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477B1 -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477B1
KR100188477B1 KR1019960003812A KR19960003812A KR100188477B1 KR 100188477 B1 KR100188477 B1 KR 100188477B1 KR 1019960003812 A KR1019960003812 A KR 1019960003812A KR 19960003812 A KR19960003812 A KR 19960003812A KR 100188477 B1 KR100188477 B1 KR 100188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toner
developing roller
roller
develo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116A (ko
Inventor
고이치로 사토
Original Assignee
구보 미츠오
가부시키가이샤 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 미츠오, 가부시키가이샤 테크 filed Critical 구보 미츠오
Publication of KR960032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evelop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장치는 정전 잠상이 위에 형성된 감광드럼(11)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감광드럼(11)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점착되는 토너를 상기 감광드럼(11)에 공급하기 위한 현상롤러(32)와, 상기 현상롤러(32)상의 토너의 두께를 균일하게 제한하기 위한 도전성 블레이드(34)와, 상기 현상롤러(32)에 공급되어 토너의 전위를 바이어스하는 -200V의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제1 고전압 발생기(35)를 포함한다. 현상장치는 또한 상기 도전성 블레이드(34)에 공급되어 상기 현상롤러(32)의 마찰에 의해 토너에서 얻어진 정전전하의 부족분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토너를 정전식으로 충전시키는 -300V의 블레이드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제2 고전압 발생기(3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상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제1도의 현상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부분도.
제4도는 감광드럼의 속도와 관련된 현상롤러의 원주속도의 비율과 토너상의 집중도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
제5도는 제3도에 나타낸 도전성 블레이드에 공급된 전압과 토너상의 집중도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제3도에 나타낸 현상부의 변형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닛 2 : 급지 카세트
3 : 픽업롤러 6 : 운반롤러
7 : 모터 9 : 정착장치
10 : 전자사진 처리장치 12 : 대전부
13 : 노출부 14 : 현상부
15 ; 전사부 17 : 비전화램프(deeledtrifying lamp)
20 : 제어회로 21 : CPU
25 : 제어 패널 26 : 모터구동기
27 : 통신 인터페이스 30 : 호퍼
31 : 공급롤러 32 : 현상롤러
33 : 교반기 34 : 도전성 블레이드
35 : 제1 고전압 발생기 36 : 제2 고전압 발생기
본 발명은 전자 사진 처리에 의해 상운반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상제를 공급하는 상운반체와 함께 회전하는 롤러를 구비한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레이저 프린터에서는 상운반체(image carrier)로서 감광드럼이 사용된다. 레이저 프린터는 단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전자 사진처리를 수행하며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빔에 드럼의 대전된 표면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고, 현상제로서 토너를 사용하여 잠상을 현상하고, 감광드럼으로부터 용지에 현상된 잠상을 전사한다.
이러한 레이저 프린터는 형성되는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감광드럼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부를 가지고 있다. 이 현상부는 축적되는 토너를 위한 호퍼와, 호퍼내의 축적된 토너를 감광드럼에 공급하기 위해 감광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현상롤러와, 현상롤러의 토너의 두께를 균일하게 제한하기 위한 스프링 블레이드와, 토너의 전위를 바이어스하도록 현상롤러에 공급될 현상 바이어스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기를 가지고 있다. 토너는 호퍼내의 현상롤러에 놓여지고, 현상롤러는 스프링 블레이드를 통해 호퍼밖으로 토너를 운반한다. 토너는 현상롤러의 회전시 발생하는 토너의 마찰에 의해 정전적으로 대전되어 정전인력(electrostatic attraction)에 의해 정전드럼의 정전잠상에 점착된다.
