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508B1 - 대량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 - Google Patents

대량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508B1
KR0183508B1 KR1019950012932A KR19950012932A KR0183508B1 KR 0183508 B1 KR0183508 B1 KR 0183508B1 KR 1019950012932 A KR1019950012932 A KR 1019950012932A KR 19950012932 A KR19950012932 A KR 19950012932A KR 0183508 B1 KR0183508 B1 KR 0183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se
wrench
nut
sp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566A (ko
Inventor
이흥원
Original Assignee
이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원 filed Critical 이흥원
Priority to KR1019950012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508B1/ko
Publication of KR96004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5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 B60B29/003Wrenches, e.g. of the ratchet type
    • B60B29/005Wrenches, e.g. of the ratchet type hand-driven operating with multiplicated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 B60B29/003Wrenches, e.g. of the ratchet type
    • B60B29/006Wrenches, e.g. of the ratchet type with electric or pneumat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에 관한 것으로, 축지지관(26)이 전면 중간부에 돌출 형성되는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측 상부에 축A(21)로 함께 축착되는 베벨기어 B(7)및 스퍼기어 A(8)와; 상기 케이스(2)의 상면에 구동축(5)으로 축착되어 상기 베벨기어 B(7)에 맞물리는 베벨기어 A(6)와; 상기 베벨기어 A(6)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핸들(3)과; 상기 케이스(2)의 내측 하부에 축 C(23)로 함께 축착되는 스퍼기어 D, E(11), (12)와; 상기 스퍼기어 A(3)와 스퍼기어 D(11)에 각각 맞물기고 상기 케이스(2) 중간부의 후방 내벽면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B(22)에 함께 고정되는 스퍼기어 B, C(9), (10)와; 상기 축지지관(26)의 중공부(27)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 D(24)의 내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스퍼기어 E(12)에 맞물리는 스퍼기어 F(13)와; 상기 축 B(22)의 전방 단부와 상기 축 D(24)의 후방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부싱(17)과; 상기 축 D(24)의 선단부에 키 결합되는 렌치박스(29)를 포함하여 적은 힘으로 너트(N)의 체결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대형차량의 휠너트를 체결 및 분리시킬 때에 핸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각 다수개의 기어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감속 및 증대되어 전달되므로 휠너트를 최소한의 힘으로 체결하거나, 풀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으며, 대형 선박에 채용되는 각종 체결 부품도 간편 용이하게 체결 및 풀림이 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형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
본 발명은 대형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 차량의 휠을 고정시키는 휠너트를 적은 힘으로 쉽게 조이고 풀 수 있도록 한 대형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휠너트는 차량의 구동장치와 연결된 휠구동수단에 타이어가 부착된 휠을 고정시켜 차량의 주행을 이룰 수 있게 한 것으로, 휠너트를 견고하게 체결함으로써 휠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휠의 이탈을 방지하여 차량주행 중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타이어의 펑크 및 손상 등으로 타이어 휠을 교체하는 경우 박스 렌치(box wrench)와 같은 렌치,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휠너틀 분리시킬 때에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고, 견고하게 체결된 휠너트가 원활하게 풀리지 않게 됨으로써 타이어 휠의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였으며, 휠너트의 풀림 시간이 길어 타이어 휠의 교체시간이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타이어 휠을 교체하고 다시 체결하는 경우에도 견고하게 체결하기가 매우 어려워 일반 사용자가 직접 교체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타이어 휠을 필요한 때에 적시에 교체 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안전사고에 지대한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대형차량의 휠너트를 체결 및 분리시킬 때에 핸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각 다수개의 기어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감속 및 증대되어 전달되므로 휠너트를 최소한의 힘으로 체결하거나, 풀 수 있게 되며, 사용 취급이 간편 용이하게 되는 대형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 대형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 대형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의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케이스 3 : 핸들
5 : 구동축 6, 7 : 베벨기어 A, B
8, 9, 10, 11, 12, 13 : 스퍼기어 A, B, C, D, E, F
14, 15, 16, 18, 19, 20 : 베어링 A, B, C, D, E, F
17 : 부싱 21, 22, 23, 24 : 축 A, B, C, D
26 : 축지지관 27 : 중공부
29 : 렌치박스 30 : 삽입부
31 : 손잡이 DR : 구동요소
N : 너트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 대형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 대형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의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로서, 도면에서 1은 차량의 타이어 휠(WH)을 고정하는 너트(N)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렌치를 보인 것이다.
