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886B1 - 절삭브레이드를 가지는 모따기 공구 - Google Patents

절삭브레이드를 가지는 모따기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886B1
KR100187886B1 KR1019890017066A KR890017066A KR100187886B1 KR 100187886 B1 KR100187886 B1 KR 100187886B1 KR 1019890017066 A KR1019890017066 A KR 1019890017066A KR 890017066 A KR890017066 A KR 890017066A KR 100187886 B1 KR100187886 B1 KR 100187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sliding surface
angle
tool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7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533A (ko
Inventor
호일레 하인리히
Original Assignee
호일레 하인리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일레 하인리히 filed Critical 호일레 하인리히
Publication of KR90000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10Bits for counters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10Bits for countersinking
    • B23B51/102Back spot-facing or chamf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S408/714Resilient tool or tool-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3Tool-support with means to move Tool relative to tool-support
    • Y10T408/85Tool-support with means to move Tool relative to tool-support to move radi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3Tool-support with means to move Tool relative to tool-support
    • Y10T408/85Tool-support with means to move Tool relative to tool-support to move radially
    • Y10T408/858Moving means including wedge, screw or cam
    • Y10T408/8583Moving means including wedge, screw or cam with resiliently urged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9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Broaching, Filing, Reaming, And Others (AREA)
  • Drilling Tool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Kniv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모따기 공구는 구멍의 비어제거 및 모따기를 위하여 공구의 수취부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절삭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절삭블레이드는 전방의 비절삭 단부 활주곡면과 그 단부 활주곡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지는 길이 방향 측면을 구비하는 4각 형상이다. 적어도 하나의 축면은 단부 활주곡면으로부터 제1각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비절삭 활주면과, 활주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상이한 제2각으로 연장되는 절삭면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절삭블레이드를 가지는 모따기 공구
제1도는 모따기 공구로써 각각 버어제거 또는 모따기하여야 할 이중으로된 통공의 단면도이며,
제2도는 작업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형태에 따르는, 제1도에 도시된 통공을 버어제거 또는 모따기 작업을 하도록 날이 연마된 절삭블레이드를 가지는 모따기 공구를 나타내며,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에 따르는 단면도이며,
제4도는 절삭블레이드의 사시도이며,
제5도는 제2도 내지 제4도의 절삭블레이드의 측면도이며,
제6도는 제5도의 화살표 6의 방향에서 본 제5도의 절삭블레이드의 정면도이며,
제7도는 제5도의 화살표 7의 방향으로 본 제5도의 절삭블레이드의 평면도이며,
제8도는 가공작업이 시작되는 초기위치 및 제 모따기부의 형성 후의 위치에 있는, 제2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절삭블레이드를 구비한 공구헤드(Tool Head)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9 : 절삭블레이드 13 : 절삭날
14 : 비절삭 활주면 17 : 절삭편 안내날
20 : 비절삭 활주곡면 23 : 스프링
24,25 : 핀 27,28 : 홈
34 : 공구이송방향 또는 수직방향
본 발명은 1개 또는 다수개의 절삭날로써 구멍의 버어제거 및 통공의 양단에 모따기를 하기 위한, 구멍으로부터 재료를 깎아내는 테이퍼 절삭날을 구비하는 사각단면의 절삭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삭공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절삭날은 아래쪽이 파이고(undercut) 날카롭게 다듬어진 구속되지 않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절삭블레이드는 그 전단부에 구멍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면을 갖는다.
상기한 유형의 절삭블레이드는 본 출원인의 미국특허 제4,140,432 호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통공의 양 단부에 정확하게 지정된 크기로 정확한 위치에 모따기를 하는 것이다.
구멍의 버어제거 또는 모따기를 하기 위한 이러한 유형의 절삭블레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쌍으로 사용되며, 이 경우 상기 절삭블레이드는 반경방향으로 외부로 돌출되는 원추형의 절삭날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회전공구 홀더(Tool Holder)내의 4각형 형상의 수납 공간내(수취부)에 배치된다.
