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086B1 -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 - Google Patents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086B1
KR100187086B1 KR1019960047247A KR19960047247A KR100187086B1 KR 100187086 B1 KR100187086 B1 KR 100187086B1 KR 1019960047247 A KR1019960047247 A KR 1019960047247A KR 19960047247 A KR19960047247 A KR 19960047247A KR 100187086 B1 KR100187086 B1 KR 100187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safety block
oil
box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249A (ko
Inventor
영 해 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47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7086B1/ko
Publication of KR19980028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0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045Levelling or stabilising systems for t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60P1/16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the hydraulic system itse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트럭의 적재함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정비나 세차를 수행할 때, 적재함이 임의로 하강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블록을 수동으로 조작하여야 하므로 여러가지 문제가 있어 이를 개선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체프레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승된 적재함(8)을 지지하는 안전블록유닛(1')과, 상치 차체프레임(7)의 일측에 설치되어 안전블록(4,4')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구동유닛(20)과, 상기 유압구동유닛(30)의 유압로드(36)와 연동되어 안전블록(4,4')을 승강시키는 크랭크부(10)와, 상기 유압구동유닛(2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스위치(TS)와, 상기 적재함(8)의 상승을 감지하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적재함 상승 감지 스위치(S)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블록장치의 구동이 유압구동유닛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배제한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덤프 트럭에 있어서 트랜스미션이나 기타 하체 부위를 정비하는 경우, 그리고 트럭의 각 부위에 그리이스를 주입하는 경우, 또는 세차 하는 경우에는 적재함을 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적재함은 중량물이므로 상기 적재함을 들어 올리고 내리는 것은 유압 리프팅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적재함이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작업을 할 경우, 유압 리프팅장치의 노후나 오조작에 의해 적재함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블록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도 1에는 상기 안전블록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의한 안전블록장치(1)는 크게 고정브래키트(2,2')와 안전블록(4,4')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래키트(2,2')는 상기 안전블록(4,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차체프레임(미도시)의 상단 양측, 즉 적재함(미도시)과 차체프레임이 힌지 연결되는 후방 힌지(미도시) 전방의 차체프레임 상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안전블록(4,4')은 상기 고정브래키트(2,2')에 힌지축(3,3')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작업을 위해 상승되어 있는 트럭의 적재함이 하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안전블록(4,4')은 연결로드(6)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자유단부에는 적재함의 하단에 구비된 받침판과 접촉되는 지지판(5,5')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블록(4,4')의 회전을 조절하는 손잡이(미도시)가 안전블록(4,4')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안전블록장치는 트럭의 차체프레임과 적재함 사이의 공간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트럭의 정비나 세차 등을 위해 적재함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시킨 채 작업을 진행시킬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유압리프트장치를 사용하여 트럭의 후방 힌지를 회전중심으로 적재함을 상승시킨 후에 차체프레임과 적재함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블록장치(1)를 동작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안전블록(4,4')의 손잡이를 잡고 안전블록(4,4')을 약 100°정도 회전시켜 안전블록(4,4')의 자유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지지판(5,5')이 적재함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받침판과 접촉되도록 하여 작업중 적재함의 하강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적재함의 하면과 안전블록(4,4')은 서로 직교하도록 위치되어 적재함이 효과적으로 지지되도록 된다.
