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263B1 -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의 제조방법 및 그의 연속 배향 숙성장치 - Google Patents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의 제조방법 및 그의 연속 배향 숙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263B1
KR0185263B1 KR1019960053872A KR19960053872A KR0185263B1 KR 0185263 B1 KR0185263 B1 KR 0185263B1 KR 1019960053872 A KR1019960053872 A KR 1019960053872A KR 19960053872 A KR19960053872 A KR 19960053872A KR 0185263 B1 KR0185263 B1 KR 0185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orientation
ripening
aromatic polyamid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520A (ko
Inventor
김종철
한인식
이형탁
허형돈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960053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263B1/ko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EP97942283A priority patent/EP0932724B1/en
Priority to PCT/KR1997/000181 priority patent/WO1998013548A1/en
Priority to JP51551898A priority patent/JP4669589B2/ja
Priority to DE69726172T priority patent/DE69726172T2/de
Priority to ES97942283T priority patent/ES2210576T3/es
Priority to US09/254,862 priority patent/US6166175A/en
Priority to CN97198135A priority patent/CN1104527C/zh
Publication of KR19980035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263B1/ko
Priority to JP2006126681A priority patent/JP4147254B2/ja
Priority to JP2008143309A priority patent/JP2008208514A/ja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10Organic non-cellulose fibres
    • D21H13/20Organic non-cellulose fibre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3/26Polyamides; Poly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0Polyamides derived from aromatically bound amino and carboxyl groups of amino-carboxylic acids or of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6Regulating pulp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6Solidify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45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placed in s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Paper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석면의 대체품으로 브레이크 라이닝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합용매하에서 방향족 디아민과 등몰량의 방향족 디에시드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제조한 미배향 폴리머를 연속적으로 배향 및 숙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미배향 폴리머를 연속적으로 배향 및 숙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므로서 공정의 간소화, 수율의 향상 및 기계 설치 공간의 절약을 도모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배향 및 숙성으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배향조(5)를 배향영역 및 숙성영역 위치로 연속적으로 이동 시키면서 배향 및 숙성 숙성시킬 수 있도록 (A) 배향 임펠러 (4) 및 배향 모터 (2) 의 교반수단 (B) 배향조 (5), 배향조 이동 실린더 (3) 및 배향조 안내판 (11) 의 이동수단 (C) 배향조 안내판 및/또는 숙성 고화봉 (8) 에 냉매 및 열매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밸브의 열매순환수단 및 (D) 선택적으로 일자 나이프 실린더 (6), 일자 나이프 (17) 및 사각 나이프 (7)의 절단수단으로 구성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 제조용 연속 배향 숙성장치를 제공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석면의 대체품으로 브레이크 라이닝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의 제조에 사용된다.

Description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의 제조방법 및 그의 연속 배향 숙성장치
본 발명은 석면의 대체품으로 브레이크 라이닝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의 연속 배향 숙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중합용매하에서 방향족 디아민과 등몰량의 방향족 디에시드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제조한 미배향 폴리머 (이하 프레 폴리머 라고한다)를 연속적으로 배향 및 숙성시키거나 배향, 숙성 및 절단하는 방법과 그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는 주로 석면대체재로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용도는 수지보강재,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 및 가스켓 등으로 사용된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를 제조하는 종래 기술 및 그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미국특허 3869430 에서는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디에시드클로라이드를 중합용매하에서 중합시켜 폴리머를 제조하고, 제조된 폴리머를 진한 황산에 녹여서 방사용 액정도프를 제조하고, 이들 방사용 액정도프를 방사구금으로 토출시켜서 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를 제조한 후, 필라멘트를 커팅 및 리파이닝하여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를 제조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방사공정으로 인해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폴리머 용용을 위해 진한 황산을 사용함에 따라 인체에 유해함과 동시에 생산설비가 부식되는등 많은 문제가 있다.
