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763B1 -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763B1
KR100188763B1 KR1019940014215A KR19940014215A KR100188763B1 KR 100188763 B1 KR100188763 B1 KR 100188763B1 KR 1019940014215 A KR1019940014215 A KR 1019940014215A KR 19940014215 A KR19940014215 A KR 19940014215A KR 100188763 B1 KR100188763 B1 KR 100188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hydraulic
control unit
semi
electron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571A (ko
Inventor
김경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4001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763B1/ko
Publication of KR960000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전진 1, 2속에서 가속페달을 밟지 않으면 자동으로 클러치가 끊어지고, 파킹 브레이크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변속레버의 전진 1, 2속 위치센서와, 토오크 센서 및 차속센서 그리고 가속페달 위치 센서의 신호를 받는 전자제어유닛과; 클러치 페달의 조작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을 릴리이스 실린더로 공급하는 관로상의 소정위치에서 분기시켜 이에 전자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하여 유압펌프의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배출시킬 수 있는 유압 제어밸브와; 공압에 의하여 파킹 브레이크 레버를 동작시키는 액튜에이터와; 전자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하여 공기 저장탱크의 공압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액튜에이터를 동작시키는 방향전환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의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계통도.
제3도는 종래 유압식 클러치의 구성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있어서, 전진 1, 2속에서 가속페달을 밟지 않으면 자동으로 클러치가 끊어지고, 파킹 브레이크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자동차에 있어서의 클러치는 플라이 휠과 변속기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어 변속기로 전달되는 동력은 필요에 따라 단속하는 일을 하며, 엔진의 시동 또는 변속기의 기어를 변속할 때에는 연결을 끊고, 발진할 때에는 동력을 서서히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클러치의 조작기구는 클러치 페달의 조작력을 클러치 본체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릴리이스 베어링과 릴리이스 포크 및 페달의 조작력을 릴리이스 포크로 전달하는 기구등으로 구성되는데, 릴리이스 포크를 작동시키는 조작기구로는 클러치 페달에서 와이어나 레버등을 사용하여 릴리이스 포크를 움직이는 기계식과,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식이 있으며, 본 발명은 유압식에 관계한다.
상기 유압식 클러치의 조작기구를 제3도를 보면서 살펴보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동작되는 클러치 페달(100)과; 상기 페달(100)의 조작에 의하여 유압을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101)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101)로부터 발생된 유압을 호오스 또는 파이프(102)를 통해 전달받는 릴리이스 실린더(103)와; 상기 릴리이스 실린더(103)의 동작에 의해 전후 회동하는 릴리이스 포크(104)와; 상기 릴리이스 포크(104)에 결합되어 전후 이동하는 릴리이스 베어링(105)과; 상기 릴리이스 베어링(105)의 전후 동작에 의하여 동력 단속기능을 수행하는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따라 클러치 페달(100)을 밟으면 마스터 실린더(101)에서 유압을 발생시켜 파이프(102)을 통하여 릴리이스 실린더(103)로 전달되고, 이의 릴리이스 실린더(103)의 동작에 의하여 릴리이스 포크(104)가 동작되면서 릴리이스 베어링(105)를 전진시켜 클러치(106)의 단속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압식 클러치는 반듯이 운전자의 클러치 페달 조작에 의해서만 단속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클러치 조작을 위하여는 항상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아야 함으로써, 교통 체증등에 의하여 빈번한 변속을 행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육체적인 고통을 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요지]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진 1, 2속에서 가속페달을 밟지 않으면 자동으로 클러치가 끊어지고, 파킹 브레이크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전진 1, 2속 위치센서와, 토오크 센서 및 차속센서 그리고 가속페달 위치 센서의 신호를 받는 전자제어유닛과; 클러치 페달의 조작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을 릴리이스 실린더로 공급하는 관로상의 소정위치에서 분기시켜 이에 전자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하여 유압펌프의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금/배출시킬 수 있는 유압 제어밸브; 공압에 의하여 파킹 브레이크 레버를 동작시키는 액튜에이터와; 전자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하여 공기 저장탱크의 공압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액튜에이터를 동작시키는 방향전환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의 계통도로서, 미도시된 클러치 페달의 조작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을 릴리이스 실린더(1)로 공급하는 관로(3)상의 소정위치에서 분기시켜 이에 전자 제어유닛(5)의 제어에 의하여 유압펌프(7)의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배출 시킬 수 있는 유압 제어밸브(9)를 연결하였다.