절삭블레이드는 공구 홀더 내부에 배열된 스프링에 의하여 핀들을 사용하여 축 위에서 외측을 향하여 힘을 받으며, 여기서 각 핀들은 절삭브레이드의 각각의 홈에 물려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절삭블레이드는 반경방향에서 동일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휴지상태에서 절삭블레이드는 스프링력의 작용하에 반경방향으로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통공의 버어를 제거하거나 모따기 작업을 할 때에는 절삭블레이드는 공구 홀더내의 비절삭위치에 대응하는 통공의 내면에 도달한 때까지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점진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이동한다. 이는 공구 홀더의 이송 그리고 공구 홀더가 구멍 내로 이송될 때 절삭블레이드들을 점진적으로 안쪽으로 누르도록 작용하는 절삭날의 원추형의 형상 때문이다.
절삭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공구 홀더는 다음에 역방향의 이송으로써 통공 후방의 가장자리를 가공하기 위하여 통공을 통과하도록 구동된다.
절삭블레이드는 또한 반대쪽 단부에 하나의 추가적인 절삭날을 가지며, 이로써 통공을 통과한 후에 동일한 절삭 과정으로써 그러나 역의 이송방향으로 통공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버어제거되고 모따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공지된 모따기 공구들 또는 절삭공구들을 가지고는 매우 높은 정확도로 모따기부를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며, 특히 연한 재질에 있어서 그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공의 전방측은 물론 후방측에서도 지정된 크기의 모따기부들이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한 모따기 공구를 추가적으로 개량하는 과제를 기초로 하고 있다.
이제까지는 연한 재료에서 정확하게 지정된 크기로 모따기부를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연한 재료들, 특히 딥 드로잉(deep drawing) 또는 성형가공을 위한 판금, 구리, 금 또는 다른 연한 합금과 같은 연한 금속들은 통공들 내에 정확하게 지정된 크기를 가지는 모따기부를 절삭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재료가 대단히 연한 경우 기존의 절삭공구들의 절삭블레이드는 지나치게 적극적으로 작동하고 이에 상응하여 다량의 절삭편(shavings)이 통공의 가장자리들로부터 제거되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제까지는 다만 통공의 종방향을 따라 절삭공구의 이송을 세밀하게 제어하여 구멍의 가장자리들에 대한 절삭블레이드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금속들의 절삭제어를 시도할 수 있었고 깨끗하고 평탄한 모따기부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종종 불충분한 것이었다. 특히 양 모따기부의 형태와 상태가 동일하다는 보장을 할 수 없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라서, 바깥쪽 전방 단부의 비절삭 반경방향 접촉면 또는 활주곡면 (20)과, 절삭블레이드의 적어도 한 측면에 상기 바깥쪽 접촉면으로부터 제1각 (33)으로 후방으로 뻗어있는 비절삭 활주면 (14)과 그리고 상기 활주면 (14)으로부터 제1각 (33)과는 상이한 제2각으로 후방으로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날 (13)로 구성된,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모따기 공구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요점은 절삭날 (13)이 직접적으로 절삭블레이드의 전방에 형성된 접촉면 또는 활주곡면 (20)으로 연장되지는 않고 상기 활주곡면 (20)과 절삭날 (13)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활주면 (14)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상기 활주면 (14)은 절삭하지 않고 다만 마끄러지기만 한다.
절삭날과 전방의 활주곡면 사이에 활주면을 배치하는 것은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연한 재료에서 ±0.0005㎜의 허용오차까지 정확하게 지정된 크기의 모따기부를 반복하여 형성하는 것이 처음으로 가능해진다.
절삭깊이, 모따기부의 각도 및 형태는 명백하게 절삭날 및 절삭날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활주면과의 결합에 의하여 결정된다.
통공으로의 절삭공구의 진입시에 절삭날들을 먼저 통공의 상부가장자리와 접축하게 되고 그리고 재료를 제거한다. 이 과정에서 미리 지정된 깊이의 절삭을 한 후, 절삭날로부터 상기 절삭날에 대해 소정의 각을 갖는 비절삭 활주면으로의 전환에 의하여 제어됨으로써, 절삭날은 자동적으로 구멍으로부터 벗어나며 공구 홀더가 구멍을 따라 진행함에 따라 구멍의 내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된다.
절삭날은 바깥쪽 단부면 또는 공구이송방향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90°의 고정각을 이루며, 반면 활주면은 보다 작은 각(공구이송방향 즉,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각도를 계산하면)을 갖는다. 이 경우 활주면의 보다 작은 각은 통공의 수평축에 대한 모따기부의 각도를 결정하며 (제5도와 제8도에서 도면부호33을 비교), 따라서 재료의 제거는 절삭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이루어진다.