상기 렌치(1)는 케이스(2)의 내부에 감속 기렁열이 결합되어 핸들(3)과 같은 구동요소(DR)에 의해 가하여지는 적은 힘으로 너트(N)를 체결 및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는 전면 중간부에 축지지관(26)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의 상면에는 구동축(5)이 베어링 A(14)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상기 구동(5)의 상단부에 상기 핸들(3)이 연결되어 있으며, 케이스(2)의 내부로 돌출되는 구동축(5)의 하단부에는 베벨기어 A(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의 내측 상부에는 축 A(21)의 양단부가 케이스(2)의 전, 후 내벽면에 베어링 A, B(15), (16)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상기 축 A(21)에는 베벨기어 A(6)에 맞물리는 베벨기어 B(7)과 스퍼기어 A(8)가 함께 고정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의 내측 하부에는 축 C(23)의 양단부가 케이스(2)의 전, 후 내벽면에 베어링 E, F(19), (20)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축 C(23)에는 스퍼기어 D, E(11), (12)가 함께 고정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 중간부의 후방 내벽면에는 축 B(22)의 후방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축 B(22)에는 상기 스퍼기어 A(8)와 스퍼기어 D(11)에 각각 맞물리는 스퍼기어 B, C(9), (10)가 함께 고정되어 있다.
상기 축지지관(26)의 중공부(27)에는 축 D(24)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축 D(24)의 내측부에는 스퍼기어 F(13)가 고정되어 상기 스퍼기어 E(12)와 맞물려 있으며, 상기 축 B(22)의 전방 단부와 상기 축 D(24)의 후방단부는 부싱(17)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축 D(24)와 축 B(22)는 동일 측선상에서 회전하지만 부싱(17)에 의해 슬립되면서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축 D(24)의 선단부에는 렌치박스(29)가 키 결합되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5)에는 핸들(3)을 회전시켜 너트(N)를 조이고, 풀 때에 일방향으로만 힘이 전달되고, 반대 방향으로는 헛돌도록 레버(4)에 의해 조작되는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가 결합되어 있다. 이 일방향 클러치는 종래 알려지고 있는 어떤 형태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제3도를 참조하면, 상기 축 D(24)의 선단부에 형성된 고정부(25)의 외주면에는 키 돌기(25')가 형성되고, 상기 렌치박스(29)의 내주면에는 키 홈(29')이 형성되어 축 D(24)의 고정부(25)에 렌치박스(29)를 삽입하면 키 돌기(25')가 키 홈(29')에 걸려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축지지관(26)의 선단부에는 너트(N)를 조이고 풀 때에 타이어 휠(WH)의 외면에 밀착 지지시킬 수 있도록 지지부(2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렌치(1)의 케이스(2)에는 손으로 잡고 취급하기 위한 손잡이(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기어들은 핸들(3)을 회전시키면 회전력이 각 기어를 통하여 전달되면서, 점차 감속되면서 힘이 증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베벨기어 A(6)보다 베벨기어 B(7), 스퍼기어 A(8)보다 스퍼기어 B(9), 스퍼기어 C(10)보다 스퍼기어 D(11), 스퍼기어 E(12)보다 스퍼기어 F(13)의 직경이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5)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요소(DR)에는 핸들(3) 대신 소형 모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모터에 의해 구동축(5)을 회전시키면 너트(N)를 자동으로 체결 및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대형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로서, 예를 들어 대형 차량의 휠 구동수단(WP)에 고정된 체결구(B)에 타이어 휠(WH)을 결합하고, 타이어 휠(WH)의 외부로 노출된 체결구(B)에 너트(N)를 체결시켜 타이어 휠(WH)이 견고하게 고정된 구성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된 타이어 휠(WH)을 분리하기 위하여 너트(N)를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렌치(1)의 렌치박스(29)의 삽입부(30)에 너트(N)가 삽입되게 결합하고, 레버(4)를 조작하여 풀리는 방향으로만 힘이 전달되게 한 후, 렌치(1)의 핸들(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3)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축(5)과 베벨기어 A(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베벨기어 A(6)와 스퍼기어 A(8)가 시계방향, 스퍼기어 B, C(9), (10)는 반시계 방향, 스퍼기어 D, E(11), (12)는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며, 이에 따라 스퍼기어 F(1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스퍼기어 F(1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축 D(24)와 그 선단부에 고정된 렌치박스(29)가 반시계 방향으로도 회전하여 너트(N)가 풀리게 되며, 상기 핸들(3)을 회전 시키는 구동력이 각 기어를 경유하여 전달되면서 증대되어 너트(N)를 적은 구동력으로 풀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핸들(3)의 구동력은 제2도에 도시한 힘 전달 방향표시(P)와 같이, 각각의 기어를 순차적으로 거쳐 축 D(24)에 전달됨에 따라 렌치박스(29)에 삽입된 너트(N)가 풀려지도록 하는 것이며, 핸들(3)의 구동력이 직경이 작은 기어가 직경이 큰 기어를 회전시킴에 따라 순차적으로 감속되면서 힘이 증대되어 결국 너트(N)가 적은 힘으로 풀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너트(N)를 체결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대형차량의 휠너트를 체결 및 분리시킬 때에 핸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각 