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859B1 - 일체형 허브 캡 - Google Patents

일체형 허브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859B1
KR100341859B1 KR1020000026194A KR20000026194A KR100341859B1 KR 100341859 B1 KR100341859 B1 KR 100341859B1 KR 1020000026194 A KR1020000026194 A KR 1020000026194A KR 20000026194 A KR20000026194 A KR 20000026194A KR 100341859 B1 KR100341859 B1 KR 100341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hub cap
cap
assembly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596A (ko
Inventor
최진성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26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859B1/ko
Publication of KR20010105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05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20/00Manufacturing or maintenance operations
    • B60B2320/10Assembling; dis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20/00Manufacturing or maintenance operations
    • B60B2320/50Sec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13Production or maintenance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 어셈블리와 허브 캡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허브 어셈블리에 허브 캡을 결합하기 위하여 허브 어셈블리에는 허브 볼트를 설치하고 허브에는 이 허브 볼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너트 역할을 하는 칼라를 허브 캡 헤드와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허브 캡 헤드의 회전으로 다수의 칼라를 회전시킴으로써 허브 캡을 허브 어셈블리에 결합되도록 하는 일체형 허브 캡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허브 볼트가 설치된 허브 어셈블리에 체결되는 허브 캡에 있어서, 상기 허브 캡은 상기 허브 볼트와 체결되는 다수개의 너트인 칼라와, 상기 칼라가 회전가능토록 설치된 허브 캡 본체와, 상기 허브 캡 본체의 후방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허브 캡을 회전시키는 허브 캡 헤드와, 상기 허브 캡 헤드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허브 볼트의 회전축에 결합된 종동기어로 구성되어, 체결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일체형 허브 캡 {Hub cap}
본 발명은 허브 어셈블리와 허브 캡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허브 어셈블리에 허브 캡을 결합하기 위하여 허브 어셈블리에는 허브 볼트를 설치하고 허브에는 이 허브 볼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너트 역할을 하는 칼라를 허브 캡 헤드와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허브 캡 헤드의 회전으로 다수의 칼라를 회전시킴으로써 허브 캡을 허브 어셈블리에 결합되도록 하는 일체형 허브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wheel)은 타이어와 함께 차량의 중량을 지지하고 구동력 또는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휠은 무게가 가벼워야 하며, 무게중심을 낮추고 조향각을 크게 하기 위해 직경이 작아야 하고 노면의 충격과 측력에 견딜 수 있는 강성(rigidity)이 있어야 하며,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제동열을 잘 흡수하여 대기중으로 방출할 수 있어야 하고, 휠에 브레이크를 설치할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직경이 커야 한다.
휠은 허브(hub)에 부착되는데, 허브는 차축이 끼워지는 구멍 주위에 두툼하게 되어 있는 부분으로 휠을 부착하게 되는 부품을 말하고, 타이어를 허브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 너트를 각각 허브 볼트, 허브 너트라고 하며, 휠의 중앙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허브 오너먼트라고 한다.
참조된 도면,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휠이 허브에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허브 어셈블리와 허브 캡과의 결합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어셈블리(10)에 다수개의 허브 볼트(12)를 설치하고, 이 허브 볼트(12)에 맞는 구멍이 형성된 로드 휠(11)을 끼워 넣은 다음, 휠 너트(13)를 일정한 토오크로 조여 결합하게 된다.
즉, 조립 순서는 먼저 상기 로드 휠(11)의 구멍을 상기 허브 어셈블리(10)의 허브 볼트(12)에 맞춘 다음 끼워 넣고, 각각의 휠 너트(13)를 조여 조립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허브 볼트(12)와 휠 너트(13)는 차량에 따라 휠 당 3~5개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허브 어셈블리와 허브 캡과의 결합구조는 타이어와 휠 어셈블리를 차량에 장착하거나 탈거할 때 상기 허브 볼트와 휠 너트를 결합 및 분리해야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허브 볼트와 휠 너트를 차례로 결합 및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에어 툴(air tool)을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시간이 더욱 많이 소요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허브 어셈블리에는 다수의 허브 볼트를 설치하고 호브 캡에는 허브 볼트에 대응하는 너트인 칼라를 각각 설치하며 칼라가 허브 캡 헤드의 회전과 연동하여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일체형 허브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휠이 허브에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허브 어셈블리에 허브 캡이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허브 캡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허브 어셈블리 51 : 허브 볼트
52 : 코일 스프링 60 : 허브 캡 본체
61 : 허브 캡 헤드 61a : 구동 기어
62 : 칼라 62a : 종동 기어
본 발명은 다수개의 허브 볼트가 설치된 허브 어셈블리에 체결되는 허브 캡에 있어서,
상기 허브 캡은 상기 허브 볼트와 체결되는 다수개의 너트인 칼라와, 상기 칼라가 회전가능토록 설치된 허브 캡 본체와, 상기 허브 캡 본체의 후방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허브 캡을 회전시키는 허브 캡 헤드와, 상기 허브 캡 헤드의 회전을 상기 칼라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달수단이 상기 허브 캡 헤드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허브 볼트의 회전축에 결합된 종동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허브 어셈블리와 상기 허브 캡 사이에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탄성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허브 어셈블리에 허브 캡이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허브 캡의 정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허브 캡이 허브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어셈블리(50)에 다수개의 허브 볼트(51)가 설치되고, 허브 캡(60)에는 허브 볼트(51)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칼라(62)가 설치되어 코일 스프링(52)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허브 어셈블리(50)의 허브 볼트(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작은 부분과 직경이 큰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직경이 큰 부분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직경이 작은 부분은 칼라(62)에 대응되도록 맞춘 상태에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또한, 상기 허브 캡(60)은 허브 볼트(51)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칼라(62)가 설치되고, 그 후방에는 상기 허브 볼트(51)와 칼라(62)가 결합될 수 있도록 동시에 회전시키는 허브 캡 헤드(6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상기 칼라(62)는 상기 허브 볼트(51)와 결합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허브 볼트(51)와 마찬가지로 직경이 작은 부분과 큰 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직경이 작은 부분에는 허브 볼트의 직경이 작은 부분이 끼워지고 직경이 큰 부분의 내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허브 볼트(51)의 수나사가 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허브 캡 본체(60)의 내부에는 허브 캡 헤드(61)의 회전에 의해 다수개의 칼라(62)가 동시에 회전되어 상기 허브 볼트(51)와 체결될 수 있도록 기어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즉, 상기 허브 캡 헤드(61)에는 구동 기어(61a)가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고, 이와 맞물리고 상기 각각의 칼라(62)에 연결된 종동 기어(62a)가 설치되어 허브 캡 헤드(61)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허브 볼트(51)에 각각의 칼라(62)가 체결되어 결국에는 허브 캡(60)이 허브 어셈블리(50)에 간단하게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허브 캡을 허브 어셈블리에 체결 및 분리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상기 코일 스프링(52)을 상기 허브 어셈블리(50)와 허브 캡(6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그 다음에, 각각의 허브볼트(51)에 칼라(62)를 대응되도록 맞추고 끼우게 된다. 상기 허브 볼트(51)의 직경이 작은 부분이 칼라(62)의 직경이 작은 부분에 완전히 삽입되게 되면, 그 상태에서 허브 캡 헤드(61)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허브 캡 헤드(61)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허브 캡 헤드(61)에 연결된 구동 기어(61a)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종동기어(62a)도 회전하게 되며, 종동기어(62a)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칼라(62)가 회전되면서 허브 볼트(51)의 수나사와 칼라(62)의 암나사가 체결되어 결국에는 상기 허브 캡(60)이 허브 어셈블리(50)에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허브 어셈블리(50)로부터 허브 캡(60)을 분리하는 방법은 상기한 동작과 반대로 상기 허브 캡 헤드(61)를 반대로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하게 분리해 낼 수 있다.
물론, 상기 코일 스프링(52)이 허브 어셈블리(50)와 허브 캡(60)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별다른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상기 허브 어셈블리(50)가 허브 캡(60)으로부터 코일 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허브 캡은 허브 볼트에 체결되는 각각의 칼라를 기어를 사용하여 한 번에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체결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Claims (3)

