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792B1 -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자동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자동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792B1
KR0184792B1 KR1019960058921A KR19960058921A KR0184792B1 KR 0184792 B1 KR0184792 B1 KR 0184792B1 KR 1019960058921 A KR1019960058921 A KR 1019960058921A KR 19960058921 A KR19960058921 A KR 19960058921A KR 0184792 B1 KR0184792 B1 KR 0184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rotation sensor
forklift
turn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9805A (ko
Inventor
김평수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58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4792B1/ko
Publication of KR1998003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72Propuls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지게차의 선회속도에 비레한 주행속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지게차가 선회시 양측 휠의 회전속도를 전자제어장치에서 감지하여 차량의 속도를 조정하므로써 선회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자동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 구동 휠 각각에 회전 감지기를 장착하여 양쪽 휠의 회전 속도가 같지 않을 때 차량이 회전할 경우를 상기 회전 감지기가 감지하고 이에 따라 주행모터 제어기에서 모터에 인가되는 출력을 감소시켜 선회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운전자가 빠른 속도로 주행중 급회전시 회전센서와 기능 스위치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선회 속도에 비례한 주행속도를 조절하므로 예기치 못한 돌발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자동 조정장치
본 발명은 전동지게차의 선회 속도에 비례한 주행속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지게차가 선회시 양측 휠의 회전속도를 전자제어장치에서 감지하여 차량의 속도를 조정하므로써 선회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자동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지게차의 동력전달장치 개략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축에 설치되어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좌, 우측 휠(10)(11)과, 상기 좌, 우측 휠(10)(11)의 회전수 변화를 시켜 선회할 때 원활히 회전하게 하는 차동기어(12)와, 상기 차동기어(12)를 구동시켜 상기 좌, 우측 휠(10)(11)을 회전시키는 주행모터(13)로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축에 차동기어(12)가 있어 지게차가 선회시 원활한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차동기어(12)에 연결된 양측 구동 휠중 어느 한쪽의 휠에 많은 부하가 인가되어 회전수가 감소하면 그 감소된 회전수 만큼 맞은편 휠의 회전수가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게차가 운행중 회전시 양측 휠에 동일한 힘이 가해져 회전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차량 주행시 전, 후진 레버(103)와 액셀(Accel)(104)의 신호를 제어기(105)에서 계속적으로 판독하여 상기 두 신호의 값이 어느 규정치 이상을 벗어나면 그 차이의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구동 트랜지스터(Q1)(106)의 베이스에 저전위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Q1)(106)는 오프되어 주행모터(107)의 회전수는 감소되고 지게차의 속도가 감소하여 안전한 선회동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선회동작 완료시 제어기(105)는 상기 전,후진 레버(103)와 상기 액셀(Accel)(104)의 신호를 비교하여 규정치 이내로 감소하면 정상적으로 액셀 신호에 의한 모터의 출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조정장치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빠른 속도로 주행중 급회전시 화물이 낙하 하거나 또는 미숙한 운전자의 경우 심적 불안감으로 예기치 못한 돌발사고가 발생되어 차량파손 및 인명사고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 구동 휠 각각에 회전 감지기를 장착하여 차량이 회전할 경우와 같이 양쪽 휠의 회전 속도가 같지 않을때, 이를 상기 회전 감지기가 감지하고 이에 따라 주행모터 제어기에서 모터에 인가되는 출력을 감소시켜 선회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지게차를 구동하기 위해 시동을 거는 키이 스위치와, 상기 키이 스위치가 온됨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와, 상기 밧데리의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접점이 온되는 라인 콘택터와, 지게차를 전, 후진 시키는 전, 후진 레버와, 지게차의 속도를 가속시키는 액셀과, 좌측 휠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좌측 회전센서과, 우측 휠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우측 회전센서와, 상기 좌측 회전센서 및 상기 우측 회전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비교하여 출력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 오프되는 구동 트랜지스터(Q1)과,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Q1)가 온, 오프됨에 따라 회전수가 제어되는 주행모터와, 시스템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기능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제1도는 종래의 전동지게차의 동력전달장치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전동지게차의 동력전달장치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자동 조정장치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자동 조정장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좌측 휠 11 : 우측 휠
12 : 차동기어 13, 107 : 주행모터
14, 108 : 좌측 회전센서 15, 109 : 우측 회전센서
16, 105 : 제어기 100 : 키이 스위치
101 : 밧데리 102 : 라인 콘택터
103 : 전, 후진 레버 104 : 액셀
