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104B1 -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104B1
KR101564104B1 KR1020080129088A KR20080129088A KR101564104B1 KR 101564104 B1 KR101564104 B1 KR 101564104B1 KR 1020080129088 A KR1020080129088 A KR 1020080129088A KR 20080129088 A KR20080129088 A KR 20080129088A KR 101564104 B1 KR101564104 B1 KR 101564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door
fixing
fixture
hom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0513A (ko
Inventor
이문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9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104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일측에 장착되며 홈바도어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도어고정하우징과, 상기 도어고정하우징 내부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고정하우징 내부에서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스트라이커 고정구와,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가 상기 도어고정하우징 내부에서 적어도 2곳 이상의 고정된 위치를 가지도록 구속하는 고정구 구속부재와,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의 정지위치를 제공하는 하트캠 및 상기 도어고정하우징과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를 탄성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고정하우징에는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를 가압하여 일측이 탄성변형 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도록 하는 고정구 가압돌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 홈바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홈바도어 고정장치의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홈바, 홈바도어, 스트라이커, 개구부, 도어구속 하우징

Description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A holder of home-bar door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는 홈바는 상기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고내(庫內)에 저장된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편의장치이다.
상기 홈바는 냉장고의 도어 일부를 절개하여 고내(庫內)와 연통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전측에 상기 도어와 별도로 개/폐 작동되는 홈바도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 주변에는 상기 홈바도어가 개구부를 차폐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홈바도어 고정장치가 구비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함 홈바도어 고정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된다.
우선,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홈바도어 배면에 고리 형상의 후크가 구비되며, 개구부 주변에는 상기 후크가 걸림고정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부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홈바도어의 차폐시 상기 걸림부에 후크가 걸림 고정될 수 있으며, 홈바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후크 일측을 가압하여 걸림부와 간섭된 후크의 단부를 탈거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홈바도어 고정장치는 후크가 상기 걸림부에 고정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되어 사용자의 감성불만이 야기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후크 일측을 가압한 상태에서 홈바도어를 개방하게 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홈바도어 배면과 개구부 주변에 극성이 다른 자성체를 구비하여 홈바도어를 고정시키는 구조가 개발되었으나, 사용자가 홈바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자성체의 인력을 극복할 수 있는 힘으로 잡아당겨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누름조작에 따라 홈바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트캠 형상을 이용하여 홈바도어의 고정위치를 제한하는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탄성을 가지는 사출성형물에 의해 홈바도어의 스트라이커가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홈바도어의 스트라이커 측부에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여 홈바도어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일측에 장착되며, 홈바도어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도어고정하우징과, 상기 도어고정하우징 내부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고정하우징 내부에서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스트라이커 고정구와,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가 상기 도어고정하우징 내부에서 적어도 2곳 이상의 고정된 위치를 가지도록 구속하는 고정구 구속부재와,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의 정지위치를 제공하는 하트캠 및 상기 도어고정하우징과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를 탄성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고정하우징에는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를 가압하여 일측이 탄성변형 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도록 하는 고정구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일측에 장착되며, 홈바도어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도어고정하우징과, 상기 도어고정하우징 내부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고정하우징 내부에서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스트라이커 고정구와,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가 상기 도어고정하우징 내부에서 적어도 2곳 이상의 고정된 위치를 가지도록 구속하는 고정구 구속부재와,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의 정지위치를 제공하는 하트캠 및 상기 도어고정하우징과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를 탄성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도어고정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의 일측을 가압하는 고정구 가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는 상기 고정구 가압돌기에 의해 가압된 부분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의 측방으로 접근하여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홈바도어의 배면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가 도어고정하우징에 형성된 스트라이커 수용부 내측으로 인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스트라이커 고정 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간섭되면서 상기 홈바도어가 차폐되거나 개방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성형되어 스트라이커 수용부 내부에 형성된 고정구 가압돌기와 스트라이커 고정구에 형성된 간섭돌기의 간섭여부에 따라 탄성변형이 이루어져 상기 스트라이커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탄성 변형되는 스트라이커 고정구에는 하트캠이 마련되고, 이러한 하트캠을 따라 이동하는 고정구 구속부재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 수용부 내부에서 2곳의 고정위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와 도어고정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가압수단의 탄성변형 정도에 따라 2곳의 고정위치가 교대로 가변된다.