현상롤러는 감광드럼 속도의 거의 2배인 원주속도(peripheral )즉, 각속도(circumferential)로 대개 회전한다. 현상롤러의 원주속도가 감광드럼의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충분한 양의 토너는 원주속도가 짧기 때문에 현상롤러에 의해서는 운반되지 않게 되고, 마찰력의 부족으로 인해 토너에서는 충분한 양의 전하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 결과 감광드럼의 정전잠상에 부착된 토너로 만들어지는 토너 잠상의 집중도(concentration)가 떨어진다. 토너상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현상롤러와 감광드럼의 원주속도 사이에는 상기한 비율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원주속도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 첫 번째 문제는 감광드럼의 내구성(wear rate)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드럼의 서비스 수명이 낮다는 점이다. 그 두 번째 문제는 현상롤러로부터 제거하기가 어려운 막(film)토너가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다음 세 번째 문제로는 현상롤러는 보다 큰 회전토크를 필요로하게 되어 잡음이 증대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특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현상롤러의 원주속도를 상운반체의 원주속도에 밀접하게 세트시킬 수 있는 현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다음을 구비한 장치 즉,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상운반체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운반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부착되는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현상롤러상의 현상제의 두께를 균일하게 제한하는 도전성 블레이드(conductive blade)와; 현상롤러에 공급되어 현상제의 전위를 바이어스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 고전압 발생기와; 도전성 블레이드에 공급되어 현상롤러에 의해 현상제내에 얻어지는 짧은 정전 전하를 보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정전적으로 대전시키는 블레이드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2 고전압 발생기를 구비한 현상장치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현상장치에서 현상롤러의 원주속도가 상운반체의 속도에 가깝게 설정되면 이는 상기한 문제 즉, 상운반체의 마모와, 현상롤러로부터 현상막을 제거하는 어려움과, 잡음의 증가를 야기시키는 현상롤러의 큰 회전 토크를 해결하면서 현상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나 제2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블레이드 전압이 공급되기 때문에 토너는 현상롤러의 마찰에 의해 얻어지는 부족한 정전전하를 보상하도록 정전적으로 대전된다. 따라서 충분한 집중이되는 현상제의 상으로 정전잠상이 현상될 수 있도록 하면서 현상제내의 전하량이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현상롤러의 원주속도는 현상특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상운반체의 속도에 가깝게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블레이드 전압과 현상 바이어스 전압간의 차이로 인해 도전성 블레이드와 현상롤러 사이를 흐르는 누설전류가 있을 대 누설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전류 제한소자가 설치된다. 누설전류를 효과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현상제상의 상특성(image quality)과 장치의 기능부전(malfunction)의 저하가 누설전류에 의해 야기되는 잡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해준다.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를 설명한다.
제1도는 레이저 프린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레이저 프린터는 캐비닛(1)과, 급지카세트(2), 픽업롤러(3), 운반부(5), 쌍으로 된 운반롤러(6), 모터(7), 센서군(8), 정착장치(9) 및, 제어회로(20)를 포함하고 있다. 급지카세트(2)는 캐비닛(1)에 착탈식으로 장착되고, 용지의 스택(stack)을 포함하고 있다. 픽업롤러(3)는 급지카세트(2)로부터 운반로(5)에 용지를 한 장씩 끄집어낸다. 쌍으로 된 운반롤러(6)는 운반로(5)를 따라 용지를 운반하도록 배치된다. 모터(7)는 픽업롤러(3)와, 운반롤러(6) 및 다른 기계와 연결되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모터(7)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된다. 센서군(8)은 운반되는 용지의 현재 위치를 포함해서 레이저 프린터의 여러 상태를 감지하도록 해준다. 전자사진 처리장치(10)는 운반로(5)를 따라 운반된 용지의 전자사진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상을 프린트한다. 정착장치(9)는 전자사진장치(10)에 의해 용지에 프린트 된 상을 정착시킨다. 제어회로(20)는 레이저 프린터의 인쇄동작을 제어한다.
전자사진 처리장치(10)는 상운반체의 역할을 하는 감광드럼(11)과, 노출부(13), 현상부(14), 전사부(15), 토너수집장치 및 비전화램프(17)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장치는 모두 감광드럼(11) 주변에 배치된다. 감광드럼(11)은 용지 운반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시계방향으로 일정속도로 회전한다. 대전부(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감광드럼(11)의 표면을 소정의 전위 예를 들어 -500V이상으로 균일하게 충전시킨다. 노출부(13)는 감광드럼(11)의 축과 평행한 메인 스캐닝방향에서 레이저빔으로 감광드럼(11)의 대전된 표면을 검사한다. 감광드럼(11)의 대전된 표면은 레이저빔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므로 정전잠상을 형성하게 된다. 노출된 위치의 전위는 예를 들어 -50V로 세트된다. 현상부(14)는 현상제로서 정전잠상에 선택적으로 점착되도록 토너를 공급함으로써 가시적인 토너상의 형태로 감광드럼(11)상의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전사부(15)는 정전인력에 의해 감광드럼(11)으로부터 용지에 토너상을 전사시키기 위해 전사부를 통과하는 용지를 정전적으로 대전시킨다. 토너수집장치(16)는 전사후에 감광드럼(11)에 불필요하게 남게되는 토너를 수집한다. 비전화램프(17)는 수집장치(16)를 통과한 감광드럼(11)에 불필요하게 남아있는 전하를 제거한다. 정착장치(9)는 열과 압력을 이용해서 전사부(15)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킨다.
