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719Y1 - 아답터 복스 - Google Patents

아답터 복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719Y1
KR200269719Y1 KR2019990004019U KR19990004019U KR200269719Y1 KR 200269719 Y1 KR200269719 Y1 KR 200269719Y1 KR 2019990004019 U KR2019990004019 U KR 2019990004019U KR 19990004019 U KR19990004019 U KR 19990004019U KR 200269719 Y1 KR200269719 Y1 KR 200269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adapter box
diameter portion
wrench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172U (ko
Inventor
조상욱
Original Assignee
조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욱 filed Critical 조상욱
Priority to KR2019990004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71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1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1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719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답터 복스에 관한 것으로, 대경부의 일측에 소경부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에 렌치 일체형 잭의 출력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중앙부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에는 너트가 삽입되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답터 복스의 결합부에 연결캡이 결합되며, 이 연결캡은 상기 아답터 복스의 결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원형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관통공이 상기 관통공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캡에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렌치 일체형 잭을 이용하여 휠을 체결하고 분리함에 있어 웜기어의 출력축에 아답터 복스 및 연결캡을 결합하고 너트를 조이거나 풀도록 함으로써 렌치 일체형 잭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고, 휠의 체결 및 분리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아답터 복스{ADAPTER BOX}
본 고안은 아답터 복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치를 이용하여 너트를 간편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아답터 복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휠을 체결하고 분리할 때에는 규모있는 정비점에서 공압 및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행하기도 하나, 다른 많은 정비점과 개인 운전자들은 복수대와 지렛대를 이용하거나, 토미바(tommy bar)를 이용하여 행하게 된다.
도 4는 종래의 차량용 휠 분리 작업을 보인 측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차량에서는 구동축(100)에 고정된 허브(110)에 휠(200)이 고정되고, 휠(200)에 타이어(210)가 결합되어 있으며, 휠(200)은 허브(110)에 고정된 볼트(120)에 너트(121)로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통상 차량의 상기 구동축(100)의 허브(110)에 휠(200)을 체결 및 분리하기 위해서는 복스 조립체(300)를 이용하여 행하게 되며, 이 복스조립체(300)는 결합부(311), (312)가 양단부에 구비된 복스대(310)에 지렛대(320)를 결합한 구조로서, 복스대(310)의 결합부(311)에 너트(121)를 삽입하여 조이거나 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복스 조립체는 지렛대(320)를 이용하여 복스대(310)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모멘트가 증가되지만 인력에 의해 작업하기에 힘이 많이 들어 보통의 운전자가 작업하기 어려우며, 또, 휠(200)을 교체한 후 너트(121)가 견고하게 체결되지 못함으로써 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과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너트를 전동력을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렌치 일체형 잭이 개발되어 실용신안 공개번호 1998-043042호(출원번호 1998-18485호)에 소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렌치 일체형 잭은 너트(121)를 전동력에 의해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것이나, 렌치 일체형 잭의 출력축과 너트(121) 사이의 거리가 크기 때문에 출력축이 길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소형화에 불리하고, 대형차의 휠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앞바퀴와 뒷바퀴를 간편하게 결합, 분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렌치를 이용하여 너트를 간편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아답터 복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아답터 복스는 대경부의 일측에 소경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렌치 일체형 잭의 출력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중앙부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에는 너트가 삽입되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아답터 복스의 결합부에는 연결캡이 결합되며, 이 연결캡은 상기 아답터 복스의 결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원형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관통공이 상기 관통공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캡에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아답터 복스의 대경부의 결합부는 육각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의 결합부와 연결캡의 결합부에는 상기 렌치 일체형 잭과 연결캡의 관통공이 부분적으로 이용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고안 아답터 복스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아답터 복스의 결합형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아답터 복스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차량용 휠 분리 작업을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 렌치 일체형 잭 430 : 출력축
500 : 아답터 복스 501 : 대경부
502 : 소경부 503, 513 : 관통공
504, 505 : 결합부 510 : 연결캡
511 : 원형부 512 : 삽입부
514 : 결합부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1에는 본 고안 아답터 복스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 아답터 복스의 결합형태를 보인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 아답터 복스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100)에 고정된 허브(110)에 휠(200)이 고정되고, 휠(200)에 타이어(210)가 결합되어 있으며, 휠(200)은 허브(110)에 고정된 볼트(120)에 너트(121)로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100)의 허브(110)에 휠(200)을 체결 및 분리하면서, 볼트(120)에 너트(121)를 조이고 푸는 것은 실용신안 공개번호 1998-043042호에 알려지고 있는 렌치 일체형 잭을 이용하여 행한다.
