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069B1 - 은폐성 벽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은폐성 벽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069B1
KR100188069B1 KR1019960064731A KR19960064731A KR100188069B1 KR 100188069 B1 KR100188069 B1 KR 100188069B1 KR 1019960064731 A KR1019960064731 A KR 1019960064731A KR 19960064731 A KR19960064731 A KR 19960064731A KR 100188069 B1 KR100188069 B1 KR 100188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paper
fabric
weight
water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398A (ko
Inventor
김정진
류성용
Original Assignee
전기섭
주식회사제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기섭, 주식회사제텍스 filed Critical 전기섭
Priority to KR1019960064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069B1/ko
Publication of KR19980046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D21H19/64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21H2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substances are added
    • D21H23/2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 D21H23/5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by contacting paper with a device carrying the material
    • D21H23/56Ro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지에 사용되는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벽지의 시공시에 기존 벽지의 그림 또는 다른 오염물 등이 새로운 벽지를 통해 비춰보이지 않도록 높은 은폐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높은 열적 안정성 및 표면의 평활도 그리고 적절한 통기성을 갖는 은폐성 벽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은폐성 벽지용원단은, 종이, 직물 및 부직포 중 하나의 벽지용 원단에 수용성수시 20중량%∼50중량%, 무기질입자 20중량%∼40중량%, 정포제 1중량%∼6중량%, 습윤제 0.5중량%∼4중량%, 안료 0.1중량%∼1중량%, 난연제 7중량%∼20중량%, 기포제 0.5중량%∼2.0중량% 및 물 0∼51.4중량%로 조성되는 화학성분이 코팅된 은폐코팅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이, 직물 및 부직포 중 하나로 제조되는 벽지용 원단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용성수지 20중량%∼50중량%, 무기질입자 20중량%∼40중량%, 정포제 1중량%∼6중량%, 습윤제 0.5중량%∼4중량%, 안료 0.1중량%∼1중량%, 난연제 7중량%∼20중량%, 기포제 0.5중량%∼2.0중량% 및 물 0∼51.4중량%로 조성되는 화학성분을 상기 벽지용 원단에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성 벽지용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은폐성 벽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벽지에 사용되는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벽지의 시공시에 기존 벽지의 그림 또는 다른 오염물 등이 새로운 벽지를 통해 비춰보이지 않도록 높은 은폐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높은 열적 안정성 및 표면의 평활도 그리고 적절한 통기성을 갖는 은폐성 벽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지는 종이, 직물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의장성(디자인 및 색상)이 가장 중요한 개발 포인트로 되어 있으며, 이것은 곧 소비자들의 벽지 선정에도 크게 영향을 준다.
따라서 다양하고 미려한 벽지를 만들기 위해 나염, 염색 및 플로킹 등의 표면가공을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는 백색 또는 밝은 색상의 원단을 사용하여야한다.
그러나, 기존의 벽지는 시공시 은폐성 (은폐올 : 은폐력)이 낮기 때문에 벽지로서 사용할 수가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은폐성이란 벽지의 불투명도로서, 투명도가 높을수록 은폐성은 낮아지는데, 이렇게 은폐성이 낮은 벽지로 시공할 경우 시공전의 벽에 남아있는 기존의 벽지 그림이나 오염물 등이 시공후에도 벽지를 통해 비춰보이므로 벽지의 의장성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전술한 은폐성이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직물 및 부직포의 경우 원단을 제조한 후에 별도로 다른 종이를 배접해야 하며, 또는 이를 위해 높은 중량의 원단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원가상승의 요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벽지용 원단의 경우 여러 가지 물리적 성질, 즉 열적 안정성, 표면의 평활도 및 통기도 등의 물성이 요구되는데, 열적 안정성이 부족하면 시공후 수축에 의한 이음매가 들어나 보이고, 표면의 평활도가 낮으면 표면 가공시 색상차이가 발생하며, 통기도가 높으면 시공시 도배용 접착제가 표면으로 베어나오고 통기도가 낮으면 시공후 실내외의 기온차이에 의해서 벽에 발생하는 습기의 배출을 차단함으로 곰팡이의 발생 및 벽지가 벽에서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높은 