이때, 상기 차체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블록(4,4')은 서로 연결로드(6)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한쪽의 안전블록(4,4')만을 회전시키면 다른쪽의 안전블록(4,4')은 자동적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유압리프트장치의 유압이 해제되거나 유압리프트장치를 오동작시키더라도 적재함이 하강되지 않게 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이 마쳐지면 상기 유압리프트장치를 작동시켜 낮아진 리프팅 압력을 규정치 이상으로 높여 준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적재함이 약간 들어 올려지면서 상기 안전블록(4,4')이 적재함으로부터 하중을 받지 않게 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고 안전블록(4,4')을 회전시켜 차체프레임 상에 수평으로 수납시켜 적재함이 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유압리프트장치를 작동시켜 적재함을 하강시켜 주면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안전블록장치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작동시켜야 하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와 같이 수동으로 안전블록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적재함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타이어 위로 몸을 굽힌 상태에서 팔을 길게 뻗어 상기 안전블록(4,4')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를 동작시켜야 한다. 그런데, 트럭의 타이어는 그 크기가 대형이므로 인해 아무리 키가 큰 사람이라도 상체부위가 타이어의 상단에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옷이 더러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안전블록(4,4')의 손잡이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상체를 불안정하게 구부린 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손잡이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불안정한 자세로 인해 작업자가 허리를 다치는 경우가 있으며, 그리고 작업자의 자세가 불안정하므로 인해 안전블록(4,4')의 조작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적재함과 같은 중량물의 하부로 작업자의 신체의 일부가 들어가게 되므로 인해 작업자가 심리적으로 불안한 감을 느끼게 되고 실제로 안전블록장치(1)를 동작시키는 도중에 적재함이 유압리프트장치의 고장이나 오동작에 의해 하강되어 작업자가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럭의 적재함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정비나 세차를 수행할 때 적재함을 지지하는 안전블록을 작업자가 손으로 작동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안전블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에서 유압구동유닛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안전블록을 상승시키는 경우의 오일 흐름을 도시한 오일흐름도.
도 5는 안전블록을 하강시키는 경우의 오일 흐름을 도시한 오일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의 작동을 위한 회로구성을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전블록유닛2,2' : 고정브래키트
4,4' : 안전블록5,5' : 지지판
7 : 차체프레임8 : 적재함
10 : 크랭크부11 : 크랭크암
12 : 핸들암20 : 유압구동유닛
21 : 오일탱크22 : 오일펌프
23 : 상승용 마그네트밸브24 : 하강용 마그네트밸브
25 : 상승용 오일귀환밸브26 : 하강용 오일귀환밸브
27 : 체크밸브28 : 유압조절밸브
30 : 유압실린더31 : 상승쳄버
32 : 하강쳄버35 : 다이아프렘
36 : 유압로드37 : 스토퍼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체프레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승된 적재함을 지지하는 안전블록유닛과, 상치 차체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안전블록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구동유닛과, 상기 유압구동유닛의 유압로드와 연동되어 안전블록을 승강시키는 크랭크부와, 상기 유압구동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스위치와, 상기 적재함의 상승을 감지하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적재함 상승 감지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유압구동유닛은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가압된 오일을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안전블록을 상승시키는 상승용 마그네트밸브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가압된 오일을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안전블록을 하강시키는 하강용 마그네트밸브와, 상기 마그네트밸브를 통해 전달된 오일의 압력으로 구동되어 상기 크랭크암을 작동시키는 유압로드를 구비한 유압실린더와 상기 마그네트밸브와 연동되면서 오일이 오일탱크로 귀환되는 것을 제어하는 오일귀환밸브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것과 유사한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적재함(8)이 그 후방에 힌지설치되어 있는 차체프레임(7)의 일측에 안전블록유닛(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안전블록유닛(1')의 안전블록(4,4')은 연결로드(6)를 통해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승강된다. 상기 안전블록(4,4')은 상기 차체프레임(7)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래키트(2,2')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안전블록(4,4')의 자유단부에는 적재함(8)의 받침판(9)과 맞닿아 적재함(8)을 지지하게 되는 지지판(5,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안전블록(4,4')의 승강은 유압구동유닛(2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유압구동유닛(20)은 오일탱크(21)의 오일을 가압하는 오일펌프(22)와, 상기 오일펌프(22)에서 가압되어 전달되는 오일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상승용 마그네트밸브(23) 및 하강용 마그네트밸브(24)와, 상기 마그네트밸브(23,24)를 통해 전달된 오일에 의해 유압로드(36)의 운동을 만들어내는 유압실린더(30)와, 상기 유압실린더(30)로 들어온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21)로 선택적으로 귀환시키기 위한 상승용 오일귀환밸브(25)와 하강용 오일귀환밸브(26)를 포함한다.
