당겨 빠지지 못하게 한다. 이때 제27도에서 처럼 아암(36)은 개방 상태에 있고 트레이싱 부재(214)의 트레이싱부(224,226)는 레치보디(10)의 팁부(237)에 있다. 제29도의 상태에서 아암(36)의 중앙부(10A)가 레치보디(10)를 하우징(14)속으로 밀기 위해 스트라이커(34)에 의해 눌려지면 아암(36)의 외측은 사각 프레임(16)과 접촉하게되고, 아암(36)은 힌지(36B)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스트라이커의 확대된 직경 단부(34B)는 아암(36)에 의해 잡혀지고 그로 인해 개방식 카버가 닫혀진다. 이때 트레이싱 부재(214)의 트레이싱부(224,226)는 순환식 캠홈(30,148)의 홈 벽면을 따라 안내되어 리세스부(236,246)와 각각 결합하고 그 결과 레치보디(10)가 빠지지 못하게 된다.
순환식 캠홈(30,148)에 대한 트레이싱 부재(214)의 작동과 효과는 본 발명의 세번째 특징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것에 관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이진 부분이, 순환식 캠홈(30,148)에 주어지지 않아도 종래의 계단부를 가지는 순환식 캠홈을 가진 레치보디(10)의 각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실시예의 트레이싱부재(214)로 하여금 홈을 트레이싱하는 것을 가능케한다.
그러나 레치보디를 콤팩트 하게 하기 위해 계단부를 가진 순환식 캠홈을 제공하지 않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트레이싱 부재(214)의 먼쪽 끝의 측표면부는 트레이싱 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순환식 캠홈이 경질 재료로 되어 있다. 순환식 캠홈은 레트레이싱 부재의 순환식 캠홈(214)의 끝면에 의해 트레이싱 될 수 있다.

Claims (25)

  1. 개방식 부재를 메인 보디와/로부터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게 하는 레치장치로서 다음을 구비하고 있다 :
    상기의 메인보디에 조립된 하우징;
    상기의 개방식 부재에 조립된 스트라이커;
    그리고 레치보디가 상기의 하우징속으로 밀어 넣어진 상태 및 동 하우징속에서 철수된 상태에서 동 하우징에 의해 보지되는 레치보디, 그리고 상기의 레치보디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선회함으로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클램핑하기 위한 한쌍의 아암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의 각 아암의 선회중심은 상기의 스트라이커가 동 아암에 의해 클램핑된 상태에서 동 스트라이커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따라 동 스트라이커를 보지하기 위한 상기의 각 아암의 보지면 위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선과 대체로 동일한 선위에 형성된다.
  2.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각 아암의 선회 중심부의 외축이 대체로 직선으로 둘러 싸여 있는 레치장치.
  3.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외측이 상기의 작용선과 평행한 레치장치.
  4. 개방식 부재를 메인 보디와/로부터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게 하는 레치장치로서 다음을 구비하고 있다 :
    상기의 메인 보디에 조립된 하우징 ;
    상기의 하우징에 수용된 레치보디, 상기의 레치보디가 철수되는 방향으로 눌러지는 동 레치보디, 그리고 동 레치보디가 상기의 하우징속으로 밀어 넣어진 상태 및 동 레치보디가 동 하우징에서 철수된 상태에서 동 하우징에 의해 보지되는 동 레치보디 ;
    상기의 레치보디에 형성된 순환식 캠홈 ;
    상기의 레치보디의 밀어넣음 동작이 이루어질때마다 상기의 순환식 캠 홈내에서 순환함에 의해, 동 레치보디가 상기의 하우징속으로 밀어 넣어진 상태 및 동 하우징에서 철수된 상태를 교대로 유지하기 위한 트레이싱 부재 ;
    상기의 하우징내에 형성되어 상기의 트레이싱 부재의 먼쪽 단부가 동 하우징내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립구멍 ;
    상기의 하우징에 주어져, 상기의 조립구멍과 통하며, 그리고 상기의 트레이싱의 이동을 안내하게 하는 안내구멍 ;
    상기의 하우징에 주어져 상기의 안내구멍과 통하며, 그리고 상기의 트레이싱 부재의 후단부를 동 하우징속으로 안내하게 하는 경사진 안내면;
    및, 상기의 하우징에 주어져 상기의 경사진 안내면과 연속하여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트레이싱 부재의 후단부를 수용하게 하는 조립홈.