은페성을 갖추고 있어 시공후에도 기존 벽지의 그림 또는 오염물 등이 비춰보이지 않으므로 의장성이 향상되고, 열적 안정성이 높아서 시공후 수축에 따른 이음매의 노출이 발생하지 않고, 표면의 평활도가 높아서 표면가공시 색상차이가 발생치 않으며, 적절한 통기도를 갖추고 있어 시공시 벽지의 후면에 별도의 종이를 배접하지 않고서도 저중량의 백색 또는 밝은색상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시공성을 향상시킨 은페성 벽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나이프코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나이프코팅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수직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롤코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롤코팅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수직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은폐성 벽지용 원단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나이프코팅장치 11 : 코팅롤
12 : 나이프 13 : 페이스트액막이
14 : 코팅층 30 : 롤 코팅장치
31 : 페이스트수용통 32 : 페이스트공급롤
33 : 나이프롤 34 : 나이프
35 : 러버롤 37 : 코팅층
F : 원단 P : 페이스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이, 직물 및 부직포 중 하나의 벽지용 원단에 수용성수지 20중량%∼50중량%, 무기질입자 20중량%∼40중량%, 정포제 1중량%∼6중량%, 습윤제 0.5중량%∼4.0중량%, 안료 0.1중량%∼1중량%, 난연제 7중량%∼20중량%, 기포제 0.5중량%∼2.0중량% 및 물 0∼51.4중량%로 조성되는 화학성분이 코팅된 은폐코팅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성 벽지용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이, 직물 및 부직포 중 하나로 제조되는 벽지용 원단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용성수지 20중량%∼50중량%, 무기질입자 20중량%∼40중량%, 정포제 1중량%∼6중량%, 습윤제 0.5중량%∼4중량%, 안료 0.1중량%∼1중량%, 난연제 7중량%∼20중량%, 기포제 0.5중량%∼2.0중량% 및 물 0∼51.4중량%로 조성되는 화학성분을 상기 벽지용 원단에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성 벽지용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벽지용 원단의 종류는 종이, 직물 또는 부직포인데, 종이는 직물 및 부직포에 비해 밀도가 높기 때문에 은폐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고, 직물 및 부직포는 기존의 종이, PVC벽지에 비하여 우수한 질감으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생산, 가공조건 및 벽지 시공이 까다롭고 비교적 비싼 가격 대문에 대중적으로 확산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직물을 사용할 경우 벽지시공후 측절단부위의 경사와 위사의 올풀림이 발생하여 벽지시공후 이음매가 들어나 보인다는 단점이 있는데 반하여,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중량 및 두께의 조절이 용이하고 직물에 비해 생산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저가의 원단을 만들 수 있으며 섬유를 원료로 사용하므로 보다 뛰어난 질감을 갖기 때문에 벽지용 원단으로는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벽지용 원단의 제조공정은 일반적으로, 선염사가 혼합된 원섬유를 개섬장치에 의해 개섬하고, 이 원섬유를 혼합장치에 의해 부풀리면서 뒤섞고, 이 원섬유를 카딩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뭉쳐진 섬유를 완전히 개섬하여 얇은 시트형상의 섬유층으로 만들고, 이 얇은 시트형상의 섬유층을 성형기에 의해 여러겹으로 겹쳐서 요구하는 중량 및 폭의 섬유층으로 만들고, 이 섬유층을 니들펀칭기에 의해 상기 섬유층 섬유간의 물리적인 교락을 시켜 상기 섬유층의 두께를 얇게 하고 밀도를 높게하여 섬유펠트의 원단을 만들며, 건조기에 의해서 건조한후, 권취기로 권취하는 단계를 거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니들펀칭기로부터 나오는 섬유펠트, 즉 벽지용 원단에 후술하는 화학성분을 화학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화학성분의 코팅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저중량의 원단에 코팅할 경우 코팅면에서 표면으로 화학성분이 베어나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화학성분의 점도가 5,000cp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고점도의 화학성분을 코팅처리 할 때에는 부착량 조절이 용이한 나이프 코팅(KNIFE COATING)방식이 적절하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나이프코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나이프코팅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수직단면도이다.
나이프코팅장치(10)는 상하 서로 대향하여 롤축(11a)에 장착되는 상측 및 하측 코팅롤(11)과, 이 상측 코팅롤(11) 상에 놓여지는 원단(F) 상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되는 나이프(12)와, 이 나이프(12)의 원단공급 측부의 양측단에 소정폭으로 이격되어 각각 부착되어 있는 페이스트액막이(13)로 구성된다.
그 작동을 설명하면, 상측으로부터 화학성분의 페이스트(P)가 코팅롤(11)상에 있는 원단(F)상에 공급되어 페이스트액막이(13)의 내부 길이방향 폭에 골고루 분포된 상태에서, 코팅롤(11)의 회전과 동시에 나이프(12)의 상호 연속작동에 의해 원단(F)에 코팅되는 것이다.