절삭블레이드의 바깥쪽 단부로부터 절삭날로의 전환부까지의 거리가 정확하게 요구되는 절삭직경을 결정하므로, 공구헤드(Tool Head)상의 서로 대향하는 양 절삭블레이드의 절삭날은 절삭을 정확하게 치수에 따라 수행한다. 그러므로 모따기부가 정확하게 결정되어진다. 따라서, 공구가 이송방향에서 더 통공 안으로 들어가도 재료가 더 제거되지는 않는다.
활주면과 그리고 그에 인접하며 구멍 벽면에 접촉하고 있는 각 블레이드의 전방 활주곡면은 반경방향에서 외측으로 블레이드들을 밀어내고 있는 스프링력의 작용 하에 블레이드들을 공구헤드의 수취부 내에 있도록 유지한다.
절삭공구의 추가적인 이송은 가공하고자 하는 재료 내에 있는 통공의 반대쪽 단부 쪽에서 공구헤드를 밖으로 나오게 하며, 전술한 것과 동일한 과정이 반복되고, 다만 이송방향이 반대로 된다. 이는 통공으로부터 공구해드가 나오는 경우에 절삭블레이드들은 스프링력에 의하여 그들의 최초위치로 바깥쪽으로 밀려나오게 됨을 의미한다. 공구헤드가 반대방향으로 구멍 안쪽으로 이송되는 경우, 절삭블레이드의 제1측면상의 대응하는 절삭날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절삭블레이드의 반대쪽 측면상의 절삭날과 활주면을 수단으로 하여 재료의 후방에서의 절삭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요점은 기존의 절삭날과 그리고 여기에 인접하며 절삭날과 블레이드 앞면의 활주곡면 또는 접촉면 사이에 위치하는 활주면과의 조합에 있다. 활주면 자체는 절삭기로서 작용하지 않는다.
절삭블레이드는 공구헤드내에 조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 블레이드의 상부 및 하부측에 요구되는 절삭각으로 설정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비절삭 활주면과 절삭날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설계에서 수직축 또는 공구헤드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블레이드의 절삭날은 약 45°로부터 90°의 각을 가지며 활주면은 약 40°의 각을 갖는다.
절삭날의 각과 비절삭 활주면의 각이 5°내외의 각도차가 바람직한데, 이는 절삭날이 활주면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용이하게 절삭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활주면이 원추형이 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절삭날이 통공 내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설계는 공구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재료를 제거하는 절삭날을 제공한다. 이 경우 통공의 절삭될 모따기부의 수평축에 대한 각과 형상은 오직 수직축에 대한 활주면의 배치에 의하여, 또는 활주면의 형상에 의하여 결정된다. 형성된 모따기부와 접촉하고 있는 활주면은 공구헤드가 구멍을 통과할 때 스프링에 의하여 힘을 받고 있는 절삭블레이드를 압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절삭블레이드의 설계는 절삭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절삭블레이드의 절삭날의 배열과 수직축에 대하여 직각이 아닌 임의의 보다 작은 각을 갖는 활주면의 배열을 제공한다. 활주면은 직선형, 볼록형, 오목형 또는 불규칙한 곡면의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헝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같은 참조번호는 같은 부품을 나타낸다.
제2도는 본 출원인에 의한 미국특허 제4,140,432호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공구헤드를 갖는 절삭공구를 도시하며,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상기 공구헤드는 횡방향의 수취부(11)을 가지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형태에 따르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절삭블레이드(8), (9)는 대향하는 축방향에서 제2도의 화살표(21)에 의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취부(11)의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미끄럼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블레이드 (8), (9)는 공구헤드(1)의 중심축 구멍(50)내에 위치한 압축 또는 비틀림 스프링(23)에 의하여 화살표(21)의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편심된다.
상기 스프링(23)은 그 하단부에서 돌출하여 각각의 절삭블레이드(8), (9)의 횡방향 홈(27), (28)과 맞물리는 한 쌍의 핀(24), (25)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3도의 화살표(29) 방향으로의 스프링(23)의 회전은 상기 절삭블레이드들(8), (9)을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절삭블레이드(8), (9)가 안쪽으로 눌리는 경우에는, 스프링(23)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고 압축되거나 부하가 걸리게 된다. 편심된 멈춤기구 또는 나사(도시하지 않음)는 구멍(50) 내부로 돌출되어 두 핀 중의 하나인(24)와 맞물리고 지정된 위치에서 멈추게 하며, 절삭블레이드(8), (9)가 수취부(11)로부터 바깥쪽으로 움직이는 거리를 조정한다. 이 거리는 상기 나사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조정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으며, 절삭 직경(30)을 조정한다(제2도 참조).