상기 렌치 일체형 잭(400)은 레버(410)의 상부 일측에 서로 맞물리는 웜기어(420)와 웜(421)이 결합되고, 웜기어(420)의 출력축(430)이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걸림간(440)이 출력축(430)과 일정간격을 두고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렌치 일체형 잭(400)의 출력축(430)에는 실제로 너트(121)에 결합되어 조이거나 풀게 되는 아답터 복스(500)가 결합된다.
상기 아답터 복스(500)는 대경부(501)의 일측에 소경부(502)가 일체로 형성되고, 관통공(503)이 중앙부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대경부(501)와 소경부(502)에는 너트가 삽입되는 결합부(504), (50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아답터 복스(500)의 결합부(504)에는 연결캡(510)이 결합되며, 이 연결캡(510)은 상기 아답터 복스(500)의 결합부(504)에 삽입되는 삽입부(512)가 원형부(51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관통공(513)이 상기 관통공(503)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캡(510)에는 결합부(5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아답터 복스(500)의 대경부(501)의 결합부(504)는 육각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502)의 결합부(505)와 연결캡(510)의 결합부(514)에는 관통공(503), (513)의 일부가 이용되는 것이나, 소경부(502)의 결합부(505)와 연결캡(510)의 결합부(514)를 별도의 육각홈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렌치 일체형 잭(400)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축(100)의 허브(110)에 휠(20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렌치 일체형 잭(400)의 출력축(430)에 아답터 복스(500)의 소경부(502)의 결합부(505)를 삽입하고, 아답터 복스(500)의 대경부(501)의 결합부(504)를 너트(121)에 외측으로 끼워 결합함과 아울러 걸림간(440)을 다른 너트(121)에 걸리도록 렌치 일체형 잭(400)의 레버(410)를 파지한 후, 웜(421)의 후방으로 돌출된 입력단부에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의 출력축을 결합시켜 구동시키면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웜(421)과 웜기어(420)가 회전하고, 웜기어(420)의 출력축(430)이 회전함에 따라 아답터 복스(500)가 회전하여 너트(121)가 풀리게 되며, 이때 걸림간(440)은 다른 너트(121)에 걸려 있으면서 렌치 일체형 잭(400)이 헛돌지 않도록 함으로써 너트(121)가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풀려지게 되는 것이다.
또, 대형 차량의 앞바퀴를 위와 같이 하여 풀고, 내측륜 및 외측륜의 한쌍으로 마련된 뒷바퀴를 풀고자 하는 경우, 먼저 외측륜을 풀고자 할 때에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너트의 지름과 동일한 아답터 복스(500)를 사용하여 너트를 분리함으로써 외측륜을 분리한다.그리고, 내측륜을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답터 복스(500)에 열결캡(510)을 결합하고 작업을 하게 되는데, 아답터 복스(500)의 대경부(501) 결합부(504)에 연결캡(510)의 삽입부(512)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뒷바퀴 중 외측륜을 체결하고 있는 휠 볼트(미도시)의 사각부분에 연결캡(510)의 결합부(514)를 결합한 후,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풀게 된다.
