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092B1 - 제습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장치 - Google Patents

제습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092B1
KR0185092B1 KR1019960041795A KR19960041795A KR0185092B1 KR 0185092 B1 KR0185092 B1 KR 0185092B1 KR 1019960041795 A KR1019960041795 A KR 1019960041795A KR 19960041795 A KR19960041795 A KR 19960041795A KR 0185092 B1 KR0185092 B1 KR 0185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heating roller
cassette
unit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608A (ko
Inventor
오승호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41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092B1/ko
Publication of KR1998002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3Humid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 장치에 제습장치를 설치하여 용지에 흡습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시킴으로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고, 용지를 공급시킬 때 중송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제습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는 대전 및 전사기(12)(18)와, 감광드럼(10)과, 프린트 헤드(14)들로 이루어진 감광체유니트와, 토너용기를 소유하는 현상유니트(16)와, 히팅롤러(Heating Roller)(21)와 압착롤러(22)를 구비하여 용지에 전사된 토너를 정착시키는 정착부와, 용지를 적재하는 카세트(40)를 구비한 전자사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팅롤러(21)의 일측에 히팅롤러(21)의 열을 송풍시키는 송풍기(32)와; 상기 감광체유니트, 현상유니트(16) 및 정착부를 용지가 적재되는 카세트(40)와 격리시키면서, 상기 히팅롤러(21)부위에 히팅롤러(21)의 열이 카세트(40)의 용지에 전달되도록 통공(34)을 형성하고, 일측에 설치된 송풍기(32)의 하부에 통기공(36)을 형성한 격리판(30)과; 상기 카세트(40)의 일측면에 송풍기(32)에 의해 유입된 히팅롤러(21)의 열이 용지의 타측단을 지나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구(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습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장치
본 발명은 전자사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사진 장치에 제습장치를 설치하여 용지에 흡습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시킴으로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고, 용지를 공급시킬 때 중송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제습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장치(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을 총칭함)는 내부에 감광드럼이 설치되어 있어 대전기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의 상을 골고루 대전한다. 감광드럼의 대전된 부분은 LED헤드나 레이저 발진기에서 발진된 빛을 이용하여 감광드럼에 상을 생성시키며, 생성된 잠상이 현상유니트를 지나는 동안 토너로 현상하여 가시상으로 변하게 된다. 이어서,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가 급지롤러에 의해서 급지되면서 정전기력에 의해 감광드럼에 밀착되어 그 밀착면에 전사기의 작용으로 감광드럼상의 가시상을 용지에 전사시킨다. 이와 같이 용지에 가시상의 전사가 이루어지면 감광드럼으로부터 용지를 분리시켜 이를 정착부의 히팅롤러(Heating Roller)와 압착롤러 사이로 통과시킴으로 열과 압력에 의해 용지에 감광드럼에 가시상으로 전사된 상이 그대로 정착되어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카세트에 적재되어 감광드럼으로 급지되는 용지가 많은 습기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용지가 감광드럼에 밀착되어 전사기에 의해 전사될 때, 습기에 의해 정전기가 소멸되게 되어 전사효율의 저하됨으로 출력된 용지의 화질이 불량하게 되고, 또한 습기에 의해 용지의 표면이 부풀어 용지간의 마찰저항이 발생됨으로 여러장의 용지가 중송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용지가 적재되는 카세트의 바닥에 전열선을 배선하여 전열선의 열에 의해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의 습기를 제거토록 하였다.
그러나, 카세트의 개폐시에 전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의 접속 구조가 까다롭고, 또한 카세트의 착탈시 접점의 불량이 잦아 전원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용지의 제습작동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전원이 단속되는 접점구조에 의한 제습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카세트를 전자사진장치에 고정시킨 구조가 채용된 것도 있으나, 이는 전자사진 장치에 용지를 공급할 때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사진장치의 정착부에 구성된 히팅롤러의 열을 카세트에 송풍시켜 카세트의 개폐에 관계없이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의 습기를 용이하게 제거시켜 감광드럼에 현상된 토너가루가 전사기에 의해 용지에 용이하게 전사되도록하여 양호한 인쇄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지를 건조시켜 용지의 표면이 매끄럽게 함으로 급지시 용지가 여러장 겹쳐 급지되는 중송에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사진장치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특히, 감광드럼의 대전 및 전사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광드럼 12 : 대전기
