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796B1 - 설계검증장치 및 설계검증방법 - Google Patents

설계검증장치 및 설계검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796B1
KR0185796B1 KR1019950019388A KR19950019388A KR0185796B1 KR 0185796 B1 KR0185796 B1 KR 0185796B1 KR 1019950019388 A KR1019950019388 A KR 1019950019388A KR 19950019388 A KR19950019388 A KR 19950019388A KR 0185796 B1 KR0185796 B1 KR 0185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ification
design
item
data
verifica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오 카가와
마사키 야마네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설계된 것이, 명세를 만족하고, 제품으로서 타당한지의 여부를 검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설계의 검증에 간해서 검증누락이 적고, 검증경험을 축적하고, 또한, 보고서작성 등의 부대적인 업무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공업제품의 설계검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공업제품의 설계를 행하였을 때에, 이 설계가 타당한지의 여부를 검증하는 경우, 검증방법을 기재한 지식데이터베이스(8)에 의거해서, 보완데이터베이스부(13), (14)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고, 소정의 방법에 의거해서 검증해야할 값, 즉, 피검증치(16)를 피검증치산출수단(15)에 의해 산출하고, 이것을 소정의 허용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검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설계검증장치 및 설계검증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설계예 데이터베이스 2 : 설계예 검색수단
3 : 과거의 설계예 4 : 설계변경수단
5 : 설계데이터 6 : 명세
7 : 명세항목작성수단 8 : 명세항목
9 : 지식데이터베이스부 10 : 검증리스트작성수단
11 : 검증리스트 12 : 실험장치
13 : 실험데이터베이스 14 : 부품데이터베이스
15 : 추론기구 16 : 검증치산출수단
17 : 검층치 18 : 검증항목판정부
19 : 설계완료 판정부 20 : 설계예 등록부
21 : 보고서 작성부 22 : 보고서
23 : 불량표시부
본 발명은, 설계된 것이, 명세를 만족하고, 제품으로서 타당한지의 여부를 검증하는 설계검증장치 및 설계검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업제품의 설계가 행해진 때에, 그 설계가 제품으로서 성립할 수 있는지의 여부, 명세와 같은 성능을 가지는지의 여부 등에 대해서 검증이 행하여진다. 이 검증은 대부분의 경우, 경험과 숙련을 가진 기술자에 의해 행하여져 왔다.
한편, 컴퓨터 등의 기기를 사용한 CAD시스템에 의해서, 구성부품이 접촉하는 지의 여부 등의 부품형상의 간섭검사를 행할 수 있다.
그러나, 기술자에 의한 검증에서는 설계불량을 모두 검출할 수 없고, 검출누락이 존재한다. 설계불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검증누락에 의해 설계불량을 검출할 수 없었던 설계에 의거해서 제품화하였을 경우, 시작품의 불완전한 곳을 고침으로써 많은 경제적손실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기술자에 의한 검증은 기술자의 경험에 의하는 바가 큼에도 불구했고, 기술자개인이 축적한 경험을 다른 기술자와 공유하는 수단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유사한 검증누락이나 검증불량의 발생율이 높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검증을 행하는 기술자에 의해 검증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검증에 변동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CAD시스템에 의한 검증은 주로 치수에 관한 검증이므로, 온도, 중량 등의 다른 물리량의 검증이 곤란하고, 또한 부품의 인가전압 등의 부품사이에 관련되는 데이터의 종합적 검증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 이 검증결과를 보고하는 보고서에는, 검증항목, 검증방법, 검증결과 및 그 결과에 이르는 근거 등을 상세하게 기재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설계의 검증에 관해서 검증누락이 적고, 검증경험을 축적하고, 또한, 보고서작성 등의 부대적인 업무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공업제품의 설계검증장치 및 설계검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규의 설계에 따른 제품이 규정된 명세를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신규의 설계제품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설계검증장치에 있어서, 신규의 