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021B1 - 굴삭기 장착용 체 - Google Patents

굴삭기 장착용 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021B1
KR100189021B1 KR1019970012839A KR19970012839A KR100189021B1 KR 100189021 B1 KR100189021 B1 KR 100189021B1 KR 1019970012839 A KR1019970012839 A KR 1019970012839A KR 19970012839 A KR19970012839 A KR 19970012839A KR 100189021 B1 KR100189021 B1 KR 100189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or
link
motor
sie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6228A (ko
Inventor
유윤재
Original Assignee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벽
Priority to KR1019970012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9021B1/ko
Publication of KR19980076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6Delivery chutes or screening plants or mixing plants mounted on dredgers or 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굴삭기의 메인 컨트롤 밸브의 여유포트에 유압모터를 연결하고, 상기 유압모터가 회전 작동됨에 따라 연결링크 등에 의해서 좌우로 요동하게 되는 체판을 굴삭기의 아암선단에 결합하여 사용함에 따라서, 흙 고르기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여러 가지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 장착용 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 장착용 체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켓을 제거하고 아암의 선단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굴삭기 장착용 체에 관한 것으로, 굴삭기의 여유동력을 그대로 사용하여 흙 고르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 장착용 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 신축 및 보수공사, 도로 보수공사 등 도시내에서 소형공사가 증가됨에 따라, 좁은 공간내에서 콘크리트 작업 및 미장작업 등 여러 가지의 작업을 함께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 작업할 경우 흙파기 작업을 위한 작업수단과 흙 고르기 작업수단과 같은 여러 작업수단을 함께 사용하게 된다면, 각 작업수단들이 작업공간을 넓게 차지하게 되고, 각 작업수단을 조작하는 작업자들이 각각 작업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작업공간에 제한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되도록 작업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작업수단에 의해 여러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굴삭기의 버켓을 탈거하고 아암의 선단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 장착용 체를 제공함에 따라, 종전과 같은 굴삭기 고유의 작업을 모두 수행하면서 흙 고르기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여러 가지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종래 굴삭기의 메인 컨트롤 밸브의 여유포트에 유압모터를 연결하고, 상기 유압모터가 회전작동됨에 따라 연결링크 등에 의해서 좌우로 요동하게 되는 체판을 굴삭기의 아암선단에 결합하여 사용함에 따라서, 흙 고르기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 장치의 유압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 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장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암 브라켓 2 : 연결판
3,3' : 회전지지부 4 : 모터
5 : 모터축 연결링크 6 : 동력전달링크
7 : 연결링크 8 : 연결링크
9 : 체판 10 : 삽날
11 : 체 12 : 아암
13 : 붐 21 : 메인컨트롤밸브
22 : 솔레노이드밸브 23 : 제어스위치
24 : 펌프 25 : 파일롯트펌프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장치에 대한 작동상태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장치의 평면도로서, 상기 도면에서 보면, 아암(12)선단에 결합된 아암브라켓(1)에는 상부에 서로 일정 간격만큼 떨어진 회전지지부(3)(3')와 모터(4)가 설치되는 연결판(2)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판(2)의 상부에는 선단에 삽날(10)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체(11)가 형성되어 있는 체판(9)이 상기한 양 회전 지지부(3)(3')로부터 연결링크(7)(8)에 의해서 좌우로 요동가능토록 연결되어져 있으며, 상기한 연결링크(7)의 중간부에는 상기 모터(4)의 축과 연결된 모터축 연결링크(5)로부터 모터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동력전달링크(6)가 연결되어져 있다.
상기 모터(4)는 종래 굴삭기의 유압회로를 그대로 사용하여 연결되는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펌프(24)의 출력측에 펌프(24)로부터의 유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컨트롤 밸브(21)가 연결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 밸브(21)의 제어단에는 파일롯트펌프(25)로부터의 파일롯트압을 조절하여 공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22)가 연결되는 굴삭기의 유압회로에 있어서, 상기 모터(4)가 메인 컨트롤 밸브(21)의 여유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 밸브(21)의 제어단과 파일롯트 공급압선이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22)의 제어단에는 모터(4)를 작동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23)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좁은 공간에서 버켓에 의한 굴삭작업을 하다가 흙 고르기 작업으로 전환하고자할 경우, 먼저 아암(12)으로부터 버켓을 탈거하고 상술한 바 있는 본 발명장치를 아암(12)의 선단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되는데. 아암(12)의 선단에는 체판(9)이 좌우로 요동가능토록 설치된 연결판(2)이 일체로 결합되어지는 아암브라켓(1)을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흙 고르기 작업은 제어 스위치(23)를 조작함에 의하여 시작되는데, 제어 스위치(23)를 ON하면 솔레노이드 밸브(22)가 작동되고, 솔레노이드 밸브(22)가 작동되면 메인 컨트롤 밸브(21)가 작동되므로, 펌프(24)로부터의 압유에 의하여 모터(4)는 작동하게 된다.
모터(4)가 회전작동하면 모터축 연결링크(5)가 회전하므로 상기 연결링크(5)의 선단과 연결된 동력전달링크(6)가 전후방향으로 요동하게 되고, 동력전달링크(6)는 체판(9)과 연결판(2)사이에 연결된 연결링크(7)를 요동시키므로 체판(9)은 연결판(2)의 회전 지지부(3)(3')를 회전 중심점으로 하여 좌우로 요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삽날(10)에 의해서 체판(9)상부에 놓여졌던 고르기 전 상태의 흙덩이들은 체판(9)이 진동하여 좌우로 요동됨에 따라 체(11)를 통해서 가는 상태의 흙으로 골라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굴삭기의 메인 컨트롤 밸브의 여유포트에 유압모터를 연결하고, 상기 유압모터가 회전작동됨에 따라 연결링크 등에 의해서 좌우로 요동하게되는 체판을 굴삭기의 아암선단에 결합하여 사용함에 따라서, 흙 고르기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여러 가지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1)