14 : 프린트 헤드 16 : 현상유니트
18 : 전사기 20 : 급지롤러
21 : 히팅롤러 22 : 압착롤러
30 : 격리판 32 : 송풍기
34 : 통공 36 : 통기공
40 : 카세트 42 : 배기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대전 및 전사기와, 감광드럼과, 프린트 헤드들로 이루어진 감광체유니트와, 토너용기를 소유하는 현상유니트와, 히팅롤러와 압착롤러를 구비하여 용지에 전사된 토너를 정착시키는 정착부와, 용지를 적재하는 카세트를 구비한 전자사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팅롤러의 일측에 히팅롤러의 열을 송풍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감광체유니트, 현상유니트 및 정착부를 용지가 적재되는 카세트와 격리시키면서, 상기 히팅롤러부위에 히팅롤러의 열이 카세트의 용지에 전달되도록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히팅롤러의 일측에 설치된 송풍기의 하부에 통기공이 형성된 격리판과;
상기 카세트의 일측면에 송풍기에 의해 유입된 히팅롤러의 열이 용지의 타측단을 지나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참조번호 20은 급지롤러이고, 10은 감광드럼이다. 감광드럼(10)의 하부에는 감광드럼(10)을 골고루 대전시키는 대전기(12)가 설치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대전된 감광드럼(10)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프린트 헤드(14)(Print Head)가 설치되어 있는 감광체유니트가 구성된다. 감광드럼(10)의 상부에는 감광드럼(10)에 가시상으로 현상된 토너를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기(18)가 설치된다. 프린트 헤드(14)와 전사기(16)의 사이에는 토너용기를 소유하는 현상유니트(16)가 설치되어 있다.
급지롤러(20)의 반대측에는 전사된 용지를 가열하는 히팅롤러(21)와, 히팅롤러(21)와 밀착되어 히팅롤러(21)를 지나는 용지에 전사된 토너를 압착시키는 압착롤러(22)로 이루어진 정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감광체유니트와 현상유니트(16) 및 정착부의 하부에는 용지가 적재되는 카세트(4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감광체유니트, 현상유니트(16) 및 정착부들은 카세트(40)와 격리판(30)으로 격리되어 있다.
압착롤러(22)의 일측에는 카세트(40)의 용지로 히팅롤러(21)의 열을 송풍시키는 송풍기(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히팅롤러(21)가 위치하는 격리판(30)에는 히팅롤러(21)의 열이 카세트(40)의 용지로 공급되도록 통공(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송풍기(32)가 설치된 부위에도 통기공(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지가 적재되는 카세트(40)의 일측면에는 송풍기(32)에 의해 용지로 공급되어 외부로 배기되도록 배기구(4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사진장치가 작동하게 되면, 히팅롤러(21)가 가열된다. 히팅롤러(21)가 가열되면, 히팅롤러(21)의 하부에 형성된 격리판(30)의 통공(34)을 통해 직접 하부의 카세트(40)에 공급되게 됨과 동시에 히팅롤러(21)의 일측에 설치된 송풍기(32)가 작동하여 히팅롤러(21)의 열을 격리판(30)의 통기공(36)으로 송풍시킨다.
이와 같이 카세트(40)속으로 히팅롤러(21)의 열기를 송풍시키면 송풍되는 열기는 카세트(40)에 적재된 용지의 상부와 각 용지간의 틈으로 통과되어 카세트(40)의 일측면에 형성된 배기구(42)로 배기된다. 이때, 송풍되어 배기되는 열기에 의해 용지가 가지고 있는 습기가 증발되어 열기와 함께 배기되게 되어 용지는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습기가 제거된 용지는 급지롤러(20)에 의해 감광드럼(10)과 전사기(16)의 사이로 통과된다. 감광드럼(10)으로 통과되는 용지는 대전기(12)에 의해 대전되고 프린트 헤드(14)를 통해 정전잠상이 맺혀 토너용기를 소유하는 현상유니트(16)에 의해 정전잠상에 따라 토너가 공급된 뒤 전사기(18)에 의해 용지에 전사된다.
전사된 용지는 히팅롤러(21)와 압착롤러(22)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히팅롤러(21)에 의해 구워지고, 압착롤러(22)에 의해 압착되어 전사된 토너가 용지에 정착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히팅롤러(21)의 열이 통공(34)을 통해 카세트(40)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송풍기(32)에 의해 통기공(36)을 통해 공급된 후 카세트(40)의 배기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용지에 포함된 수분이 전기적인 전열선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히팅롤러(21)의 열에 의해 용지의 수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됨에 따라 제습된 용지가 감광드럼(10)을 지나면서 전사기(16)에 의해 전사될 때, 감광드럼(10)에 현상된 토너가루가 용지에 용이하게 전사되게 됨으로 인쇄화질이 양호한 상태로 출력되게 된다.
또한, 급지롤러(20)가 용지를 감광드럼(10)으로 공급시킬 때, 용지가 건조한 상태이므로 표면이 매끄러워 한꺼번에 여러장의 용지가 중송되는 현상 없이 낱장으로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사진장치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 특히, 대전 및 전사기(16)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을 카세트(40)의 배기구(42)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키게 된다.