따라서, 이러한 매커니즘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홈바도어를 가압하는 횟수에 따라 상기 하트캠을 따라 이동하는 고정구 구속부재의 위치가 교대로 가변되고,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의 위치 가변된 위치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가 이동하면서 탄성변형부에 형성된 간섭돌기와 스트라이커 수용부 내부의 고정구 가압돌기가 간섭되어 스트라이커가 스트라이커 걸림부와 교대로 간섭되면서 홈바도어가 개폐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홈바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홈바도어를 파지하여 당길 필요없이 누름 조작을 통해 홈바도어의 차폐와 개방 작동을 구현 할 수 있게 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홈바도어의 구속을 위한 구성요소 단품이 각각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이 채용된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홈바도어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냉장고(1)의 도어(20)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내부에 구비된 음식물을 인출/입 시킬 수 있는 홈바(30)가 구비된다.
상기 홈바(30)는 크게 상기 도어(20)의 소정공간이 절제되어 형성되는 개구부(50)와, 상기 개구부(50)의 전방에서 상기 개구부(50)의 하단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부(5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홈바도어(70) 및 상기 홈바도어(70)가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홈바힌지(60) 등으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개구부(50)는 상기 도어(20)의 일부가 절제되어 고내(庫內)와 연통되면서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고내와 연통된 개구 부(50)는 상기 도어(2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바스켓에 의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음식물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개구부(50)의 내주면에는 홈바프레임(40)이 형성된다.
상기 홈바프레임(40)은 상기 개구부(50)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도어(20)와 접하는 상기 개구부(50) 가장자리를 마감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프레임(40)의 일측에는 상기 홈바도어(70)에 구비되는 홈바힌지(60)의 회전축이 끼움 장착될 수 있도록 축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홈바프레임(40)의 상단 중앙에는 상기 홈바도어(70)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80)를 구속하여 상기 홈바도어(70)가 상기 개구부(50)를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홈바도어 고정장치(100)가 구비된다.
상기 홈바도어(70)는 상기 개구부(50)의 전면(前面)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50)의 형상과 적어도 일부분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배면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홈바도어 고정장치(100)와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홈바도어(70)가 상기 개구부(5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라이커(80)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홈바도어(70)는 상기 홈바힌지(60)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홈바도어(70)의 회동에 의해 상기 개구부(50)가 차폐될 때 상기 스트라이커(80)와 상기 홈바도어 고정장치(100)의 체결관계에 의해 상기 개구부(50)의 차폐 상태가 선택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의 상세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는 도 3 의 A-A´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100)를 살펴보면 우선, 상기 홈바프레임(40)의 상단 중앙 부분에는 도어고정하우징(200)이 매설된다.
상세하게, 상기 도어고정하우징(200)은 상기 홈바프레임(40)에 매설된 채로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일면에는 상기 스트라이커(80)가 인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스트라이커 수용부(2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라이커 수용부(210)의 내부에는 인입된 스트라이커(80)와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홈바도어(70)가 상기 개구부(50)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라이커 고정구(3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 수용부(210) 내부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구 가압돌기(240)가 더 형성되며, 이러한 고정구 가압돌기(240)는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에 형성된 간섭돌기(332)와 선택적으로 간섭된다. 상기 고정구 가압돌기(240)와 간섭돌기(322)에 관한 내용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는 대략“M”자 형상으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된다.
상세하게,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에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내부에 하트 캠(320)이 형성되는 하트캠 수용부(310)와, 상기 하트캠 수용부(310)의 좌우 양측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연장형성되는 탄성변형부(330)가 포함된다.