또한, 미국특허 4511623 에서는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디에시드클로라이드를 중합용매하에서 중합시킬 때 피리딘을 첨가하고 강력한 교반을 부여하여 단시간 내 중합체 덩어리를 얻은 후 이를 그라인딩하여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피리딘 사용으로 중합이 단시간 내 완결되므로서 공정제어가 어렵고 연속생산이 곤란하며 숙성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를 방사공정 없이 연속적인 공정으로 생산하기 위한 종래 기술 및 그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국 공개특허 92-20018호 에서는 겔화 전의 비등방성의 중합체 용액을 연속적으로 컨테이너에 토출하여 숙성시키는 공정이 기술되어 있으나, 이러한 경우 전단력이 부여되지 않아서 분자의 배향을 원하는 만큼 부여할 수 없기 때문에 최종 펄프의 물성이 저하된다. 한편 비등방성이 되기 위해서는 어느 일정 점도 이상을 가져야 하는데 이는 겔화 일어나기 쉬워 제조공정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숙성시 중합체의 고유점도 및 배향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숙성시간이 0.5~5시간 정도로 매우 긴 시간이기 때문에 공업적인 측면에서 불리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겔화 전의 비등방성 중합체 용액이 코엑시얼 튜브(Coaxial Tube)를 통하여 연속믹서에 투입되고, 연속믹서에서 혼합된 후 그 혼합물이 배향조로 이송되고 있다. 이때 배향조가 축을 중심으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되는 동안 배향조의 경계 부분에서 중합체가 옆으로 흘러내리게 되거나 배향조의 내부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부분이 발생된다. 즉 이러한 배향조간에 흘러내리는 것은 생산적인 측면에서 손실이 되게 되고, 내부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부분은 펄프로 사용하기 곤란하게 된다. 즉 이러한 방법은 손실을 보유하고 있는 방법이므로 공업적인 생산측면에서 불리한 점을 안고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96-23500호 에는 미배향 중합체인 용액을 실린더 형태의 배향조에서 배향응고시켜 분리하는 아라미드 펄프 제조용 회분식 배향 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원하는 물성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를 얻을 수 있으나, 배향시스템 및 분리공정이 복잡하고, 기계가 차지하는 공간이 넓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장치를 운전하기 위하여 소모되는 전기량도 상당히 많이 소요되며 배향조 회전시 중합체가 옆으로 흐르거나 배향조 내부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부분의 손실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므로써 보다 간소한 제조공정으로 배향도 등의 물성이 우수한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방사공정이 생략되고, 피리딘을 사용하지 않아 공정제어가 용이하며, 프레 폴리머를 연속적으로 배향, 숙성 및 절단함으로서 공정이 간소화되고, 프레 폴리머의 손실이 없어 수율이 향상되고, 별도의 숙성시간이 소요되지 않고, 설치공간이 적고, 다단계에 걸친 배향으로 물성이 향상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 제조용 연속 배향 및 숙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인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 제조용 연속 배향, 숙성 및 절단 장치의 개략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서 보인 일자 나이프에 확대 평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A-A 선에서 바라본 사각 나이프(제1도 7)의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 폴리머 2: 배향 모터
3 : 배향조 이동 실린더 4 : 배향 임펠러
5 : 배향조 6 : 일자 나이프 실린더
7 : 사각 나이프 8 : 숙성 및 고화봉
9 : 배향 임펠러 고정프레임 10 : 배향 폴리머
11 : 배향조 안내판 12 : 냉매 공급 밸브
12' : 냉매 배출 밸브 13 : 열매 공급 밸브
13' : 열매 배출 밸브 14 : 절단된 배향 폴리머
15 : 폴리머 깨짐 방지턱 16 : 곡면 허리 부분
17 : 일자 나이프 I~III : 배향 영역
IV~VI : 숙성 영역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의 연속 배향 숙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중합용매하에서 방향족 디아민과 등몰량의 방향족 디에시드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서 제조한 프레 폴리머(미배향 폴리머)를 한 개의 몸체로 구성된 배향 및 숙성장치로 연속적으로 배향 및 숙성시키거나 또는 한개의 몸체로 구성된 배향, 숙성 및 절단장치로 연속적으로 프레 폴리머를 배향, 숙성 및 절단하는 방법과 그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디에시드클로라이드를 중합용매하에서 중합시켜 제조한 방향족 폴리아미드 플레 폴리머를 다음 공정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배향, 숙성 및 고화 (이하 숙성 및 고화를 숙성으로 약칭한다) 시키거나, 연속적으로 배향, 숙성 및 절단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가. 배향모터(2)에 의해 회전하는 배향 임펠러(4)가 장착되고 혼합 및 초기 배향영역(I)에 위치하는 배향조(5)에 방향족 폴리아미드 프레 폴리머를 공급하여 혼합 및 배향시키고,
나. 혼합 및 초기 배향영역(I) 에 위치하는 배향조(5)를 배향조 이동실린더(3)로 배향영역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계속 배향시키고,
다. 배향영역 위치에서 배향이 완료된 배향조(5)를 배향조 이동 실린더(3)로 숙성여역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숙성시키고,
라. 최종 숙성영역 위치에서 숙성이 완료된 폴리머를 배향조(5)와 분리시키고, 분리된 배향조(5)를 혼합 및 초기 배향영역(I) 위치로 복귀시키고,
마. 상기 공정과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숙성이 완료된 폴리머(10)를 절단시킨다.