설계를 위한 명세를 입력하는 명세입력수단과: 과거의 설계데이터를 기억하는 과거의 설계데이터기억수단과; 신규의 설계명세에 따라서 상기 과거의 설계데이터를 수정하고, 또한 신규의 설계제품을 위한 부품의 리스트와 검증될 부품의 특성으로 구성된 신규의 설계데이터를 생성하는 설계데이터생성수단과; 입력명세에 의거하여 명세항목 및 이 명세항목의 허용범위를 생성하는 명세항목생성수단과; 과거의 설계데이터에 의거한 검증항목 및 검증항목의 허용범위를 기억하는 지식데이터베이스수단과; 명세항목과 검증항목에 대한 검증치를 산출하는 검증치산출수단과; 상기 명세항목에 따라 얻은 검증치와 상기 명세항목의 상기 허용범위를 비교하고, 또한 상기 검증항목에 따라 얻은 검증치와 상기 검증항목의 상기 허용범위를 비교하고, 또한 상기 검증치가 대응오차범위내에 있는 때에 상기 검증치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과거의 설계데이터기억수단은 복수의 과거의 설계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설계데이터생성수단은, 신규의 설계에 가장 가까운 과거의 설계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입력명세에 의거하여 과거의 설계데이터를 수정하고, 또한 신규의 설계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수단은, 검증항목과 명세항목의 각각에 대해서 검증할 검증치를 산출하는 스텝과 검증값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얻는 스텝을 부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검증치산출수단은, 검증항목과 명세항목을 포함한 검증리스트를 생성하는 검증리스트 생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검증치산출수단은, 검증치산출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는 보완형 데이터베이스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검증치산출수단은, 상기 보완형 데이터베이스수단에 저장된 다른 데이터로부터 추론함으로써 검증치산출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는 추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평가수단에 의해 상기 검증치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평가할 때에 상기 신규의 설계데이터를 설계예로서 기억하는 설계예기억수단을 부가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신규의 설계데이터를 위한 소정의 형식에 따라서 보고서를 작성하는 수단을 부가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규의 설계에 따른 제품이 규정된 명세를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신규의 설계제품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설계검증방법에 있어서, (a) 신규의 설계를 위한 명세를 입력하는 단계와; (b) 신규의 설계명세에 따라서 과거의 설계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와; (c) 신규의 설계제품을 위한 부품리스트와 검증될 부품의 특성으로 이루어진 신규의 설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d) 입력명세에 의거한 명세항목 및 이 명세항목의 허용범위를 생성하는 단계와; (e) 과거의 설계데이터에 의거한 검증항목 및 이 검증항목의 허용범위를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는 단계와; (f) 명세항목과 검증항목을 위한 검증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g) 상기 명세항목에 따라서 얻은 검증치와 상기 명세항목의 상기 허용범위를 비교하는 단계와; (h) 상기 검증항목에 따라서 얻은 검증치와 상기 검증항목의 상기 허용범위를 비교하는 단계와; (i) 상기 검증치가 대응오차범위내에 있을 때에 상기 검층치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설계된 각 타입의 제품에 대해서 검증될 내용이 검증항목의 리스트로서 지식베이스에 기억된다. 특정한 검증항목을 검증하기 위하여 결함으로부터 초래되는 검증오차는, 기억된 검증항목의 각각을 증분하여 검증하는 검증처리를 행함으로써 제거된다.
검증내용으로서 검증될 값, 즉, 검증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는 단계, 검증치에 대한 허용범위 등의 검사룰(inspection rule)을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함으로써, 검증내용은 표준화되고 검증내용의 변동이 제거된다.
각 제품에 대한 검증항목의 리스트 및 각 입증항목과 명세항목에 대한 검증치를 산출하는 방법(즉 단계)을 지식베이스에 기억함으로써 검증경험과 지식을 축적할 수 있고 또한 검증의 표준을 개선할 수 있다.
생산제품에 사용되는 부품에 대한 명세데이터와 기타정보를, 검증치의 계산시에 접근 가능한 보완용 데이터베이스로서 일괄관리함으로써, 부품데이터는 공유될 수 있고 또한 검증치의 산출의 변동을 제거할 수 있다. 지식베이스에서 허용범위를 기록하고 허용범위내에 검증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검증표준을 표준화 할 수 있고, 또한 검증결과의 변동을 제거할 수 있다.