  5.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레치장치는 또한 다음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트레이싱 부재의 인장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 속에 형성된 상기 조립홈의 일부를 가지는 상기의 하우징에 배치된 지지부재.
  6.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레치장치는 또한 다음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지지부재가 상기의 조립홈에서 이탈
    하지 못하게 하는 방지부재.
  7.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트레이싱 부재가 상기 순환식 캠홈을 트레이싱 하기 위한 2개의 트레이싱부를 가지는 대체로 C자형의 봉상부재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봉상 부재의 먼쪽 단부가 상기의 조립구멍 속으로 끼워지는 레치장치.
  8.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의 트레이싱 부재가 상기의 순환식 캠홈을 위한 트레이싱부를 가지는 대체로 C자형인 봉상부재로 구성되며 동 봉상부재의 먼쪽단부가 상기의 조립구멍속에 끼워지는 레치장치.
  9. 개방식 부재를 메인보디와/로부터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게 하는 기능을 가지며, 제1 잠금부재와 제2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잠금기구로서 다음을 구비하고 한다 :
    상기의 제1 잠금부재의 상이한 부분에 형성되며, 서로 다른 안내용 형상을 가지는 한쌍의 순환식 안내경로, 및 상기의 제2 잠금부재에 배치되며 제1 잠금부재와의 결합상태 및 결합해제 상태를 교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잠금부재에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있는 탄성 트레이싱 수단, 여기서 상기의 트레이싱 수단은 상기 제1 잠금부재와, 그리고 동 트레이싱 수단이 상대적인 이동 수단에 의해 상기의 순환식 캠홈 쌍의 측벽에 의해 상대적으로 눌러질때 생기는 동 트레이싱 수단의 탄성 복원력에 따른 그것의 이동을 통해 동 순환식 캠홈 쌍을 트레이싱 하며, 이 트레이싱 동안 동 트레이싱 수단은 동 순환식 안내 경로의 바닥면과 비접촉 상태에 있게 된것.
  10. 특허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탄성 트레이싱수단이 한쌍의 트레이싱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리고 동 트레이싱부는 상기의 순환식 안내 경로의 쌍을 각각 트레이싱하는 잠금기구.
  11. 특허청구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의 트레이싱부의 쌍이 마주보는 훅크부를 가지는 대체로 C자형인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훅부의 먼쪽 단부는 상기 안내 경로의 측벽에 의해 상대적으로 눌러지는 잠금기구.
  12. 특허청구범위 제11항에 있어서, 상기의 탄성 트레이싱 수단이, 상기의 C자형 부재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과 직각방향에서, 대체로 C자형인 동 부재를 비틀리는 식으로 지지하며, 대채로 C자형인 동 부재의 비틀림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고정부를 가지는 잠금기구.
  13. 특허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식 안내 경로의 쌍이 각각 상기의 탄성 트레이싱수단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잠금기구.
  14. 특허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식 안내 경로의 하나가 돌출부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홈부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의 트레이싱 수단이 동 돌출부의 측벽과 동 홈부의 측벽에 의해 상대적으로 눌러지는 잠금기구.
  15. 특허청구범위 제11항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식 안내 경로의 쌍이 층의 형태로 형성되고 동 순환식 안내 경로 사이에는 분리부재가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의 트레이싱 부재가 대체로 C자형인 상기의 부재의 속을 포함하는 평면과 직각 방향에서 C자형의 동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동 순환식 안내경로의 쌍을 각각 트레이싱 하도록 되어 있는 잠금기구.
  16. 특허청구범위 제15항에 있어서, 상기의 훅크부의 돌출단 사이의 거리가 상기의 분리부재의 두께보다 더 큰 잠금기구.