상기에서 유압 제어밸브(9)는 유입통로(11)와 배출통로(13)를 갖는 밸브로서, 유압통로(11)의 입구는 상기 유압펌프(7)와 연결되고, 배출통로(13)의 출구에는 첵밸브(15)를 개재시켜 리저버(17)와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첵밸브(15)는 리저버(17)로 만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의 작동압은 클러치 라인(3)의 잔압이상에서만 유체의 흐름을 허여하게 된다.
그리고 파킹 브레이크 레버(19)는 공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액튜에이터(21)가 연결되고, 이의 액튜에이터(21)는 전자 제어유닛(5)의 제어에 의하여 공기 저장탱크(23)의 공압을 방향 전환시켜 공급/배출시키는 방향전환 밸브(25)와 연결된다.
상기에서 파킹 브레이크 레버(19)는 종래와 같이 전단의 손잡이를 상측으로 당기면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내리면 브레이크가 풀리는 것으로서, 이 파킹 브레이크 레버(19)의 중간부 전측에 액튜에이터(21)의 피스톤 로드(27)가 연결되어 상기 액튜에이터(21)의 피스톤 로드(27)가 신장하면 파킹 브레이크 레버(19)를 밀어올려 파킹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액튜에이터(21)는 방향전환 밸브(25)의 제어에 의하여 공기 저장탱크(23)의 공압이 정후 실린더 내부로 유입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 로드(27)가 신축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유압 제어밸브(9)와 방향전환 밸브(25)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유닛(5)은 변속레버(29)의 전진 1, 2속 위치센서(31)(33)와, 토오크센서(35) 및 차속센서(37) 그리고 가속페달 위치 센서(39)의 신호를 받아 제어하게 되는데, 상기 변속레버(29)의 전진 1, 2속 위치센서(31)(33)는 변속레버(29)의 노브에 부착되는 온/오프 스위치(41)를 개재시켜 연결되어 이 스위치(41)의 온상태에서 운전자가 저속운전을 위하여 전진 1, 2속으로 변속하였을 때만 현재의 변속상태를 전자 제어유닛(5)으로 보내게 된다.
그리고 온/오프 스위치(41)가 오프 동작일 때에는 이의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는 동작을 정지하여 일반 수동 클러치와 동일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토오크 센서(35)는 미도시된 변속기에 장치되어 출력축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전자제어 유닛(5)으로 보내게 되며, 가속페달 위치센서(39)는 가속페달의 밟음 정도를 인식하는 것으로서, 가속페달이 소정의 각 이상으로 밟혔을 때 이의 신호를 전자 제어유닛(5)으로 보내어 현재 운전자가 주행하고자 한다는 것을 인식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클러치 장치는 먼저, 운전자의 작동/ 비작동 의사에 의하여 조작되는 온/오프 스위치(41)의 온상태에서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이의 상태에서 변속레버(29)를 1속 또는 2속으로 변속하면 이의 신호가 변속레버 위치센서(31)(33)에 의하여 전자 제어장치(5)로 입력된다
이 상태에서 가속 페달을 밟으면 전자 제어유닛(5)은 제1도에서와 같이 릴리이스 실린더(1)와 액튜에이터(21)를 동작시키지 않아 정상적인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속페달을 놓으면 이의 신호가 전자 제어유닛(5)에 입력되며, 이때 전자 제어유닛(5)은 차속센서(37)로부터 차속이 0임이 입력되면, 유압 제어밸브(9)를 제어하여 유입통로(11)와 관로(3)가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액튜에이터(21)의 피스톤 로드(27)가 신장되도록 공압을 전달할 수 있도록 방향 전환밸브(25)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2도에서와 같이 유압펌프(7)에서 발생된 유압은 관로(3)를 통해 릴리이스 실린더(1)를 동작시켜 클러치를 끊어주고, 액튜에이터(21)의 피스톤로드(27)가 신장되면서 파킹 브레이크 레버(19)를 상승시켜 파킹 브레이크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은 정지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며, 이의 상태에서 다시 운전자가 출발을 위하여 가속페달을 밟으면 자동으로 제1도와 같은 상태가 되어 주행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서 전진 1, 2속 변속상태에서 가속페달을 밟으면 차량은 전진 주행하고, 가속페달을 놓으면 정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교통 체증에 의하여 빈번한 정지와 출발동작시 빈번한 클러치 페달의 조작과 변속레버의 조작을 생략할 수 있는 바,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운전자의 육체적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변속레버의 전진 1, 2속 위치센서와, 토오크 센서 및 차속센서 그리고 가속페달 위치 센서의 신호를 받는 전자제어유닛과; 클러치 페달의 