상기 하트캠 수용부(310)는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의 중앙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스트라이커(80)와 일측이 접하여 가압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가 상기 스트라이커 수용부(210)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작동력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상기 하트캠 수용부(310)의 타측에는 상기 도어고정하우징(200)에 마련된 가압부재 장착부(260)에 끼움 장착되어 상기 도어고정하우징(200)으로부터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5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500)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트캠 수용부(310)의 내부에 형성된 하트캠(320)은 대략 하트 모양으로 형성되어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트캠(320)의 하트 형상은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구 구속부재(400)가 일방향으로 하트형상을 그리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트캠 수용부(310)에는 상기 하트캠(320)의 외주를 따라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구속부재 안내홈(312)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재 안내홈(312)에는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막대기 형상의 고정구 구속부재(400)의 일측 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40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트캠 수용부(310)와 하트캠(320)도 상면과 하면에 모두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고정구 구속부재(400)는 상기 하트캠 수용부(3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하트캠 수용부(310)를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트캠 수용부(310)를 감싸는 고정구 구속부재(400)는 타측 단부가 상기 도어고정하우징(200)에 끼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고정하우징(200)에 끼움 장착된 한 쌍의 고정구 구속부재(400)는 상기 도어고정하우징(200)에 끼움 장착되는 구속부재 장착수단(220)을 통해 상측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상세하게, 상기 구속부재 장착수단(220)은 하나의 판재가 다수회 절곡되어 대략“⊃”와 같은 형상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절곡부의 내측 경계에는 상기 도어고정하우징(200)의 두께와 대응되는 크기의 홈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부의 높이는 상기 도어고정하우징(200)의 후측과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의 경계에 형성된 홈이 상기 도어고정하우징(200)의 후측 상단과 하단에 끼워지면서 장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400)는 도어고정하우징(200)에 끼움 장착되는 구속부재 장착수단(22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고정된 위치를 가지게 되는 고정구 구속부재(400)의 일측 단부는 위치가 유지되면서 상기 하트캠(320)의 외주와 상기 구속부재 안내홈(3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400)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의 이동위치가 제한된다.
상세하게,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는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400)에 의 해 상기 스트라이커 수용부(210) 내부에서 일정길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되는데, 이러한 이동위치는 상기 하트캠(320)과 구속부재 안내홈(312)에 의해 2곳에서 위치가 제한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구속부재 안내홈(312)에 수용되어 상기 하트캠(320)의 외주를 따라 이동하는 고정구 구속부재(400)는 타단이 상기 도어고정하우징(200)에 고정되고, 일단이 구속부재 안내홈(312)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고정하우징(200)과 스트라이커 고정구(300) 사이에 개재되는 가압부재(500)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는 상기 도어고정하우징(200)의 후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기 가압부재(500)의 작용에 의해 상기 하트캠(320)의 경사면에서는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의 이동이 계속되고, 하트캠(320)의 중앙 상단과 하단에서만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변형부(330)는 상기 하트캠 수용부(310)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트캠 수용부(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변형부(330)의 하단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간섭돌기(332)가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 수용부(210) 내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구 가압돌기(240)와 선택적으로 간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변형부(330)의 하단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스트라이커 걸림부(340)가 더 형성되며, 이러한 스트라이커 