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400B1 - 관형 카아톤 브랭크의 직립장치 - Google Patents

관형 카아톤 브랭크의 직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400B1
KR100189400B1 KR1019900017261A KR900017261A KR100189400B1 KR 100189400 B1 KR100189400 B1 KR 100189400B1 KR 1019900017261 A KR1019900017261 A KR 1019900017261A KR 900017261 A KR900017261 A KR 900017261A KR 100189400 B1 KR100189400 B1 KR 100189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on blank
blank
upright
carton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7759A (ko
Inventor
리챠드볼프강에밀모세
Original Assignee
포스베르크 라스-에케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베르크 라스-에케,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포스베르크 라스-에케
Publication of KR910007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80Pneu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3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llapsible; temporarily collapsed during manufacturing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Paper (AREA)

Abstract

관형 카아톤 브랭크를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부터 개방된 관형 상태로 형성되도록 직립시키는 장치로서, 카아톤 브랭크를 연속하여 작동부에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부재를 따라 연속하여 위치되는 카아톤 브랭크를 직립시키도록 작동하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작동부와 상기 카아톤 브랭크를 미리 상기 컨베이어 부재로부터 들어올리고, 그 다음에 상기 카아톤 브랭크를 직립시키도록 사용중 상기 각 작동부에서 작용하는 카아톤 브랭크 직립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카아톤 브랭크 직립수단은 흡착력에 의해 사용중 상기 카아톤 브랭크(12)에 부착되는 흡착헤드(14)와, 상기 흡착헤드(14)를 카아톤 브랭크 집합위치로 부터 카아톤 브랭크 들어올림 단계를 거쳐, 그 다음 카아콘 브랭크가 직립되는 상태가 되도록 힘을 가하기 위해 정지부재(50)에 대해 카아톤 브랭크가 가압되는 카아톤 브랭크 직립단계를 거치는 작동 사이클을 통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흡착헤드가 카아톤 브랭크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 카아톤 브랭크가 정지부재(50)와 제2접촉부재(56)사이에 고정지지된 상태에서 해제된다. 흡착헤드는 피봇아암(22, 24)을 통한 캠(30, 32)에 의한 평행운동으로써 구동되는 링크아암(20)에 의해 지지된다.

Description

관형 카아톤 브랭크 직립장치
제1도는 제1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변형된 형태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중심부분의 확대도;
제5도는 제3 실시예의 직립작동부에 대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무한궤도 체인 컨베이어 11 : 접촉부재
12 : 관형 카아톤 브랭크 14 : 흡착헤드
16 : 흡착컵 18 : 크로스 아암
20, 26 : 링크 아암 22, 24 : 피봇 아암
30, 32 : 캠 34 : 캠 종동롤러
36 : 레버아암 50 : 정지부재
본 발명은 관형 키아톤 브랭크(tubular carton blanks)를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부터 개방된 관형의 상태로 일으켜 세워서 직립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3,783,752호에는 매거진으로 부터 무한궤도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관형 카아톤 브랭크(판지소재)를 일으켜 세워서 직립시키기 위한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브랭크(소재)가 컨베이어에 지지된 제1흡착헤드와 회전 아암상에 지지된 제2흡착헤드에 의해 직립 작동부에서 흡착되어져 흡착헤드가 분리되어 떨어짐에 따라 잡아당겨져 개방된다. 이 경우에는 하나의 직립 작동부만 제공된다. 고속 포장기계의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브랭크를 동시에 직립시켜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착헤드가 컨베이어와 함께 이동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데, 이는 복잡한 진공 분배 공급구성과 빈번한 정비 보수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는 로타리 에어 시일재의 사용을 포함하게 되기 때문이다.