제2도는 제어회로(20)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회로(20)는 CPU(21)와, 롬(22), 램(23), 입력 및 출력회로(24), 제어패널(25), 모터 구동기(26) 및 통신 인터페이스(27)를 포함하고 있다. CPU(21)는 인쇄동작의 종합적인 순서를 제어한다. 롬(22)에는 CPU(21)와 다른 정착데이타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램(23)은 도트 이미지 데이터 또는 CPU(21)에 의해 생성되는 다른 데이터등이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전자사진 처리장치(10)와, 센서군(8), 정착장치(9), 제어패널(25), 모터 구동기(26) 및 CPU(21)로의 통신 인터페이스(27)를 접속시키기 위해 입력 및 출력회로(24)가 설치된다. 제어패널(25)은 CPU(21)에 여러 명령을 입력시켜서 인쇄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모터구동기(26)는 모터(7)를 구동시킨다. 통신 인터페이스(27)는 인쇄데이타 또는 외부 호스트 컴퓨터 HC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레이저 프린터의 인쇄동작에 있어, 감광드럼(11)은 회전시에 대전부(12), 노출부(12), 현상부(14), 전사부(15), 토너 수집부(16) 및 비전화(de- e;ectrifying)램프(17)의 순서로 진행된다. 특히, 감광드럼(11)의 표면은 대전부(1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대전된 표면은 도트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노출부(13)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빔으로 스캔되어 선택적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노출에 의해 정전 잠상이 감광드럼(11)상에 형성된 후, 토너가 현상부(14)에서 드럼(11) 표면으로 이송된다. 토너는 정전인력에 의해 잠상위에 부착되어 잠상을 가시적 토너상으로 현상시킨다. 전사부(15)는 급지 카세트(2)로부터 제공된 용지를 대전시키고, 토너상은 정전인력에 의해 드럼(11) 표면에서 용지상에 전사된다. 이러한 전사과정 후, 토너 수집 장치(16)는 정전인력에도 불구하고 드럼 표면상의 잔여 토너를 제거시키고, 비전화 램프(17)는 드럼(11)표면에서 불필요한 전하를 제거한다. 이러한 비전화 과정 후, 감광드럼(11)은 대전가능한 상태로 복귀된다. 용지는 정착장치(9)를 통해 전사부(15)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운반된다.
제3도에는 현상부(14)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현상부(14)는 호퍼(30), 공급 롤러(31), 현상롤러(32), 교반기(33), 도전성 블레이드(34), 제1고전압 발생기(35) 및 제2 고전압 발생기(36)를 포함한다. 호퍼(30)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이다. 공급 롤러(31)는 호퍼(30)내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전도성 스폰지로 형성된다. 현상롤러(32)는 공급 롤러(31)와 감광드럼(11)사이에 이들과 접촉을 이루며 배치되고 예를 들어 전도성 고무로 형성된다. 교반기(33)는 호퍼(30)에 저장된 토너를 교반시킨다. 도전성 블레이드(34)는 소정 압력으로 현상롤러(32)와 접촉을 이루는 급속 스프링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제1 고전압 발생기(35)는 현상롤러(32)에 제공될 -200V의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킨다. 제2 고전압 발생기(36)는 공급 롤러(31)에 제공될 -300V의 공급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킨다. 광감지롤러(31) 및 현상롤러(32)는 감광드럼(11)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감광드럼(11)외에도 모터(7)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해 모터에도 접속된다. 