요구된 데이터가 보완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때에 인공지능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기존의 데이터로부터 검증치의 계산시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추론하는 추론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검증치산출을 적응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실제로 공업제품을 설계하는 경우, 처음부터 제품의 모든 측면을 설계하는 일은 거의 없다. 선행의 설계에 의해 설계하고 신규의 명세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선행의 설계를 수정하는 것이 더욱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선행의 설계가 과거의 설계예로서 설계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면, 신규제품의 설계시에 이들의 과거의 설계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신규의 설계데이터가 한층 더 효율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검증결과가 양호하게 검증된 설계데이터는 이와 같은 설계예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면, 검증된 설계는 장래의 설계에 다시 사용될 수 있고, 이와같은 장래의 설계는 효율적으로 완성될 수 있다.
검증결과의 상세내용에 의거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수단을 부가하여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검증보고서를 준비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소정의 서식에 의해 이들의 보고서를 작성함으로써 보고서의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에어콘의 콤프레서를 예로 제1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6)은 이번에 설계하려고 하는 콤프레서의 명세가 기재돼어 있는 명세서로서 주어지는 신규데이터의 명세이다. (8)은 명세(6)에 기재된 정보중, 검증이 필요한 항목이 열거되어 있어서, 그 항목에 관하여, 허용치 등의 값이 기재되어 있는 명세항목이다. (7)은 명세(6)로부터 명세항목(8)을 작성하는 명세항목작성수단이다. (1)은, 과거에 설계한 콤프레서에 관하여 각각 사용하는 부품의 리스트, 부품의 공간적배치, 전기회로, 외관 등의 정부가 기억되어 있는 설계예 데이터베이스이다. (2)는, 과거에 설계된 콤프레서중, 설계하려고하는 제품의 명세(6)에 의거해서, 가장 가까운 명세를 가지거나, 또는 이번에 설계하려고하는 제품의 기본으로 되는 것을 과거의 설계예(3)로서 인출하도록 설계예 데이터베이스(1)로부터 검색하는 설계예 검색수단이다. (4)는, 설계예검색수단(2)에 의해 검색된 과거의 설계예(3)를 명세(6)에 합치하도록 변경하는 설계변경수단이다. (5)는, 과거의 설계예(3)가 설계변경수단(4)에 의해 변경된 것으로서 이것을 검증하는 설계데이터이다. 설계데이터(5)에는, 사용하는 부품의 리스트이외에, 부품의 공간적배치, 전기회로, 외관 등의 사용하는 부품의 관련을 표시한 정보 등의 데이터가 기재되어 있다.
또, (9)는, 설계된 제품에 관해서 명세항목 이외에 검증하지 않으면 안될 검증항목과, 그 검증항목이나 사양항목(8)의 검증방법이나 허용범위 등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지식데이터베이스부이다. (10)은 지식데이터베이스부(9)와 명세항목(8)에 의거해서 설계된 각각의 제품에 관해서 행하지 않으면 안될 검증항목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 각 검증항목에 관해서 검증치(17)의 산출방법과 검증치(17)의 산출에 필요한 데이터의 취득방법과 그 검증항목의 허용범위 등을 기재한 검증리스트(11)를 장성하는 검증리스트작성수단이다. 여기서, 검증치란 모터의 역률(力率) 등이, 검증시에, 소정의 허용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값을 말한다.
또, (14)는 제품에 사용하는 부품에 관하여, 메이커로부터 제시되는 명세에 관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부품데이터베이스이다. (12)는, 제품에 사용하는 부품에 관하여, 각종의 실험을 행하고, 메이커로부터 제시되어 있지 않는 부품의 특성이나, 다른 부품과 조합함에 따르는 부품의 특성 등을 조사하는 실험장치이다.
(13)은, 실험장치(12)에 의해 실험적으로 얻게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실험 데이터베이스이다. (15)는, 실험데이터베이스(13)나 부품데이터베이스(14)에 기록되어 있지 않는 데이터에 대해서,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추론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구하는 추론기구이다. 실험데이터베이스(13)와 부품데이터베이스(14)를 보완데이터베이스부로 칭한다.
또, (16)은, 검증리스트(11)의 지시에 의거해서 부품데이터베이스(14)와 실험데이터베이스(13)를 검색하거나, 이들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추론기구(15)에서 추론함으로써 검증치(17)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얻어서, 검증치(17)를 산출하는 검증치산출수단이다. (18)은, 검증치산출수단(16)에 의해 산출된 개개의 검증항목의 검증치(17)가 검증리스트(11)에 기재되어 있는 허용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허용범위내에 있으면, 그 검증항목은 양호로 판정하는 검증항목판정부이다.