유럽 특허 제0,117,537호에는 동시에 두개의 브랭크를 직립시키는 장치가 기술되어 있는바, 이것은 무한궤도 컨베이어의 상부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각각의 두개의 브랭크 직립 작동부에서 컨베이어로 부터 이송되는 브랭크를 들어올려 컨베이어 자체는 계속 이동하는 과정에서 브랭크를 직립시킬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두개의 직립 작동부의 하류 흐름방향을 따라 그의 진행 위치 이상으로 이송공급되는 브랭크는 직립작동 아암에 의해 걸리지 않고, 영향을 받지않는 직립작동부의 상류흐름 위치 이상으로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각 직립 작동부에 제공되는 장치가 복잡하게 되고, 다수개의 스프링 바이어스되는 피봇작동 아암을 포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된다. 상기 각 피봇 작동부는 마모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각 직립 작동부에 사용될 수 있는 보다 간단한 장치를 안출해 내는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브랭크를 직립시키기 위한 적어도 두 부분의 작동부에, 컨베이어 부재의 이동경로중의 일부분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되는 상기 작동부로 브랭크를 연속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부재, 및 각각의 상기 작동부에 위치되는 카아톤 브랭크 직립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카아톤 브랭크 직립수단은 초기에 상기 컨베이어 부재로 부터 브랭크를 들어올리고, 이어서 브랭크를 적립시키도록 사용중에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카아톤 브랭크 직립수단은 사용중에 있어서 흡착력에 의해 상기 브랭크를 부착시키기 위한 흡착헤드와, 상기 흡착헤드를 브랭크 집합 위치로 부터 브랭크의 들어올림 단계를 거쳐, 브랭크 직립단계를 지나, 브랭크 해제 위치를 거쳐, 다시 상기 브랭크 집합위치로 복귀되는 이동 사이클을 통해 이동 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관형 카아톤 브랭크를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부터 개방된 관형상태로 직립시키는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작동부에 상기 브랭크를 직립시키도록 상기 흡착헤드의 작용에 의해 브랭크가 가압되도록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직립되는 각각의 브랭크는 직립 작동중에, 앞선 단계에서 컨베이어 부재로 부터 들어올려 지게 되어 컨베이어 부재가 직립 작동 사이클의 초기에 직립 작동부로 다른 새로운 브랭크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각 작동부의 각 흡착헤드는 상기 들어올림 단계에서 상기 컨베이어 부재로 부터 바로 물러나서 집합된 브랭크를 그곳으로 부터 들어올리며, 상기 컨베이어 부재로 부터 떨어진 제1방향과 상기 제1방향에 직각으로 그리고 사용중 상기 관형 브랭크의 축에 직각인 제2방향의 양 방향에서 구성요소를 갖는 경로에서 직립단계로 이송된다.
이러한 과정은 유럽특허 제0,117,537호에 기술된 직립 작동 사이클과 대조되는데, 상기 특허에서는 각각의 브랭크가 먼저 컨베이어상에 놓인 트레일링 에지(trailing edge)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트레일링 에지가 그 다음 직립 작동 장치의 하나의 아암에 의해 들어올려져 사이클 후반까지도 브랭크의 트레일링 에지와 이 트레일링 에지를 지지하는 아암이 컨베이어의 경로를 지나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3,783,752호와 유럽특허 제0,117,537호에 있어서, 각 브랭크의 직립작동은 부분적으로 적어도 직립 작동 사이클의 일부분을 통하여 컨베이어와 함께 이동하도록 브랭크와 컨베이어를 지속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에 달려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브랭크는 직립작동되기 전에 컨베이어 부재로 부터 들어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예시의 구체적 실시예에 있어서는, 브랭크가 직립 작동 공정중에 컨베이어 부재 공급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컨베이어 부재는 브랭크가 작동부에서 직립되는 것과 동시에 각 작동부에 또는 각 작동부를 통하여 새로운 브랭크를 이송시키도록 자유롭게 작동하게 된다.
상기 카아톤 브랭크 직립수단은 또한 각 직립 작동부에 도달함에 따라 브랭크가 이송되는 경로상에 위치되고, 상기 직립작동단계에서 작용중인 때는 브랭크가 이송되는 경로상에 및 상기 제2방향으로 흡착헤드 또는 각각의 흡착 헤드로 부터 상류부분에 위치되는 접촉부재를 구비하며, 이것에 의해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흡착헤드가 작용하는 브랭크 직립 작동 단계중에 상기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브랭크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부재는 작동중에 브랭크가 브랭크의 직립 작동단계에서 계속 유지되어 지는 제1접촉부와, 상기 흡착헤드 또는 상기 각각의 흡착헤드가 상기 브랭크 해제위치에 도달할 때 브랭크가 이송지지되는 위치에 직립된 브랭크의 각각의 모서리부가 배치되는 제2접촉부를 가진다.
브랭크가 개방됨에 따라, 브랭크가 사각형 단면 형태(즉,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상으로 형성되어 평행사변형 단면형태를 갖게될 정도로 가압되고, 브랭크가 해제되었을 때에는 브랭크의 단면이 단순히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가압된 후 해제되는 경우 보다도 훨씬 완전한 사각형 단면 형태로 완화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해결을 위해, 각 작동부에서 흡착헤드를 작동시켜 이동시키는 수단이 브랭크가 접촉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흡착헤드를 브랭크 해제위치를 지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그 다음 브랭크를 해제시키도록 브랭크 해제위치로 흡착헤드를 되돌려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접촉부재는 브랭크의 전방면을 지지하는 피봇작동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한다.
달리 말하면, 가동 접촉부재가 각 작동부에서 흡착헤드가 브랭크 해제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브랭크가 위치되어 지지이송되는 브랭크의 경로내에 제공되고, 브랭크를 완전히 개방된 단면형태로 완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동 접촉부재를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적합한 방식으로, 가동 접촉부재는 접촉부재 또는 캐리어의 결합에 의해 결과적으로 상기 흡착 헤드와 함께 이동하는 해제수단을 통해 브랭크의 경로밖으로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기 작동부에는, 또한 상기 각각의 모서리부에 대각선방향으로 대향하는 브랭크의 모서리부가 상기 흡착헤드 또는 상기 각각의 흡착헤드가 상기 브랭크 해제위치에 도달할 때 브랭크가 이송되는 위치에 직립된 브랭크가 위치할 때 제2접촉 부재에 배치되도록 한 제2접촉 부재가 제공된다.
