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269B1 - 색분리/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기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색분리/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기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269B1
KR100186269B1 KR1019950029453A KR19950029453A KR100186269B1 KR 100186269 B1 KR100186269 B1 KR 100186269B1 KR 1019950029453 A KR1019950029453 A KR 1019950029453A KR 19950029453 A KR19950029453 A KR 19950029453A KR 100186269 B1 KR100186269 B1 KR 100186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liquid crystal
incident
color separation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541A (ko
Inventor
이종진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1995002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6269B1/ko
Publication of KR970019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7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polarizing the light bea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색/분리 합성 프리즘을 장착한 액정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 회의나 프리젠테이션, 세미나, 수업 또는 멀티미디어 영화 상영시 대형화면 디스플레이어로 이용되며, 광원(10)과, 상기 광원(10)에서 나온 빛을 수광하는 편광빔 분리기(51)와, 상기 편광빔 분리기(51)와 한쪽면을 접하면서 단면이 정6면체를 이루는 8면체로 구성된 색 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52)과, 상기 색 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52)에서 편광빔 분리기(51)와 접한 반대쪽 면의 3면에 접하고 있는 반사형 액정 판넬(53, 54, 55)과, 상기 편광빔 분리기(51)에서 편광빔 분리기(51)와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52)과 접한면의 반대편에 접하고 있는 투사렌즈계(17)로 구성되며, 색 분리/합성 프리즘과 편광빔 분리기를 접합시켜 모듈화하여 콤팩트하게 만들고, 다이크로익 미러를 프리즘으로 제작하여 코팅을 한 후, 조립하므로 다이크로익 미러의 조립이 쉽고 빛의 경로를 정열(Align)시키기 용이한 장치이다.

Description

색분리/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기기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다이크로익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광학계를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다이크로익 미러를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광학계를 도시한 구성도.
제3도는 종래의 액정리어 프로젝터의 전체 시스템과 광학계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제3(a)도는 캐비넷의 구성도.
제3(b)도는 투사기의 구성도.
제4도는 종래의 투과형 액정판넬의 구조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 및 색분리/합성겸용 프리즘을 이용한 비디오 프로젝터 광학계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색분리/합성겸용 프리즘을 사용한 비디오 프로젝터 광학계의 광로를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색분리/합성겸용 프리즘의 코팅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의 동작원리를 도시한 구조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색분리/합성겸용 프리즘을 이용한 비디오 프로젝터의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램프 11 : 반사미러
12 : 집광 렌즈
13, 14, 30, 31, 32, 35, 36 : 다이크로익 미러
15 : 미러 16 : 다이크로익 프리즘
17 : 투사 렌즈 18 : 스크린
19, 20, 21 : 액정 판넬 22 : 콘덴서 렌즈
37, 38, 39 : 투사렌즈계 51 : 편광빔 분리기
52 : 색 분리/합성 겸용 프리즘 53 : 녹색 화상 형성용 반사형 액정
54 : 청색 화상 형성용 반사형 액정 55 : 적색 화상 형성용 반사형 액정
61, 62, 63, 64 : 코팅면
본 발명은 색 분리/합성 겸용 프리즘을 이용한 영상기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색 분리/합성 프리즘을 장착한 비디오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 회의나 프리젠테이션, 세미나, 수업 또는 멀티미디어 영화 상영시 대형화면 디스플레이어로 사용하는 색 분리/합성 겸용 프리즘을 이용한 영상기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정 비디오 프로젝터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크로익 프리즘(16)을 이용하는 방식과, 제2도에 도시한 다이크로익 미러(14, 30, 31, 32)를 이용하는 방식과, 제3도에 도시한 액정 리어 프로젝터가 있다.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이크로익 프리즘(16)을 이용한 프로젝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램프(10)에서 나온 백색광은 반사미러(11)와 집광렌즈(12)에 의해 색분리용 다이크로익 미러(13, 14)로 입사한다. 입사한 백색광 중에서 녹색(G)은 다이크로익 미러(13, 14)를 투과하여 녹색 제어용 액정판넬(21)에 입사하고, 이 녹색제어용 액정판넬(액정과 편광자 2개로 구성됨; 제4도 참조)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후, 색합성용 다이크로익 프리즘(16)에 입사하여 투사렌즈계(17)에 의해 스크린(18)에 투사된다.