상기 공정에서 마. 공정의 절단공정은 상기 배향 및 숙성 공정 후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분리되어 불연속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정 중 절단공정에서는 숙성이 완료된 폴리머를 일자 나이프 실린더(6)에 부착된 일자 나이프(17)로 폴리머 진행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절단시키고 계속해서 사각 나이프(7)로 폴리머 진행방향에 대한 수평방향으로 절단시키는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라미드 펄프 제조용 연속 배향 및 숙성 장치는
(A) 배향 임펠러(4), 배향 임펠러(4)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배향 모터(2) 및 배향 임펠러(4)의 고정프레임(9)으로 구성된 교반수단,
(B) 프레 폴리머를 담은 용기로서 배향영역 위치와 숙성영역 위치로 이동 가능한 다수개의 배향조(5), 배향조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배향조 이동 실린더(3) 및 배향조 안내판(11)을 갖는 연속이동 수단,
(C) 배향영역 위치에 존재하는 배향조 안내판(11)의 자켓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 밸브(12), 자켓에 공급된 냉매를 배출하는 냉매 배출 밸브(12') 및 숙성영역 위치에 존재하는 배향조 안내판(11)과 숙성/고화봉(8)의 자켓으로 열매를 공급하는 열매 공급 밸브(13), 자켓에 공급된 열매를 배출하는 열매 배출 밸브(13')를 갖는 열매 순환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 제조용 연속 배향, 숙성 및 절단장치는
(A) 배향 임펠러(4), 배향 임펠러(4)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배향 모터(2) 및 배향 임펠러(4)의 고정프레임(9)으로 구성된 교반수단,
(B) 포레 폴리머를 담은 용기로서 배향영역 위치와 숙성영역 위치로 이동 가능한 다수개의 배향조(5), 배향조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배향조 이동 실린더(3) 및 배향조 안내판(11)을 갖는 연속이동 수단,
(C) 배향영역 위치에 존재하는 배향조 안내판(11)의 자켓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 밸브(12), 자켓에 공급된 냉매를 배출하는 냉매 배출 밸브(12') 및 숙성영역 위치에 존재하는 배향조 안내판(11)과 숙성/고화봉(8)의 자켓으로 열매를 공급하는 열매 공급 밸브(13), 자켓에 공급된 열매를 배출하는 열매 배출 밸브(13')를 갖는 열매 순환수단 및
(D) 숙성영역 위치 하단에 설치되어 배향 폴리머(10)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정중 절단수단으로서는 배향 폴리머(10)를 폴리머 진행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 일자 나이프 실린더(6)와 일자 나이프(17) 및 일자 나이프 실린더(6) 하단에 설치되어 배향 폴리머(10)를 폴리머 진행방향에 대한 수평방향으로 절단하는 사각 나이프(7)를 갖는 절단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속 배향 숙성 시스템은 배향영역과 숙성 및 고화영역이 필수적으로 한 몸체로 구성되며 분리 및 절단영역은 선택적으로 상기 배향 및 숙성영역과 한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배향 및 숙성영역과 분리된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배향영역 및 숙성영역은 2~10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영역 및 숙성영역의 단계가 많을수록 제품의 물성은 향상되나 기계의 설치 및 효율적인 운전을 위해서는 10단계 이하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배향영역 및 숙성영역 단계를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배향 및 숙성을 위한 배향 임펠러(4)는 배향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300~1500rpm으로 회전하면서 배향 전단력을 부여한다. 배향영역에는 폴리머의 겔화 시간을 조정하기 위하여 배향조 바깥 부분의 온도를 조정하는 장치가 부착된다. 즉 배향영역의 배향조 안내판(11)을 자켓화하여 여기에 냉매 공급 밸브(12)를 통하여 냉매를 공급하고 냉매 배출 밸브(12')를 통하여 냉매를 배출한다.