106 : 구동 트랜지스터 110 : 기능 스위치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자동 조정장치 개략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축에 설치되어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좌, 우측 휠(10)(11)과, 상기 좌, 우측 휠(10)(11)의 회전수 변화를 시켜 선회할 때 원활히 회전하게 하는 차동기어(12)와, 상기 차동기어(12)를 구동시켜 상기 좌, 우측 휠(10)(11)을 회전시키는 주행모터(13)와, 상기 좌, 우측 휠(10)(11)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좌, 우측 회전센서(14)(15)와, 상기 좌, 우측 회전센서(14)(15)의 신호를 비교하여 주행모터(13)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기(16)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자동 조정장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게차를 구동하기 위해 시동을 거는 키이 스위치(100)와, 상기 키이 스위치(100)가 온됨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101)와, 상기 밧데리(101)의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접점이 온되는 라인 콘택터(102)와, 지게차를 전, 후진 시키는 전, 후진 레버(103)와, 지게차의 속도를 가속시키는 액셀(104)과, 좌측 휠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좌측 회전센서(108)과, 우측 휠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우측 회전센서(109)와, 상기 좌측 회전센서(108) 및 상기 우측 회전센서(109)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비교하여 출력하는 제어기(105)와, 상기 제어기(105)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 오프되는 구동 트랜지스터(106)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106)가 온,오프됨에 따라 회전수가 제어되는 주행모터(107)와, 시스템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기능 스위치(1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주행시 기능 스위치(110)가 온되어 있을 때 제어기(105)는 좌, 우 회전센서(108)(109)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지속적으로 판독하여 두 신호의 값이 어느 규정치 이상을 벗어나면 그 차이의 정도에 따라 적절히 구동 트랜지스터(106)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신호를 액셀(109)의 최대신호에 관계없이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106)는 오프되어 주행모터(107)의 회전수는 감소되고 차량속도도 감소되어 안전한 선회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선회동작이 완료됨에 따라 제어기(105)는 상기 좌, 우 회전센서(108)(109)의 신호를 비교하여 규정치 이내로 감소하면 정상적으로 액셀 신호에 대응하여 모터(107)가 회전하면서 차량이 주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주행속도 조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거나 불필요한 경우에는 간단히 상기 기능스위치(110)를 오프시키면 주행속도 조정장치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양쪽 휠의 주행속도가 같지않을 때 회전센서를 통해 차량이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고, 이에 의해 제어기에서 주행모터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므로 차량속도가 감소되어 선회동작이 안정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가 빠른 속도로 주행중 급회전시 회전센서와 기능 스위치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선회 속도에 비례한 주행속도를 조절하므로 예기치 못한 돌발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지게차를 구동하기 위해 시동을 거는 키이 스위치와, 상기 키이 스위치가 온됨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와, 상기 밧데리의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접점이 온되는 라인 콘택터와, 지게차를 전, 후진 시키는 전, 후진 레버와, 지게차의 속도를 가속시키는 액셀과, 좌측 휠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좌측 회전센서과, 우측 휠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우측 회전센서와, 상기 좌측 회전센서 및 상기 우측 회전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비교하여 출력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 오프되는 구동 트랜지스터(Q1)과,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Q1)가 온, 오프됨에 따라 회전수가 제어되는 주행모터와, 시스템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기능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자동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회전센서는 좌, 우측 구동 휠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자동 조정장치.
KR1019960058921A 1996-11-28 1996-11-28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자동 조정장치 KR0184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921A KR0184792B1 (ko) 1996-11-28 1996-11-28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자동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921A KR0184792B1 (ko) 1996-11-28 1996-11-28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자동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805A KR19980039805A (ko) 1998-08-17
KR0184792B1 true KR0184792B1 (ko) 1999-04-15

Family

ID=19484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921A KR0184792B1 (ko) 1996-11-28 1996-11-28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자동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47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805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209365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912217B2 (ja) 電動操舵装置
KR0184792B1 (ko) 전동지게차의 주행속도 자동 조정장치
JP3114342B2 (ja) 電動車の走行制御装置
JPH04150702A (ja) 電気車制御装置
JP4062207B2 (ja) 車両用操舵装置
JPH07115642B2 (ja) 自動車用電動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の安全装置
JPH06127409A (ja) 車両の後輪操舵装置
KR100204784B1 (ko) 자동차의 저속회전시 능동 비선형 조향 콘트롤러
KR20050064840A (ko) 듀얼모터 타입 전동지게차의 방향 지시등 자동 제어장치
JP2843926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311942B2 (ko)
KR100369053B1 (ko) 차륜 조향 장치
JPS63275484A (ja) 車両の換向装置
JPH0787622A (ja) バッテリ車の走行制御装置
JP2000095124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11178120A (ja) 電気車のスリップ検出装置
KR100357380B1 (ko) 차량의타이어펑크시조향핸들제어장치
JP2522902Y2 (ja) 四輪操舵装置
KR100231563B1 (ko) 커브길 자동감속 제어장치
KR100374713B1 (ko) 전동파워스티어링
JP2513368B2 (ja) バッテリ式フォ―クリフトの電動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JPS6212459A (ja) 自動車用電動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の安全装置
JPS61257363A (ja) 電動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JP2522903Y2 (ja) 四輪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