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683B1 - 공작기계의 직접수치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직접수치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683B1
KR100188683B1 KR1019960023679A KR19960023679A KR100188683B1 KR 100188683 B1 KR100188683 B1 KR 100188683B1 KR 1019960023679 A KR1019960023679 A KR 1019960023679A KR 19960023679 A KR19960023679 A KR 19960023679A KR 100188683 B1 KR100188683 B1 KR 100188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merical control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element
central comput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3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941A (ko
Inventor
서호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2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683B1/ko
Publication of KR980003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3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 G05B19/40937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concerning programming of machining or material parameters, pocket machin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met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직접수치제어 시스템은 중앙 컴퓨터 및 중앙 컴퓨터로부터의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력받아 공작 기계의 구동을 제어하는 수치제어부를 포함하고, 수치제어부는 중앙처리소자, 중앙처리소자와 외부 사이의 제어 입출력 신호들을 인터페이싱하는 입출력 장치, 및 통신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출력 장치와 중앙 컴퓨터 사이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제어기가 연결된다. 또한, 중앙 컴퓨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명령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가능 논리제어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중앙처리소자의 동작 모드, 동작 개시 시점 및 동작 종료 시점을 제어한다.

Description

공작 기계의 직접수치제어 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직접수치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접수치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0 : 수치제어부 20,50 : 중앙 컴퓨터
11 : 중앙처리소자 12 : 롬
13 : 램 14 : 수동 입력 장치
15 : 위치 제어 장치 16 : 표시장치
17, 31, 41 : 입출력 장치 1 : 서보 드라이버
18, 32, 42 : 통신 장치 19 : 통신 케이블
21, 51 : 화면 표시부 22, 52 : 컴퓨터 본체
40 : 프로그램가능 논리제어기 2, 3 : 기계 조작반
본 발명은, 공작 기계의 직접수치제어(Direct Numerical Control)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치제어부가 중앙 컴퓨터로부터의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력받아 공작 기계의 구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종래의 직접 수치제어 시스템은 중앙 컴퓨터(20), 수치제어부(10), 기계 조작반(2) 및 서보 드라이버(1)를 포함한다. 중앙 컴퓨터(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가공물의 기본 데이터를 처리 및 연산하여 수치제어용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수치제어부(10)는 중앙 컴퓨터(20)로부터의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력받아 공작 기계의 구동을 제어한다. 기계 조작반(2)은 사용자로 부터 입력되는 동작 명령에 따라 수치제어부(10)의 동작 모드, 동작 개시 시점 및 동작 종료 시점의 제어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서보 드라이버(1)는 수치제어부(10)로 부터의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서보 모터(M)를 구동한다.
수치제어부(10)는 중앙처리소자(11), 롬(12), 램(13), 수동입력장치(14), 위치제어장치(15), 표시장치(16), 입출력 장치(17) 및 직접수치제어용 통신장치(18)를 포함한다. 참조부호 21은 중앙 컴퓨터(20)의 모니터인 화면표시부를, 그리고 참조부호 22는 중앙컴퓨너(20)의 본체를 가리킨다.
수치제어부(10)의 중앙처리소자(11)는, 롬(1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램(13)에는 중앙처리소자(11)의 처리 및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가 일시 저장된다. 수동입력장치(14)는 사용자가 중앙 컴퓨터(20)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중앙처리소자(11)에 입력시킬 경우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위치제어장치(15)는, 중앙처리소자(11)로부터의수치 제어 데이터에 따라 위치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서보 드라이버(1)에 입력시킨다. 표시장치(16)는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수치제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표시한다. 입출력 장치(17)는, 기계 조작반(2)으로부터의 동작 제어신호들, 및 공작 기계에 부탁된 센서들(미도시)로부터의 신호들을 인터페이싱하여 중앙처리소자(11)에 입력시키는 한편, 중앙처리소자(11)로부터의 전원 제어 신호들을 인터페이싱하여 공작 기계의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에 입력시킨다. 직접수치제어용 통신장치(18)는 중앙 컴퓨터(20)의 제2공통포트(COM2)로 부터 RS232케이블(19)을 통하여 입력되는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여 중앙처리소자(11)에 전송한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직접수치제어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계 조작반(2)을 조작하여 수치제어부(10)의 중앙처리소자(11)가 통신가능한 편집 모드 상태가 되게한다. 다음에, 중앙 컴퓨터(20)를 조작하여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가 전송되게 한다. 다음에, 기계 조작반(2)을 조작하여 수치제어부(10)의 중앙처리소자(11)가 실행가능한 자동 모드가 되게 한다. 다음에, 기계 조작반(2)의 기동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수치제어부(10)의 중앙처리소자(11)가 수치제어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서보드라이버(1)가 서보 모터(M)를 회전시키면서 공작 기계가 가공물을 가공한다. 