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6107B1 -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6107B1
KR0186107B1 KR1019950003124A KR19950003124A KR0186107B1 KR 0186107 B1 KR0186107 B1 KR 0186107B1 KR 1019950003124 A KR1019950003124 A KR 1019950003124A KR 19950003124 A KR19950003124 A KR 19950003124A KR 0186107 B1 KR0186107 B1 KR 0186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unit
data
sub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316A (ko
Inventor
이원기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50003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6107B1/ko
Priority to CN96105585A priority patent/CN1054350C/zh
Publication of KR960031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6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전송에 관한 것으로, 종래 메인신호판넬 및 서브신호판넬을 PCB(Print Circuit Board)화 하여 메인처리보드와 서브처리보드내에 장착한 후 승강기내의 각종 부하를 제어하는 메인처리보드 및 서브처리보드의 모든 신호들과 승강기 상부에 위치된 직렬통신제어부와의 데이타전송방식을 병렬통신방식에서 직렬통신방식으로 채택함으로써, 케이블 수를 대폭 줄이고 메인처리보드 및 서브처리보드의 결선도를 표준화시킴에 의해 납선마다 설계도면을 제시하지 않아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성 및 보수성을 증가시킨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직렬통신제어부의 상세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제1,제2서브처리부의 상세도.
제5도는 본 발명 메인중앙처리장치와 서브중앙처리장치의 신호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501 : 중앙처리장치 31 : 제1직렬인터페이스부
40 : 제2직렬인터페이스부 41,55,56 : 입력버퍼
42,503 : 메인중앙처리장치 43,52 : 디코더
44,53,54 : 출력버퍼 50 : 제1서브처리부
51 : 제1서브중앙처리장치 57 : 승강기 버튼
58 : 승강기위치 표시부 60 : 제2서브처리부
300,500 : 콘트롤판넬부 400 : 승강기
401,600 : 직렬통신제어부 402 : 메인처리보드
403 : 서브처리보드 502 : 램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신호전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렬통신방식으로 승강기 내부의 데이타 처리보드의 신호들을 승강기 상부의 직렬통신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써, 신호선수를 줄이고 배선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10) 및 그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해 제어되어 승강기(200)측과 직렬 통신방식으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직렬 인터페이스부(11)로 이루어진 콘트롤판넬부(100)와, 승강기(200)측에 설치되어 상기 콘트롤판넬부(100)의 제어에 따라 승강기(200)측의 제어동작을 수행하고, 승강기(200)측의 정보를 직렬통신방식으로 상기 콘트롤 판넬부(100)로 전송하는 직렬통신제어부(20)와 그 직렬통신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승강기(200)의 각종 상태를 표시하고, 승객에 의해 선택된 데이타를 병렬통신방식으로 상기 직렬통신 제어부(20)로 전송하는 메인신호판넬(21) 및 서브신호판넬(2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직렬통신 제어부(2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콘트롤 판넬부(100)와 직렬통신방식으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직렬통신제어소자(23)와, 상기 메인신호판넬(21) 및 서브신호판넬(22)의 승강기버튼(27)으로 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버퍼링하여 상기 직렬통신제어소자(23)로 제공하는 입력버퍼(24)와, 상기 직렬통신제어소자(23)로 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승강기버튼(27)과 문자표시부(28) 및 승강기 위치표시부(29)들을 인에이블시키는 디코더(25)와, 상기 직렬통신제어소자(23)로 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버퍼링하여 인에이블된 상기 승강기버튼(27) 램프와 문자표시부(28) 및 승강기 위치표시부(29)들을 구동하는 출력버퍼(26)로 구성된다.