백색광중에서 적색(R)은 다이크로익 미러(13)에서 반사된 후 미러(15b)에서 다시 반사되어 적색 제어용 액정 판넬(19)에 입사하고, 이 적색용 액정 판넬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후 투사렌즈계(17)에 의해 스크린(18)에 투사된다.
백색광중에서 청색(B)은 다이크로익 미러(14)에서 반사된 후 미러(15a)에서 다시 반사되어 청색 제어용 액정판넬(20)에 입사하고, 이 청색용 액정판넬(2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후 투사렌즈계(17)에 의해 스크린(18)에 투사된다.
또한 제1도의 다이크로익 프리즘 방식에서 콘덴서렌즈(22a, 22b, 22c)는 광원(10)에 대한 반사미러(11)의 집광효율이 낮기 때문에 광원에서 나온 빛을 액정에 효과적으로 조사(Irradiation)시켜 주기위하여 사용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도시한 다이크로익 미러 방식도 제1도의 원리와 같이 램프(10)에서 나온 백색광은 반사미러(11)와 집광 렌즈(12)를 통해 색분리용 전방 다이크로익 미러(14)를 통해 청색광을 반사시키고, 적·녹색의 광은 투과를 한다.
상기 전방 다이크로익 미러(14)를 통한 적·녹색의 광은 후방 다이크로익 미러(30)를 통하면서 적색광은 반사시키고, 녹색광은 투과를 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된 청·적·녹색의 광은 각각의 제어용 액정판넬(20, 19, 21)을 통한 후, 다시 색 합성 다이크로익 미러(31, 32)에서 색이 합성된 후, 투사렌즈계(17)에 의해 스크린(18)에 투사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액정 리어 프로젝터는 상기 제1도, 제2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색분리용 다이크로익 미러(14, 35, 36)에서 청색, 녹색, 적색이 분리되고 액정판넬(20, 21, 19)에서 상이 형성된 후 청색(39), 녹색(37), 적색(38)용 투사렌즈계에 의해 스크린에 투사된다.
이러한 다이크로익 프리즘이나, 다이크로익 미러, 액정 리어를 이용한 프로젝터에서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색, 녹색, 적색을 분리하기 위한 다이크로익 미러를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이 커지고 이 다이크로익 미러를 지지하기 위한 복잡한 기구물이 필요하게된다.
둘째, 위의 다이크로익 미러의 조립 및 빛의 경로를 정열(align)하기가 힘들다.
셋째, 투과형 액정을 사용하므로 액정의 앞, 뒤에 편광자를 각각 사용하기 때문에 이 편광자들을 고정하기 위한 기구물이 필요하게 된다.
넷째, 제1도내지 제3도에서 광원에서 액정판넬까지의 거리가 청색, 녹색, 적색에서 각각 다르므로 각 액정판넬에 조사되는 광량에 차이가 나기 때문에 색재현시 문제가 된다.
다섯째, 제2도에서는 판넬식 다이크로익 미러를 사용하는데 투사광학계에 대하여 이 색합성용 다이크로익 미러가 45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결상시 비점 수차를 유발하게 되고 이 수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두께를 얇게하면 기구물에 의한 스트레스(Stress) 때문에 면이 휘어져 반사하는 상의 해상력을 급격히 저하시킨다.
여섯째, 제3도의 액정 리어 프로젝터는 청색, 녹색, 적색용 투사렌즈계를 각각 사용하므로 청색, 녹색, 적색의 화상을 하나의 화면에 맞추기가 힘들고 화면의 크기를 조정하기 어렵다.
