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671B1 - 선택적 화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선택적 화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671B1
KR100188671B1 KR1019960005549A KR19960005549A KR100188671B1 KR 100188671 B1 KR100188671 B1 KR 100188671B1 KR 1019960005549 A KR1019960005549 A KR 1019960005549A KR 19960005549 A KR19960005549 A KR 19960005549A KR 100188671 B1 KR100188671 B1 KR 100188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creen
unit
data
boundar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8503A (ko
Inventor
김형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05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671B1/ko
Publication of KR97006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6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threshol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9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촬영 기록 장치의 신호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접속 화상 처리 장치로의 영상 시호 출력시에 촬영중인 전화면에서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선택적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출력되는 화상을 선택하는 축력 모드 선택부, 각 영역의 주화면과 배경 화면을 분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데이터의 평균값과 불연속적 변화를 찾아내기 위한 영역 어프로치부, 상기 어프로치부의 출력 데이터로 주화면과 배경화면을 설정하는 경계선 검출부, 주경계선인가, 보조 경계선인가를 결정하는 스레쉬홀드부, 주경계선 내의 선택된 화면의 출력을 위한 저장을 하는 선택 화면 출력부, 출력 모드 선택부의 선택된 출력 화면을 출력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로 구성되어, 영상 신호 출력시에 촬영중인 전화면에서 원하는 부분인 주화면과 배경화면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킴으로써, 외부 접속 화상 처리 장치에서 원하는 부분 화상 처리를 별도의 조작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택적 화상 처리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선택적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도.
본 발명은 캠코더의 정지 화면 출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접속 화상 처리 장치로의 영상 신호 출려시에 촬영중인 전화면에서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선택적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영상 촬영 기록 장치의 하나인 캠코더에서는 동화상과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순간적인 정지 화상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탈 이펙트(DIGITAL EFFECT)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정지 하면을 출력할 수 있어서 이를 외부 접속 화상 처리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촬영중인 전화면에서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킬 수 없어서 외부 접속 화상 처리 장치에서 원하는 부분 화상 처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분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촬영중인 전화면에서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는 선택적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선택적 화상 처리 장치는 출력되는 화상을 선택하는 출력 보드 선택부, 1프레임(또는 1필드)에 해당하는 1개의 전화면은 CCD(CHARGE COUPLED DEVICE) 1개의 픽셀(PIXEL)당 소정의 구분된 데이터를 가지고 있고, 여기에서 추출되는 데이터는 휘도 레벨, 칼라 레벨 등으로 각 영역에서 이들 데이터를 추출하여, 각 영역에서의 추출된 데이터를 가지고 그 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하고, 인접한 영역에서 데이터의 값이 불연속적으로 급셕한 변화를 하는 영역을 찾아내는 역역 어프로치부, 상기 영역 어프로치부에서의 추출된 출력 데이터로 평균값, 데이터의 급격한 변화영역에 종합적인 상대 비교로써, 주화면과 경계화면을 분리하는 경계영역을 설정하는 기증을 수행하는 경계선 검출부, 검출된 경계선이 여러개 있을 경우에 상기 경계선 검출부의 설정된 경계영역에서 경계선이 주경계선 인가 보조 경계선인가를 연속되는 경계선의 길이가 가장 큰 값을 선택하여 주경계선을 결정하는 스레쉬홀드부, 상기 출력 모드 선택부의 선택 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레쉬홀드부의 출력인 주화면 내의 화면, 또는 배경 화면만을 산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선택 화면 출력부, 선택부의 선택된 모드의 선택 신호에 따라서 순간적인 정지 화상을 저장하고 있는 디지탈 스틸 이펙트부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할 것인지, 아니면 선택 화면 출력부의 출력을 출력할 것 인가를 결정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인 선택적 처리 장치에 대한 구성도로서, 출력되는 화상을 선택하는 출력 모드 선택부(11), 각 영역의 주화면과 배경 화면을 분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데이터의 평균값과 불연속적 변화를 찾아내기 위한 영역 어프로치부(12), 상기 어프로치부의 출력 데이터로 주화면과 배경화면을 설정하는 경계선 검출부(13), 주경계선이가, 보조 경계선인가를 결정하는 스레쉬홀드부(14), 주경계선 내의 선택된 화면의 출력을 위한 저장을 하는 선택 화면 출력부(15), 출력 모드 선택부의 선택된 출력 화면을 출려시키기 위한 스위치부(16)로 구성되어 있다.