걸림부(340)는 상기 고정구 가압돌 기(240)와 간섭돌기(332)가 간섭될 때, 상기 스트라이커(80)의 측면에서 천공 또는 함몰되는 일부분에 수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80)를 구속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에는 본 발명이 채용된 냉장고의 홈바도어가 차폐되기 이전의 스트라이커와 홈바도어 고정장치의 상관관계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바도어(7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트라이커(80)가 상기 하트캠 수용부(310)와 접하지 않아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를 가압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구속부재 안내홈(312)에 수용된 고정구 구속부재(400)의 일단이 상기 하트캠(3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의 위치를 구속하게 되며, 상기 탄성변형부(330)에 형성된 간섭돌기(332)는 상기 고정구 가압돌기(240)와 아무런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트라이커 걸림부(340)가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스트라이커(80)가 상기 스트라이커 수용부(210) 내측으로 인입된 이후 상기 하트캠 수용부(310)를 가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7 에는 본 발명이 채용된 냉장고의 홈바도어가 차폐된 상태의 스트라이커와 홈바도어 고정장치의 상관관계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8 에는 도 7 의 부분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바도어(70)가 차폐되면, 상기 스트라 이커(80)가 상기 스트라이커 걸림부(340) 사이를 지나쳐 상기 하트캠 수용부(31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트캠 수용부(310)가 가압되면, 상기 하트캠 수용부(310)와 도어고정하우징(200) 사이에 개재된 가압부재(500)가 탄성압축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가 상측(도 7 에서)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간섭돌기(332)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구 가압돌기(240)와 간섭되고, 이로 인해 상기 탄성변형부(330)의 양단부가 내측으로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변형부(330)의 내면에 형성된 스트라이커 걸림부(340)가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한 스트라이커 걸림부(340)는 인입된 스트라이커(80)의 측부에 함몰 또는 천공 형성된 일부분에 수용되어 스트라이커(80)의 위치를 구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스트라이커(80)의 위치를 구속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400)는 상기 하트캠(320)의 하측에서 외주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트캠(320)의 상측 중앙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홈바도어(70)가 차폐완료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 즉, 상기 하트캠 수용부(310)를 가압하던 스트라이커(80)의 가압력이 해지되면서 상기 가압부재(500)의 탄성복원력이 작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하트캠(32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 고정구 구속부재(400)의 일단은 상기 가압부재(5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 며, 상기 스트라이커 걸림부(340)도 상기 스트라이커(80)의 측부에 간섭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홈바도어(70)를 다시 한번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재(500)가 탄성복원 되면서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400)의 일단이 하트캠(320)의 중앙 부분에서 이탈하게 되고, 스트라이커(80)에 의한 가압력이 해지되면서 발휘되는 가압부재(5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400)는 하트캠(320)의 외주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400)는 상기 하트캠(320)의 하부 중앙 부분에 이르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300)는 하측(도 7 에서)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간섭돌기(332)와 고정구 가압돌기(240)의 간섭이 해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정구 가압돌기(240)와의 간섭이 해지된 탄성변형부(330)는 다시 초기 위치로 탄성 복원된다.
이로 인해 상기 스트라이커 걸림부(340)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트라이커(80)와의 간섭이 해지되고, 상기 스트라이커(80)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홈바도어(70)가 다시 개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채용된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홈바도어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의 상세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5 는 도 3 의 A-A´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이 채용된 냉장고의 홈바도어가 차폐되기 이전의 스트라이커와 홈바도어 고정장치의 상관관계를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이 채용된 냉장고의 홈바도어가 차폐된 상태의 스트라이커와 홈바도어 고정장치의 상관관계를 보인 도면.