또, (19)는, 검증항목판정부(18)의 결과는 검증리스트(11)에 의거해서 양호한 등록을 행하고, 모든 검증항목에 의해 양호한 판정을 행한 경우에, 설계완료의 처리를 행하는 설계완료판정부이다. (20)은, (19)에서 설계완료가 판정된 설계데이터(5)를 설계예 데이터베이스(1)에 등록하는 설계예 등록부이다. (21)은 설계완료판정부(19)에서 모든 검증항목에 의해 양호한 판정이 나온 설계데이터(5)에 관하여, 보고서(22)를 작성하는 보고서작성부이다. (23)은 양호한 판정이 나오지 않았던 검증항목에 대하여, 허용치내에 있지 않은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불량표시부이다. 검증항목판정부(18)와 설계완료판정부(19)를 판정수단으로 칭한다.
이하에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이번에 설계하려고 하는 콤프레서의 명세(6)를 입력한다. 설계예 검색수단(2)에 의해 설계예 데이터베이스(1)를 검색하고, 과거에 설계한 콤프레서의 설계예중에서 주어진 명세(6)에 가까운 과거의 설계예(3), 즉 이번의 설계에 대해서 기본으로서 가장 적합한 과거의 설계예(3)를 특정한다. 이 특정된 과거의 설계예(3)에 대하여, 설계변경수단(4)에서 주어진 명세(6)에 적합하도록 과거의 설계예(3)를 변경하고, 검증대상으로 되는 설계데이터(5)를 작성한다. 설계 변경수단(4)에서는, 컴퓨터화면의 지시에 의거하여, 탑재하는 부품의 명칭 등을 입력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한편, 명세항목작성수단(7)에서, 명세(6)로부터 검증이 필요한 명세항목(8)의 리스트를 작성한다. 여기서는 명세로서, 모터의 역률을 90% 이상으로 한다고 하는 지시가 있었다고 하면, 검증치로서 역률의 계산허용치를 계산하고, 허용치를 90% 이상으로 하는 명세항목이 작성된다.
지식데이터베이스부(9)에는 콤프레서를 제품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검증항목이 기록되어 있다. 지식데이터베이스부(9)에는 이들 검증항목이나 사양항목(8)의 검증방법에 대해서도 기록되어 있다. 검증리스트작성수단(10)에서는, 설계된 것을 제품화하는데 확인할 필요가 있는 지식데이터베이스부(9)에 기록되어 있는 검증항목과 명세(6)에서 요구되고 있는 명세항목(8)을 검증항목으로서 리스트를 작성하고 , 각 검증항목에 관하여 검증치의 산출방법과 검출치의 산출에 필요한 데이터의 취득방법과 이 검증치의 허용범위로 이루어지는 검증리스트(11)가 작성된다. 예를 들면, 콤프레서의 경우, 제품화하기 위하여 행하지 않으면 안될 모터의 역률의 계산 등의 검증항목의 리스트가 지식데이터베이스부(9)에 기록되어 있다. 그 중에서 모터의 역률에 관한 검증항목에는, 검증치로서 이 모터의 역률을 채용하고, 그 역률을 계산하는 모터에 인가되는 무부하 단자전압이나 모터의 내부저항, 운전시의 부하 등의 데이터가 필요하며, 이들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과, 검증치인 모터의 역률계산의 방법과, 그 허용범위가 지식데이터베이스부(9)에는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명세항목(8)에 모터의 역률의 항목이 있었을 경우, 검증리스트(11)에는 검증항목으로서 모터의 역률의 항목을 들 수 있으며, 이 역률의 허용범위로서는 명세항목(8)에 기재된 허용범위가 채용된다.