일곱번째, 제3도의 액정 리어 프로젝터는 구조적으로 시스템이 크고 무거워 고정된 장소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색분리와 색합성 기능을 하는 다이크로익 미러를 모듈화시켜 콤팩트하게 만듬으로써, 이 다이크로익 미러를 지지하기 위한 복잡한 기구물이 필요없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이크로익 미러를 프리즘으로 제작하여 코팅을 한 후 조립하므로 다이크로익 미러의 조립이 쉽고 빛의 경로를 정열(Align)시키기 용이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예로서,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 기기 장치에 있어서, 광원에서 나온 빛을 광원 아래에서 수광하여 한쪽 편파만을 투과시키는 편광빔 분리기와, 상기 편광빔 분리기와 한쪽 면을 접하면서 단면이 정6면체인 8면체로 구성되며 적·녹·청의 3색의 광을 분리하고 합성하는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과, 상기 프리즘에서 편광빔 분리기와 접한 반대쪽 면의 3면에 접하면서 입사된 한쪽 편파의 광을 제어하는 반사형 액정 판넬과, 상기 편광빔 분리기에서 편광빔 분리기와 프리즘과 서로 접한면의 반대편에 접하고 있는 투사렌즈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예로서, 광원으로부터 백색광이 입사되는 단계(S101)와, 입사된 백색광이 S파 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02)와, 입사된 백색광을 판단하여 S파이면 편광빔 분리기(51)에서 반사를 시키는 단계(S103)와, 상기 단계(S102)에서 입사된 백색광을 판단하여 P파이면 편광빔 분리기(51)에서 투과를 시키는 단계(S104)와, 상기 단계 (S103)에서 반사된 S파의 백색광을 프리즘(52)를 통하여 적·녹·청 3색광으로 분리를 시키는 색분리 단계(S105)와, 분리된 광을 각각 해당되는 액정판넬로 입사시키는 단계(S106)와, 액정판넬에 전압이 인가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07)와, 액정판넬에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판넬에 입사된 S파를 90도 회전시켜 P파로 전환시키는 단계(S108)와, 전환된 P파를 프리즘(52)을 거쳐 편광빔 분리기(51)를 투과하는 단계(S109)와, 상기 단계(S107)에서 액정판넬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액정판넬에 입사된 S파를 그대로 S파로 반사시키는 단계(S111)와, 상기 단계(S111)에서 반사된 S파는 프리즘(52)을 거쳐 편광빔 분리기(51)에서 반사되는 단계(S112)와, 상기 단계(S109)에서 투과된 P파를 투사렌즈계(17)를 통하여 투사시키는 단계(S1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분리/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비디오 영상투시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 기기 장치는, 광원(10)과, 상기 광원(10)에서 나온 빛을 수광하는 편광빔 분리기(51)와 상기 편광빔 분리기(51)와 접하며 평면이 정육각형인 8면체로 구성된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52)과, 상기 프리즘(52)에서 편광빔 분리기(51)와 접한 반대쪽 면의 3면에 접하고 있는 반사형 판넬(53, 54, 55)과, 상기 편광빔 분리기(51)에서 편광빔 분리기(51)와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52)과 접한면의 반대편에 접하고 있는 투사렌즈계(17)로 구성된다.
상기 편광빔 분리기(51)는 광원(10)으로부터 나온 백색광의 한 편파를 투과시키고 다른 한 편파는 반사시키는데, 예로써 A면과 평행한 S파는 반사시키고, A면과 수직인 P파는 투과시킨다. 따라서 제5도의 A면과 나란한 파(즉 S파)가 입사되면 이를 반사시켜 색분리/합성 겸용 프리즘(52)에 입사시킨다.
상기 색분리/합성 겸용 프리즘(52)은 편광빔 분리기(51)에서 반사된 S파를 받아 프리즘의 코팅면 특성에 따라 S파를 녹·청·적 3색광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액정판넬(53, 54, 55)에 입사시킨다.
상기 색분리/합성 겸용 프리즘(52)은 두 개의 정삼각형 프리즘과 두개의 평형사변형 프리즘으로 구성되어 평면이 정육각형인 8면체로 되어있다.
상기 색분리/합성 겸용 프리즘(52)의 코팅면 특성을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61)면과 (63)면은 적색광만을 반사시키고 나머지 색의 광은 투과를 시킨다. (62)면과 (64)면은 청색광만을 반사시키고 나머지 색의 광은 투과를 시킨다.
상기 액정판넬(53, 54, 55)은 전원이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써, 상기 액정판넬(53, 54, 55)을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원(10)에서 나온 백색광은 편광빔 분리기(51)에서 A면과 나란히 S파를 반사시켜 액정판넬(53, 54, 55)에 조사된다. 상기 편광빔 분리기(51)는 S파는 반사시키고, P파는 투과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때 액정판넬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액정판넬에 입사된 S파를 90˚회전시켜 P파로 만들어 반사시켜 편광빔 분리기(51)로 내 보내고, 편광빔 분리기(51)에서는 P파로서 입사된 것이므로 투과되어 투사렌즈계(17)를 거쳐 스크린(18)에 조사된다.