제2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바람직한 구현형태에 따르는 절삭블레이드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대향위치에 있는 절삭블레이드는 동일하므로 명확함을 위하여 제4도 내지 제7도에서는 단지 하나의 절삭블레이드만이 도시되었다.
당연히 절삭공구 내에서 하나의 절삭블레이드만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절삭블레이드(8), (9)는 상부 및 하부 수평지지면(10)을 가지며, 상기 수취부(11)의 대응하는 상부 및 하부 수평면 사이에서 작은 간극을 가지고 활주한다. 상부 및 하부 절삭날(13)은 각 수평지지면(10)의 최외곽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절삭블레이드(8), (9)는 그 바깥쪽 단부에 공구헤드(1)의 이송방향과 대체로 평행하며 활주가 이루어지고 절삭작업을 하지 않는 면인 활주곡면(20)을 구비한다. 추가적인 비절삭 활주면(14)이 단부 활주곡면(20)과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절삭날(13) 사이에서 소정의 각을 가지고 뻗어 있다. 상부 및 하부 절삭날(13)은 블레이드 중심축(36)에 대하여 대칭이다.
도시된 구현형태에서, 절삭날(13)은 수평이다. 즉, 수직방향 또는 구멍(2)를 통과하는 공구의 이송방향(34)에 대하여 90°(19)이다. 활주면(14)는 수직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제1각(33)을 갖는다. 절삭날(13)은 다른 구현형태에서는 상이한 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1각(33)은 절삭날(13)의 각(공구의 이송방향 즉,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90°)보다 작아야 한다. 이에 의하여 활주면 (14)은 또한 더 큰 곡률(원추형상에 보다 근접)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절삭블레이드 (8), (9)가 통공(2) 내부에 위치할 때에 그것들을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비틀림 스프링(23)의 압력에 대항하여 수취부(11)를 통과하여 공구 몸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예를 들어 통공의 직경(35)가 12㎜일 때 직경이 12.4㎜이고 지정된 각이 45°라는 경우와 같이 정확하게 지정된 모따기부(4)내지 (7)을 절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절삭블레이드(8), (9)의 외향으로의 움직임을 한계짓는 스프링(23)의 회전각의 제한에 기인하는 것이다.
절삭날(13)의 작용은 정확하게 제한되는데, 이는 비절삭 활주면(14)가 절삭날(13)의 앞쪽으로부터 연장되어 비절삭 활주곡면(20)으로 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절삭블레이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이 기술된다.
공구이송방향(34)에 대하여 수직인 수평 절삭날(13)을 갖는 블레이드는, 통공(2)의 수평축에 대하여 임의의 가능한 각을 갖는 직선형의 모따기부 뿐만 아니라 곡선형의, 즉 오목형, 볼록형 또는 다른 임의의 형태의 곡선형으로 절삭된 모따기부를 실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하여, 모따기부는 이제 활주면(14)의 형상에 따라 거의 모든 유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활주면은 이제 볼록형, 오목형 또는 불규칙한 형상의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공정은 언제나 직선형의 수평 절삭날(13)으로부터 시작되며 다만 활주면(14)(제5도 및 제7도 참조)은 모따기부의 요구되는 형상에 따라 조정된다. 본 설계에 의한 절삭블레이드의 경우에 상기한 제1각(33) 및 활주면(14)의 성형은 따라서 절삭되는 각도와 모따기부의 형상을 결정한다.
제5도는 활주면(14)의 가능한 성형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보여주고 있다. 직선형의 활주면(14)외에도, 오목한 활주면(14')또는 볼록한 활주면(14)이 제공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이는 제1도에서의 직선형 모따기부(4),(5) 대신에, 제5도에서 파선 (4'),(4)로 도시된 것과 같이 작업물 상에 각각의 활주면 (14')(14)의 거울 대칭인 곡선형 모따기부(4'), (4)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이는 모따기부(4), (5)가 절삭블레이드 (8), (9)의 활주면(14)의 형상의 거울상처럼 작업물의 구멍 내에 절삭되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절삭날(13)은 제5도 및 제8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즉, 공구의 이송방향 또는 수직방향(34)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러한 설계를 위하여 절삭날(13)을 수평으로 배치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절삭날(13)은 수평에서 임의의 각까지 어떠한 각이라도 될 수 있다. 그러나, 그 각은 수평으로부터 지나치게 편이되지 않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절삭날(13)의 형상 그 자체가 모따기부의 형상을 조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4도 내지 제7도에 따르는 절삭블레이드 (8), (9)가 수평 절삭날(13)으로부터 시작하여 활주곡면(20)까지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 비절삭 활주면(14)을 구비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이 활주면(14)은 제5도에 도시된 선택 가능한 활주면(14'), (14)로써 예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넓은 선택범위 내에서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질 수 있다.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활주면(14)는 활주곡면(20)으로 연장되며, 활주곡면은 수직방향(34)과 평행하다.