이들 허용범위는 다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계산식에 의해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명세항목에 모터의 역률에 관한 항목이 없었을 경우에는, 콤프레서의 모터의 역률에 관한 항목이 지식데이터베이스부(9)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검증리스트에 검증항목으로서 모터의 역률을 들 수 있으며, 허용치로서는 지식데이터베이스부(9)에 기재되어 있는 허용치가 채용된다. 역률의 계산방법이나 역률의 계산에 필요한 무부하 단자전압 데이터의 취득방법 등은, 지식데이터베이스부(9)의 정보에 의거하여, 모터의 역률의 검증항목의 검증룰로서 검증리스트(11)에 열거되어 있다.
지금, 모터의 역률계산의 검증항목에 대하여, 무부하 단자전압과 모터의 내부저항과 운전시의 부하의 크기로부터 검증치인 역률을 소정의 계산식에 의해 계산하고, 그 계산결과가 어떤 기준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허용범위내에 있으면 양호라고 판정하는 검증룰이 검증리스트에 기재되어 있었던 것으로 한다. 또, 무부하 단자전압은 회로도로부터 산정하고, 모터의 내부저항은 부품데이터베이스(14)를 검색함으로써 취득하며, 운전시의 부하는 실험데이터베이스(13)에 기재되어 있는 데이터중, 모터가 구동시키는 압축기구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산정한다는 지시가 있었던 것으로 한다. 또 실험데이터베이스(13)에는, 이전에 이 압축기구에 관해서 행한 실험결과가 기록되어 있어서, 압축시에 걸리는 모터의 부하 등의 데이터는 이 실험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 무부하 단자전압은 회로도로부터 산정한다는 지시가 검증리스트(11)에 기재되어 있었던 것으로 한다.
검증치산출수단(16)에 있어서는, 이들 지시에 의거해서 검증치인 역률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의 산정을 행한다. 역률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중, 모터의 내부저항과 운전시의 부하는 부품데이터베이스(14)나 실험데이터베이스(13)를 검색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나, 무부하 단자전압은 회로도로부터 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검증하려고하는 콤프레서에는 모터와 마찬가지로, 운전시에 임피던스가 변동하는 부품이 있었다고 하면, 지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도로부터 무부하 단자전압을 산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여기서 추론기구(15)에서 운전시에 임피던스가 변동하는 부품의 변동폭을 부품데이터베이스(14)에 기록된 데이터나 실험데이터베이스(13)에 기록된 데이터 등으로 부터, 회도로도부터 모터에 인가되는 무부하 단자전압을, 추정하여, 검증치산출수단(16)에 값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실험데이터베이스(13)에, 검증대상의 에어콘과 마찬가지의 회로를 사용해서, 또한, 탑재하기로 예정된 모터이외의 모터로서 내부저항만이 다른 몇 개의 모터를 탑재하였을 경우의 무부하 단자전압의 실험에 의한 측정치가 기록되어 있었다고 하면, 이들 데이터로부터 스플라인보완 등의 기법으로 보완을 행하여, 무부하 단자전압을 추정하고, 이것을 검증치산출수단(16)에 출력한다. 또, 검증치산출수단(16)에서는, 이들 데이터를 검증리스트(11)에 기재되어 있는 역률의 계산식에 대입하여 모터의 역률을 계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계산된 검증치와 검증데이터(11)에 기재되어 있는 허용범위를 검증항목판정부(11)에서 비교하고, 검증치가 허용범위내에 있으면 양호라고 판정하고, 허용범위내에 없으면 불량으로 판정한다. 불량으로 판정된 항목은 불량표시부(23)에서 작업자에게 불량이었다는 것과 불량의 정도가 보고된다.
상기 검증방법에 의한 검증은 설계데이터작성수단에 의해, 데이터가 변경될때마다, 변경된 데이터에 의해 영향이 미치게 되는 검증항목만을 검증하도록 하면 작업자가 검증결과를 확인하면서, 설계를 행할 수 있다.