가공 후, 사용자는 기계 조작반(2)의 정지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가공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직접수치제어 시스템은, 중앙 컴퓨터(20)가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사용자가 중앙 컴퓨터(20)와 기계 조작반(2) 사이를 자주 왕래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이에 따라, 공작 기계의 가동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 컴퓨터가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전송할 뿐만 아니라 기계 조작반의 주요 기능을 대행할 수 있는 직접수치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직접수치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가공물의 기본 데이터를 처리 및 연산하여 수치제어용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중앙 컴퓨터, 및 상기 중앙 컴퓨터로부터의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력받아 공작 기계의 구동을 제어하는 수치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치제어부는,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처리소자, 상기 중앙처리소자와 외부 사이의 제어 입출력 신호들을 인터페이싱하는 입출력 장치, 및 상기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중앙처리소자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출력 장치와 중앙 컴퓨터 사이에는 프로그램가능 논리제어기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중앙 컴퓨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명령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가능 논리제어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중앙처리소자의 동작 모드, 동작 개시 시점 및 동작 종료 시점을 제어하여, 상기 중앙처리소자가 통신가능한 모드 상태이면 상기 통신장치를 통하여 상기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중앙처리소자에 전송하고, 상기 중앙처리소자가 실행가능한 모드 상태이면 상기 프로그램가능 논리제어기를 통하여 동작 개시 신호 또는 동작 종료 신호를 상기 중앙처리소자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중앙 컴퓨터는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전송할 뿐만 아니라 기계조작반의 주요 기능을 대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접수치제어 시스템을 보여준다. 제2도의 시스템의 수치제어부(30)는 제1도의 시스템의 수치 제어부(10)와 동일한 기능의 구성 요소들을 가진다. 따라서, 제2도에서는 제1도의 중앙처리소자(11), 롬(12), 램(13)수동입력장치(14), 위치제어장치(15), 서보 드라이버(1), 서보 모터(M) 및 표시장치(16)가 생략되어 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접수치제어 시스템은 중앙 컴퓨터(50), 수치제어부(30), 기계 조작반(3) 및 프로그램가능 논리제어기(40)를 포함한다. 참조부호 51은 중앙 컴퓨터(50)의 모니터인 화면표시부를, 52는 중앙 컴퓨터(20)의 본체, 41은 프로그램가능 논리제어기(40)의 입출력장치(41), 그리고 42는 프로그램가능 논리제어기(40)의 통신장치를 가리킨다.
중앙 컴퓨터(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가공물의 기본 데이터를 처리 및 연산하여 수치제어용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또한, 중앙 컴퓨터(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명령에 따라 프로그램가능 논리제어기(40)를 제어하여, 수치제어부(30)의 중앙처리소자(미도시)의 동작 모드, 동작 개시 시점 및 동작 종료 시점을 제어한다.
수치제어부(30)는 중앙 컴퓨터(50)로부터의 가공프로그램 데이터를 입력받아 공작 기계의 구동을 제어한다. 기계 조작반(3)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특별한 동작 명령에 따라 수치제어부(30)의 동작 제어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프로그램 가능 논리제어기(40)는 중앙 컴퓨터(5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명령에 따라 수치제어부(30)의 중앙처리소자의 동작 모드, 동작 개시 시점 및 동작 종료 시점의 제어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수치제어부(30)의 입출력 장치(31)는, 기계 조작반(3) 및 프로그램 가능 논리제어기(40)로부터의 동작 제어 신호들, 및 공작 기계에 부착된 센서들(미도시)로부터의 신호들을 인터페이싱하여 중앙처리소자(미도시)에 입력시키는 한편, 중앙처리소자(미도시)로부터의 전원 제어 신호들을 인터페이싱하여 공작 기계의 전원공급 장치(미도시)에 입력시킨다. 직접수치제어용 통신장치(32)는 중앙 컴퓨터(50)의 제2 공통포트(COM2)로 부터 RS232 케이블을 통하여 입력되는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여 중앙처리소자(미도시)에 전송한다.
중앙 컴퓨터(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명령에 따라 제1 공통포트(COM1)를 통하여 프로그램가능 논리제어기(40)를 제어함으로써, 수치제어부(30)의 중앙처리소자의 동작 모드, 동작 개시 시점 및 동작 종료 시점을 제어한다.
수치제어부(30)의 중앙처리소자가 통신가능한 편집 모드 상태이면, 제2 공통포트(COM2) 및 직접수치제어용 통신장치(32)를 통하여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수치제어부(30)의 중앙처리소자에 전송한다. 또한, 수치제어부(30)의 중앙처리소자가 실행가능한 자동 모드 상태이면, 프로그램가능 논리제어기(40)를 통하여 동작 개시 신호 또는 동작 종료 신호를 수치제어부(30)의 중앙처리소자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중앙 컴퓨터(50)는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전송할 뿐만 아니라 기계 조자반(3)의 주요 기능을 대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직접수치제어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중앙 컴퓨터(50)를 조작하여 수치제어부(30)의 중앙처리소자가 통신가능한 편집 모드 상태가 되게 한다. 이때, 중앙 컴퓨터(50)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제어기(40)를 통하여 수치제어부(30)의 중앙처리소자가 통신가능한 편집 모드 상태가 되게 한다. 다음에, 중앙 컴퓨터(20)를 조작하여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가 전송되게 한다. 이때, 중앙 컴퓨터(20)는 직접수치제어용 통신장치(32)를 통하여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수치제어부(30)의 중앙처리소자에 전송한다. 다음에, 중앙 컴퓨터(50)를 조작하여 수치제어부(30)의 중앙처리소자가 실행가능한 자동 모드가 되게 한다 이때, 중앙 컴퓨터(50)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제어기(40)를 통하여 수치제어부(30)의 중앙처리소자가 실행가능한 자동 모드 상태가 되게 한다. 다음에, 중앙 컴퓨터(50)를 조작하여, 중앙 컴퓨터(50)가 프로그램가능 논리제어기(40)를 통하여 기동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수치제어부(30)의 중앙처리소자가 수치제어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서보 드라이버(미도시)가 서보 모터(미도시)를 회전시키면서 공작 기계가 가공물을 가공한다. 가공 후, 중앙 컴퓨터(50)를 조작하여, 중앙 컴퓨터(50)가 프로그램가능 논리제어기(40)를 통하여 정지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가공을 종료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접수치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중앙 컴퓨터가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전송할 뿐만 아니라 기계 조작반의 주요 기능을 대행함에 따라, 사용자가 중앙 컴퓨터와 기계 조작반 사이를 자주 왕래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을 없앨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작 기계의 가동 효율이 보다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Claims (1)