흡착헤드는 흡착헤드가 상기 제1 및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평행운동을 행하도록 설치된 긴 링크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작동된다.
링크부재는 각각의 피봇아암의 접합 연결부로 부터 링크부재까지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평행한 축에 관해 회전하도록 차례로 설치되는 한쌍의 피봇 아암의 각각에 연결된다. 그리고, 각 작동부의 흡착헤드를 가동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피봇아암을 일정하게 동기화시켜 진동시킨다.
상기 일정한 동기화된 진동은 평행사변형 링키지를 형성하도록 상기 피봇아암을 연결하는 제2링크 아암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봇아암이 설치되는 축이 구동벨트, 구동체인 또는 기어 트레인에 의해 동기화 방식으로써 진동운동으로 구동된다.
각 작동부에서 흡착헤드 또는 각각의 흡착헤드는 브랭크의 직립 작동중에 관형 브랭크의 축과 평행한 축에 관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각각의 피봇아암에 의해 지지되고, 각 흡착헤드를 가동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각 피봇아암을 진동시키도록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브랭크 직립 작동부의 각각의 흡착헤드를 설치한 피봇 아암이 상기 가동수단에 의해 동기화 방식으로 작동된다.
각 흡착헤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흡착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 또는 3개의 흡착컵이 사용중에 있어서 각각의 브랭크의 길이를 따라 제공된다.
컨베이어 부재는 예를들면 그의 상부면에 진공 포트(ports)를 구비하는 진공 벨트 컨베이어 또는 체인 컨베이어와 같은 무한궤도 컨베이어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사용중에 브랭크의 트레일링 에지와 결합되는 직립된 접촉부재가 컨베이어 부재에 제공된다. 이 장치는 또한 상기 평평하게 펼쳐진 브랭크의 적재물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거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매거진은 작동중에 브랭크가 상기 컨베이어 접촉부재에 의한 접촉결합에 따라 한번에 하나씩 취해지도록 상기 컨베이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출구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평평하게 펼쳐진 관형 브랭크의 공급물을 받아들이고, 상기 브랭크를 직립시키고, 바닥 단부 밀폐부를 형성하고, 상기 브랭크를 충진시키고, 상단부 밀폐부를 형성하기 위한 포장기계를 포함하고, 이 포장기계는 전술한 바와같이 브랭크를 직립형성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잇다.
본 발명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도에서, 무단 체인 컨베이어(10)는 그의 길이의 일부분에 걸쳐 대체로 수평한 경로를 따라 가동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체인 컨베이어(10)는 관형 카아톤 브랭크(12)의 길이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3개의 평행한 가동체인으로 구성된다. 길이가 보다 긴 카아톤 브랭크는 체인 컨베이어(10)의 3개의 체인 전체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길이가 보다 짧은 카아톤 브랭크는 제2도에 도시된 아래 두개의 체인만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각각의 체인에는 도그(dogs)의 형태로 정렬배치되는 일련의 접촉부재(1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장치는 한쌍의 흡착헤드(14)를 포함하는데, 이 흡착헤드(14)의 각각은 체인 컨베이어(10)의 폭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하도록 배열된 3개의 흡착컵(16)을 가지며, 이들중 2개의 흡착컵(16)은 카아톤 브랭크가 두 개의 체인만을 가로질러 연장할 때에도 두개의 흡착컵(16)이 부착되도록 위치설정되어 있다.
제어가능한 진공원(도시되지 않음)이 흡착컵(16)을 작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흡착 컵(16)은 링크 아암(20)의 형태의 한쌍의 긴 링크 부재들 사이를 연결하는 크로스 아암(18)에 의해 지지된다. 링크 아암(20)은 피봇 아암(22, 24)의 각 쌍들 사이에서 교대로 연장된다.
피봇 아암(22, 24)의 각 쌍의 사이를 연장하고, 제1링크 아암(20)의 위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링크 아암(26)에 의해 체인 컨베이어의 각 측면상에 평행4변형 링키지가 형성된다.
피봇 아암(22)의 좌측 쌍은 한쌍의 축(28)을 중심으로 피봇작동하고, 반면에 피봇 아암(24)의 우측 쌍은 캠과 캠 종동부재에 의해 피봇작동되도록 안내된다. 외측캠(32)과 내측캠(30)은 하나의 피봇 아암(24)의 아래에 설치되어 축(28)에 의해 한정된 축과 평행한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캠 종동롤러(34)는 내측캠(30)의 외주면을 따라 작동하고, 캠 종동 롤러(38)는 외측캠(32)의 외주면을 따라 작동한다. 캠 종동 롤러(34)는 하나의 피봇 아암(24)의 자유단부에 설치된다. 피봇 아암(24)의 타단부는 제2링크 아암(26)과, 스터브 축(29)의 둘레를 회전하도록 차례로 설치된 피봇 아암(25)상에 지지되는 만곡된 시이트 금속재의 크로스 부재(27)의 양쪽 모두에 연결된다. 크로스 부재(27)는 피봇 아암(24)의 피동작용을 장치의 반대쪽의 대응한 피봇 아암(24)에 전달한다. 캠 종동 롤러(34)를 지지하고 있는 피봇 아암(24)과 견고하게 연결되는 레버 아암(36)은 캠(32)의 외측 원주면상에 배치되는 캠 종동롤러(38)를 지지한다. 레버 아암(36)은 고정 축(40)을 중심으로 피봇작동한다.