설계완료판정부(19)에서는 검증리스트(11)에 열거되어 있는 모든 검증항목에 관하여, 검증항목부(18)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양호라고 판정된 항목을 등록하고, 모든 검증항목이 양호라고 등록되었을 경우에 작업자에게 이 사실을 통지한다. 작업자가 이 정보를 근거로 확정, 즉 설계완료의 판단을 내린 설계데이터(5)에 관하여, 보고서작성수단(21)에서는, 이 결과에 의거해서 보고서(22)를 작성한다. 또, 설계예등록수단(20)은 설계완료로 판정된 설계데이터(5)를 금후의 설계시의 설계예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예 데이터베이스(1)에 등록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설계데이터작성수단(4)과 검증처리가 연동하여, 설계를 행하면서 검증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설계데이터작성수단(4)에 의해 모든 변경을 완료시킨 설계데이터(5)를 작성하고, 이 설계데이터에 관해서 모든 검증항목의 검증을 실시하고, 불량처리부(23)에서 불량이라고 판정된 검증항목과, 그 불량정도를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불량처리부(23)에서 불량이라고 표시된 검증항목에 관하여, 양호라고 판정되도록 설계데이터작성수단(4)에 의해서 설계를 변경한다. 이렇게 해서 모든 검증항목이 양호라고 판정되고, 설계완료판정부(19)에서 설계완료의 판정이 나올때까지, 설계데이터의 변경과 검증을 반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계데이터(4)를 검증하면 누가 검증해도 동일한 검증결과를 얻게 되고, 검증누락이 없어진다. 또, 설계예데이터베이스를 가짐으로써 과거에 설계한 데이터의 재이용이 가능하게 되고, 설계의 효율이 상승한다. 또, 지식데이터베이스부(8)에는 지금까지 검증작업을 행해온 경험이 모두 축적되고, 공유화되어 있으므로, 검증내용의 표준화가 한층더 개선된다.
여기서는 에어콘의 콤프레서에 사용되는 모터에 관하여, 모터의 역률의 검증항목에 관해서 설명을 하였으나, 역률이외에도, 모터의 진동 등의 검증항목도 마찬가지로 검증할 수 있다. 또, 오일의 양, 냉매가스의 양, 실린더의 용적 등이 적절한지의 여부와, 열의 발산은 명세대로 행하여지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검증에도 마찬가지로 응용이 가능하다. 또 에어콘이외의 제품에서도 본 발명의 검증장치의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설계장치를 사용하면, 과거의 경험이 축적된 지식데이터베이스부를 사용하므로, 검증누락이 없고, 검증내용도 상위평준화된다. 따라서, 시작품을 작성한 단계에서의 설계수정이 적게 되고, 시작품의 작성코스트도 적게 된다. 또, 누구라도 용이하게 검증할 수 있고, 검증에 소요되는 시간도 저감된다.
추론을 행함으로써, 검증을 행하는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도 검증을 행할 수 있다. 또, 설계예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설계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보고서의 자동작성기능을 가짐으로써 보고서의 작성의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Claims (10)

  1. 신규의 설계에 따른 제품이 규정된 명세를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신규의 설계제품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설계검증장치에 있어서, 신규의 설계를 위한 명세를 입력하는 명세입력수단과; 과거의 설계데이터를 기억하는 과거의 설계데이터기억수단과; 신규의 설계명세에 따라서 상기 과거의 설계데이터를 수정하고, 또한 신규의 설계제품을 위한 부품의 리스트와 검증될 부품의 특성으로 구성된 신규의 설계데이터를 생성하는 설계데이터생성수단과; 입력명세에 의거하여 명세항목 및 이 명세항목의 허용범위를 생성하는 명세항목생성수단과: 과거의 설계데이터에 의거한 검증항목 및 검증항목의 허용범위를 기억하는 지식데이터베이스수단과; 명세항목과 검증항목에 대한 검증치를 산출하는 검증치산출수단과; 상기 명세항목에 따라 얻은 검증치와 상기 명세항목의 상기 허용범위를 비교하고, 또한 상기 검증항목에 따라 얻은 검증치와 상기 검증항목의 상기 허용범위를 비교하고, 또한 상기 검증치가 대응허용범위내에 있는 때에 상기 검증치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의 설계데이터기억수단은 복수의 과거의 설계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데이터생성수단은, 신규의 설계에 가장 가까운 과거의 설계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입력명세에 의거하여 과거의 설계데이터를 수정하고, 또한 신규의 설계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수단은, 검증항목과 명세항목의 각각에 대해서 검증할 검증치를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또한 검증값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얻는 알리리즘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치산출수단은, 검증항목과 명세항목을 포함한 검증리스트를 생성하는 검증리스트생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치산출수단은, 검증치산출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는 보완형 데이터베이스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치산출수단은, 상기 보완형 데이터베이스수단에 저장된 다른 데이터로부터 추론함으로써 검증치 산출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는 추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수단에 의해 상기 검증치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평가할 때에 상기 신규의 설계데이터를 설계예로서 기억하는 설계예기억수단을 부가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의 설계데이터를 위한 소정의 서식에 따라서 보고서를 작성하는 수단을 부가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장치.