그리고, 콘트롤판넬부(100)와 승강기(200)사이의 케이블(101)은 직렬통신을 위해 각각 4라인의 전원선과 통신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기(200)의 직렬통신제어부(20)와 메인신호판넬(21) 및 서브신호판넬(22)을 접속하는 케이블(102)은 메인신호판넬(21)과 서브신호판넬(22)의 승강기 버튼(27)의 수만큼의 라인과, 운전제어에 필요한 스위치 수 만큼의 라인, 그리고 문자표시부(28) 및 승강기 위치표시부(29)들을 구동하기 위한 라인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에서 콘트롤 판넬부(100)의 직렬인터페이스부(11)는 승강기(200)의 상부에 위치한 직렬통신제어부(20)의 직렬통신 제어소자(23)와 승강기(200)측의 모든 데이타, 즉 메인신호판넬(21)과 서브신호판넬(22)내의 승강기 버튼(27), 문자표시부(28), 승강기 위치표시부(29)들의 입출력 데이타와, 승강기의 운전제어 및 속도제어에 필요한 데이타들을 케이블(101)을 통하여 직렬통신방식으로 송수신한다.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승객이 소망하는 층으로 운행을 하기위해 메인신호판넬(21)과 서브신호판넬(22)의 승강기버튼(27)을 누르거나, 또는 운전제어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승강기(200)의 상부에 위치된 직렬통신제어부(20)의 입력버퍼(24)는 케이블(102)을 통하여 병렬데이타를 입력받아 버퍼링한 후 직렬통신제어소자(23)로 출력하고, 그 직렬통신 제어소자(23)는 입력된 병렬데이타를 직렬데이타로 처리하여 케이블(101)을 통하여 상기 콘트롤판넬부(100)의 직렬인터페이스부(11)로 전송한다.
이어서, 직렬인터페이스(11)는 전송된 데이타를 처리하여 중앙처리장치(10)로 출력하고, 중앙처리장치(10)는 입력된 데이타를 연산처리한 후 승강기버튼(27)의 램프를 온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타 및 각종 정보들을 다시 직렬인터페이스부(11)와 케이블(101)을 통하여 승강기(200) 상부의 직렬통신제어부(2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직렬통신제어부(20)의 직렬통신제어소자(23)는 전송된 제어데이타를 검색하여, 승강기버튼(27)의 램프와 문자표시부(28) 및 승강기 위치표시부(29)들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타를 디코더(25)와 출력버퍼(26)로 출력하며, 디코더(25)는 입력된 데이타를 디코딩한 후 케이블(102)을 통하여 출력하여 승강기 버튼(27)의 램프와 문자표시부(28) 및 승강기 위치표시부(29)들 중 해당되는 부하를 인에이블시키게 된다.
따라서, 출력버퍼(26)는 직렬통신제어소자(23)로 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버퍼링하여 케이블(102)을 통하여 출력하여 상기 디코더(25)에 의해 인에이블된 승강기버튼(27)의 램프 또는 문자표시부(28) 및 승강기 위치표시부(29)들을 구동함으로써, 승객이 선택한 운행층의 승강기버튼(27)에 불을 밝혀 주거나, 현재의 승강기(200)의 위치와 승강기(200)내의 승객 만원상태 등을 표시하여 주게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는 직렬통신제어부와 메인신호판넬 및 서브신호판넬과의 데이타라인이 병렬로 접속되기 때문에 접속되는 케이블 수가 증가되고, 그 케이블 수 증가에 의해 작업 및 보수가 어려움은 물론 설계자에게 있어서는 매 납선마다 결선방법을 일일이 도면에 나타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메인신호판넬 및 서브신호판넬을 PCB(Print Circuit Board)화하여 처리보드내에 장착함에 의해 승강기 상부의 직렬통신제어부와 직렬통신방식으로 데이타를 송수신함으로써, 케이블 수를 줄여 작업 및 보수의 어려움을 개선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처리보드와 직렬통신제어부와의 결선도를 표준화시켜, 설계도면 없이도 배선작업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스템을 총괄하는 콘트롤판넬부와 그 콘트롤판넬부에 의해 구동되는 승강기로 구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기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기측의 정보를 콘트롤판넬부에 직렬전송하고, 콘트롤판넬부의 제어에 따라 부하 제어데이타를 해당 데이타처리보드에 직렬전송하는 직렬통신제어부와, 메인처리보드 및 서브처리보드에 내장되어 상기 직렬통신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부하 