Claims (1)

  1. 대전 및 전사기(12)(18)와, 감광드럼(10)과, 프린트 헤드(14)들로 이루어진 감광체유니트와, 토너용기를 소유하는 현상유니트(16)와, 히팅롤러(21)와 압착롤러(22)를 구비하여 용지에 전사된 토너를 정착시키는 정착부와, 용지를 적재하는 카세트(40)를 구비한 전자사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팅롤러(21)의 일측에 히팅롤러(21)의 열을 송풍시키는 송풍기(32)와;
    상기 감광체유니트, 현상유니트(16) 및 정착부를 용지가 적재되는 상기 카세트(40)와 격리시키면서, 상기 히팅롤러(21)부위에 히팅롤러(21)의 열이 상기 카세트(40)의 용지에 전달되도록 통공(34)을 형성하고, 상기 히팅롤러(21)의 일측에 설치된 송풍기(32)의 하부에 통기공(36)이 형성된 격리판(30)과;
    상기 카세트(40)의 일측면에 설치된 상기 송풍기(32)에 의해 유입된 상기 히팅롤러(21)의 열이 용지의 타측단을 지나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구(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가 구비된 전자사진장치.
KR1019960041795A 1996-09-23 1996-09-23 제습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장치 KR0185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795A KR0185092B1 (ko) 1996-09-23 1996-09-23 제습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795A KR0185092B1 (ko) 1996-09-23 1996-09-23 제습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608A KR19980022608A (ko) 1998-07-06
KR0185092B1 true KR0185092B1 (ko) 1999-04-15

Family

ID=1947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795A KR0185092B1 (ko) 1996-09-23 1996-09-23 제습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0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608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4573B2 (en) Paper tray moisture control
US4384783A (en) Fixing device for wet-type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s
JP2007008656A (ja) シート積載装置、シート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3987275B2 (ja) 画像形成装置
KR0185092B1 (ko) 제습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장치
JP3934918B2 (ja) 印刷機における印刷媒体平坦化のための給排紙装置
KR20050105353A (ko) 용지중송방지수단이 구비된 인쇄기의 급지장치
KR20030067152A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냉각장치
JP2008052065A (ja)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134377B2 (ko)
JPH06348098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用紙の除湿装置
JP3196993B2 (ja) 熱定着装置
JP2002365946A (ja) 画像形成装置
US1122158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77724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97484B1 (ko) 가습장치가 구비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H0756265Y2 (ja) 給紙装置の除湿装置
KR0138474Y1 (ko)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정착기에 용지 말림 방지장치
KR100191201B1 (ko) 소모품에 장착된 전사장치
KR0133154Y1 (ko) 레이저 빔 프린터의 냉각 장치
JPH0628508Y2 (ja) 給紙カセツトの用紙除湿装置
JP2020086199A (ja) 画像形成装置
JPH07157120A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除湿装置
JP200415143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4555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