숙성영역에는 숙성 및 고화봉(8)을 설치한다. 즉 배향임펠러(4)가 일체형으로써 상부에서 하부까지 모두 회전하게 되면 배향된 폴리머의 내부가 숙성영역에서 변형을 받으면서 배향폴리머가 손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도와 같이 배향 이후의 숙성영역에서는 회전체가 배향 폴리머와 닿지 않게 하기 위하여 처리하였다. 즉 숙성 및 고화봉(8)으로 배향 임펠러(4)를 감싸면서 가열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 숙성 및 고화봉(8)은 고정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배향영역에서 숙성영역으로 이동될 때 배향 임펠러(4)와 숙성 및 고화봉(8)사이에 폴리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머 깨짐 방지턱(15)을 설치하였다.
이때 충분한 숙성으로 펄프의 물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폴리머의 분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숙성 및 고화봉(8)과 배향조 안내판(11)을 자켓화하고 여기에 열매 공급 밸브(13)를 통하여 스팀 또는 오일 등의 열매를 공급하여 숙성을 촉진시킨다. 배향영역 및 숙성영역에는 배향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배향조 안내판(11)이 설치된다.
한편 배향 및 숙성영역과 절단영역이 한 몸체로 구성된 경우에는 최종 숙성영역(VI) 하단에 일자 나이프 실린더(6)에 부착된 일자 나이프(17)와 사각 나이프(7)로 구성된 절단 시스템이 위치하여 배향된 폴리머(10)를 연속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제1도를 통하여 본 발명 공정의 순환 사이클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미배향 중합체인 프레 폴리머(1)를 혼합 및 초기 배향영역(I) 위치에 있는 실린더 형태의 배향조(5)에 연속적으로 투입하면서 배향 모터(2)로 배향 임펠러(4)를 회전시켜 투입된 프레 폴리머(1)를 혼합 및 배향시킨다. 혼합 및 초기 배향영역(I) 위치에 있는 실린더 형태의 배향조(5)에 프레 폴리머가 일정높이 이상 채워지면 배향조 이동 실린더(3)가 혼합 및 초기 배향영역(I)에 있는 배향조(5)를 배향영역(II) 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숙성영역(VI) 위치에 있는 배향조(5)가 배향조 이동 시스템에 의해 혼합 및 초기 배향영역(I) 위치로 이동되어 새로운 프레 폴리머(I)를 수용한다. 또한 배향영역(II)위치에서 배향이 완료된 배향조는 배향조 이동 실린더(3)에 의해 최종 배향영역(III), 숙성영역(IV)~(VI)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배향 및 숙성이 진행된다.
이러한 동작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혼합 및 초기 배향영역(I) → 배향영역(II) → 최종 배향영역(III) → 숙성영역(IV) → 숙성영역 (V) → 숙성영역(VI)과 같은 순환 사이클을 갖는다.
숙성영역(VI)위치에서 폴리머의 숙성이 완료되면 배향 폴리머(10)은 배향조(5)와 분리된다. 분리된 배향 폴리머(10)은 숙성영역(VI) 하단에 설치된 일자 나이프 실린더(6)에 부착된 일자 나이프(17)에 의해서 폴리머 진행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절단되고, 계속해서 그 하단에 설치된 사각 나이프(7)에 의해서 포리머 진행방향에 대한 수평방향으로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속적으로 전단응력을 부여하므로서 미배향 프레 폴리머(1)를 일정시간 이상 배향조에 받은 후 배향을 시작하는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인 제품 물성의 저하 및 제품 손실(Loss)의 문제를 극복하였다. 또한 미배향 프레 폴리머(1)를 연속적으로 배향영역(I)~(III) 및 숙성영역 (IV)~(VI) 위치를 거치면서 배향 및 숙성시켜서 원하는 물성의 배향 폴리머를 제조할 수 있으며, 숙성영역 (VI)하단에 절단 시스템을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배향 폴리머를 절단하므로서 공정 및 설비의 간소화가 가능하였다.