제어데이타에 따라 해당 부하를 구동하여 승강기의 각종 상태를 표시하고, 승강기의 각종 스위치 입력데이타를 상기 직렬통신제어부로 직렬전송하는 제1서브처리부 및 제2서브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트롤판넬부로 부터 전송된 데이타에 따라 메인처리보드 및 서브처리보드에 내장된 하나 이상의 서브처리부 중에서 원하는 서브처리부로 어드레스를 송신하는 제1과정과, 서브처리부에서 각종 스위치 입력데이타를 검사하고 램프출력을 제어하다가 통신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입력된 상기 어드레스가 자신의 어드레스인지 검색하는 제2과정과, 검색결과 자신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면 서브처리부의 각종 스위치 입력데이타를 메인중앙처리장치로 직렬전송하는 제3과정과, 그 전송된 스위치 입력데이타에 따라 상기 콘트롤판넬부로 출력데이타를 송신하고, 콘트롤판넬부로 부터 전송된 제어데이타를 수신하는 제4과정과, 수신된 상기 제어데이타에 따라 승강기 버튼램프와 승강기위치표시부를 제어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30)와 그 중앙처리장치(30)와 승강기(400)사이에서 직렬통신방식에 의해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제1직렬인터페이스부(31)로 이루어진 콘트롤판넬부(300)와, 상기 제1직렬인터페이스부(31)와 직렬통신에 의해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제2직렬인터페이스부(40)와, 스위치(SW1)의 스위칭데이타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입력버퍼(41)와, 이 입력버퍼(41)로 부터 스위칭 데이타를 입력받아 상기 제2직렬인터페이스부(40)로 출력하고, 제2직렬인터페이스부(40)로 부터 데이타를 입력받아 해당 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출력하는 메인중앙처리장치(42)와, 그 메인중앙처리장치(42)로 부터 입력된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인에이블신호를 발생하는 디코더(43)와, 그 디코더(43)에서 출력된 인에이블신호에 따라 램프(Lamp)를 구동시키는 출력버퍼(44)로 구성된 직렬통신제어부(401)와, 메인처리보드(402) 및 서브처리보드(403)에 각각 내장되어, 상기 직렬통신 제어부(401)에서 출력되는 제어데이타에 의해 승강기의 각종 상태를 표시하고, 승객에 의해 선택된 데이타를 직렬통신방식으로 상기 직렬통신 제어부(401)로 전송하는 제1서브처리부(50) 및 제2서브처리부(6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처리보드(402)에 내장된 제1서브처리부(50)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직렬통신 제어부(401)의 메인중앙처리장치(42)에서 전송된 제어데이타를 판독/연산하는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와, 이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로 부터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52)와, 그 디코더(52)에서 출력된 인에이블신호에 따라 상기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에서 출력된 데이타를 버퍼링하여 승강기버튼(57)의 램프와 승강기위치표시부(58)를 구동하는 출력버퍼(53)(54)와, 상기 디코더(52)에서 출력된 인에이블신호에 따라 스위치(SW2)(SW3)와 승강기 버튼(57)에서 입력된 데이타를 버퍼링하여 상기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로 출력하는 입력버퍼(55)(56)로 구성한다.
그리고, 서브처리보드(403)에 내장된 제2서브처리부(60)의 구성은 상기 제1서브처리부(50)와 동일하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방법 및 장치를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4도에 도시된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는 직렬통신제어부(401)의 메인중앙처리장치(42)와 직렬통신을 수행하기 전에, 엘리베이터의 운전모드에 필요한 스위치(SW2)(SW3)들 및 승강기버튼(57)의 입력데이타를 검색하기 위하여 디코더(52)에 어드레스를 제공하고, 디코더(52)는 상기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여 입력버퍼(55)(56)를 인에이블 시킨다.