  1. 아암(12)선단에 결합된 아암브라켓(1)에는 상부에 서로 일정간격만큼 떨어진 회전지지부(3)(3')와 모터(4)가 설치되는 연결판(2)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판(2)의 상부에는 선단에 삽날(10)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체(11)가 형성되어 있는 체판(9)이 상기한 양 회전지지부(3)(3')로부터 연결링크(7)(8)에 의해서 좌우로 요동가능토록 연결되어져 있으며, 상기한 연결링크(7)의 중간부에는 상기 모터(4)의 축과 연결된 모터축 연결링크(5)로부터 모터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동력전달링크(6)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체.
KR1019970012839A 1997-04-08 1997-04-08 굴삭기 장착용 체 KR100189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839A KR100189021B1 (ko) 1997-04-08 1997-04-08 굴삭기 장착용 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839A KR100189021B1 (ko) 1997-04-08 1997-04-08 굴삭기 장착용 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228A KR19980076228A (ko) 1998-11-16
KR100189021B1 true KR100189021B1 (ko) 1999-06-01

Family

ID=1950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839A KR100189021B1 (ko) 1997-04-08 1997-04-08 굴삭기 장착용 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90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228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4009A (ko) 직진운동 가능한 진동리퍼 및 터널굴착공법
KR100189021B1 (ko) 굴삭기 장착용 체
KR20010090657A (ko) 굴삭기용 회전식 클램프
JP3030396B2 (ja) 掘削機におけるバケット等の作業具の作動装置
JPH11190449A (ja) 多連油圧切換弁及びそれを用いた建設機械用上部旋回体
WO1996011306A1 (fr) Dispositif a vibrations pour machine comportant une pelle hydraulique
KR101155705B1 (ko) 굴삭기의 옵션 작업기 제어장치
JPS5825004Y2 (ja) 流体圧駆動式作業機
JPH0321727A (ja) 油圧ショベル
JP2002275935A (ja) 建設機械における油圧配管構造
JP2563040B2 (ja) 草刈装置
KR200245906Y1 (ko) 굴삭기
JPS5828040Y2 (ja) バツクホウ作業機
KR19990064721A (ko) 굴삭기의 다기능 복합 유압시스템
JPH04116Y2 (ko)
JP2509514Y2 (ja) バツクホウ作業車
JPH0724447Y2 (ja) 動力掘削機におけるpto用コネクタ構造
JP3023449B2 (ja) 作業機の操作速度切換装置
JPH11159465A (ja) アースドリル用高低速切換回路
JPH1136367A (ja) 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を備えた油圧シリンダ
JPH0342125Y2 (ko)
JPH0336332A (ja) 油圧式掘削機
JP2000314147A (ja) 掘削機用バケット装置
JPS5828042Y2 (ja) 掘削作業車
JP2695340B2 (ja) バックホ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