또한 연속 공정 시스템으로 인해 대량생산 규모의 설비를 제조할 때 기계 설치공간이 종래 기술에 비해 현저히 감소한다. 아울러 연속공정으로 미배향 프레 폴리머(1)의 손실이 감소되어 수율이 향상된다.
[실시예]
반응기에 1000kg 의 N-메틸-2-피롤리돈을 80℃로 유지시키고 염화칼슘을 80kg 투입하여 녹였다. 이 중합 솔벤트에 48.67kg의 P-페닐렌디아민을 녹여서 방향족 디아민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방향족 아민 용액을 1128.67g/min 의 속도로 용융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Terephthaloyl Chloride)와 반응시켜서 제1폴리머를 제조하였다. 이때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의 유량은 27.41g/min로 하였다. 그리고 제1폴리머를 5℃로 냉각시켜서 연속믹서인 니더로 1156.06g/min로 투입하며, 동시에 필요한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를 63.95g/min로 투입하여 반응시켰다. 투입물들을 연속믹서인 니더내에서 초기 중합 및 혼련시켜서 미배향 중합체(프레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미배향 중합체인 프레 폴리머(1)를 혼합 및 초기 배향영역(I) 위치에 있는 배향조(5)에 연속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배향 모터(2)에 의해 600rpm으로 회전하는 배향 임펠러(4)로 투입된 폴리머를 교반하여 혼합 및 배향시켰다. 혼합 및 초기 배향영역(I)에 위치하는 배향조(5)에 폴리머 일정량이 담겨지면 배향조 이동 실린더(3)로 배향조(5)를 배향영역(II) 및 배향영역(III)의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배향을 실시하였다. 이때 배향영역(I)~(III)내 배향조 안내판(11)의 자켓속으로 물을 공급하여 폴리머의 겔화를 지연시켰다. 배향영역(III) 위치에서 배향이 완료되면, 배향조 이동 실린더(3)로 배향조(5)를 숙성영역(IV),(V) 및 (VI)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숙성시켰다. 이때 숙성영역 (IV)~(VI)에는 숙성 및 고화봉(8)을 설치하였고, 숙성이 효율적으로 될 수 있도록 숙성영역내 배향조 안내판(11)의 자켓과 숙성 및 고화봉(8)의 자켓속으로 스팀을 공급하였다. 숙성영역(VI)위치에서 숙성이 완료되면 배향 폴리머(10)와 배향조(5)를 분리하고, 배향조(5)는 배향조 이동시스템으로 초기혼합 및 배향영역(I)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분리된 배향 폴리머(10)을 숙성영역(VI) 하단에 설치된 일자 나이프(17) 및 사각 나이프(7)로 절단하였다. 절단된 배향 폴리머로부터 솔벤트를 추출하고 이를 펄프화 과정을 거쳐서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를 제조하였다.
이때 펄프의 물성은 고유점도 2.8dℓ/g, 결정화도 52%, 캐나다 표준자유도 550ml, 비표면적 7㎡/g 을 지니고 있었다.
이렇게 얻어진 펄프와 현재 판매중인 아라미드 펄프(케블라 1F538 2mm)를 각각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브레이크 패드를 제조한 후 이들의 물성을 비교하였다.
브레이크 패드 조성
펄프 5%, 무기섬유 5%, BaSo440%, Al2O310%, 흑연 25%, 수지 15% 물성 비교 결과는 표 1과 같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서 본 발명에서 제조된 펄프는 기존의 아라미드 펄프의 대체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디에시드클로라이드를 중합용매하에서 중합시켜 제조한 방향족 폴리아미드 프레 폴리머를 다음공정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배향, 숙성 및 고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의 제조방법.
    가. 배향 모터(2)에 의해 회전하는 배향 임펠러(4)가 장착되고 혼합 및 초기 배향영역(I)에 위치하는 배향조(5)에 방향족 폴리아미드 프레 폴리머를 공급하여 혼합 및 배향시키고,
    나. 혼합 및 초기 배향영역(I)에 위치하는 배향조(5)를 배향조 이동 실린더(3)로 배향영역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계속 배향시키고,
    다. 배향영역 위치에서 배향이 완료된 배향조(5)를 배향조 이동 실린더(3)로 숙성영역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숙성시키고,
    라. 최종 숙성영역 위치에서 숙성이 완료된 폴리머를 배향조(5)와 분리시키고, 분리된 배향조(5)를 혼합 및 초기 배향영역(I) 위치로 복귀시키고,
    마. 상기 공정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숙성이 완료된 폴리머(10)를 절단시킨다.