상기 과정에서 액정판넬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액정판넬에 입사된 S파는 그대로 반사되어 편광빔 분리기(51)로 입사되나 편광빔 분리기는 P파만을 투과하므로 편광빔 분리기를 투과하지 못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액정판넬에서 광의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 기기장치를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광원(10)으로부터 나온 백색광 중에서, A면과 수직인 P파는 편광빔 분리기(51)을 통해 그대로 투과되고, A면과 평행인 S파는 편광빔 분리기(51)에서 반사되어 프리즘(52)으로 입사된다. 프리즘(52)을 통과하면서 S파는 녹·청·적 3색광으로 분리되어 각각의 액정판넬(53, 54, 55)에 입사된다.
분리된 녹색편파는 프리즘(52)을 그대로 투과하여 녹색용 액정판넬(53)에 입사된다. 상기 액정판넬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녹색S파의 편광방향이 90도 회전되어 A면과 수직인 파, 즉 P파로 되어 편광빔 분리기(51)를 투과하여 투사렌즈계(17)을 통해 스크린에 투사된다.
또한, 프리즘(52)에서 분리된 청색편파는 색분리 프리즘(52)의 (64)면과 (62)면에서 반사되어 청색용 액정판넬(54)에 입사된다. 이 액정판넬(54)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청색S파의 편광방향이 90도 회전되어 A면과 수직인 파 즉, P파로 되어 편광빔 분리기(51)를 투과하여 투사렌즈계(17)을 통해 스크린에 투사된다.
또한 프리즘(52)에서 분리된 적색편파는 색분리 프리즘(52)의 (61)면과 (63)면에서 반사되어 적색용 액정판넬(54)에 입사된다. 이 액정판넬(54)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적색 S파의 편광방향이 90도 회전되어 A면과 수직인 파 즉, P파로 되어 편광빔 분리기(51)를 투과하여 투사렌즈계(17)을 통해 스크린에 투사된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색분리/합성 겸용 프리즘을 이용한 비디오 프로젝터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광원으로부터 백색광이 입사되는 단계(S101)와, 입사된 백색광이 S파 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02)와, 입사된 백색광이 S파이면 편광빔 분리기(51)에서 반사를 하고(S103), 상기 단계(S102)에서 입사된 백색광을 판단하여 P파이며 편광빔 분리기(51)에서 투과를 하는 단계(S104)와, 반사된 S파의 백색광을 프리즘(52)를 통하여 적·녹·청 3색광으로 분리를 시키는 단계(S105)와, 분리된 광을 각각에 해당되는 액정판넬로 입사시키는 단계(S106)와, 액정판넬에 전압이 인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07)와, 액정판넬에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판넬에 입사된 S파를 90도 회전시켜 P파로 전환시키고(S108), 전환된 P파를 프리즘(52)을 거쳐 편광빔 분리기(51)를 투과시키는 단계(S109)와, 투과된 P파를 투사렌즈계(17)를 통하여 투사시키는 단계(S110)와, 상기 단계(S107)에서 액정판넬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액정판넬에 입사된 S파를 그대로 S파로 반사시키는 단계(S111)와, 반사된 S파는 프리즘(52)을 거쳐 편광빔 분리기(51)에서 반사되는 단계(S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로우챠트를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단계(S102)에서는 광원(10)으로부터 나온 백색광의 한 편파를 투과시키고 다른 한 편파는 반사시키는데, 예로서 A면과 평행한 S파는 반사시키고, A면과 수직인 P파는 투과시킨다. 따라서 제5도의 A면과 나란한파(즉 S파)가 입사되면 이를 반사시켜 색분리/합성 겸용 프리즘(52)에 입사시킨다.
상기 단계(S105)에서는 편광빔 분리기(51)에서 반사된 S파를 받아 프리즘(52)의 코팅면 특성에 따라 입사된 S파를 녹·청·적 3색광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액정판넬(53, 54, 55)에 입사시킨다.