고정 축(40)과 제2링크 아암(26)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피봇 아암(24)의 단부와의 사이의 간격은 축(28)에 의해 한정된 축과 제2링크 아암(26)의 피봇 아암(22)에의 부착시의 그 사이의 간격과 일치하게 되어, 캠 종동 롤러(34, 38)와 그들 각각의 캠과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 축(40)에 대한 회전운동이 피봇 아암(24, 22)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작용에 따라 체인 컨베이어(10)의 표면으로 부터 크로스 아암(18)이 평행하게 세워지게 되는 수평 직립운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각각의 흡착 컵(16)은 하향으로 연장하는 튜브(42)에 의해 각각의 크로스 아암(18)에 부착된다. 브리지 부재(44)는 각 세트의 3개의 튜브를 걸치고 있고, 먼저 튜브(42)로 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체인 컨베이어(10)의 표면쪽을 향하여 하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L형의 브래킷 부재(46,48)를 지지한다.
각각의 카아톤 직립 작동부마다, 체인 컨베이어의 표면의 바로 위에 위치하지만, 브랭크가 직립 작동부에 도달하기 위해 그 아래를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형성되어 있는 정지부재 또는 접촉부재(50)가 제공되어 있다. 정지부재(50)는 각각 제1도에 직립된 상태로 도시된 바와같이 체인 컨베이어의 각 접촉부재의 작동면과 정렬되는 제1접촉부(52)와, 또한 제1접촉부(52)의 상향 및 좌측방향으로 배치된 제2접촉부(54)가 제공되어 있다.
제2접촉부(54)와, 제2접촉부(54)를 제1접촉부(52)에 연결하는 표면과의 사이에 모서리부가 제공된다.
대각선방향으로 대향하게 배치된 모서리부에는 장치의 지지 프레임부재에 고정된 아암(58)상에 제공된 L형의 제2접촉부(56)가 제공된다. 각각의 직립작동부마다, 3개의 정지부재(50)와 L형의 제2접촉부(56)가 컨베이어 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각각의 직립작동부마다, 횡방향으로 작동하는 체인 컨베이어(60)가 직립된 브랭크를 장치로 부터 제거하기 위한 접촉부재를 갖는다.
작동시에 있어서, 평평하게 펼쳐진 관형 카아톤 브랭크는 제1도의 좌측의 위치에서 체인 컨베이어의 접촉부재(11)에 의해 매거진의 출구로 부터 스트립되며, 체인 컨베이어(10)의 표면을 통해서 도시된 장치로 이송된다. 체인 컨베이어(10)는 제1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이 지점에서 피봇 아암(22, 24)이 제1도에 도시된 것보다 약간 더 시계방향으로 피봇된다. 흡착컵(16)은 각각의 관형 브랭크의 우측 중간부분에 부착된다. 캠(30, 32)의 회전에 의해 피봇 아암(22, 24)이 그들의 축(28, 4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제1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지점에서 흡착컵(16)을 지지하는 튜브(42)의 움직임이 거의 직립으로 되고, 그에 따라 관형 카아톤 브랭크(12)가 체인 컨베이어의 표면으로 부터 들어 올려져 체인 컨베이어의 접촉부재(11)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는 제1도에 도시된 위치로 상승된다. 관형 카아톤 브랭크가 약간 개방되는 것은 오직 이 작용중에만 발생된다. 일단 제1도에 도시된 위치를 통과하면, 체인 컨베이어(10)는 흡착컵(16)에 부착된 카아톤 브랭크(12)를 방해함이 없이 자유롭게 작동되며, 그 다음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의 다른 카아톤 브랭크(12)를 직립 작동부로 이동시키기 시작한다.