  17. 특허청구범위 제11항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식 안내경로의 쌍이 동일 평면내에서 서로 인접되어 형성되고 동 순환식 안내 경로의 쌍 사이에 분리부재가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의 트레이싱 부재가 대체로 C자형인 동 부재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직각방향에서 대체로 C자형인 동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동 순환식 안내 경로의 쌍을 각각 트레이싱 하도록 되어 있는 잠금부재.
  18. 개방식 부재를 메인 보디와/로 부터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게하는 레치장치로서, 다음을 구비하고 있다 :
    상기의 메인보디에 조립된 하우징 ;
    상기의 하우징에 수용된 레치보디, 동 레치보디가 철수되는 방향으로 눌러지는 동 레치보디, 그리고 동레치보디가 상기의 하우징속으로 밀어 넣어지는 상태 및 동 레치보디가, 동 하우징에서 철수되는 상태에서 동 하우징에 의해 보지되는 동 레치보디 ;
    상기 레치보디의 상이한 부분에 형성되어 서로 다른 안내용 형상을 가지는 한쌍의 순환식 안내 경로 ;
    상기의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의 레치보디의 밀어넣음 동작이 이루어질때마다 상기의 순환식 안내경로내에서 순환함에 의해 동 레치보디가 동 하우징속으로 밀어넣어진 상태 및 동 레치보디가 동 하우징속에서 철수된 상태를 교대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탄성 트레이싱 수단, 여기서 동 트레이싱수단은, 밀어넣음 동작과, 그리고 동 밀어넣음 동작 수단에 의해 상기의 순환식 안내경로의 쌍의 측벽에 의해 동 트레이싱 수단이 상대적으로 눌러질때 생기는 동 트레이싱 수단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동 순환식 안내경로의 쌍을 트레이싱하며 동 트레이싱 수단은 트레이싱동안 상기 순환식 안내 경로의 바닥면과 비접촉 상태에 있다.
  19. 특허청구범위 제19항에 있어서, 상기의 트레이싱부의 쌍이 마주보는 훅크부를 가지는 대체로 C자형인 부재를 구비하며, 그리고 동 훅크부의 먼쪽 단부가 상기 안내 경로의 측벽에 의해 상대적으로 눌러지는 레치장치.
  20. 특히청구범위 제20항에 있어서, 탄성 트레이싱 수단이 대체로 C자형인 상기 부재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직각인 방향에서 대체로 C자형인 동 부재를 비틀리는 식으로 지지하며, 그리고 대체로 C자형인 동 부재의 비틀림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고정부를 가지는 레치장치.
  21. 특허청구범위 제18항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식 안내경로의 쌍이 각각 상기의 탄성 트레이싱 수단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레치장치.
  22. 특허청구범위 제18항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식 안내 경로의 쌍의 하나가 돌출부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홈부를 구성하며 그리고 상기 트레이싱 수단이 동 돌출부의 측벽 및 동 홈부의 측벽에 의해 상대적으로 눌러지는 레치장치.
  23. 특허청구범위 제20항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식 안내경로의 쌍이 층을 형태로 형성되고, 분리부재가 동 순환식 안내경로의 쌍 사이에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의 트레이싱부가 각각 대체로 C자형인 상기 부재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직각의 방향에서 대체로 C자형인 동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동 순환식 안내 경로를 트레이싱 하게 되어 있는 레치장치.
  24. 특허청구범위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부의 돌출 단부사이의 거리가 상기 분리부재의 두께보다 더 큰 레치장치.
  25. 특허칭구범위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경로의 측벽부가 상기 하우징에 의해 구성되는 레치장치.