이들 롤러(31,32)는 제3도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현상롤러(32)의 주변속도는 감광드럼(11)의 주변속도와 유사한 값으로 설정된다. 제1 고전압 발생기(35)는 현상롤러(32)와 접지 단자 사이에 직렬 접속된 고전압 소스(35A) 및 스위치(35B)를 포함하고 있다. -200V의 전압은 고전압 소스(35A)로부터 발생되어 스위치(35B)의 제어하에서 현상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현상롤러(32)에 제공된다. 제2 고전압 발생기(36)는 공급 롤러(31)와 접지 단자 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고전압 소스(36A) 및 스위치(36B)를 포함한다. -300V의 전압은 고전압 소스(36a)로부터 발생되어 스위치(36B)의 제어하에서 공급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공급 볼러(31)로 제공된다. 공급 롤러(31)는 토너 T의 전위를 제2 고전압 발생기(36)로부터 인가된 공급 바이어스 전압인 -300V로 바이어스한다. 현상롤러(32)는 토너 T의 전위를 제1 고전압 발생기(35)로부터 인가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인 -200V로 바이어스한다. 또한, 공급 바이어스 전압은 현상롤러(32)에 제공된 현상 바이어스 전압보다 크고 보호저항(34)을 통해 제2 고전압 발생기(36)에서 도전성 블레이드(34)로 제공되는 -300V의 블레이드 전압으로서도 사용된다. 토너(T)는 현상롤러(32)와 도전성 블레이드(34) 및 공급롤러(31)의 각각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얻어지는 전하의 부족에 대한 보상을 위해 그들 사이에 접촉하는 상기 도전성 블레이드(34)에서 직접 공급되는 전하에 의해 정전적으로 충전된다. 보호저항(37)은 약 103내지 105오옴의 저항을 가지며, 블레이드 전압과 현상 바이어스 전압 사이의 차이로 인하여 도전성 블레이드(34)와 현상롤러(32)의 사이를 흐르는 누설전류를 제한하는 전류제한 소자로서 동작한다.
상술한 현상부(14)에서, 토너(T)는 자체 중력 또는 교반기(33)의 수단에 의해 호퍼(30)내에서 공급롤러(31)에 더욱 근접하도록 이동한다. 토너(T)의 전위는 공급롤러(31)로부터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바이어스 된다. 토너(T)는 공급롤러(31)에서 현상롤러(32)로 공급되고, 그 전위는 상기 현상롤러(32)로부터 현상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바이어스 된다. 상기 도전성 블레이드(34)는 상기 현상롤러(32)상에 놓이는 토너(T)의 두께를 균일하게 제한한다. 상기 현상롤러(32)는 도전성 블레이드(34)를 통하여 호퍼(30)의 출력으로 토너(T)를 이동시킨다. 상기 토너(T)는 상기 현상롤러(32)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과 상기 도전성 블레이드(34)로부터 블레이드 전압에 의하여 정전적으로 출전되고, 정전력에 의해 감광드럼(11)상에 정전잠상이 점착된다.
제4도는 감광드럼의 농도와 토너 화상의 농도(이 농도는 맥베드 농도 스케일을 사용하여 측정된다)에 의하여 현상롤러의 원주속도의 비율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토너상은 적어도 약 1.25의 화상 농도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도전성 블레이드(34)가 종래의 방법에서와 같이 전기적으로 유동상태이거나 또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200V)과 동일하게 설정된 경우에, 상술한 농도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 롤러(32)의 원주 속도를 감광드럼(11)의 약 1.5배로 설정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전성 블레이드(34)가 공급 바이어스 전압(-300V)과 동일하게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현상롤러(32)의 원주 속도는 감광드럼(11)의 농도의 약1.1배로 감소될 수 있다.