절삭날(13)으로부터 활주면(14)로의 전환은 위치(22)에서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결과적으로 원추형의 모따기부를 형성시킨다는 것이 제4도 내지 제7도로부터 명백하다.
절삭날(13)은 정의 연마면(positive polished surface) 그리고 따라서 정의 연마부를 가지며 한편 활주면 (14), (14') 및 (14)는 절삭작용을 피하기 위하여 부의 연마면을 갖는다.
절삭편 안내홈 또는 안내면(12)가 절삭날로부터 절삭편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 절삭날(13) 사이에 배치된다. 절삭편 안내날(17)은 궁형의 선을 이루는 곡선이며, 곡률반경은 넓은 범위에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절삭편 안내홈(12)의 곡률반경이 작을수록 절삭블레이드의 절삭작용은 더 예리하고 적극적으로 된다.
제6도는 또한 여유각면(42)가 절삭편 안내홈(12)로부터 연장되며, 절삭블레이드의 전면에서 앞쪽으로 기울어져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이 여유각면은 수평에 대하여 각(41)을 가짐이 도시되어 있다.
제8도는 본 절삭블레이드가 구멍으로부터 재료를 제거하는 작동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수평 절삭효과는 절삭면 내에서 절삭날(13)으로써 달성되며, 이러한 공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따기부의 형상은 임의의 각을 갖는 곡면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활주면(14)의 형상에 의존한다. 공구헤드가 절삭물의 통공(2)내로 압입되는 경우, 절삭날(13)은 절삭날(13)과 활주면(14) 사이에 위치한 전환부(22)에서 먼저 통공의 상부와 접촉한다. 다음으로 재료의 절삭이 절삭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진행되며, 절삭된 면(4)의 형상과 각은 활주면(14)의 형상과 각에 의하여 결정된다. 절삭블레이드는 공구헤드가 구멍의 내부로 이송하여 들어감에 따라 공구헤드내로 눌리어진다. 일단 전환부(22)가 모따기부의 하단부에 도달하면, 절삭날(13)은 완전히 후퇴하며 추가적인 절삭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멍(2)의 벽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된다. 절삭부의 최대직경(30)은 비절삭 활주면(14)과 절삭날(13) 사이의 전환부(22)를 정의한다. 단부 활주곡면(20)과 전환부(22) 사이의 거리는 모따기부의 깊이를 조절한다. 모따기부가 절삭된 후, 절삭날(13)은 구속이 풀리고 공구헤드내(1)로 후퇴하며, 공구헤드(1)는 구멍을 계속 통과하여 그 반대쪽으로 나온다. 모따기부(5)는 공구헤드(1)의 이송방향을 전환하여 구멍(2)를 통하여 위쪽으로 귀환이송시킴으로써 동일한 방법으로 가공되며, 상부 절삭날이 모따기부를 형성한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형태가 단지 실시예를 수단으로 하여 상술되었으나,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의되는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개시된 구현형태에 대하여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하여 이해될 것이다.