캠코더의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는 CCD(SHARGE COUPLED DEVICE : 17)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CCD출력 신호를 픽셀 단위의 불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에 의해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고, 자동 이득 제어 등을 실행하는 보정부(18)를 거친후, 아날로그 - 디지탈 신호변화(19)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화된다.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신호는 디지탈 카메라 프로세서(20)를 거쳐서 순간적인 정지화상을 저장하는 디지탈 스틸 이펙트(DEGIRAL STILL EFFECT : 21)부에 입력된다.
순간적인 정지화상을 저장하는 디지탈 시틸 이펙트부(21)의 출력은 촬상관에 사용되는 전자 주사빔은 널리 퍼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이빔으로 주사할 경우 고주파 성분의 진폭이 작아지게 되는 개구 왜곡 현상을 보정하기 위해 고역을 증대시키는 개구 보정부(22)에 입력된다.
개구 보정부(22)를 거친 출력은 잡음을 줄이기 위한 잡음 제거용 필터부(23)에 입력된다.
잡음 제거용 필터부의 출력은 디지탈화된 CCD의 1개의 화소당 데이터에서 주변의 값들을 가장 큰 값으로 대표화 함으로써 윤곽의 대표값을 정해나가는 엣지 검출부(24)에 입력된다.
엣지 검출부(24)의 출력은 정지 화면의 부분 추출과정을 수행하는 블록에 입력된다.
위의 정지 화면의 부분 추출과정은 먼저 영역 어프로치부(12)로 시작 된다.
이 영역 어프로치부(12)에서는 1프리임(또는 1필드)에 해당하는 1개의 전화면은 CCD 1개의 픽셀(PIXEL)당 소정의 영역으로 구분된 데이터를 가지고 각 영역에서 추출하는 데이터는 휘도 레벨, 칼라 레벨등으로 각 영역에서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각 영역에서의 추출된 데이터를 가지고 그 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하고, 인접한 영역에서 데이터의 값이 불연속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하는 영역을 찾아낸다.
위의 영역 어프로치 과정을 거치고 나면 경계선 검출부(13)에 입력된다.
이 경계선 검출부(13)에서는 영역 어프로치부(12)에서의 추출된 데이터로 평균값, 데이터의 급격한 변화영역에서 종합적인 상대 비교로써, 주화면과 경계화면을 분리하는 경계영역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의 경계선 검출 과정을 거치고 나면 스레쉬홀드부(14)에 입력된다.
이 스레쉬홀드부(14)에서는 경계선 검출 과정에서 설정된 경계영역에서 경계선이 주경계선 인가 보조 경계선이가를 비교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검출된 경계선이 여러개 있을 경우에 연속되는 경계선의 길이가 가장 큰 값을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필요없는 보조 경계선의 검출을 무시한다.
이 스레쉬홀드부(14)에서의 주화면의 최종 결정 방법은 경계선 검출부에서 검출된 다수의 경계선 중에서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방향키에 의해 선택할 수 도 있다.
위의 스레쉬홀드부(14)를 거친 출력은 선택 화면 출력부(15)에 입력된다.
이 선택 화면 출력부(15)에서는 선택된 출력 모드에 따라서 주화면 내의 화면만을 선택하여 출력을 위한 저장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이 경우에 출력되는 주화면 중에서도 이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출력하는 선택하는 경우에 주화면의 경계선의 상하 좌우의 경계치 폭을 비교하여 가장 짧은 영역을 비교하여 찾아내 주화면을 세부적으로 분이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출력 모드 선택부(11)의 선택된 모드에 따라서 디지탈 스틸 이펙트부의 전화면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할 것인지, 아니면 선택 화면 출력부의 출력을 출력할 것 인가를 스위치부(16)에서 절환시켜 준다.
이와 같이 선택된 출력은 디지탈 카메라 프로세서(20)를 통해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 시키기 위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5)에 입력된다.