제5도는 도전성 블레이드(34)에 공급되는 전압과 토너상의 농도(이 농도는 맥베드 농도 스케일을 사용하여 측정된다)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감광드럼의 속도와 상기 현상롤러(32)의 원주 속도의 비율은 제5도에 나타낸 경우에 있어서 1.1배이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상 농도는 블레이드 전압이 -250V이거나 또는 절대값 보다 높을 대 실질적으로 포화상태가 되며, 상기 화상 농도는 블레이드 전압이 -250V 미만일 때 실질적으로 포화레벨 상태이하로 설정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성 블레이드(34)는 상기 현상롤러(32)상에 토너(T)의 마찰을 발생시키고 토너(T)를 정전적으로 충전하기 위하여 토너(T)에 전하를 공급시키도록 사용된다. 현상롤러(32)의 원주 속도가 감광드럼(11)의 속도에 근접되게 설정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토너(T)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감광드럼(11)의 마모와, 현상롤러(32)로부터 제거하기 어려운 토너막, 현상롤러(32)의 토크 및 잡음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고전압 발생기(36)는 토너(T)를 정전적으로 충전하기 위하여 도전성 블레이드(34)로 현상 바이어스 전압(-200V)의 절대값 보다 높은 블레이드 전압(-300V)을 공급한다. 따라서, 토너(T)는 정전 잠상이 우수한 농도의 토너 화상으로 현상되는 충분한 전하의 양을 가질 수 있다. 실제 현상에 있어서 토너(T)는 토너 화상의 두께가 만족스럽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블레이드 전압과 현상기 바이어스 전압간의 차이로 인하여 도전성 블레이드(34)와 현상롤러(32)간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보호저항(37)이 제공된다. 이러한 누설전류를 제한하는 것은 토너상의 특성저하와 장치의 기능부재가 누설전류에 의해 야기된 잡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토너 T의 대전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누설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보호저항(37)의 저항값은 대략 103내지 105오옴으로 설정된다. 상기 이유로, 현상롤러(32)의 원주속도는 현상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서 감광드럼(11)의 속도에 근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보호저항(37)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현상롤러(32)와 도전성 블레이드(34)가느이 전위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블레이드 전압은 예컨대 -250V(절대값으로 공급 바이어스 전압 -300V보다 낮은)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누설전류는 감소될 수 있으나, 현상 바이어스 전압 또는 공급 바이어스 전압과 다른 블레이드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고전압 발생기(35,36)와 별도로 고전압 발생기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저항(37)은 누설전류를 제한하고 토너 이미지를 상기 누설전류로 인한 영향으로부터 보호한다. 따라서, 블레이드 전압은 공급 바이어스 전압(-300V)과 동일하도록 선택되며, 제2고전압 발생기(36)는 공급 바이어스 전압과 블레이드 전압을 모두 얻는데 공통으로 사용된다. 상기 구조는 더 작은 크기를 가지며 블레이드 전압을 얻기 위해 별도의 고전압 발생기가 제공되는 경우보다 비용이 낮은 현상부(14)의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제6도는 제3도에 도시된 현상부(14)의 변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변형은 금속 블레이드(34)와 보호저항(37) 대신에 전도성 고무로 된 블레이드(38)가 제공되는 점에서 현상부(14)와 다르다. 예컨대 전도성 고무는 실리콘 고무이다. 상기 블레이드(38)는 현상롤러(32)상에 놓여진 토너 T의 두께를 일정하게 제한하고 블레이드 전압에 의해 토너 T를 정전기적으로 대전시키기 위해 소정의 전압에서 현상롤러(32)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보호저항(37)의 경우에서와 같이 블레이드(38)는 대략 103내지 105ohm의 저항값을 갖는다. 상기 저항은 블레이드(38)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해 행해지는 토너 T의 대전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블레이드(38)와 현상롤러(32)간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제한한다.