  1. (정정)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가공물의 기본 데이터를 처리 및 연산하여 수치제어용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중앙 컴퓨터 및 상기 중앙 컴퓨터로 부터의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력받아 공작 기계의 구동을 제어하는수치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치제어부는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처리소자, 상기 중앙처리소자와 외부 사이의 제어 입출력 신호들을 인터페이싱하는 입출력 장치, 및 상기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중앙처리소자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장치를 포함한 직접 수치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장치와 중앙 컴퓨터 사이에는 프로그램가능 논리제어기가 연결되고, 상기 중앙 컴퓨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명령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가능 논리제어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중앙처리소자의 동작 모드, 동작 개시 시점 및 동작 종료 시점을 제어하여, 상기 중앙처리소자가 통신가능한 모드 상태이면 상기 통신장치를 통하여 상기 가공 프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중앙처리소자에 전송하고, 상기 중앙처리소자가 실행가능한 모드 상태이면 상기 프로그램가능 논리제어기를 통하여 동작 개시 신호 또는 동작 종료 신호를 상기 중앙처리소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수치제어 시스템.
KR1019960023679A 1996-06-25 1996-06-25 공작기계의 직접수치제어 시스템 KR100188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3679A KR100188683B1 (ko) 1996-06-25 1996-06-25 공작기계의 직접수치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3679A KR100188683B1 (ko) 1996-06-25 1996-06-25 공작기계의 직접수치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941A KR980003941A (ko) 1998-03-30
KR100188683B1 true KR100188683B1 (ko) 1999-06-01

Family

ID=1946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3679A KR100188683B1 (ko) 1996-06-25 1996-06-25 공작기계의 직접수치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914A (ko) * 2001-10-29 2003-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치 제어장치의 모니터링 제어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3691A (ja) * 2000-10-13 2002-04-26 Daishowa Seiki Co Ltd 製造情報提供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914A (ko) * 2001-10-29 2003-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치 제어장치의 모니터링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941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0006544A1 (en) Method of correcting machining program
US4954980A (en) High speed input/output module and programmable logic control device
KR100188683B1 (ko) 공작기계의 직접수치제어 시스템
KR930010165B1 (ko) 모터구동제어장치 및 그 운전방법
EP0233292B1 (en) Control system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driven by servo motors
US7136718B2 (en) Numerical control apparatus
US4616309A (en) Numerical control system
US6285915B1 (en)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screen display and data input and output method for numerical control device
KR960015956B1 (ko) 스핀들 및 서보모터 속도의 외부제어방법
JP2831700B2 (ja) パルスモータの手動操作制御装置
JPS6425208A (en) Numerical controller
KR100191491B1 (ko) 수치제어기의 신호전송장치
JPS6442703A (en) Controller for simultaneous multiaxis controller
JPH08314531A (ja) コンピュータ制御による工作機械及び一般産業機械の補助周辺装置における動作条件変更装置
EP0615179B1 (en) Numeric controller
JPH04316102A (ja) 加工機械のnc装置
JPS62246451A (ja) Nc工作機械の操作盤回路
JPS62119606A (ja) ロボツト制御方式
JP2597278B2 (ja) 教示装置
KR940000222B1 (ko) 프로그래머블 콘트롤 장치
JPH08263120A (ja) Cncの現在位置表示方式
KR0132819B1 (ko) 전자제품에 구비된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제어장치 및 방법
JPS608904A (ja) 産業用ロボツトの駆動装置
JPH01156805A (ja) 産業用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H04259008A (ja) Nc装置の電源オフ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