이어서, 입력버퍼(55)(56)는 스위치(SW2)(SW3) 및 승강기버튼(57)의 버튼스위치(도면 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스위칭데이타를 버퍼링하여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로 출력하고,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는 제5도의 (나)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입력버퍼(55)(56)로 부터 입력된 스위칭 데이타를 검색하여(ST200), 기 설정된 데이타비트에 각각 세트 또는 리세트의 형태로 상기 스위치(SW2)(SW3) 및 승강기버튼(57) 스위치들의 온/오프상태를 표시하여, 1바이트의 데이타에 8개의 스위치상태를 표시하여 스위칭데이타를 작성한다.(ST201)
그리고, 제2서브처리부(60)의 제2서브중앙처리장치(미도시)도 상기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메인중앙처리장치(42)는 서브처리부의 수에 수반되어 구성되는 서브중앙처리장치의 수를 콘트롤판넬부(300)의 중앙처리장치(30)에서 출력되는 제어데이타의 의해 인식한 후, 그 제어데이타에 의해 설정되는 서브중앙처리장치와 통신을 하게 된다.
즉, 메인중앙처리장치(42)는 제5도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트롤판넬부(300)로 부터 입력되는 제어데이타에 따라, 먼제 제1서브처리부(50)의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 및 제2서브처리부(60)의 제2서브중앙처리장치(미도시)중 통신하고자 하는 서브중앙처리장치로 어드레스를 전송한다.(ST100)
이때,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와 제2서브중앙처리장치(미도시)는 각각 통신인터럽트가 발생되었는지 검색하여(ST202)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수신된 어드레스가 자신의 어드레스와 같은지 체크하여(ST203) 동일한 경우는 1층에서 부터 n층까지 스위치(SW2)(SW3) 및 승강기버튼(57)의 스위칭 데이타를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메인중앙처리장치(42)로 전송하며 (ST204)(ST205) 다르면 통신인터럽트를 종료한다.
그리고, 메인중앙처리장치(42)는 상기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로 부터 전송된 스위칭데이타를 수신하여(ST101)(ST102), 그 수신 데이타를 제2직렬인터페이스부(40)와 케이블(101)을 통하여 콘트롤판넬부(300)의 제1직렬인터페이스부(31)로 직렬전송한다.
그리고, 콘트롤판넬부(300)의 중앙처리장치(30)는 상기 제1직렬인터페이스부(31)를 주기적으로 읽어 승강기측(400)으로 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검색하여, 읽혀진 데이타를 램프출력의 데이타로 처리한 후 제1직렬인터페이스부(31) 및 케이블(101)을 통하여 직렬통신제어부(401)의 제2직렬인터페이스부(40)로 전송하고 자신의 운전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
이어서, 직렬통신제어부(401)의 메인중앙처리장치(42)는 제2직렬인터페이스부(40)를 주기적으로 읽어 램프 출력데이타를 입력받고, 이 램프 출력데이타를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로 직렬전송(ST103)(ST104)한 다음 어드레스를 증가시켜, 증가된 어드레스가 서브중앙처리장치의 수 보다 크면 통신을 완료하고 작으면 다음 서브중앙처리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ST105)(ST106)
즉,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가 먼저 선택된 경우에는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와 통신한 후 어드레스를 증가시켜 다음 제2서브중앙처리장치(미도시)를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제1서브처리부(50)의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는 메인중앙처리장치(42)로 부터 전송된 램프출력 데이타를 입력받아(ST206), 수신이 완료되면(ST207) 통신인터럽트를 완료하고 출력버퍼(53)(54)로 상기 램프출력데이타를 출력함과 아울러 해당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어드레스를 디코더(52)로 출력한 후 다시 처음 과정(ST200)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제2서브처리부(60)의 제2서브중앙처리장치(미도시)의 동작도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디코더(52)는 입력된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인에이블신호로 출력버퍼(53)(54)를 인에이블시키며, 출력버퍼(53)(54)는 상기 제1서브중앙처리장치(51)로 부터 입력된 램프출력 데이타를 버퍼링하여 승강기버튼(57)의 램프와 승강기위치표시부(58)를 구동시키게 됨으로써, 승객이 선택한 운행층의 승강기버튼(57)에 불을 밝혀 주거나, 현재의 승강기(400)의 위치와 승강기(400)내의 승객의 만원상태등을 표시하여 주게된다.