다수개의 기어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감속 및 증대되어 전달되므로 휠너트를 최소한의 힘으로 체결하거나, 풀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벤치의 케이스 후면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 취급이 간편한 이점이 있으며, 렌치의 케이스 전면 중앙부에 형성한 축지지관에 출력축이 삽입되고, 출력축의 선단부에 렌치박스가 결합되고, 축지지관의 선단부에는 타이어 휠의 외면에 밀착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독특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렌치 케이스의 무게 중심이 안정되고, 이에 따라 렌치의 케이스를 타이어 휠에 안정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며, 휠너트를 원활하게 조이고 풀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축을 핸들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소형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대형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는 타이어 휠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운전자가 직접 즉시에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휠너트를 교체하여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안전 사고 방지에 지대하게 공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물론 소형 차량, 대, 소형 선박 및 그외 다른 제품에서 너트를 체결 및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간편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축지지관(26)이 전면 중간부에 돌출 형성되는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측 상부에 축 A(21)로 함께 축착되는 베벨기어 B(7)및 스퍼기어 A(8)와; 상기 케이스 (2)의 상면에 구동축(5)으로 축착되어 상기 베벨기어 B(7)에 맞물리는 베벨기어 A(6)와; 상기 구동축(5)을 회전시키는 구동요소(DR)와; 상기 케이스(2)의 내측 하부에 축 C(23)로 함께 축착되는 스퍼기어 D, E(11), (12)와; 상기 스퍼기어 A(8)와 스퍼기어 D(11)에 각각 맞물리고 상기 케이스(2)중간부의 후방 내벽면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B(22)에 함께 고정되는 스퍼기어 B, C(9), (10)와; 상기 축지지관(26)의 중공부(27)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 D(24)의 내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스퍼기어 E(12)에 맞물리는 스퍼기어 F(13)와; 상기 축 B(2))의 전방 단부와 상기 축 D(24)의 후방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부싱(17)과; 상기 축 D(24)의 선단부에 키 결합되는 렌치박스(29)를 포함하여 적은 힘으로 너트(N)의 체결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휠너트 체결용 렌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관(26)의 선단부에는 너트(N)를 조이고 풀 때에 타이어 휠(WH)의 외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지지부(28)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에는 손잡이(31)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
KR1019950012932A 1995-05-23 1995-05-23 대량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 KR0183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932A KR0183508B1 (ko) 1995-05-23 1995-05-23 대량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932A KR0183508B1 (ko) 1995-05-23 1995-05-23 대량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566A KR960040566A (ko) 1996-12-17
KR0183508B1 true KR0183508B1 (ko) 1999-05-01

Family

ID=1941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932A KR0183508B1 (ko) 1995-05-23 1995-05-23 대량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5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566A (ko)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3475A (en) Lug nut tool
EP0909697B1 (en) Bicycle crank arm parts/assembly and assembly tools
JP3215337B2 (ja) 自転車における補助動力供給装置
US4226317A (en) Bicycle hub
US3992964A (en) Torquing or speeding lug wrench
JP4048222B2 (ja) 多軸仮締め工具
US6742417B2 (en) Socket wrench
JP2007030165A5 (ko)
JPH11500981A (ja) 自転車用動力方向変更装置
US5123308A (en) Torque multiplying lug nut wrench
JP4032019B2 (ja) 多軸仮締め工具
US4353447A (en) Cycle freewheel assembly and cycle wheel therefor
KR0183508B1 (ko) 대량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
JPH10156739A (ja) 倍力回転高速回転交換式ドライバー
US3292464A (en) Gear driven wheel retainer nut wrench
JPH0214932Y2 (ko)
JP2003231064A (ja) 多軸締付工具
KR200269719Y1 (ko) 아답터 복스
KR200184921Y1 (ko) 승용차 타이어 탈,부착용 전동장치
JP2584559Y2 (ja) ベルト式自転車の後部プーリー着脱用工具
KR950007478Y1 (ko) 개량 수동 렌치
JP2524674Y2 (ja) トランスファ装置
JPH0248226Y2 (ko)
JPH0663208U (ja) チャックの締付ナット着脱装置
JP2723493B2 (ja) ボルト・ナット締付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