도 8 은 도 7 의 부분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홈바도어 고정장치 200..... 도어고정하우징
210..... 스트라이커 수용부 220..... 구속부재 장착수단
240..... 고정구 가압돌기 300..... 스트라이커 고정구
310..... 하트캠 수용부 312..... 구속부재 안내홈
320..... 하트캠 330..... 탄성변형부
332..... 간섭돌기 340..... 스트라이커 걸림부
400..... 고정구 구속부재 500..... 가압부재

Claims (17)

  1. 냉장고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홈바도어;
    상기 홈바도어의 내면에 형성된 스트라이커;
    상기 도어의 일측에 매립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의 양측에 경사면을 가진 고정구 가압돌기가 각각 돌출된 도어고정하우징;
    상기 도어고정하우징 내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를 선택적으로 구속하기 위해 양측에 경사면을 가진 간섭돌기가 각각 돌출된 스트라이커 고정구;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에 형성된 하트캠;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가 상기 도어고정하우징 내부에서 적어도 2곳 이상의 고정된 위치를 가지도록 구속하는 고정구 구속부재; 및
    상기 도어고정하우징과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를 탄성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홈바도어가 회동하여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도어고정하우징의 상기 개구에 삽입되면 상기 간섭돌기와 상기 고정구 가압돌기가 서로 슬라이딩하여 간섭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홈바도어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는,
    상기 하트캠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가압되는 하트캠 수용부와,
    상기 하트캠 수용부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고정구 가압돌기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홈바도어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트캠 수용부에는,
    상기 하트캠의 외주를 따라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의 단부가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 구속부재 안내홈이 형성되는 냉장고용 홈바도어 고정장치.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에는,
    외압에 의해 탄성변형될 때, 상기 스트라이커와 간섭되는 스트라이커 걸림부가 돌출된 냉장고용 홈바도어 고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는,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고정하우징에 별도의 구속부재 장착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냉장고용 홈바도어 고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트캠은,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의 상면 및 하면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냉장고용 홈바도어 고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와 도어고정하우징 사이에는 탄성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재가 더 구비되는 냉장고용 홈바도어 고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고정하우징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장착을 위한 가압부재 장착부가 결합되는 냉장고용 홈바도어 고정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수용부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진입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인, 냉장고용 홈바도어 고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는,
    상기 스트라이커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상단과 하단의 폭이 서로 다르도록 사출 성형되는 냉장고용 홈바도어 고정장치.
  13. 삭제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는,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스틱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곡된 단부가 상기 구속부재 안내홈에 수용되는 냉장고용 홈바도어 고정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는,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의 상면과 하면에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도어고정하우징에 끼움 장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 고정구를 구속하는 냉장고용 홈바도어 고정장치.
  16. 삭제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 장착수단은,
    하나의 판재가 다수회 절곡되어 상기 고정구 구속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도어고정하우징 일측에 끼움 장착되는 냉장고용 홈바도어 고정장치.
KR1020080129088A 2008-12-18 2008-12-18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 KR101564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088A KR101564104B1 (ko) 2008-12-18 2008-12-18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088A KR101564104B1 (ko) 2008-12-18 2008-12-18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513A KR20100070513A (ko) 2010-06-28
KR101564104B1 true KR101564104B1 (ko) 2015-10-29

Family

ID=4236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088A KR101564104B1 (ko) 2008-12-18 2008-12-18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1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655B1 (ko) * 1990-09-27 1999-06-01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잠금기구 및 레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655B1 (ko) * 1990-09-27 1999-06-01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잠금기구 및 레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513A (ko) 201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1685B2 (en) Hinge apparatus and oven with the same
RU2392842C2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 запор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JP5409068B2 (ja) 電子機器の蓋開閉装置
KR101608982B1 (ko) 드럼세탁기
KR20160055251A (ko) 로크 기구 및 개폐 장치
KR20050058039A (ko) 저장고
JP2014218258A5 (ko)
EP2876197B1 (en) Washing machine with drawer assembly
US20050044898A1 (en) Door assembly
KR101575929B1 (ko)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KR20140141972A (ko)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
KR20170124239A (ko) 냉장고
KR20100082221A (ko) 핸드백용 잠금장치
KR20140138619A (ko) 가전제품의 도어를 위한 도어록 장치
KR20140098956A (ko)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KR101564104B1 (ko) 냉장고의 홈바도어 고정장치
CN110754926A (zh) 烹饪器具
KR101093380B1 (ko) 스위치 장치
KR100960245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잠금장치
JP3597424B2 (ja) ドア開閉機構
CN112618770B (zh) 香薰盒及具有其的电器
KR101212440B1 (ko)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KR960002302B1 (ko) 가정용 기구의 도어 잠금장치
KR100637875B1 (ko)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KR200411689Y1 (ko) 세대 통합 단자함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