상기 상승용 마그네트밸브(23) 및 하강용 마그네트밸브(24)는 전원이 인가되면 개방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승용 오일귀환밸브(25)와 하강용 오일귀환밸브(26)는 전원이 인가되면 폐쇄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밸브의 내부에서 리턴스프링(SS)에 의해 탄지되는 플런저(SP)가 전원의 인가 상태에 따라 작동되어 오일통로를 개방 혹은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오일귀환밸브(25,26)와 상기 오일탱크(21)의 사이에는 오일탱크(21)에서 오일귀환밸브(25,26)로 오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27)가 구비된다. 상기 유압실린더(30)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유압조절밸브(28)가 상기 유압펌프(22)와 마그네트밸브(23,24) 사이의 유압라인(OL)에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펌프(22)를 통해 전달되는 오일이 상기 마그네트밸브(23,24)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달되어 유압로드(36)의 운동을 만들어내도록 하는 유압실린더(30)는 차체프레임(7)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유압실린더(30) 내에는 일측에 유압로드(36)가 연결설치된 다이어프램(35)이 구비되어 유압실린더(30) 내부의 공간을 상승쳄버(31)와 하강쳄버(32)로 2등분한다. 상기 다이아프램(35)의 외주연, 즉 유압실린더(30)의 내벽과 닿는 부분에는 오일실(OS)이 구비되어 유압의 누설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30)는 힌지축(30P)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안전블록(4,4')의 승강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유압로드(36)는 상기 실린더(30)의 내외부로 출몰되게 작동되며 그 일단부에는 상기 안전블록(4,4')을 연결하는 연결로드(6)와 연결설치되어 유압로드(36)의 직선왕복운동을 안전블록(4,4)의 승강회전운동으로 바꾸어주는 크랭크부(10)가 구비된다.
상기 크랭크부(10)는 안전블록(4,4')을 연결하는 연결로드(6) 사이에 설치되는 크랭크암(11)과, 상기 크랭크암(11)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암(11)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면서 동시에 상기 크랭크암(11)과 상대적인 회전을 하게 되는 핸들암(12)이 구비되며, 상기 핸들암(12)은 상기 유압로드(36)와 연결설치된다.
상기 크랭크부(10)와 유압로드(36)의 연결부에는 유압로드(36)와 상기 핸들암(12)을 서로 체결함과 동시에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조절너트장치(15)가 구비된다.
0한편, 적재함(8)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감지하는 적재함 상승 감지스위치(S)가 상기 차체프레임(7)의 후방힌지(10') 부근에 구비된다. 상기 적재함 상승 감지스위치(S)는 상기 적재함(8)의 승강과 함께 승강회전되는 탄성철편(10P)에 의해 작동된다. 이와 같은 적재함 상승 감지스위치(S)는 푸시 풀(push pull)방식의 전기스위치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구동유닛(2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스위치(TS)가 구비된다. 이 구동스위치(TS)는 안전블록(4,4')의 상승을 위한 회로와 안전블록(4,4')의 하강을 위한 회로를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탄지부재(T)에 의해 중립위치에 있도록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7은 스토퍼, B는 배터리, F는 퓨즈, IS는 점화스위치, RY는 릴레이, L은 레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블록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적재함(8)이 유압리프팅장치(미도시)에 의해 상승되면, 상기 적재함(8)의 후방힌지(10')와 함께 회전승강되는 탄성철편(10P)이 적재함 상승 감지 스위치(S)를 눌러 온시킨다. 이와 같이 적재함 상승 감지 스위치(S)가 온되면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배터리(B)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유압구동유닛(30)이 작동가능하게 된다.