  1. 다수개의 허브 볼트가 설치된 허브 어셈블리에 체결되는 허브 캡에 있어서,
    상기 허브 캡은 상기 허브 볼트와 체결되는 다수개의 너트인 칼라와, 상기 칼라가 회전가능토록 설치된 허브 캡 본체와, 상기 허브 캡 본체의 후방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허브 캡을 회전시키는 허브 캡 헤드와, 상기 허브 캡 헤드의 회전을 상기 칼라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허브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허브 캡 헤드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허브 볼트의 회전축에 결합된 종동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허브 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어셈블리와 상기 허브 캡 사이에는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탄성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허브 캡.
KR1020000026194A 2000-05-16 2000-05-16 일체형 허브 캡 KR100341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194A KR100341859B1 (ko) 2000-05-16 2000-05-16 일체형 허브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194A KR100341859B1 (ko) 2000-05-16 2000-05-16 일체형 허브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596A KR20010105596A (ko) 2001-11-29
KR100341859B1 true KR100341859B1 (ko) 2002-06-24

Family

ID=1966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194A KR100341859B1 (ko) 2000-05-16 2000-05-16 일체형 허브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8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596A (ko) 200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0440B2 (en) Method for converting a non-driven tag axle system to a driven axle system
US6676226B2 (en) Wheel end system
US20170036693A1 (en) Kingpin unit bearing steerable drive axle assembly
KR20100044616A (ko)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와 허브의 결합 구조
AU649379B2 (en) Torsion socket
KR100341859B1 (ko) 일체형 허브 캡
US5464277A (en) Adaptor hub for automotive wheel ornaments
US5906418A (en) Auxiliary traction wheel for a vehicle
KR101355287B1 (ko) 자동차의 구동륜 액슬장치
US20090151876A1 (en) Apparatus for Securing a Tire to a Wheel
US6481084B2 (en) Method for removal of a vehicle hub and rotor assembly
KR101757607B1 (ko) 자전거 전동 구동장치
KR100440294B1 (ko) 바퀴의 체결장치
KR200141621Y1 (ko) 차량의 리어 액슬 샤프트 탈거용 지그
KR200269719Y1 (ko) 아답터 복스
KR200369156Y1 (ko) 타이어 휠과 차축의 체결구조
KR200324022Y1 (ko) 차량용 휠너트 체결공구.
KR200334084Y1 (ko) 투피스 플랜지 너트
KR200230863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토크 로드 구조
JPS592961Y2 (ja) シヤフトドライブ式自動二輪車におけるエアセンサ−の取付装置
KR200294313Y1 (ko) 도난방지를 위한 경주용 차량의 조향장치
CN110712175A (zh) 维修用转动调节装置
JPH0365296B2 (ko)
KR200150734Y1 (ko) 조립이 용이한 차량용 휠
KR100580462B1 (ko) 차량의 원 스탑 휠 락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