또한, 직렬통신제어부(401)의 메인중앙처리장치(42)는 입력버퍼(41)을 통하여 스위치(SW1)의 입력데이타를 입력받아 제2직렬인터페이스부(40)와 케이블(101)을 통하여 콘트롤판넬부(300)로 전송하고, 콘트롤판넬부(300)에서 전송된 램프제어데이타를 입력받아 디코더(43)와 출력버퍼(44)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램프(Lamp)에 불을 밝혀주게 된다.
그리고, 제6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의 다른실시예의 구성도로서, 콘트롤판넬부(500)내에 램(502)을 공유하여 중앙처리장치(503)와 서브처리보드(403)와의 통신을 전담하는 메인중앙처리장치(503)를 구비하여, 승강기 상부를 거치지 않고 서브처리보드(403)와 직접 직렬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제2서브처리부(60)를 통하여 각종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램프(LAMP)를 제어한다.
이때, 승강기 상부에 위치한 스위치(SW4)의 신호는 서브처리보드(403)로 내려서 입력받아야 하지만 이런 스위치(SW4) 신호들은 소수이기때문에 작업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그리고, 콘트롤판넬부(500)의 메인중앙처리장치(503)와 제2서브처리부(60)의 서브중앙처리장치(미도시)와의 신호 흐름은 제5도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종래 메인신호판넬 및 서브신호판넬을 PCB(Print Circuit Board)화하여 메인처리보드와 서브처리보드내에 장착한 후 승강기내의 각종 부하를 제어하는 메인처리보드 및 서브처리보드의 모든 신호들과 승강기 상부에 위치된 직렬통신제어부와 직렬통신방식으로 데이타를 송수신함으로써, 케이블수가 대폭 줄어들고 메인처리보드 및 서브처리보드의 결선도가 표준화됨은 물론 납선마다 설계도면을 제시하지 않아도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성 및 보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콘트롤판넬부로 부터 전송된 데이타에 따라 메인처리보드 및 서브처리보드에 내장된 하나 이상의 서브처리부 중에서 원하는 서브처리부에 어드레스를 송신하는 제1과정과, 서브처리부에서 각종 스위치 입력데이타를 검사하고 램프출력을 제어하다가 통신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입력된 상기 어드레스가 자신의 어드레스인지 검색하는 제2과정과, 검색결과 자신의 어드레스와 일치되면 서브처리부의 각종 스위치 입력데이타를 메인중앙처리장치로 직렬전송하는 제3과정과, 그 전송된 스위치 입력데이타에 따라 상기 콘트롤판넬부로 출력데이타를 송신하고, 콘트롤판넬부로 부터 전송된 제어데이타를 수신하는 제4과정과, 수신된 상기 제어데이타에 따라 승강기 버튼램프와 승강기위치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은 콘트롤판넬부로 출력데이타를 송신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서브처리부에 송신하는 어드레스를 증가시키는 과정과, 그 증가된 어드레스와 서브처리부의 수를 비교하여 증가된 어드레스가 작으면 어드레스를 증가시켜 전송하고 크면 통신을 완료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방법.