캠(30, 32)의 회전이 더 이상 진행되어 피봇 아암(22, 24)을 반시게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시키면, 각각의 카아톤 브랭크(12)의 하부 좌측 모서리부가 정지부재(50)상에 제공된 제1접촉부(52)의 위로 점진적으로 상승되며, 반면에 카아톤 브랭크(12)는 흡착컵(16)의 좌측 및 상향운동에 의해 점진적으로 직립된다. 완전히 직립된 상태에서, 카아톤 브랭크(12)는 정지부재(50)의 제2접촉부(54)에 대해 부착되어 정지되고, L형의 제2접촉부(56)의 아래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카아톤 브랭크(12)는 이제 흡착컵(16)으로 부터 분리되어 정지부재(50)에 의해 제공된 대각선방향으로 대향한 모서리부와 L형의 제2접촉부(56)와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 다음에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체인 컨베이어(60)는 카아톤 브랭크(12)를 체인 컨베이어(10)를 횡단하는 길이 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직립된 카아톤 브랭크(12)를 장치로 부터 측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캠(30, 32)이 더 이상 회전하면 피봇 아암(22, 24)이 원상태로 되돌아가고, 따라서 흡착컵(16)은 다른 카아톤 브랭크(12)를 흡착시키기 위해 그들 각각의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L형의 브래킷트 부재(46)는 체인 컨베이어의 접촉부재(11)와 그리고 뒤이어서 정지부재(50)에 대해 접촉되는 관형 카아톤 브랭크(12)의 모서리부의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모서리부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가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것과 대체로 유사한 것이고, 원리상의 차이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해당부품과 동일기능을 하는 부품에는 번호앞에 부호 3을 붙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긴 제2 링크아암(26)은 생략되었고, 피봇 아암(322, 324)은 풀리(325, 327)가 장착된 축을 중심으로 피봇작동한다. 이들 풀리(325, 327)의 각각은, 기어벨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각 풀리(325, 327)에 전달되는 진동운동을 통해 기어벨트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풀리(329)에, 그리고 피봇 아암(322, 324)에 연결된다. 풀리(329)에 대한 구동의 진동운동은 적합한 종래의 수단에 의해 행해 질 수 있다. 풀리(329)는, 연속한 회전 압력이 진동 회전식 출력축으로 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종동부재에 의해 결합된 폐쇄된 워엄형 캠의 결합을 통해 진동 회전식 출력으로 변환되는 롤러 기어 진동 구동장치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각각의 카아톤 슬리이브는 사각형태를 넘어 다이아몬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그 다음 사각형태로 다시 완화 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마지막 단계에서 축(mandrel)에 슬리이브를 적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양호한 상부 및 바닥부의 밀봉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것은 장치의 상부구조물에 장착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각각 볼(353, 355)까지 하향으로 연장하는 아암(349, 351)의 설비에 의해 제3도에 도시된 장치를 통해 성취된다. 아암(349)과 아암(351)의 대신에, 기계의 폭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각 작동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아암을 가질 수 있고, 볼(353, 355)은 각각의 그룹내에서 아암을 연결하는 축에 의해 대치 될 수 있다.
각각의 아암은 직립된 카아톤에 의해 점유된 위치쪽으로 스프링(357)에 의해 스프링하중이 걸리게 된다. 더 이상의 볼 또는 크로스 축(359, 361)은 각각의 아암 또는 아암들의 피봇 장착부의 바로 아래의 각각의 아암 또는 아암들의 그룹상에 제공되어, 각각의 흡착컵(316)위에 위치된 크로스 축(318)과 접촉 결합되도록 작용한다.
사용에 있어서, 볼 또는 축(353, 355)은 브랭크가 직립된 위치에 도달될 때 각 작동부에 있어서 각 카아톤 브랭크의 측벽을 지지하며, 브랭크가 그의 완전한 사각형 상태를 지나도록 그의 형태를 변화시킨다. 아암(349, 351)은 이때 볼 또는 축(359, 361)과, 브랭크가 체인 컨베이어(360)에 의해 제거되기 전에 정지부재(350, 356) 사이에 위치될 때 사각형 구조로 재순환되도록 하는 크로스축(318)과의 사이에서의 접촉결합을 통해 브랭크로 부터 편향된다.
아암(349, 351)의 운동은 물론 도시된 것 이외의 다른 수단으로 행해질 수도 있다.
각각의 브랭크를 그의 사각형 구조 이외의 구조로 변화시키기 위한 유사한 기구가 제2도의 실시예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5도에서, 제1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부호 ‘5’를 앞에 붙쳐 동일한 번호로 나타내었다. 흡착헤드의 이동을 위한 기구는 후술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제5도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카아콘 슬리이브에 있어 그의 사각형 구조를 다이아몬드 또는 평행사변형 구조로 변화시키고, 그 이후 다시 사각형 구조로 환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른 기구가 채용되었다.
정지부재(550)에는, 한쪽면과 직각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아암상에 지지된 플레이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은 기계를 가로질러 지나가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봇작동되는 경사 접촉 플레이트(555)가 제공된다. 정상적인 위치에서, 접촉 플레이트(555)는 바닥부 가장자리가 정지부재(550)의 접촉부(554)에 지지되는 직립 평면상으로 배치된다. 피봇 아암(552)의 진동은 브랭크 해제위치에 대응하는 부호 9로 표시된 수직위치를 지나서 부호 8로 표시된 위치까지 약 10°정도로 연장된다. 이것은 흡착헤드와 그에 부착된 브랭크가 브랭크 해제위치를 지나도록까지 지지됨으로써 이 작동중에 브랭크의 전방면이 접촉부재(555)의 플레이트에 대해 지지되는 효과를 가진다. 브랭크는 그의 완전히 개방된 위치를 지나 다이아몬드형 구조로 변화되고, 접촉 플레이트 (555)는 브랭크의 전방면에 대한 그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경사지게 된다.