위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5)에 의해 아날로그로 변환된 신호는 외부 접속 화상 처리 장치(26)에 인가되어 선택된 화상을 외부에서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 신호 출력시에 촬영중인 전화면에서 원하는 부분인 주화면과 배경화면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킴으로써, 외부 접속 화상 처리 장치에서 원하는 부분 화상 처리를 별도의 조작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캠코더의 신호 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지 화상의 디지탈 신호를 기억하는 저장 수단을 이용하여 정지 화상의 출력을 외부 접속기기로의 출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지 화상의 출력을 전화면을 출력할 것인지, 부분 화면을 출력시킬 것인가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 모드 선택부; 상기 정지 화상의 디지탈 신호를 1프레임(또는 1필드)에 해당하는 1개의 전화면은 CCD(CHARGE COUPLED DEVICE)1개의 픽셀(PIXEL)당 소정의 데이터를 가지고 각 영역에서 추출되는 데이터인 휘도 레벨, 칼라 레벨 등으로 각 영역에서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각 영역에서의 추출된 데이터를 가지고 그 데이터의 평균값을 구하고, 인접한 영역에서 데이터의 값이 불연속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하는 영역을 찾아내는 역역 어프로치부; 상기 영역 어프로치부에서의 추출된 출력 데이터로 평균값, 데이터의 급격한 변화영역에서 종합적인 상대 비교로써, 주화면과 경계화면을 분리하는 경계영역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계선 검출부; 상기 경계선 검출부의 설정된 경계영역에서 경계선이 주경계선 인가 보조 경계선인가를 검출된 경계선이 여러개 있을 경우에 연속되는 경계선의 길이가 가장 큰 값을 선택하여 주경계선을 결정하는 스레쉬홀드부; 상기 출력 모드 선택부의 선택 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레쉬홀드부의 출력인 주화면 내의 화면, 또는 배경 화면만을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저장 기능을 수애하는 선택 화면 출력부; 상기 출력 모드 선택부의 선택된 모드에 따라서 순간적인 정지 화상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수단의 저화면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할 것인지, 아니면 선택 화면 출력부의 출력을 출력할 것 인가를 결정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영상 신호 출력시에 촬영중인 전화면에서 원하는 부분인 주화면과 배경화면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쉬홀드부에서의 주화면의 최종 결정은 상기 경계선 검출부에서 검출된 다수의 경계선 중에서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방향키에 의해 서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쉬홀드부에서의 주화면의 최종 결정은 출력되는 주화면 중에서도 이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출력하는 선택하는 경우에 주화면의 경계선의 상하 좌우의 경계치 폭을 비교하여 가장 짧은 영역을 비교하여 찾아내 주화면을 세부적으로 분리하여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화상 처리 장치.
KR1019960005549A 1996-03-04 1996-03-04 선택적 화상 처리 장치 KR10018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549A KR100188671B1 (ko) 1996-03-04 1996-03-04 선택적 화상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549A KR100188671B1 (ko) 1996-03-04 1996-03-04 선택적 화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503A KR970068503A (ko) 1997-10-13
KR100188671B1 true KR100188671B1 (ko) 1999-06-01

Family

ID=1945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549A KR100188671B1 (ko) 1996-03-04 1996-03-04 선택적 화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6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503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2652B2 (ja) 撮像装置
US5838371A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interpolation and edge enhancement of pickup signal varying with zoom magnification
US20080192131A1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dynamic range thereof
JPH0823473A (ja) 撮像装置
US6950133B2 (en) Method of detecting defective pixels of a solid-state image-pickup device and image-pickup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7274532A (ja) 撮像装置、高周波成分検出回路、高周波成分検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617857B2 (ja) カラー撮像装置
KR960002548B1 (ko) 특정 화상의 추출 방법 및 시스템
JP3105334B2 (ja) 自動合焦点装置
KR100188671B1 (ko) 선택적 화상 처리 장치
JP2007266956A (ja) 撮像装置、インパルス成分検出回路、インパルス成分除去回路、インパルス成分検出方法、インパルス成分除去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452097B1 (ko) 영상데이터의 변화값 추출을 이용한 영상데이터 저장방법
JP2006279812A (ja) 輝度信号処理装置
JPH1175103A (ja) テレビジョンカメラ
JP2004201207A (ja) ノイズ低減装置、撮像装置、およびノイズ低減プログラム
JP2001189878A (ja) 撮像装置
JP2517200B2 (ja) ディジタル映像信号のノイズ除去装置
JP3945655B2 (ja) 自動合焦装置
JP3312379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
JPH06276413A (ja) 撮像装置
JP4488620B2 (ja) テレビカメラ装置
JPH07322142A (ja) 固体撮像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テレビジョンカメラ
KR100306645B1 (ko) 카메라의불요칼라억압장치
JP3195255B2 (ja) 特定物体の画像抽出装置
JP3631409B2 (ja) 背景成分を除去する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