Claims (11)

  1. 전방 축방향 단부를 구비한 4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절삭블레이드와; 상기 절삭블레이드를 장착하기 위한 공구이송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수취부를 구비하며 공구이송방향으로의 이송을 위하여 장착된 회전가능한 공구 홀더와; 상기 수취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치된 비절삭 축방향 단부 활주곡면(20)을 포함하는 상기 절삭블레이드의 전방 축방향 단부와; 상기 축방향 단부 활주곡면(20)에 대하여 제1각(33)으로 상기 축방향 단부 활주곡면(20)으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있는 비절삭 활주면(14)과, 상기 비절삭 활주면(14)으로부터 제2의 상이한 각으로 후방으로 뻗어 있는 절삭날(13)을 구비하는 상기 절삭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공의 모따기를 위한 모따기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블레이드(8), (9)는 절삭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의 절삭을 위한 절삭날(13)을 구비하며, 상기 절삭날(13)은 상기 공구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각이며, 그리고 활주면(14)은 상기 공구이송방향에 대하여 30°내지 50°범위의 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 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활주면(14)은 절삭날(13)의 한쪽 끝에서 시작되어 직선으로 상기 절삭날(13)로부터 절삭블레이드(8), (9)의 축방향 단부 활주곡면(20)까지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 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면은 편편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 공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시 활주면(14)은 볼록한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 공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면(14')은 오목한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 공구.
  7. 제1항에 있어서, 곡선형의 안쪽 단부를 구비한 상기 절삭날(13)에 인접하는 절삭편 안내홈(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따기 공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블레이드(8), (9)는 상기 제2각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절삭날(13)과 상기 제1각(33)으로 각각의 절삭날(13)의 단부로부터 상기 축방향 단부 활주곡면(20)까지 이어지는 비절삭 활주면(14)을 구비하는 모따기 공구.
  9.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축에 대하여 수직인 전방 단부 활주곡면과; 상기 전방 단부 활주곡면으로 후방으로 이어지는 길이방향 축면부와; 상기 전방 단부 활주곡면에 대하여 제1각으로 상기 전방 단부 활주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비절삭 활주면 및 상기 전방 단부 활주곡면에 대하여 상기 제1각과는 상이한 제2각으로 활주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절삭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하나 이상의 상기 측면부를 구비하는 구멍의 모따기를 위한 절삭블레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각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블레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은 30°내지 50°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블레이드.
KR1019890017066A 1988-11-23 1989-11-23 절삭브레이드를 가지는 모따기 공구 KR100187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839423A DE3839423A1 (de) 1988-11-23 1988-11-23 Entgratwerkzeug mit schneidmesser
DEP3839423.5 1988-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533A KR900007533A (ko) 1990-06-01
KR100187886B1 true KR100187886B1 (ko) 1999-06-01

Family

ID=636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7066A KR100187886B1 (ko) 1988-11-23 1989-11-23 절삭브레이드를 가지는 모따기 공구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181810A (ko)
EP (1) EP0370210B1 (ko)
JP (1) JP2648823B2 (ko)
KR (1) KR100187886B1 (ko)
CN (1) CN1018530B (ko)
AT (1) ATE83959T1 (ko)
CA (1) CA2003735C (ko)
DD (1) DD293522A5 (ko)
DE (2) DE3839423A1 (ko)
ES (1) ES2037929T3 (ko)
HU (1) HUT55664A (ko)
PL (1) PL161732B1 (ko)
PT (1) PT92380B (ko)
RU (1) RU1807916C (ko)
YU (1) YU2227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1233B2 (en) 2009-08-28 2014-05-13 Cogsdill Tool Products, Inc. Deburring to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7525A (en) * 1994-03-10 1995-05-23 Barnes International, Inc. Deburring attachment for a honing tool
US5803679A (en) * 1996-07-09 1998-09-08 Heule; Ulf H. Deburring tool for deburring the edges of boreholes
FR2750905B1 (fr) * 1996-07-11 1998-09-18 Snecma Outil et procede d'ebavurage d'un bord de percage oppose a l'outil
DE10023535A1 (de) * 2000-05-13 2001-11-15 Ecoroll Ag Schälkopf und Verfahren zum Ausschälen von Zylindern, Zylinderrohren u. dgl.
US7311137B2 (en) * 2002-06-10 2007-12-25 Wolverine Tube, Inc. Heat transfer tube including enhanced heat transfer surfaces
ES2292991T3 (es) * 2002-06-10 2008-03-16 Wolverine Tube Inc. Tubo de transparencia de calor y metodo y herramienta para su fabricacion.