KR1019910016951A 1990-09-27 1991-09-27 잠금기구 및 레치장치 KR100189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830690 1990-09-27
JP90-258306 1990-09-27
JP30687990A JP3072911B2 (ja) 1990-09-27 1990-11-13 ロック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ラッチ装置
JP90-306879 1990-11-13
JP30687890 1990-11-13
JP90-306878 1990-11-13
JP90-34669 1990-11-30
JP90-340669 1990-11-30
JP02340669A JP3108091B2 (ja) 1990-11-30 1990-11-30 ラツチ装置のアーム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966A KR920006966A (ko) 1992-04-28
KR100189655B1 true KR100189655B1 (ko) 1999-06-01

Family

ID=46305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951A KR100189655B1 (ko) 1990-09-27 1991-09-27 잠금기구 및 레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2) EP0676521B1 (ko)
KR (1) KR1001896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104B1 (ko) * 2008-12-18 2015-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
KR101779002B1 (ko) * 2011-03-09 2017-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렛커넥터용 커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4329B2 (ja) * 2002-10-17 2008-10-15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装置
JP4167091B2 (ja) * 2003-02-27 2008-10-15 株式会社ニフコ スイッチ付ラッチ
JP4592489B2 (ja) * 2005-05-13 2010-12-01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機構及びラッチ装置
CN105649444A (zh) * 2016-01-29 2016-06-08 东莞禾盈通用零部件有限公司 一种自锁式门扣
CN105564799A (zh) * 2016-01-29 2016-05-11 东莞禾盈通用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眼镜盒门扣
CN107327236A (zh) * 2017-08-20 2017-11-07 赣州禾盈通用零部件有限公司 一种纯机械旋转式门锁扣
KR102538439B1 (ko) 2021-04-07 2023-05-31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문유리 고정용 가스켓 자동 결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6493A (en) * 1960-10-21 1964-11-10 Camloc Fastener Corp Push button fastener
US3189374A (en) * 1963-08-30 1965-06-15 Paul M Mertes Push release latch
GB2134961B (en) * 1983-01-31 1987-04-08 Issin Kenkyusho Kabushiki Kais Door catches
JPH0768812B2 (ja) * 1987-06-30 1995-07-26 株式会社ニフコ 浮き出しラッチ
US4792165A (en) * 1987-09-17 1988-12-20 Futaba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Push latch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104B1 (ko) * 2008-12-18 2015-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
KR101779002B1 (ko) * 2011-03-09 2017-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렛커넥터용 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76522A3 (en) 1996-09-04
EP0676521A3 (en) 1996-09-04
EP0676522B1 (en) 2000-01-05
KR920006966A (ko) 1992-04-28
EP0676521A2 (en) 1995-10-11
EP0676521B1 (en) 1999-11-24
EP0676522A2 (en) 199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2158A (en) Lock mechanism and latch device
US10244830B2 (en) Clasp mechanisms for wristwatch bands
US5379362A (en) Optical fiber connector
CA2426412C (en) Cutter knife for left-handed and right-handed persons
US5273328A (en) Lock mechanism and latch device
KR100189655B1 (ko) 잠금기구 및 레치장치
US4840412A (en) Easily adjustable latch
EP0477863A1 (en) Lock mechanism and latch device
EP0145678B1 (en) Writing or drafting instrument
JPH04213679A (ja) ロック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ラッチ装置
KR20040095643A (ko) 광플러그
US4602828A (en) Housing device for control unit
US4794693A (en) Slider for a cutter knife
JPH049833Y2 (ko)
US6230978B1 (en) Card ejection device of electronic card connector
JP3098548B2 (ja) ラッチ装置のトレース部材取付構造
KR100850229B1 (ko) 수납 케이스
KR101808850B1 (ko) 래치 헤드의 회전이 가능한 푸쉬풀 도어 로킹 장치
CN111067205A (zh) 表带组件和穿戴设备
JP2001235653A (ja) 光コネクタプラグの防塵キャップ
KR920007736Y1 (ko) 닫힘 방지구조를 갖는 테이프 도어
EP4369539A1 (en) Device for attaching a case to a din rail and case with such a device
JP2568636Y2 (ja) プッシュラッチ装置
KR900008689B1 (ko) 전기전자기기의 도어 고정용 래치
KR100222250B1 (ko) 컨솔박스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