상기 색분리/합성 겸용 프리즘(52)의 코팅면 특성을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61)면과 (63)면은 적색광만을 반사시키고 나머지 색의 광은 투과를 시킨다. (62)면과 (64)면은 청색광만을 반사시키고 나머지 색의 광은 투과를 시킨다.
상기 단계(S107)의 액정판넬(53, 54, 55)은 전원이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써, 액정판넬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액정판넬에 입사된 S파를 90도 회전시켜 P파로 만들어 반사시켜 편광빔 분리기(51)로 내 보내고, 액정판넬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액정판넬에 입사된 S파는 그대로 반사되어 편광빔 분리기(51)로 입사되나 편광빔 분리기는 P파만을 투과하므로 편광빔 분리기를 투과하지 못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액정판넬에서 광의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 기기 장치는, 색분리/합성 겸용 프리즘을 제작하여 코팅을 한 후 조립하므로 모듈화되어 다이크로익 미러의 조립 및 빛의 경로를 정렬(align)하기가 용이하고, 반사형 액정이 투과형 액정에 비해 투과율이 높아서 액정의 개구효율이 높고 별도의 편광자가 필요없게 되어 시스템이 콤팩트하게 된다.
또한 광원에서 액정판넬까지의 거리가 청색, 녹색, 적색에서 모두 같으므로 콘덴서 렌즈를 사용하기가 용이하며 각 액정판넬에 조사되는 광량이 같게되어 색재현이 용이하고, 다이크로익 미러를 프리즘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색분리/합성면을 정밀하게 가공하기 용이하고, 기구물에 의한 스트레스(stress)의 영향이 거의 없기 때문에 결상시 상의 해상력을 높일 수 있고, 투사렌즈계로서 줌렌즈를 사용하므로 화면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광원(10)과, 상기 광원(10)에서 나온 빛을 광원 아래에서 수광하여 한쪽 편파만을 투과시키는 편광빔 분리기(51)와, 상기 편광빔 분리기(51)와 접하면서 단면이 정6면체인 8면체로 구성되고 적·녹·청의 3색의 광을 분리하고 합성하는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52)과, 상기 프리즘(52)에서 편광빔 분리기(51)와 접한 반대쪽 면의 3면에 접하면서 입사된 한쪽 편파의 광을 제어하는 반사형 액정판넬(53, 54, 55)과, 상기 편광빔 분리기(51)에서 편광빔 분리기(51)와 프리즘(52)과 서로 접한면의 반대편에 접하고 있는 투사렌즈계(1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 기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빔 분리기(51)는 입사된 광의 한쪽 편파(S파)만을 반사시키고, 다른 편파(P파)는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 기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 분리/합성 겸용 프리즘(52)은 두 개의 정삼각형 프리즘과 두 개의 평형사변형 프리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 기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색 분리/합성 겸용 프리즘(52)은 편광된 백색광 중에서 적색편파는 (61)면과 (63)면에서 반사되어 적색용 액정판넬(55)에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 기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색 분리/합성 겸용 프리즘(52)은 편광된 백색광 중에서 청색편파는 색분리/합성 프리즘(51)에 입사한 후 (64)면과 (62)면에서 반사되어 청색용 액정판넬(54)에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 기기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색 분리/합성 겸용 프리즘(52)은 편광된 백색광 중에서 녹색편파는 이 프리즘(52)을 투과하여 녹색용 액정판넬(53)에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 기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제어용 액정판넬(53, 54, 55)은 프리즘을 통하여 입사된 한쪽 편광은 판넬에 전압이 인가되면 편광방향을 90도 회전시켜 입사된 경로를 따라 다시 내보내고, 판넬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입사된 편광을 다시 내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 기기 장치.
  8. 상기 색 분리/합성 겸용 프리즘(52)과 편광빔 분리기(51)를 접합시켜 모듈화하여 콤팩트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분리 및 색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 기기 장치.