이때 나이프(12)의 경사각도에 따라 코팅부착량이 달라지는데, 나이프(12)의 각도가 수직일 경우가 표준이며, 제2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경사질 경우 페이스트(9)의 부착량이 많아지고, 화살표 B방향을 경사질 경우 페이스트(9)의 부착량이 적어지므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코팅층(14)을 두껍게하고자 할 경우, 제2도의 화살표 C방향인 상측으로 나이프(12)를 올려서 그 부착량을 큰 폭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코팅방식이 롤 코팅(roll coating)방식일 수도 있으며, 제3도는 본발명의 롤코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롤코팅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수직단면도이다.
롤 코팅장치(30)는 페이스트수용통(31)에 담그어져 있는 페이스트공급롤(32)과, 이 페이스트공급롤(32)의 상측에 위치하고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나이프롤(33)과, 이 나이프롤(33)의 원단공급측부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장착된 나이프(34)와, 상기 나이프롤(33)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나이프롤(33)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있는 러버롤(35)로 크게 구성된다. 그 작동을 설명하면, 원단(F)은 원단받침대(36)를 거쳐 러버롤(35)과 나이프롤(33)사이를 통과한다. 이때 페이스트수용통(31)에 수용된 페이스트(P)는 페이스트공급롤(32)이 회전함에 따라 페이스트공급롤(32)의 표면에 묻혀지게 되고, 페이스트공급롤(32)의 상측에 있는 나이프롤(33)이 동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역으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페이스트공급롤(32)의 표면에 묻혀있던 페이스트(P)가 나이프롤(33)의 표면에 운반되어 묻혀진다. 나이프롤(33)상의 페이스트(P)는 나이프(34)에 의해 그 부착량이 조절되어, 레버롤(35)의 가압력에 의해 원단(F)에 코팅되어 코팅층(37)이 형성되면서 원단받침대(38)를 거쳐 은폐성 벽지용원단이 배출되는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은폐성 벽지용 원단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원단의 섬유층(51)의 상측에는 디자인을 인쇄하기 위한 디자인 인쇄층(52)이 적층되어 있고, 하측에는 섬유층(51)의 하측 일부에 침투함과 동시에 하측면 상에 코팅된 코팅층(53)이 전술한 바에 의해 코팅되어 있으며, 코팅시 형성된 미세기공(54) 및 무기질입자(55)가 나타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벽지용 원단 중 하나에 화학성분을 화학코팅하여 은폐코팅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화학성분은 수용성수지가 20중량%∼50중량%, 무기질입자가 20중량%∼40중량%, 정포제가 1중량%∼6중량%, 습윤제가 0.5중량%∼4중량%, 안료가 0.1중량%∼1중량%, 난연제가 7중량%∼20중량, 기포제 0.5중량%∼2.0중량%, 그리고 물이 0∼51.4중량%로 조성된다.
상기 화학성분의 점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5000CP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수지는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수지, PVC수지 및 폴리에스터수지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혼합하며, 이 중에서 열적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는 아크릴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수지의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는 -20℃∼25℃가 적절한데, 유리전이온도가 -20℃이하일 경우에는 벽지의 시공후 벽지표면이 끈적거릴 수가 있고, 25℃이상일 경우에는 벽지의 질감성 또는 인성 (touchness)이 딱딱해져서 벽지의 시공시 벽의 굴곡부위에서 벽지가 꺽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연화점 (softning point)으로서, 수지의 질감성을 좌우하는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무기질입자는 충전제 (filler)로서, 이산화티타늄(TiO2), 탄산칼슘(CaCO3), 규소, 금속 및 석회 등의 무기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산화티타늄 및 탄산칼슘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충전제는 백색이 가장 적절한데, 그 이유는 충전제가 벽지용 원단의 은폐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백색이 아닌 경우 충전제의 색깔이 백색 벽지원단의 백도를 저하시켜서 밝은 색깔의 벽지용 원단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다시말하자면 충전제 입자들이 벽지를 통과하려는 빛을 굴절, 반사 및 차단하여 벽에 남아있는 기존의 벽지 그림이나 오염물 등의 벽지를 통해 비춰보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 상기 기포제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상기 정포제는 바람직하게는 암모늄 스테아르산염(Amonium Stearate)를 사용하며, 이 정포제는 상기 기포제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를 오래동안 유지시켜서 코팅층에 미세기공을 형성하게 해준다.