피봇 아암(552)은 그 다음에 흡착헤드의 브랭크 해제위치에 대응하는 위치(9)로 복귀되고, 이 지점에서 정지부재(550)와 접촉부재(556)사이에 브랭크가 지지되는 브랭크 해제 위치에서 흡착작용이 차된되어 개방된 카아톤 슬리이브 브랭크를 해제한다. 다시한번, 각 브랭크의 사각형 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한 유사한 기구가 제2도의 실시예에 결합될 수 있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횡방향으로 작동하는 컨베이어(560)는 제1도 및 제3도에서 처럼 브랭크의 한쪽에 보다는 브랭크 해제위치에서 직립된 브랭크의 바로 밑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지금까지 예시된 실시예의 특징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기술되어 왔지만,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흡착컵(316)의 초기 상향이동에 의해 발생된 카아톤 브랭크의 개방을 초기화시키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흡착수단은 체인 컨베이어상에 순간적으로 브랭크의 바닥표면을 유지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흡착컵(16, 316)과 정지부재(50, 350)사이에 가해진 연속한 압력이 카아톤 브랭크의 개방을 이루게 하는 것과 브랭크를 L자 형태로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것을 도와주게 된다.
체인 컨베이어의 바로 밑에 제공된 흡착수단과 브랭크 사이의 흡착작용이 브랭크 자체의 상향운동에 의해 또는 적합한 밸브수단의 작용에 의해 기계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적합한 단계에서 흡착수단내의 진공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차단 될수도 있다.
흡착수단은 팬 또는 벤츄리 장치로 부터 얻어진 부분적인 압력이 직립작동 사이클의 초기에 각 브랭크의 하단부를 잡아주도록 형성되는 체인 컨베이어 표면 아래에 놓여진 슬롯 또는 진공펌프로 작용하는 엘라스토머 몰딩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외측 표면상에 직립된 러그(lug)와 구멍을 갖는 중공 콘베이어 벨트와 상기 벨트상에 브랭크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멍을 통하여 흡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벨트의 내부로 부터 지속적으로 공기가 펌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벨트 표면상의 러그는 제1도의 도그(11)를 대신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형식의 벨트 컨베이어는 제5도에 컨베이어(560)로서 채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Claims (11)

  1. (정정) 카아톤 브랭크(12)를 직립시키기 위해 적어도 두 부분의 작동부에, 컨베이어 부재의 이동경로중의 일부분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되는 상기 작동부로 카아톤 브랭크(12)를 연속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부재(10), 및 각각의 상기 작동부에 위치되는 카아톤 브랭크 직립수단을 구비하는, 관형 카아톤 브랭크(12)를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부터 개방된 관형상태로 직립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아톤 브랭크 직립수단은 초기에 상기 컨베이어 부재로 부터 카아톤 브랭크(12)를 들어 올리고 이어서 카아톤 브랭크(12)를 직립시키도록 사용중에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카아톤 브랭크 직립수단은 사용중에 있어서 흡착력에 의해 상기 카아톤 브랭크(12)를 부착시키기 위한 흡착헤드(14)와, 상기 흡착헤드(14)를 카아톤 브랭크 집합위치로 부터 카아톤 블랭크(12)의 들어올림 단계를 거쳐, 카아톤 브랭크 직립단계를 지나, 브랭크 해제위치를 거쳐, 다시 상기 카아톤 브랭크 집합위치로 복귀되는 이동 사이클을 통해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20, 24, 26, 30, 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카아톤 브랭크 직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작동부마다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재(50)가 제공되고, 사용중에 상기 정지부재(50)에 대해 카아톤 브랭크(12)가 상기 흡착헤드(14)의 이동에 의해 압력을 받아서 상기 카아톤 브랭크(12)를 직립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카아톤 브랭크 직립장치.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작동부의 상기 흡착헤드(14)는 상기 들어올림 단계에서 상기 컨베이어 부재(10)로 부터 바로 물러나서 집합된 카아톤 브랭크(12)를 그곳으로부터 들어올리며, 상기 컨베이어 부재로 부터 떨어진 제1방향과 상기 제1방향에 직각으로 그리고 사용중 상기 카아톤 브랭크(12)의 축에 직각인 제2방향의 양 방향에서 구성요소를 갖는 경로에서 상기 직립단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카아톤 브랭크 직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아톤 브랭크 직립수단은 사용중에 상기 직립단계중 카아톤 브랭크(12)가 이송되는 경로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방향에서 흡착헤드로 부터 상류방향으로 위치되는 정지부재(50)를 구비하며, 이것에 의해 상기 정지부재(50)는 카아톤 브랭크 직립작업단계중에 상기 흡착헤드 이동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카아톤 브랭크(12)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카아톤 브랭크 직립 장치.
  5. (정정)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재(50)는 사용중에 카아톤 브랭크(12)가 카아톤 브랭크 직립단계중에 지지되는 제1접촉부(52)와, 상기 흡착헤드(14)가 상기 카아톤 브랭크 해제위치에 도달할 때 카아톤 브랭크(12)가 이송되는 위치에서 직립된 카아톤 브랭크(12)의 각 모서리부가 배치되는 제2접촉위치(5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카아톤 브랭크 직립장치.