조작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을 릴리이스 실린더로 공급하는 관로상의 소정위치에서 분기시켜 이에 전자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하여 유압펌프의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배출시킬 수 있는 유압 제어밸브와; 공압에 의하여 파킹 브레이크 레버를 동작시키는 액튜에이터와; 전자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하여 공기 저장탱크의 공압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액튜에이터를 동작시키는 방향전환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변속레버의 전진 1, 2속 위치센서는 변속레버의 노브에 부착되는 온/오프 스위치를 개재시켜 전자 제어유닛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
  3. 제1항에 있어서, 유압 제어밸브는 유입통로와 배출통로를 갖는 밸브로서, 유압통로의 입구는 상기 유압펌프와 연결되고, 배출 통로의 출구에는 첵밸브를 개재시켜 리저버와 연결되는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
  4. 제3항에 있어서, 첵밸브는 클러치 유압라인의 잔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장력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
KR1019940014215A 1994-06-22 1994-06-22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 KR100188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215A KR100188763B1 (ko) 1994-06-22 1994-06-22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215A KR100188763B1 (ko) 1994-06-22 1994-06-22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571A KR960000571A (ko) 1996-01-25
KR100188763B1 true KR100188763B1 (ko) 1999-06-01

Family

ID=19385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4215A KR100188763B1 (ko) 1994-06-22 1994-06-22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043B1 (ko) * 2005-12-01 2006-12-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홀 센서를 이용한 액셀레이터 및 그를 통한 차량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043B1 (ko) * 2005-12-01 2006-12-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홀 센서를 이용한 액셀레이터 및 그를 통한 차량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571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719B1 (ko) 작업차량의 제어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주행식 작업차량
KR100509280B1 (ko) 작업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EP0798480B1 (en) Automatic clutch unit for vehicle use
KR100188763B1 (ko)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
JPH09269019A (ja) 車両用オートクラッチ装置
KR0138524Y1 (ko) 자동차 클러치의 이원화 제어 장치
KR0133292Y1 (ko)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JP3732293B2 (ja) 建設重装備用の走行連動装置
KR0170155B1 (ko) 클러치 자동 제어장치
KR0148352B1 (ko) 수동변속기 클러치의 자동제어 장치
KR100245636B1 (ko) 자동변속기의 주행-중립 레인지 자동 변환장치 및 그 방법
KR0170156B1 (ko) 클러치 자동 제어장치
KR100303179B1 (ko) 자동차의 자동제동 잠금장치
KR0148338B1 (ko) 수동변속기 클러치의 자동제어 장치
KR0118954Y1 (ko) 제동시 클러치 자동 차단장치
KR100267290B1 (ko) 변속레버 제어장치
KR100188739B1 (ko) 공압식 변속 차량의 반자동 클러치
JP2602091Y2 (ja) 補助動力取り出し機構の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273515B1 (ko) 자동차의 클러치 장치
KR100337312B1 (ko)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의 제동 장치
KR0118953Y1 (ko) 클러치 자동 제어장치
KR0149363B1 (ko) 파킹브레이크 조작에 연동되는 클러치
KR910004258Y1 (ko) 차량용 수동식 클러치장치
KR0149362B1 (ko) 자동차의 클러치 제어 시스템
KR940009979B1 (ko) 자동차의 자동클러치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