이 미세기공은 벽지의 시공후 실내외의 기온차이에 의해서 벽에 발생하는 습기를 배출하여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고, 벽지가 벽에서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또한 습윤제는 화학성분중 물과의 부착력을 강하게하여 반응성을 높여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벽지의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난연제를 첨가하는데,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Al(OH)3), 산화안티몬(Sb2Ox)등의 입자상태의 무기화합물이 적절하다. 이렇게 입자상태의 난연제를 사용하면 난연제 입자들이 난연성 뿐만아니라, 빛을 굴절, 반사, 차단시키는 충전제의 역할도 하여 은폐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실시예]
니들펀칭된 100g/m2의 백색 부직포에 표 1의 처방으로 페이스트(PASTE)를 배합하고, 알카리 중점제 및 암모니아로 페이스트의 점도를 11,000 cps로 조정한다.
상기 표 1의 페이스트를 나이프코팅방식으로 코팅처리한다. 이때 부착량은 30g/m2로하여 건조기를 통과시켜서 샘플 1을 얻는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샘플 1의 벽지용 원단을 가지고 후술하는 시험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비교예 1]
[실시예 1]
니들펀칭된 200g/m2의 백색 부직포에 표 2의 처방으로 페이스트를 배합하고, 알카리 중점제 및 암모니아로 페이스트의 점도를 3,000 cps로 조정한다.
상기 표 2의 페이스트를 나이프 코팅방식으로 코팅처리한다. 이때 부착량은 50g/m2로하여, 건조기를 통과시켜서 샘플Ⅲ을 얻는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샘플Ⅲ의 벽지용 원단을 가지고 후술하는 시험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비교예 2]
니들펀칭된 200g/m2의 백색 부직포에 표 2의 처방으로 페이스트를 배합하고, 알카리 중점제 및 암모니아로 페이스트의 점도를 3,000 cps로 조정한다.
상기 표 3의 페이스트를 나이프 코팅방식으로 코팅처리한다. 이때 부착량은 50g/m2로하여, 건조기를 통과시켜서 샘플Ⅲ을 얻는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샘플Ⅲ의 벽지용 원단을 가지고 후술하는 시험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이하에서 전술한 3개의 샘플을 가지고 외관, 중량, 두께, 열적안정성(수축율), 통기성 및 은폐력에 대한 시험방법을 기술한다.
1. 외 관
① 표면형상
부직포의 후면 코팅시 화학거품코팅제가 표면으로 베어나오는 것을 관찰한다.
화학거품코팅제가 표면으로 베어나오지 않고, 전체적인 표면형상이 거칠지않은 것을 양호로 판정하고, 표면형상이 거칠거나 화학거품코팅제가 표면으로 베어나온 것을 불량으로 한다.
② 질감성
부직포를 전폭으로 100cm 채취한 후, 손으로 만져서 끈적거림이 없고 너무 딱딱하지 않은 것을 양호로 판정하고, 표면 TOUCH가 끈적거리거나 딱딱한 것을 불량으로 한다.
2. 중 량
부직포를 평평한 곳에 펼쳐 놓고, 부자연스러운 구김이나 장력이 없도록 하여, 양변으로부터 전체폭의 1/10이상 떨어진 부분에서 가로, 세로 1m의 시험편을 채취하여, 0.01g 까지 측정할 수 있는 디지털 저울로 시험편의 3매(좌, 중, 우)를 측정하여 평균치로 한다.
3. 두 께
다이얼 게이지를 이용하여, 부직포의 폭방향으로 10군데의 두께를 측정하여, 상한치와 하한치를 제외한 평균으로 한다.
4. 열적안정성(수축율)
부직포의 양변으로부터 부직포 전체폭의 2/10 이상 떨어진 곳엣 가로, 세로 30cm의 시험편을 채취하여, 시험편에 가로, 세로 20cm의 정사각형을 그린 다음, 온도 100℃의 열풀 박스에 2분간 넣었다가 꺼낸후, 상온에서 5분간 방치한 다음 상기 정사각형의 가로, 세로 길이를 측정하여 다음의 수식 1에의해 부직포 수축을 구한다.
상기의 방식으로 5군데의 수축율을 측정하여 상한치와 하한치를 제외한 평균치로 한다.
5. 통 기 도
한국공업규격 KS-K-0570의 『직물의 공기투과도 시험방법 ; 프라지어법』으로 통기도를 측정한다.