  3. 시스템을 총괄하는 콘트롤판넬부와 그 콘트롤 판넬부에 의해 구동되는 승강기로 구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기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기측의 정보를 콘트롤판넬부에 직렬전송하고 그 콘트롤판넬부의 제어에 따라 부하 제어데이타를 해당 데이타처리보드에 직렬전송하는 직렬통신제어부와, 메인처리보드 및 서브처리보드에 내장되어 상기 직렬통신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부하 제어데이타에 따라 해당 부하를 구동하여 승강기의 각종 상태를 표시하고, 승강기의 각종스위치 입력데이타를 상기 직렬통신제어부로 직렬전송하는 제1서브처리부 및 제2서브처리부로 구성하여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통신제어부는 상기 콘트롤판넬부와 직렬통신에 의해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제2직렬 인터페이스부와, 스위치(SW1)의 스위칭데이타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제1입력버퍼와, 그 제1입력버퍼로 부터 스위칭데이타를 입력받아 상기 제2직렬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고, 그 제2직렬 인터페이스부로 부터 데이타를 입력받아 해당 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출력하는 메인중앙처리장치와, 그 메인중앙처리장치로 부터 입력된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인에이블신호를 발생하는 디코더와, 그 디코더에서 출력된 인에이블신호에 따라 램프를 구동시키는 출력버퍼로 구성하여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서브처리부는 직렬통신제어부의 메인중앙처리장치에서 전송된 제어데이타를 판독/연산하는 제1서브중앙처리장치와, 그 제1서브중앙처리장치로 부터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그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인에이블신호를 발생하는 디코더와, 그 디코더에서 출력된 인에이블신호에 따라 상기 제1서브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된 데이타를 버퍼링하여 승강기 버튼의 램프와 승강기위치 표시부를 구동하는 제2,제3출력버퍼와, 상기 디코더에서 출력된 인에이블신호에 의해 선택되어, 스위치(SW2)(SW3)를 통한 입력데이타와 승강기 버튼을 통한 입력데이타를 버퍼링하여 상기 제1서브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는 제2,제3입력버퍼로 구성하여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6. 엘리베이터의 시스템을 총괄하는 중앙처리장치, 그 중앙처리장치와 직렬통신을 수행하는 메인중앙처리장치 및 그 중앙처리장치와 메인중앙처리장치와의 직렬통신을 공유하여 데이타의 저장과 송신동작을 수행하는 램으로 이루어진 콘트롤판넬부와, 상기 메인중앙처리장치로 부터 전송된 직렬데이타에 따라 해당 부하를 구동하여 승강기의 각종 상태를 표시하고, 승강기의 각종 스위치 입력데이타를 상기 메인중앙처리장치로 직렬전송하는 서브처리부로 구성하여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
KR1019950003124A 1995-02-18 1995-02-18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방법 및 장치 KR0186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124A KR0186107B1 (ko) 1995-02-18 1995-02-18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방법 및 장치
CN96105585A CN1054350C (zh) 1995-02-18 1996-02-18 用于电梯的信号传输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124A KR0186107B1 (ko) 1995-02-18 1995-02-18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316A KR960031316A (ko) 1996-09-17
KR0186107B1 true KR0186107B1 (ko) 1999-04-15

Family

ID=1940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124A KR0186107B1 (ko) 1995-02-18 1995-02-18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86107B1 (ko)
CN (1) CN1054350C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316A (ko) 1996-09-17
CN1054350C (zh) 2000-07-12
CN1135450A (zh) 1996-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9717A (en) Teaching system using computors equipped with screens and connected in a closed loop with a teacher control station
US4298958A (en) Sequence control system
KR0186107B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방법 및 장치
US5752184A (en)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circuit capable of processing a signal from a plurality of kinds of remote control transmitter
KR100586759B1 (ko) 키입력처리회로
KR930009008B1 (ko) 엘리베이터의 운전신호 직렬통신 시스템
JP3233571B2 (ja) 信号処理システム
JP3903806B2 (ja) リモート入出力装置
JP2619506B2 (ja) 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KR200185471Y1 (ko) 마이컴의 포트 셀렉터
JP3472891B2 (ja) 制御通信システム
KR910009071B1 (ko) 승강기의 원격감시제어방법 및 장치
KR960001834Y1 (ko) 입력신호 자동전환 회로
JPH06332591A (ja) ディスプレイ
KR0136439B1 (ko) 팩시밀리의 신호선 공유 장치
KR100365324B1 (ko) 엘리베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346282B1 (ko) 직렬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930009155B1 (ko)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방법
KR0167181B1 (ko) 엘리베이터의 직렬 통신장치
JPH0694572A (ja) 多芯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用芯線識別装置
JP2003348887A (ja) モータドライバ試験システム
JP2619558B2 (ja) 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KR920001437B1 (ko) 키텔리폰의 키동작 제어회로
JPH08320709A (ja) シーケンサ入力装置
JP2555232B2 (ja) 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