  2. 제1항에 있어서, 숙성이 완료된 폴리머(10)을 일자 나이프 실린더(6)에 부착된 일자 나이프(17)로 폴리머 진행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절단시키고 계속해서 사각 나이프(7)로 폴리머 진행방향에 대한 수평방향으로 절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배향영역 위치에 존재하는 배향조 안내판(11)의 자켓으로 냉매를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숙성영역 위치에 존재하는 배향조 안내판(11) 및 숙성/고화봉(8)의 자켓으로 스팀 또는 오일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배향영역 및 숙성영역이 각각 2~10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의 제조방법.
  6. 방향족 디아민과 방향족 디에시드클로라이드를 중합용매하에서 중합시켜 제조한 방향족 폴리아미드 프레 폴리머를 다음공정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배향, 숙성 및 고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의 제조방법.
    가. 배향 모터(2)에 의해 회전하는 배향 임펠러(4)가 장착되고 혼합 및 초기 배향영역(I)에 위치하는 배향조(5)에 방향족 폴리아미드 프레 폴리머를 공급하여 혼합 및 배향시키고,
    나. 혼합 및 초기 배향영역(I)에 위치하는 배향조(5)를 배향조 이동실린더(3)로 배향영역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계속 배향시키고,
    다. 배향영역 위치에서 배향이 완료된 배향조(5)를 배향조 이동 실린더(3)로 숙성영역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숙성시키고,
    라. 최종 숙성영역 위치에서 숙성이 완료된 폴리머를 배향조(5)와 분리시키고, 분리된 배향조(5)를 혼합 및 초기 배향영역(I)위치로 복귀시킨다.
  7. (A) 배향 임펠러(4), 배향 임펠러(4)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배향 모터(2) 및 배향 임펠러(4)의 고정프레임(9)을 갖는 교반수단,
    (B) 프레 폴리머를 담는 용기로서 배향영역 위치와 숙성영역 위치로 이동 가능한 다수개의 배향조(5), 배향조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배향조 이동 실린더(3) 및 배향조 안내판(11)을 갖는 연속이동 수단 및
    (C) 배향영역 위치에 존재하는 배향조 안내판(11)의 자켓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 밸브(12), 자켓에 공급된 냉매를 배출하는 냉매 배출 밸브(12') 및 숙성영역 위치에 존재하는 배향조 안내판(11)과 숙성/고화봉(8)의 자켓으로 열매를 공급하는 열매 공급 밸브(13), 자켓에 공급된 열매를 배출하는 열매 배출 밸브(13')를 갖는 열매 순환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 제조용 연속 배향 숙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숙성영역 위치에 존재하는 배향조에 배향 임펠러(4)와 분리된 숙성 및 고화봉(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 제조용 연속 배향 숙성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열매가 스팀 또는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 제조용 연속 배향 숙성장치.
  10. (A) 배향 임펠러(4), 배향 임펠러(4)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배향 모터(2) 및 배향 임펠러(4)의 고정프레임(9)을 갖는 교반수단,
    (B) 프레 폴리머를 담은 용기로서 배향영역 위치와 숙성영역 위치로 이동 가능한 다수개의 배향조(5), 배향조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배향조 이동 실린더(3) 및 배향조 안내판(11)을 갖는 연속이동 수단,
    (C) 배향영역 위치에 존재하는 배향조 안내판(11)의 자켓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 밸브(12), 자켓에 공급된 냉매를 배출하는 냉매 배출 밸브(12') 및 숙성영역 위치에 존재하는 배향조 안내판(11)과 숙성/고화봉(8)의 자켓으로 열매를 공급하는 열매 공급 밸브(13), 자켓에 공급된 열매를 배출하는 열매 배출밸브(13')를 갖는 열매 순환수단 및
    (D) 최종 숙성영역 위치 하단에 설치되어 배향 폴리머(10)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 제조용 연속 배향, 숙성 및 절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절단수단이 배향된 폴리머(10)를 폴리머 진행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 일자 나이프 실린더(6)와 일자 나이프(17) 및 일자 나이프 실린더(6) 하단에 설치되어 배향 폴리머(10)를 폴리머 진행방향에 대한 수평방향으로 절단하는 사각 나이프(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 제조용 연속 배향, 숙성 및 절단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숙성영역 위치에 존재하는 배향조에 배향 임펠러(4)와 분리된 숙성 및 고화봉(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 제조용 연속 배향, 숙성 및 절단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열매가 스팀 또는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 제조용 연속 배향, 숙성 및 절단장치.