6. 은폐성
한국공업규격 KS-M-7305에서 규정하는 『벽지의 은폐성 시험』방법으로 은폐력을 측정하여 표 4의 판정기준으로 판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시험 방법에 의한 각 샘플에 대한 시험결과를 다음의 표 5에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은폐성을 갖추고 있어 시공후에도 기존 벽지의 그림 또는 오염물 등이 비춰보이지 않으므로 의장성이 향상되고, 열적안정성이 높아서 시공후 수축에 따른 이음매의 노출이 발생하지 않고, 표면의 평활도가 높아서 표면가공시 색상차이가 발생치 않으며, 적절한 통기도를 갖추고 있어 시공시 벽지의 후면에 별도의 종이를 배접하지 않고서도 저중량의 백색 또는 밝은색상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시공성을 향상시켰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그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법위에 의하여 나타나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8)

  1. 종이, 직물 및 부직포 하나의 벽지용 원단에 수용성수지 20중량%~50중량%, 무기질입자 20중량%~40중량%, 정포제 1중량%~6중량%, 습윤제 0.5중량%~4중량%, 안료 0.1중량%~1중량%, 난연제 7중량%~20중량%, 기포제 0.5중량%~2.0중량% 및 물 0~51.4중량%로 조성되는 화학성분이 코팅된 은폐코팅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성 벽지용 원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성분의 점도가 5000CPS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성 벽지용 원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입자가 이산화티타늄(TiO2), 탄산캄슘(CaCO3), 규소, 금속 및 석회 중 하나 이상을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성 벽지용 원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수지가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수지, 스타일렌수지, PVC수지 및 폴리에스터수지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한 것으로서, 유리전이온도가 -20℃ 내지 25℃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폐성 벽지용 원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포제가 암모늄 스테아르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성 벽지용 원단.
  6. 종이, 직물 및 부직포 중 하나로 제조되는 벽지용 원단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용성수지 20중량%~50중량%, 무기질입자 20중량%~40중량%, 정포제 1중량%~6중량%, 습윤제 0.5중량%~4중량%, 안료 0.1중량%~1중량%, 난연제 7중량%~20중량%, 기포제 0.5중량%~2.0중량% 및 물 0~51.4중량%로 조성되는 화학성분을 상기 벽지용 원단에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성 벽지용 원단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성분의 점도가 5000CPS이상이고, 상기 코팅방식이 나이프 코팅(Knife coating)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성 벽지용 원단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방식이 롤 코팅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성 벽지용 원단 제조방법.
KR1019960064731A 1996-12-12 1996-12-12 은폐성 벽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188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731A KR100188069B1 (ko) 1996-12-12 1996-12-12 은폐성 벽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731A KR100188069B1 (ko) 1996-12-12 1996-12-12 은폐성 벽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398A KR19980046398A (ko) 1998-09-15
KR100188069B1 true KR100188069B1 (ko) 1999-06-01

Family

ID=1948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731A KR100188069B1 (ko) 1996-12-12 1996-12-12 은폐성 벽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87B1 (ko) * 2006-12-22 2008-11-06 동진실업 주식회사 기능성 섬유 벽지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556A (ko) * 2000-07-21 2002-01-31 황경원 자연 소재를 이용하여 난연 벽지를 만드는 방법
KR20030011432A (ko) * 2001-08-02 2003-02-11 박철우 도료조성물
KR101402742B1 (ko) * 2012-11-29 2014-06-0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원단의 평탄화를 위한 코팅조성물,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및 코팅원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87B1 (ko) * 2006-12-22 2008-11-06 동진실업 주식회사 기능성 섬유 벽지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398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2342A (en) Foam coated ceiling board fac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618522A (en) Organosiloxane fabric coating compositions
US4677016A (en) Foam coated fabrics
US4320163A (en) Three-dimensional ceiling board facing
WO2001000406A1 (en) Decorative floor covering compris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layer in surfac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050215147A1 (en) Sunscreen fabric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534298A (en) Stiff fabric and method of forming the stiff fabric
CN101122164A (zh) 具有水性底涂层的合成非织造壁布
JPH06272175A (ja) 低燃性カーペット床材
KR100188069B1 (ko) 은폐성 벽지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N101596832B (zh) 一种环保型涂刮画布及其制备方法
KR101246736B1 (ko) 수성발포벽지 및 그 제조방법
WO2006087426A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rier substrate for cv flooring, a carrier substrate for cv flooring and cv flooring
US3666522A (en) Flameproof fabric construction
US6759116B2 (en) Volumetric effect glass fiber wallcoverings
KR19980046399A (ko) 기능성 부직포 벽지 및 그 제조방법
US4433022A (en) Three-dimensional ceiling board facing
CN204825470U (zh) 一种纺织夹黑双面喷布
JP4224861B2 (ja) 布化粧紙
US20030096058A1 (en) Design effect fiberglass wallcoverings
CN113373703B (zh) 一种墙面装饰用无纺材料
JPH09310280A (ja) 防炎メッシュシート
KR0142236B1 (ko) 폐면포를 이용한 내장재
JPH0369532A (ja) メッシュスクリーン
CN218710130U (zh) 一种用于装饰墙壁的人造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