  6. (정정)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작동부에서, 상기 흡착헤드(14)가 상기 카아톤 브랭크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 카아톤 브랭크(12)가 이송되는 위치에 직립된 카아톤 브랭크(12)가 위치될 때 상기 제2접촉부재에 대해 카아톤 브랭크(12)의 모서리부가 상기 각각의 모서리부에 대각선방향으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2접촉부재(5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카아톤 브랭크 직립장치.
  7. (정정) 제3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각각의 흡착헤드(14)는 상기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의 수평운동을 수행하도록 설치된 긴 링크부재(2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카아톤 브랭크 직립장치.
  8. (정정)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320)는 한쌍의 피봇아암(322, 324)의 각각에 관절접합되고, 피봇아암(322, 324)의 축들은 차례로 링크부재(320)에 대한 각각의 피봇아암(322, 324)의 관절접합부로 부터 균일하게 간격진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의 흡착헤드(314)를 가동시키기 위한 상기수단(325, 327, 329)은 상기 피봇아암을 동기화시켜 진동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카아톤 브랭크 직립장치.
  9. (정정) 제2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작동부에서 흡착헤드는 카아톤 브랭크의 직립작동중에 관형 카아톤 브랭크의 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피봇아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흡착헤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피봇아암을 진동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카아톤 브랭크 직립장치.
  10. (정정)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각 작동부에서 상기 흡착헤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상기 흡착헤드를 카아톤 브랭크 해제위치를 통과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작용하고, 접촉수단은 카아톤 브랭크 해제위치를 지나는 상기 흡착헤드의 이동에서 상기 카아톤 브랭크의 전방면을 지지하도록 제공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카아톤 브랭크를 완전히 개방된 구조 이상으로 개방시키고, 그리고 상기 흡착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이 흡착헤드를 카아톤 브랭크 해제위치로 복귀시켜 카아톤 브랭크를 해제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카아톤 브랭크 직립장치.
  11. (정정) 평평하게 펼쳐진 관형 카아톤 브랭크의 공급물을 받아들이고, 상기 카아톤 브랭크를 직립시키고, 바닥 단부 밀폐부를 형성하고, 상기 카아톤 브랭크를 채우고, 상단부 밀폐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0항의 어느한 항에 기재된 포장기계.
KR1019900017261A 1989-10-26 1990-10-26 관형 카아톤 브랭크의 직립장치 KR100189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9240790 1989-10-26
GB898924079A GB8924079D0 (en) 1989-10-26 1989-10-26 Apparatus for erecting tubular carton blanks
CH8924079.0 1989-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759A KR910007759A (ko) 1991-05-30
KR100189400B1 true KR100189400B1 (ko) 1999-06-01

Family

ID=1066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261A KR100189400B1 (ko) 1989-10-26 1990-10-26 관형 카아톤 브랭크의 직립장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120295A (ko)
EP (1) EP0425225B1 (ko)
JP (1) JP2756725B2 (ko)
KR (1) KR100189400B1 (ko)
CN (1) CN1026085C (ko)
AT (1) ATE99226T1 (ko)
AU (1) AU633641B2 (ko)
BR (1) BR9005421A (ko)
CA (1) CA2028590C (ko)
CZ (1) CZ286470B6 (ko)
DE (1) DE69005587T2 (ko)
DK (1) DK0425225T3 (ko)
ES (1) ES2048443T3 (ko)
FI (1) FI905271A0 (ko)
GB (1) GB8924079D0 (ko)
HU (1) HU208938B (ko)
NO (1) NO303975B1 (ko)
RU (1) RU1828430C (ko)
YU (1) YU480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97315A (en) * 1994-10-03 1997-09-22 Riverwood Int Corp Device for erecting carton from a collapsed carrier sleeve: upper flaps of carton ride over a cam surface whilst the lower flaps ride under the cam surface
CZ289183B6 (cs) * 1995-01-25 2001-11-14 Windmöller & Hölscher Zařízení na vytahování konců plochých hadicových odřezků
GB9600317D0 (en) * 1996-01-08 1996-03-13 Mead Corp Packaging machine & method of carton set-up
CN1061620C (zh) * 1996-07-10 2001-02-07 I·M·A·工业机械自动装置股份公司 将折平的箱坯抽取,张开并送入包装作业线的作业装置
US6467682B2 (en) * 2000-03-07 2002-10-22 Zsolt Toth Carton, a blank for producing a carton,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erecting, closing, and sealing a carton
DE10242089C1 (de) * 2002-09-11 2003-11-27 Werner Heinz Wilke Verfahren zum Ummanteln eines Kunststoffbechers mit einem Druckträger
GB2429965A (en) * 2005-09-12 2007-03-14 Meadwestvaco Packaging Systems Apparatus for erecting flat collapsed cartons
DE102011054327A1 (de) * 2011-10-10 2013-04-11 Elopak Systems Ag Füllmaschine zum Abfüllen von Produkten in Packungsbehälter sowie Verfahren hierzu
CN102849261A (zh) * 2012-09-25 2013-01-02 上海理工大学 包装机送盒机构
CN106864798A (zh) * 2017-03-31 2017-06-20 汕头市安平食品包装机械有限公司 一种连续充填封口机
MX2020013256A (es) * 2018-06-08 2021-05-12 Norden Machinery Ab Dispositivo para armar una caja de carton plegada.