그리고, 너트를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렌치 일체형잭(400)과 아답터 복스(500)를 터트에 결합한 후,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 너트를 조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렌치 일체형 잭을 이용하여 휠을 체결하고 분리함에 있어 웜기어의 출력축에 아답터 복스 및 연결캡을 결합하고 너트를 조이거나 풀도록 함으로써 렌치 일체형 잭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고, 휠의 체결 및 분리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가지 실시형태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3)

  1. 2.5톤 이상 중대형 차량의 후륜에 마련된 내측륜 및 외측륜을 탈부착하는 아답터 복스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 복스는 일측이 대경부(501) 및 타측의 소경부(50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501) 및 소경부(502)에는 홈 형상으로 내측에 각각 결합부(504)(505)가 마련되며, 상기 소경부(502)의 결합부(505)에는 렌치 일체형잭(400)의 출력축(430)이 삽입되는 관통공(503)이 중앙부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소경부(502) 결합부(505)에 렌치 일체형잭(400)을 삽입하고, 상기 대경부(501)의 결합부(504)를 상기 외측륜을 결합하고 있는 너트에 결합하여 상기 외측륜을 탈부착하고, 상기 아답터 복스(500)의 결합부(504)에는 연결캡(510)이 결합되며, 상기 연결캡(510)은 일측이 상기 아답터 복스(500)의 대경부(501) 결합부(504)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캡(510)에는 상기 연결캡(510)을 관통하는 관통공(513)이 마련되되 상기 관통공(513)을 상기 내측륜을 체결하고 있는 볼트에 결합하여 상기 내측륜을 탈부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답터 복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 복스(500)의 대경부(501)의 결합부(504)는 육각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502)의 결합부(505)와 연결캡(510)의 결합부(514)는 상기 렌치 일체형 잭(400)과 연결캡(510)의 관통공(503)(513)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답터 복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502)의 결합부(505)와 연결캡(510)의 결합부(514)가 육각홈으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답터 복스.
KR2019990004019U 1999-03-13 1999-03-13 아답터 복스 KR200269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019U KR200269719Y1 (ko) 1999-03-13 1999-03-13 아답터 복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019U KR200269719Y1 (ko) 1999-03-13 1999-03-13 아답터 복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172U KR20000018172U (ko) 2000-10-16
KR200269719Y1 true KR200269719Y1 (ko) 2002-03-27

Family

ID=5476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019U KR200269719Y1 (ko) 1999-03-13 1999-03-13 아답터 복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7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965B1 (ko) 2022-09-07 2023-09-26 (주)한국항공기술 항공기 에어론 실린더의 리테이너 분해 및 조립 전용공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965B1 (ko) 2022-09-07 2023-09-26 (주)한국항공기술 항공기 에어론 실린더의 리테이너 분해 및 조립 전용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172U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7326A (en) Tamper-resistant lug nut
US6910355B2 (en) Fastener lockout device
US5632056A (en) Bicycle tool assembly
CN101936323B (zh) 一种汽车防盗螺母
RU2499166C2 (ru) Противоугонное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колеса к ступице автомобиля
JP2017124778A (ja) センターロックホイールの取付構造
KR20100044616A (ko)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와 허브의 결합 구조
KR200269719Y1 (ko) 아답터 복스
JP4354783B2 (ja) 締付具及びそのソケットユニット
CN210361086U (zh) 一种汽车用套筒
CN218760832U (zh) 一种异形防盗螺栓
US20030140664A1 (en) Anti-theft fastener device
CN217969638U (zh) 一种牵引车用转向手柄
CN213165091U (zh) 一种电动自行车车轮简易拆卸器
US20020124376A1 (en) Vehicle hub removal tool and method of removal of vehicle rotor and hub assembly
CN215861256U (zh) 一种螺栓或螺母的防盗组合件以及车轮
CN214396250U (zh) 一种等温锻造成型铝合金轮毂结构
CN220594553U (zh) 一种多功能的轮胎拆装机
KR200184921Y1 (ko) 승용차 타이어 탈,부착용 전동장치
CN210919736U (zh) 一种具有防盗圈的汽车轮胎防盗螺栓
CN219406024U (zh) 一种便于安装的重载轮毂
KR200144724Y1 (ko) 자동차용 휠캡 로크(lock)장치
KR100341859B1 (ko) 일체형 허브 캡
KR0183508B1 (ko) 대량 차량의 휠너트 체결용 렌치
KR200324022Y1 (ko) 차량용 휠너트 체결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