이러한 변형의 구조에 따르면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한 보호저항(37)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현상부(14)를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잠상은 감광드럼(11)상에 형성된다. 그러나, 감광드럼(11)은 절연성 벨트와 같은 상운반체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현상부(14)는 절연성 벨트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또한, 제2 고전압 발생기(36)는 공급 바이어스 전압과 블레이드 전압을 모두 얻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예컨대, 블레이드 전압과 공급 바이어스 전압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 고전압 발생기는 블레이드 전압을 얻기 위해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Claims (7)

  1. 정전 잠상이 위에 형성된 상운반체(11)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상운반체(11)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점착되는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롤러(32); 상기 현상롤러(32)상의 현상제의 두께를 균일하게 제한하기 위한 도전성 블레이드(34;38)와; 상기 현상롤러(32)에 공급되어 현상제의 전위를 바이어스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 고전압 발생수단(35)과; 상기 도전성 블레이드(34;38)에 공급되어 상기 현상롤러(32)의 마찰에 의해 현상제에서 얻어진 정전전하의 부족분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제를 정전적으로 대전시키는 블레이드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2 고전압 발생수단(36)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전압은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전압보다 절대치가 더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블레이드(34;38)와 상기 현상롤러(32) 사이에서 흐르는 누설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전류 제한수단(37)를 추가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한 수단은 상기 제2 고전압 발생수단(36)과 상기 도전성 블레이드(34;38)사이에 삽입된 저항소자(3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블레이드(34;38)는 도전성 고무로 구성되고, 상기 전류 제한 수단(37)은 상기 도전성 고무의 저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32)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31)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전압 발생수단(36)은 상기 공급롤러에 접속되어 블레이드 전압을 상기 현상제의 전위를 바이어스하는 공급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한수단(37)은 현상제의 충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누설전류를 제한하도록 103~105오옴의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KR1019960003812A 1995-02-20 1996-02-16 현상장치 KR100188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0338 1995-02-20
JP7030338A JPH08220875A (ja) 1995-02-20 1995-02-20 現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116A KR960032116A (ko) 1996-09-17
KR100188477B1 true KR100188477B1 (ko) 1999-06-01

Family

ID=1230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812A KR100188477B1 (ko) 1995-02-20 1996-02-16 현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61590A (ko)
JP (1) JPH08220875A (ko)
KR (1) KR1001884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8865B2 (ja) * 1997-11-28 1999-11-15 新潟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691249B2 (ja) * 1998-06-02 2005-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一成分現像剤を用いた現像装置
JP2000098739A (ja) * 1998-09-21 2000-04-07 Minolta Co Ltd 現像装置
JP3919381B2 (ja) * 1999-05-14 2007-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1100520A (ja) * 1999-09-28 2001-04-13 Brother Ind Ltd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1337521A (ja) * 2000-05-26 2001-12-07 Fujitsu Ltd 現像装置及び現像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
CN1236365C (zh) * 2001-12-28 2006-01-11 佳能株式会社 显影装置和成像设备
KR100462635B1 (ko) * 2003-03-11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 제어방법
JP2006267805A (ja) * 2005-03-25 2006-10-05 Brother Ind Ltd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005381B2 (en) * 2007-09-26 2011-08-23 Oki Da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5377159B2 (ja) * 2008-08-29 2013-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7967A (en) * 1988-04-13 1991-05-21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s including a toner transporting member having an insulating layer
US5057871A (en) * 1989-03-16 1991-10-15 Fujitsu Limited Developing device having a conductive porous toner-removing roller
CA2049742A1 (en) * 1990-10-22 1992-04-23 Michael D. Thompson Development apparatus
US5183964A (en) * 1992-01-03 1993-02-02 Eastman Kodak Company Toner charge control
US5314774A (en) * 1992-05-22 1994-05-24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veloping color images using dry toners and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JPH0627807A (ja) * 1992-07-09 1994-02-04 Hiraoka H I Kenkyusho:Kk 現像装置
US5519472A (en) * 1993-03-31 1996-05-2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using elastic bl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116A (ko) 1996-09-17
US5761590A (en) 1998-06-02
JPH08220875A (ja) 199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477B1 (ko) 현상장치
US78442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re-exposure light control feature
US5124757A (en)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treatment and collection of residual developer
US565294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333041A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llecting toner with the developing roller
US7068960B2 (en) Cleaning device including brush roller with high cleaning performan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unit including the cleaning device, method of removing deposit, and method of forming an image
JP3766114B2 (ja) 電子写真装置
US523145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isordering device for disordering a developing agent remaining on an image bearing member
EP1045295B1 (en) Double-sided printing apparatus
JP3015233B2 (ja) 画像形成装置
US5805962A (en) Auxiliary charging device of electrophotography printing apparatus
KR0174689B1 (ko) 현상롤러의 고스트 방지장치
KR100196572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역전사 감소방법과 장치
US5140373A (en)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ing apparatus with bristle height adjusting member
JP3036144B2 (ja) 電子写真装置
JP4139038B2 (ja) 画像形成装置
JP300075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343838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クリーニング装置
JP3514191B2 (ja) 記録装置
US2024001979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091822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119479A (ja) 電子写真装置
JP4194177B2 (ja) 画像形成装置
JP3484814B2 (ja) 現像装置
KR0160558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접촉대전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대전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