상승되어 있는 적재함(8)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안전블록(4,4')을 상승시키는 작동을 살펴보면,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구동스위치(TS)를 a-a'방향이 되도록 조작하면 배터리(B)로부터 전원이 퓨즈(F), 점화스위치(IS), 릴레이(RY)를 거쳐 상기 적재함 상승감지스위치(S)와 구동스위치(TS)를 통해 상승용 마그네트밸브(23)와 하강용 오일귀환밸브(26)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상승용 마그네트밸브(23)는 개방상태가 되어 오일펌프(22)에서 가압된 오일이 오일라인(OL)을 통해 전달되어 유압실린더(30) 내의 상승쳄버(31)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하강용 오일귀환밸브(26)는 폐쇄상태가 되어 상기 상승쳄버(31)로 유입된 오일이 오일저장탱크(21)로 귀환되지 않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하강용 마그네트밸브(24)와 상승용 오일귀환밸브(25)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으므로 하강용 마그네트밸브(24)는 폐쇄상태이고 상승용 오일귀환밸브(25)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강쳄버(32) 내에 들어 있던 오일은 상기 상승용 오일귀환밸브(25)를 통해 오일저장탱크(21)로 귀환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다이아프렘(35)은 하강쳄버(32)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압로드(36)는 유압실린더(3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크랭크부(10)와 연동되어 안전블록(4,4')을 상승시키게 된다. 즉, 상기 유압로드(36)가 유압실린더(30)에서 돌출되면서 밀어 올려지게 되면, 상기 핸들암(12) 역시 밀어 올려지면서 크랭크암(11)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크랭크암(11)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면 안전블록(4,4')을 연결하는 연결로드(6)가 밀려올려지면서 안전블록(4,4')이 고정브래키트(2,2')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그 자유단부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30)는 힌지축(30P)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안전블록(4,4')의 승강작동시에 그 자유단부가 어느 정도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된다. 따라서, 크랭크부(10)의 크랭크암(11)이 회전시에 달라지는 각도에 대응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각도보상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압펌프(21)는 통상 엔진(미도시)의 크랭크풀리에 의해서 벨트로 구동되므로 엔진 시동시에는 항상 작동하여 일정 이상의 유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27)는 오일귀환밸브(25,26)와 오일탱크(21) 사이에 위치되어 오일탱크(21)에서 오일귀환밸브(25,26)로 오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압조절밸브(28)는 상기 유압실린더(30)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개방되어 오일은 오일탱크(21)로 전달하게 되므로 일종의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안전블록(4,4')이 적재함(8)을 지지하게 되었을 때, 작업자가 구동스위치(TS)에서 손을 떼면 스위치의 레버(L)는 탄지부재(TS)의 작용에 의해 중립위치로 이동되어 회로가 차단되므로 상기 상승용 마그네트밸브(23)와 하강용 오일귀환밸브(26)의 작동이 중단되어 상승쳄버(31)로의 오일유입과 하강쳄버(32)에서의 오일토출이 차단되어 상기 다이어프렘(35)의 동작이 중단되어 안전블록(4,4')이 더 이상 상승되지 않고 적재함(8)을 지지하면서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안전블록(4,4')이 적재함(8)을 지지하여 임의로 하강되는 것을 막아주는 상태에서 트럭의 정비나 세차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정비나 세차작업을 완료하여 적재함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안전블록(4,4')을 원위치로 수납시키는 동작을 도 5를 참고하여 알아본다. 먼저, 적재함(8)을 승강시키는 유압리프트장치(미도시)를 구동하여 적재함(8)을 약간 상승시킨 후, 상기 구동스위치(TS)를 b-b'의 위치로 조작하면 상기 배터리(B)의 전원이 퓨즈(F), 점화스위치(IS), 릴레이(RY) 및 구동스위치(TS)를 거쳐 하강용 마그네트밸브(24)와 상승용 오일귀환밸브(25)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하강용 마그네트밸브(24)는 개방되고, 상기 상승용 오일귀환밸브(25)는 폐쇄된다. 그리고, 상승용 마그네트밸브(23)와 하강용 오일귀환밸브(26)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상승용 마그네트밸브(23)는 폐쇄되고 하강용 오일귀환밸브(26)는 개방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유압펌프(22)에서 가압된 오일이 하강용 마그네트밸브(24)를 통해 유압실린더(30)의 하강쳄버(32)로 유입되고, 이와 같이 하강쳄버(32)로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상기 상승쳄버(31)에 있던 오일은 개방되어 있는 상기 하강용 오일귀환밸브(26)를 통해 오일탱크(22)로 귀환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다이아프렘(35)은 상승쳄버(31) 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다이아프렘(35)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유압로드(36)는 유압실린더(3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로드(36)와 연결설치되어 있는 크랭크부(10)가 연결로드(36)와 연동되면서 안전블록(4,4')을 하강시켜 차체프레임(7) 상에 수납시키게 된다.