  10. 신규의 설계에 따른 제품이 규정된 명세를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신규의 설계제품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설계검증방법에 있어서, (a)신규의 설계를 위한 명세를 입력하는 단계와; (b)신규의 설계명세에 따라서 과거의 설계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와; (c)신규의 설계제품을 위한 부품리스트와 검증될 부품의 특성으로 이루어진 신규의 설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d)입력명세에 의거한 명세항목 및 이 명세항목의 허용범위를 생성하는 단계와; (e)과거의 설계데이터에 의거한 검증항목 및 이 검증항목의 허용범위를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는 단계와; (f)명세항목과 검증항목을 위한 검증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g)상기 명세항목에 따라서 얻은 검증치와 상기 명세항목의 상기 허용범위를 비교하는 단계와; (h)상기 검증항목에 따라서 얻은 검증치와 상기 검증항목의 상기 허용범위를 비교하는 단계와; (i)상기 검증치가 대응허용범위내에 있을 때에 상기 검증치가 수용가능한의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검증방법.
KR1019950019388A 1994-07-06 1995-07-04 설계검증장치 및 설계검증방법 KR0185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408094A JP3283383B2 (ja) 1994-07-06 1994-07-06 設計検証装置
JP94-154080 1994-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5796B1 true KR0185796B1 (ko) 1999-05-15

Family

ID=15576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388A KR0185796B1 (ko) 1994-07-06 1995-07-04 설계검증장치 및 설계검증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87094A (ko)
JP (1) JP3283383B2 (ko)
KR (1) KR0185796B1 (ko)
CN (1) CN113313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471B1 (ko) * 2006-01-17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논리회로 검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논리회로 검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7598A (en) * 1990-02-14 1998-02-10 Hitachi, Ltd. Automatic manufacturability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US5828575A (en) 1996-05-06 1998-10-27 Amadasoft Americ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nd distributing design and manufacturing information throughout a sheet metal production facility
US5864482A (en) * 1996-05-06 1999-01-26 Amadasoft Americ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ng design and manufacturing information throughout a sheet metal production facility
WO1998008775A1 (en) * 1996-08-29 1998-03-05 Corning Incorporated Silica with low compaction under high energy irradiation
US6434441B1 (en) * 1998-04-30 2002-08-13 General Electric Company Designing and making an article of manufacture
US6243614B1 (en) * 1998-07-21 2001-06-05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product for optimizing assembly performance
WO2000022552A1 (de) * 1998-10-14 2000-04-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ordnung zur modellierung eines technischen systems
US6393331B1 (en) * 1998-12-16 2002-05-2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of designing a turbine blade outer air seal
US6430455B1 (en) * 1999-01-25 2002-08-06 General Electric Company Managing how current files of a product are at the time of release
US6741265B2 (en) * 1999-11-24 2004-05-25 General Electric Company Network-based design systems and methods
US6625507B1 (en) * 2000-02-23 2003-09-23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 low pressure turbine shaft
JP3735507B2 (ja) 2000-03-17 2006-01-18 日本電気株式会社 不具合部分の集計装置と集計方法及びこの集計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631304B2 (en) * 2001-04-30 2003-10-0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technical plans
US7925878B2 (en) * 2001-10-03 2011-04-12 Gemalto Sa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trusted network capable of facilitating secure open network transactions using batch credentials
US7219043B2 (en) * 2002-02-05 2007-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reverse and re-engineering parts
US6856842B2 (en) 2002-02-05 2005-02-1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tooling master model for manufacturing parts
US20040044555A1 (en) * 2002-09-04 2004-03-04 Bangs Richard Ala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product development
US20040243267A1 (en) * 2003-05-30 2004-12-02 Shih-Wen Tu Systematic control of cross fabrication (fab) engineering changes in integrated circuit (IC) foundry manufacturing