US8573022B2 (en) * 2002-06-10 2013-11-05 Wieland-Werke Ag Method for making enhanced heat transfer surfaces
US6869257B2 (en) * 2002-11-26 2005-03-22 Means Industries, Inc. Method for deburring and tool for use therein
US20060112535A1 (en) * 2004-05-13 2006-06-01 Petur Thors Retractable finning tool and method of using
IL158497A (en) * 2003-10-20 2008-03-20 Gil Hecht A tool for removing scratches and cutting for it
DE102004014659A1 (de) 2004-03-25 2005-10-13 Heule Werkzeug Ag Entgratmesser zum Entgraten von Bohrungsrändern
JP4928445B2 (ja) * 2004-05-13 2012-05-09 ウォルベリン チューブ,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格納式のフィン付け工具及びその使用方法
DE102004054989A1 (de) * 2004-11-13 2006-05-18 Heule, Ulf Entgratwerkzeug zum Entgraten kleiner Bohrungsdruchmesser
IL166007A (en) * 2004-12-27 2009-02-11 Iscar Ltd Scraping tool and cutting tool for it
IL167179A (en) * 2005-03-01 2009-07-20 Iscar Ltd A tool for removing scratches and cutting for it
EP1866119B1 (en) * 2005-03-25 2012-06-27 Wolverine Tube, Inc. Tool for making enhanced heat transfer surfaces
DE102006014135A1 (de) * 2006-03-28 2007-10-04 Heule, Ulf Entgratmesser für ein Entgratwerkzeug
EP2114604B1 (de) * 2007-01-08 2020-07-01 Hans-Michael Beier Entgratwerkzeug
DE102008025642A1 (de) * 2008-05-28 2009-12-03 Heule, Ulf Entgratwerkzeug zum Entgraten von Bohrungen
US8292553B2 (en) * 2008-06-06 2012-10-23 E-Z Burr Tool Company Deburring tool and cutting insert
DE102009005275A1 (de) * 2009-01-20 2010-07-22 Heule, Ulf Schneidmesser für spanabhebende Schneidwerkzeuge mit Bruchkerbe
US9266178B2 (en) 2010-01-07 2016-02-23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having rotary input control
US9475180B2 (en) 2010-01-07 2016-10-25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having rotary input control
CN102975018A (zh) * 2011-09-07 2013-03-20 于君琴 倒角用刀具
DE102011082979A1 (de) * 2011-09-19 2013-03-21 Komet Group Gmbh Reibwerkzeu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12005246A1 (de) * 2012-03-14 2013-09-19 Ulf Heule Entgratwerkzeug zur Entgratung von insbesondere unrunden Ausnehmungen in Werkstücken
EP2671656B1 (de) * 2012-06-09 2018-11-07 Heule Werkzeug AG Entgratwerkzeug zum entgraten von bohrungsrändern
CN102848023B (zh) * 2012-08-10 2014-06-25 加西贝拉压缩机有限公司 一种冰箱压缩机活塞的内腔倒角装置
CN103495752B (zh) * 2013-09-29 2016-02-10 上海中船三井造船柴油机有限公司 一种用于加工机架轴头孔的刀具及方法
CN104400036B (zh) * 2014-10-28 2017-05-10 芜湖世特瑞转向系统有限公司 倒角成型刀具及其成型工艺
DE102015102874A1 (de) * 2015-02-27 2016-09-01 Hans-Michael Beier Zerspanungswerkzeug
JPWO2021054153A1 (ko) * 2019-09-17 2021-03-25
CN111001831A (zh) * 2019-12-23 2020-04-1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正反向去毛刺倒角刀
CN213104531U (zh) * 2020-08-31 2021-05-04 西峡县飞龙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双角度倒角刀的工具
EP4015121A1 (de) * 2020-12-18 2022-06-22 HEULE Werkzeug AG Druckmittelgesteuertes senkwerkzeug mit messer-zentrierung
CN112846410A (zh) * 2021-02-22 2021-05-28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孔倒角加工装置
KR20240026225A (ko) 2021-06-30 2024-02-27 허윌레 베르크쩌윅 아게 홀들의 에지들을 디버링하기 위한 디버링 블레이드를 갖는 디버링 툴
US20230173589A1 (en) * 2021-12-03 2023-06-08 Howmet Aerospace Inc. Blind fasten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4084A (en) * 1941-08-06 1943-03-16 Fried Armin Tool for chamfering, recessing, and the like
GB700971A (en) * 1949-03-07 1953-12-16 Samuel Osborn & Company Ltd Improved reamer or boring bar