그리고, 안전블록(4,4')의 수납이 완료되었을 때, 작업자가 구동스위치(TS)의 레버(L)에서 손을 떼어 상기 레버(L)가 중립위치에 있게 하면 상기 하강용 마그네트밸브(24)와 상승용 오일귀환밸브(25)에의 전원공급이 끊어져 하강쳄버(32)로의 오일유입과 상승쳄버(31)에서의 오일토출이 차단되어 더 이상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는 유압구동유닛을 사용하여 안전블록의 승강을 달성하게 되므로 안전블록으로 적재함을 지지하게 하거나, 적재함을 지지하고 있는 안전블록을 수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업중에 적재함이 임의로 하강되더라도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자동으로 안전블록이 작동되므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의복을 더럽히거나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없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장치의 조작에 있어서, 단지 안전블록의 작동을 위한 구동 스위치의 레버만을 조작하여 주면 되어 장치의 조작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차체프레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승된 적재함을 지지하는 안전블록유닛과, 상치 차체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안전블록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구동유닛과, 상기 유압구동유닛의 유압로드와 연동되어 안전블록을 승강시키는 크랭크부와, 상기 유압구동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스위치와, 상기 적재함의 상승을 감지하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적재함 상승 감지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구동유닛은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가압된 오일을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안전블록을 상승시키는 상승용 마그네트밸브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가압된 오일을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안전블록을 하강시키는 하강용 마그네트밸브와, 상기 마그네트밸브를 통해 전달된 오일의 압력으로 구동되어 상기 크랭크암을 작동시키는 유압로드를 구비한 유압실린더와 상기 마그네트밸브와 연동되면서 오일이 오일탱크로 귀환되는 것을 제어하는 오일귀환밸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그 일단부가 차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힌지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구동유닛은 오일귀환밸브와 오일탱크 사이에 위치되어 오일탱크에서 오일귀환밸브로 오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유압조절밸브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로드와 크랭크부의 연결부에는 상기 유압로드와 크랭크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조절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감지스위치는 적재함의 후방에 설치되어 적재함의 승강에 의해 회전되는 탄성철편에 의해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
KR1019960047247A 1996-10-21 1996-10-21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 KR100187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247A KR100187086B1 (ko) 1996-10-21 1996-10-21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247A KR100187086B1 (ko) 1996-10-21 1996-10-21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249A KR19980028249A (ko) 1998-07-15
KR100187086B1 true KR100187086B1 (ko) 1999-04-01

Family

ID=1947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7247A KR100187086B1 (ko) 1996-10-21 1996-10-21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70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249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46703A (en) Loading dock
US3892292A (en) Hydraulic elevators
CA2334747C (en) Hydraulic control circuit for a dock leveler
US6327733B1 (en) Mechanically actuated dock leveler with hydraulic assist
KR100187086B1 (ko)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
CA1146309A (en) Dockboards
JP4090580B2 (ja) 荷受台昇降装置
JP7107761B2 (ja) 塵芥収集車
CA1150594A (en) Tailgate lift control safety circuit
JP4300465B2 (ja) 車両用昇降装置
KR200142602Y1 (ko) 덤프트럭후방문 자동개폐장치의 유압회로
JPH10316054A (ja) 産業車両のキャビン開閉装置
JP2024011056A (ja) 車両用荷受台昇降装置
KR100187085B1 (ko) 트럭의 적재함 하강 방지용 안전블록장치
JP2513088Y2 (ja) 昇降装置用制御装置
JPH0547190Y2 (ko)
JP2561608Y2 (ja) ツウシリンダー型の車輌用リフト装置
KR970002653Y1 (ko) 청소차의 앞바퀴 들림 방지 장치
JP3046593B1 (ja) 昇降装置用制御装置
KR0128377Y1 (ko) 자동차의 리프트 게이트 안전장치
JPH0617839Y2 (ja) フォークリフトの昇降遠隔装置
JP2024011055A (ja) 車両用荷受台昇降装置
JPH0127475Y2 (ko)
KR0118510Y1 (ko) 화물 트럭의 승,하강 화물칸
JP3730023B2 (ja) トラック荷台の煽り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