US7184902B2 (en) * 2003-09-30 2007-02-27 Reliance Electric Technologies, Llc Motor parameter estim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606683B2 (en) * 2004-01-27 2009-10-2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oling system design simulator
US7158853B2 (en) * 2004-10-25 2007-01-02 Amada Company, Limited Pattern recognition for sheet metal part models
US8065116B2 (en) * 2008-10-08 2011-11-22 Robert Bosch Gmbh Systems, methods, and tools for proofing a computer-aided design object
US8095341B2 (en) 2008-10-08 2012-01-10 Robert Bosch Gmbh Systems, methods, and tools for proofing a computer-aided design object
US20100087943A1 (en) * 2008-10-08 2010-04-08 Robert Bosch Gmbh Systems, methods, and tools for proofing a computer-aided design object
US9651356B1 (en) 2014-01-29 2017-05-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easuremental evaluation of dimensional tolerancing compliance of a cylindrical object
US9335146B1 (en) 2014-01-29 2016-05-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imensional measurement apparatus for a cylindrical object
JP6757019B2 (ja) * 2016-08-04 2020-09-16 靜甲株式会社 受注生産品の設計支援システム並びに設計支援方法
CN109002674A (zh) * 2018-10-09 2018-12-14 浙江省水利水电勘测设计院 一种隧洞群施工进度仿真方法及系统
CN109543252B (zh) * 2018-11-05 2022-11-22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基于鸟撞的系统安全性评估方法
CN109558647B (zh) * 2018-11-07 2023-01-13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基于catia的相似零件快速建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0591A (en) * 1987-08-24 1989-09-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for ensuring device compatibility
US5191534A (en) * 1990-08-21 1993-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change control mechanism
US5586052A (en) * 1993-04-27 1996-12-17 Applied Computer Solutions, Inc. Rule 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an engineering design for correctness and completeness
US5550746A (en) * 1994-12-05 1996-08-27 American Greeting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selectively retrieving product data by correlating customer selection criteria with optimum product designs based on embedded expert judgm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471B1 (ko) * 2006-01-17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논리회로 검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논리회로 검증장치
US7913207B2 (en) 2006-01-17 2011-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logic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309A (zh) 1996-03-27
JPH0822480A (ja) 1996-01-23
CN1133131C (zh) 2003-12-31
US5687094A (en) 1997-11-11
JP3283383B2 (ja) 200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796B1 (ko) 설계검증장치 및 설계검증방법
CN109779894B (zh) 一种基于神经网络算法的往复式压缩机故障诊断系统及方法
JP5432128B2 (ja) 遠隔診断モデリング
RU2155328C1 (ru) Основанная на модели система обнаруже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ей для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й
KR20040088491A (ko) 제조설계 및 공정분석 시스템
WO2021150579A1 (en) Techniques for automated maintenance of integrally bladed rotors
CN116167749B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永磁同步电机故障诊断方法
JP5752621B2 (ja) 需要予測装置、需要予測プログラムおよび需要予測方法
CN115769160A (zh) 监测电机的方法
US6615159B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aintenance for a molding system
KR100532237B1 (ko) 전기모터용모델기초오류검출시스템
JP2003186947A (ja) 空調機器設計システム
US20050289380A1 (en) Method of time-in-service reliability concern resolution
KR20070062174A (ko) 배선회로 최적 설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JP2002318612A (ja) 品質情報検索システム及び検索方法
JP2002503843A (ja) プロセスおよび設備診断方法
CN112734173B (zh) 电梯部件生产者评价系统与评价方法
CN109323420B (zh) 空调的运行能力检测方法及系统
JP4184338B2 (ja) 車両関連部品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
JP7339861B2 (ja) 故障確率評価システム
CN115936679B (zh) 一种复杂系统的预测维修决策数字化方法和装置
US20230111750A1 (en) Component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CN109323384B (zh) 空调的运行能力检测方法及系统
Gubarevych et al. FORMALIZATION OF RELIABILITY INDICATORS OF INDUCTION MOTORS FOR ELECTRIC DRIVES OF RAILWAY ROLLING STOCK
Arkharov et al. Prediction of MTTF of Rotary Microcryogenic Gas Machines (Microcryocoolers) based on the Weibull Distribution La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