  9. 광원으로부터 백색광이 입사되는 단계(S101)와, 입사된 백색광이 S파 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02)와, 입사된 백색광을 판단하여 S파이면 편광빔 분리기(51)에서 반사를 시키는 단계(S103)와, 상기 단계(S102)에서 입사된 백색광을 판단하여 P파이면 편광빔 분리기(51)에서 투과를 시키는 단계(S104)와, 상기 단계(S103)에서 반사된 S파의 백색광을 프리즘(52)를 통하여 적·녹·청 3색광으로 분리를 시키는 색분리 단계(S105)와, 분리된 광을 각각 해당되는 액정판넬로 입사시키는 단계(S106)와, 액정판넬에 전압이 인가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07)와, 액정판넬에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판넬에 입사된 S파를 90도 회전시켜 P파로 전환시키는 단계(S108)와, 전환된 P파를 프리즘(52)을 거쳐 편광빔 분리기(51)를 투과하는 단계(S109)와, 상기 단계(S107)에서 액정판넬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액정판넬에 입사된 S파를 그대로 S파로 반사시키는 단계(S111)와, 상기 단계(S111)에서 반사된 S파는 프리즘(52)을 거쳐 편광빔 분리기(51)에서 반사되는 단계(S112)와, 상기 단계(S109)에서 투과된 P파를 투사렌즈계(17)를 통하여 투사시키는 단계(S1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분리/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비디오 영상투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02, S103)에서는 광원(10)으로부터 나온 백색광을 판단(S102)하여 S파이면 편광빔 분리기에서 반사(S103)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분리/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비디오 영상투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02, S104)에서는 광원(10)으로부터 나온 백색광을 판단(S102)하여 P파이면 편광빔 분리기에서 투과(S104)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분리/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비디오 영상투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색분리 단계(S105)에서는 백색광 중에 적색편파는 색분리/합성 프리즘(52)에 입사한 후 (61)면과, (63)면에서 반사되어 적색용 액정판넬(55)에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분리/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비디오 영상투사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색분리 단계 (S105)에서는 백색광 중에서 녹색편파는 색분리/합성 프리즘(52)에 입사한 후 (64)면과 (62)면에서 반사되어 청색용 액정판넬(54)에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분리/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비디오 영상투사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색분리 단계 (S105)에서는 백색광 중에서 청색편파는 색분리/합성 프리즘(52)을 투과하여 녹색용 액정판넬(53)에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분리/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비디오 영상투사 방법.
KR1019950029453A 1995-09-07 1995-09-07 색분리/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기기 장치 및 방법 KR100186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453A KR100186269B1 (ko) 1995-09-07 1995-09-07 색분리/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기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453A KR100186269B1 (ko) 1995-09-07 1995-09-07 색분리/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기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541A KR970019541A (ko) 1997-04-30
KR100186269B1 true KR100186269B1 (ko) 1999-05-01

Family

ID=19426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453A KR100186269B1 (ko) 1995-09-07 1995-09-07 색분리/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기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62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541A (ko)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641B1 (ko) 이미지 투사 장치
JP2915467B2 (ja) 液晶プロジェクタ
US4989076A (en) Video projection apparatus
US5621486A (en) Efficient optical system for a high resolution projection display employing reflection light valves
JP2765471B2 (ja) 投写型液晶表示装置
KR100221376B1 (ko) 이미지 투사 장치
JP3093391B2 (ja) マトリックススクリーンを介した2つの偏光ビームの画像プロジェクタ
JP2738331B2 (ja) 投射型液晶表示装置
JPH08220635A (ja) 反射形lcd投射装置の光学系
US20030218724A1 (en) Optical unit and projection type projector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5158012A (ja) 液晶プロジェクタ
US6398363B1 (en) Field sequential color projection display system
US6637891B2 (en) Optical system of liquid crystal projector
US20060279846A1 (en) Prism assembly
JP2001075174A (ja) 画像表示装置
JPS603291A (ja) 投写式液晶表示装置
KR20020050854A (ko) 색 분리 합성 장치
US7794089B2 (en) Liquid crystal projection system
KR19990055242A (ko)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
KR100186269B1 (ko) 색분리/합성 프리즘을 사용한 액정 프로젝터용 영상기기 장치 및 방법
JPH05150191A (ja) 直線偏光変換装置
JP3535072B2 (ja) プロジェクターの照明装置
JP3000993B2 (ja) 液晶プロジェクタ装置
KR19980039526A (ko) 광 투영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고휘도 액정 프로젝터
KR100217173B1 (ko) 액정비디오 프로젝터의 광학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