KR1019960053872A 1996-09-24 1996-11-14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의 제조방법 및 그의 연속 배향 숙성장치 KR0185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872A KR0185263B1 (ko) 1996-11-14 1996-11-14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의 제조방법 및 그의 연속 배향 숙성장치
PCT/KR1997/000181 WO1998013548A1 (en) 1996-09-24 1997-09-23 Para-fully aromatic polyamide pulp, its preparing process and its preparing equipment
JP51551898A JP4669589B2 (ja) 1996-09-24 1997-09-23 パラ型全芳香族ポリアミドパルプ
DE69726172T DE69726172T2 (de) 1996-09-24 1997-09-23 Para-vollständige aromatische polyamidpulpe,verfahren und vorrichtung zu ihrer herstellung
EP97942283A EP0932724B1 (en) 1996-09-24 1997-09-23 Para-fully aromatic polyamide pulp, its preparing process and its preparing equipment
ES97942283T ES2210576T3 (es) 1996-09-24 1997-09-23 Pulpa de poliamida para-completamente aromatica, su proceso de preparacion asi como su equipo de preparacion.
US09/254,862 US6166175A (en) 1996-09-24 1997-09-23 Para-fully aromatic polyamide pulp, an apparatus for producing thereof and a process of making thereof
CN97198135A CN1104527C (zh) 1996-09-24 1997-09-23 对-全芳族聚酰胺浆粕,其制造方法和其制造设备
JP2006126681A JP4147254B2 (ja) 1996-09-24 2006-04-28 パラ型全芳香族ポリアミドパルプ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08143309A JP2008208514A (ja) 1996-09-24 2008-05-30 パラ型全芳香族ポリアミドパル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872A KR0185263B1 (ko) 1996-11-14 1996-11-14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의 제조방법 및 그의 연속 배향 숙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520A KR19980035520A (ko) 1998-08-05
KR0185263B1 true KR0185263B1 (ko) 1999-05-15

Family

ID=1948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872A KR0185263B1 (ko) 1996-09-24 1996-11-14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의 제조방법 및 그의 연속 배향 숙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2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520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0726B1 (ko) 방향족 폴리아미드로 된 단섬유의 제조방법
JPH09169853A (ja) セルロース溶液調製方法
JPH02242912A (ja) パラーアラミドパルプの製造方法及び装置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パルプ
US9676121B2 (en) Polyamide bead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H02307910A (ja) 芳香族ポリアミド繊維
KR100517721B1 (ko) 폴리(p-페닐렌테레프탈라마이드)로섬유를제조하는방법
KR0185263B1 (ko)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의 제조방법 및 그의 연속 배향 숙성장치
RU97119924A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олокон из поли (пара-фенилентерефталамида)
US5726275A (en) Process for the batchwise preparation of poly-p-phenylene terephthalamide
CN113120869B (zh) 一种不溶性硫磺生产方法和生产系统
CN112064137B (zh) 聚酰胺6及聚酰胺6的石墨烯改性物的熔体直纺纤维的制备方法
JP4204643B2 (ja) 芳香族ポリアミドパル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920008999B1 (ko) 방향족 폴리아미드 단섬유의 제조방법
KR100192010B1 (ko)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1552A (ko) 중합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중합방법
KR19980027743A (ko)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제조장치
KR100242543B1 (ko)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 및 그의 제조방법
JP3282272B2 (ja) 芳香族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KR100242542B1 (ko)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 및 그의 제조방법
JPH0582410B2 (ko)
KR960011902B1 (ko) 아라미드 펄프 제조용 배향장치
CN114292660B (zh) 一种沥青成型进料器装置及工艺方法
KR0163095B1 (ko)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머의 배향장치
KR920006373B1 (ko)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KR0156459B1 (ko) 폴리머의 연속배향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리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