CN112938451B (zh) * 2021-03-24 2022-07-19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物流输送系统及空盘缓存调度的控制方法
CN114604470B (zh) * 2022-03-29 2023-03-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纸箱转移套装装置、纸箱自动化套装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9820A (en) * 1940-03-14 1942-07-14 Standard Knapp Corp Machine for opening shipping cases from the flat
US2612823A (en) * 1948-08-14 1952-10-07 Container Equipment Corp Carton erecting machine
CH326980A (fr) * 1954-04-08 1958-01-15 Rose Brothers Ltd Installation pour l'alimentation en récipients en carton pliés à plat d'un appareil
US2827838A (en) * 1954-11-08 1958-03-25 Reinhold A Pearson Box setting up machine
US3062106A (en) * 1960-08-08 1962-11-06 Pearson Co R A Apparatus for opening box blanks
US3293998A (en) * 1963-10-21 1966-12-27 Superior Packaging Equipment C Container opening device and method of opening a knock-down container
US3504596A (en) * 1968-02-05 1970-04-07 Riegel Paper Corp Machine for erecting cartons
US4057008A (en) * 1976-09-16 1977-11-08 R. A. Jones & Co. Inc. Carton erecting apparatus
US4109444A (en) * 1977-04-04 1978-08-29 Lee Richard G Horizontal cartoning machine
US4201118A (en) * 1978-11-24 1980-05-06 The Mead Corporation Machine for manipulating a collapsed basket style carton into set-up condition and for adhering end flaps to end panels at each end of the carton
IT1200204B (it) * 1986-09-22 1989-01-05 Azionaria Costruzioni Acma Spa Apparecchiatura ad alta velocita' per il prelievo e l'apertura, in tempi particolarmente lunghi, di astucci contenuti in un magazzino in condizione appiattita a formare un pac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20295A (en) 1992-06-09
GB8924079D0 (en) 1989-12-13
NO303975B1 (no) 1998-10-05
DE69005587T2 (de) 1994-07-21
CA2028590C (en) 1998-09-29
JPH03175021A (ja) 1991-07-30
ES2048443T3 (es) 1994-03-16
RU1828430C (ru) 1993-07-15
EP0425225B1 (en) 1993-12-29
ATE99226T1 (de) 1994-01-15
NO904630D0 (no) 1990-10-25
JP2756725B2 (ja) 1998-05-25
CN1052638A (zh) 1991-07-03
CN1026085C (zh) 1994-10-05
DK0425225T3 (da) 1994-01-24
CS526290A3 (en) 1992-03-18
BR9005421A (pt) 1991-09-17
NO904630L (no) 1991-04-29
CA2028590A1 (en) 1991-04-27
AU633641B2 (en) 1993-02-04
HU208938B (en) 1994-02-28
EP0425225A1 (en) 1991-05-02
HU906555D0 (en) 1991-04-29
KR910007759A (ko) 1991-05-30
CZ286470B6 (en) 2000-04-12
DE69005587D1 (de) 1994-02-10
AU6481890A (en) 1991-05-02
YU200690A (sh) 1994-09-09
YU48046B (sh) 1996-10-18
FI905271A0 (fi) 1990-10-25
HUT59351A (en) 1992-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9400B1 (ko) 관형 카아톤 브랭크의 직립장치
AU683595B2 (en) Carrier sleeve erecting apparatus and method
US4061081A (en) Machine for erecting folded cartons
JPS6158296B2 (ko)
KR101912464B1 (ko) 제품 포장장치
JPH03620A (ja) ブランクの連続送り方法及びその装置
US5052672A (en) Paper feeding device having a suction member driven by a four-bar linkage arrangement
US4349101A (en) Conveyor of endless chain type with eccentric arrangement to overcome chordal action
JP3699218B2 (ja) サックの製造時に底を形成する目的で、連続的にクロス搬送されるチューブセクションを引き開く装置
US4285682A (en) Carton erecting machine
US3836139A (en) Paper feeding apparatus for use in printing machine
US2828126A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US6604560B2 (en) Packaging processing apparatus in a packaging machine
US11465853B2 (en) Bag transfer apparatus
US2811943A (en) Apparatus for applying adhesive to the flaps of cases or cartons
US4032134A (en) Sheet turning machine
JPH07241939A (ja) 折畳みケースの開口方法および装置
US5029835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veying sheets
US346698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rossed-bottom sacks from plastics material sheeting
EP0693425A2 (en) Handling partly completed containers
US3306422A (en) Drive for uprighting boxes
BG64342B1 (bg) Устройство за разделяне на материал във форма на ленти, разположени една върху друга
JP3460249B2 (ja) カートン起函装置のカートン落し込み装置
JPH07241938A (ja) 折畳みケースの開口装置
JPH02192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