US3783426A (en) * 1973-01-09 1974-01-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al inductive apparatus having rigid foam supporting members and methods of providing same
DE2407269C3 (de) * 1974-02-15 1980-05-22 Madison Industries Gmbh, 6078 Neu Isenburg Werkzeug zum beidseitigen Entgraten bzw. Anfasen der Kanten von Durchgangsbohrungen
DE2525872B2 (de) * 1975-06-10 1979-01-11 Gebr. Heule Ag, Balgach, St. Gallen (Schweiz) Entgratwerkzeug zur spanabhebenden Bearbeitung des Öffnungsrandes von Bohrungen
DE2649208C3 (de) * 1976-10-28 1980-01-03 Heinrich Au Heule (Schweiz) Werkzeug zum beidseitigen Entgraten der Kanten von Durchgangsbohrungen
DE2852209C2 (de) * 1978-12-02 1982-11-25 Hermann Bilz Gmbh & Co, 7300 Esslingen Senkwerkzeug
US4545711A (en) * 1982-03-09 1985-10-08 The Babcock & Wilcox Company Tool using replaceable bits
DE3321111C2 (de) * 1983-06-10 1986-10-30 Heinrich Balgach Heule Senkwerkzeug
US4571129A (en) * 1984-11-13 1986-02-18 Erickson Tool Company Mandrel assembly
DE3505084A1 (de) * 1985-02-14 1986-08-14 Heinrich Balgach Heule Entgratwerkzeug zur entgratung von bohrungsraendern von gewoelbten oder schraegen werkstuecksoberflaechen
JPH0137854Y2 (ko) * 1985-12-10 1989-11-14
DE8717548U1 (ko) * 1987-05-21 1989-03-09 Heule, Heinrich, Balgach, Ch
DE3832547A1 (de) * 1988-09-24 1990-04-05 Mapal Fab Praezision Messerplatte fuer die praezisionsbearbeitung insbesondere von bohrun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1233B2 (en) 2009-08-28 2014-05-13 Cogsdill Tool Products, Inc. Deburr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70210B1 (de) 1992-12-30
JP2648823B2 (ja) 1997-09-03
DE3839423A1 (de) 1990-05-31
CN1043101A (zh) 1990-06-20
EP0370210A2 (de) 1990-05-30
CN1018530B (zh) 1992-10-07
DD293522A5 (de) 1991-09-05
ATE83959T1 (de) 1993-01-15
HU896146D0 (en) 1990-02-28
CA2003735C (en) 2000-01-11
CA2003735A1 (en) 1990-05-23
PL161732B1 (pl) 1993-07-30
ES2037929T3 (es) 1993-07-01
JPH02172612A (ja) 1990-07-04
US5181810A (en) 1993-01-26
KR900007533A (ko) 1990-06-01
RU1807916C (ru) 1993-04-07
HUT55664A (en) 1991-06-28
YU222789A (sh) 1993-10-20
EP0370210A3 (de) 1991-01-02
DE58903173D1 (de) 1993-02-11
PT92380B (pt) 1995-09-12
PT92380A (pt) 199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7886B1 (ko) 절삭브레이드를 가지는 모따기 공구
US5704736A (en) Dove-tail end mill having replaceable cutter inserts
KR101005218B1 (ko) 파이프 단부의 마감가공용 공구
JPH0553561B2 (ko)
CN107614165B (zh) 切削刀具
KR20060040699A (ko) 회전 절삭 공구용 절삭 헤드
KR19980703481A (ko) 파이프 절단 및 쳄퍼링 배열 장치
JP2001503683A (ja) 切粉を除去する機械加工用の工具
US7273334B2 (en) Deburring cutter for deburring edges of drilled holes
US7600951B2 (en) Quick change holder for cutting tool
JPS63300810A (ja) 穴のバリ取り用切削刃物
US6533505B1 (en) Deburring tool
US2703996A (en) Chatterless deburring tool
US3656859A (en) Reamer with reversible blade
WO2017135291A1 (ja) 刃先交換式バイト用ホルダ
EP0042444A1 (en) Cutting blade assembly for a power planer
JP4814633B2 (ja) ホルダ、チップおよび切削工具
KR102120631B1 (ko) 스레드 훨링 가공용의 절삭공구 및 절삭 인서트
US3363485A (en) Boring cutter notch
RU2765156C2 (ru) Отрезная вста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с большой подачей для операций отрезания малой ширины
US3713194A (en) Milling cutter for machining ships propellers and the like
US3303862A (en) Routing tool
RU193161U1 (ru) Расточной инструмент
JP3540153B2 (ja) 穴明け工具および穴明け加工方法
JPH11320217A (ja) 内径加工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