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378B1 - 플로우트식 액면계 - Google Patents

플로우트식 액면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378B1
KR0181378B1 KR1019960036107A KR19960036107A KR0181378B1 KR 0181378 B1 KR0181378 B1 KR 0181378B1 KR 1019960036107 A KR1019960036107 A KR 1019960036107A KR 19960036107 A KR19960036107 A KR 19960036107A KR 0181378 B1 KR0181378 B1 KR 0181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liquid level
wire
type liquid
pu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545A (ko
Inventor
가쓰무 쓰찌야
가즈아끼 시모다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Publication of KR970016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3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4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bands or wire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4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bands or wire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플로우트식 액면계 전체를 밖으로 끄집어 내지 않고도 외부로 부터 플로우트의 이상 유무를 조사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위해 외부로부터 끌어올림이 가능한 와이어(17)에 접속되고 지지다리(15),(16)에 의해 수직으로 위치 결정되는 기대(10)의 하면에, 액면에 추종하여 가이드 부재(19)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플로우트(14)와 플로우트(14)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전기신호 변환수단(11)과를 마련함과 함께 기대(10)가 와이어(14)로 끌어올려졌을 때에 회전운동하여 플로우트(14)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검사기구(21)를 마련한다. 외부로부터 와이어(17)를 당기면 검사기구(21)가 회전운동하여 플로우트(14)를 밀어올릴 때, 플로우트가 액면에 추종 가능한 정상인 상태에서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 이동을 위치-전기신호 변환수단에 의한 신호의 절환으로서 플로우트의 고장 유무를 외부로부터 검지한다.

Description

플로우트식 액면계
본 발명은 액위에 추종하는 플로우트의 위치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액위(液位,액면위치)를 측정하는 플로우트식 액면계,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우트의 검사기구를 구비한 플로우트식 액면계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연료유를 수용하는 탱크와, 이것을 보호하는 외벽부재와의 2중구조로 구성된 지하 저유 탱크에 있어서는, 내부탱크와 외벽부재와의 사이에 연료유나 물이 새들어가는 것을 검출하기 위하여, 저면에 연장되는 검지관을 탱크내에 세워설치하고 이것의 저부에 플로우트식 액면계가 설치되어져 있다.
통상은, 내부탱크와 외벽부재의 사이에 액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액면계를 구성하고 있는 플로우트는 액위가 영의 위치에 장시간에 걸쳐서 정지한대로 있으므로 액면에 항상 추종하여 이동하는 것과 비교해서 녹 등에 의해 굳게 붙어 있는 경우가 있어 액이 침입하더라도 액위의 변화에 플로우트가 추종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정기적으로 플로우트식 액면계를 검지관으로부터 꺼내어서 검사할 필요가 있고 검지관으로부터 플로우트식 액면계 및 이것에 접속하는 케이블을 빼내야 하는 작업이 따르기 때문에 검사에 수고와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게 된 것으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플로우트식 액면계를 들어내지 않고도 간단한 조작으로 플로우트의 이상을 검사할 수가 있는 신규의 플로우트식 액면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 끌어올림이 가능한 와이어에 접속되고 지지다리에 의하여 수직으로 위치 결정되는 기대의 하면에 액면에 추종하여 가이드 부재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플로우트와,
상기 플로우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전기신호 변환수단과를 마련한 것과 함께, 상기 기대가 끌어올려졌을 때 회전운동하여 상기 플로우트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검사기구를 마련하도록 하였다.
이에따라, 외부로부터 와이어를 끌어올리면 검사기구가 플로우트를 밀어올리려고 하므로 플로우트가 액면에 추종가능한 상태에서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위치­전기신호 변환수단의 신호가 절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로우트식 액면계의 일용도인 2중각식 탱크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검사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와이어에 의해 플로우트식 액면계를 끌어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부탱크 2 : 간극
3 : 외벽부재 4 : 바닥판
5 : 검지관 6 : 플로우트식 액면계
7 : 케이블 10 : 기대
11 : 위치-전기신호 변환수단 14 : 플로우트
15,16 : 지지다리 17 : 와이어
19 : 가이드 부재 20 : 자석
21 : 검사기구 21a : 볼자형 받침부
22 : 회전축 23 : 추
이하에 본 발명의 상세를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면계가 적용되어지는 2중벽식 지하 저유 탱크로서 연료유를 수용하는 내부탱크(1)와, 내부탱크(1)가 파손한 경우에 일어나는 연료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지하수 등으로부터 내부탱크(1)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로부터 일정한 간극(2)을 유지하여 마련된 외벽부재(3)와의 2중구조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2중벽식 탱크에 있어서는, 내부탱크(1)의 파손에 의한 연료유의 누설, 또는 외벽부재(3)의 파손에 의한 지하수의 침입을 검지하기 위하여 저부에 통공(4a)(4a')(4a)­­­을 구비한 바닥판(4)으로 막혀진 검지관(5)이 내부탱크(1)를 관통하여서 하부의 간극(2)에 연이어 통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검지관(5)의 저부에 플로우트식 액면계(6)가 설치되며, 여기서 발생한 신호를 케이블(7)에 의해 상단의 접속상자(8)에서 중계해서 도시하지 않은 감시장치로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검지관(5)에 마련되어 있는 플로우트식 액면계(6)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중 부호(10)은 케이블(7)과 플로우트식 액면계(6)와를 접속하는 기대이고, 상면측에 후술하는 위치-전기신호 변환기(11)로부터의 리이드선(12)선과 케이블(7)과를 접속하는 접속실 형성부재(13)를, 또 하면측에는 플로우트(14)나 위치-전기신호 변환기(11)등의 액면 검출부를 수직으로 위치결정하는 복수의 지지다리(15),(16)를 마련하여서 구성되며 검지관(5)의 상단으로부터 늘어뜨려진 와이어(17)의 하단이 접속실 형성부재(13)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기대(10)의 하면이 거의 중심선상에는 하단이 마개에 의해 밀봉된 비자성재로서 된 파이프상 가이드 부재(19)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이것에 플로우트(14)를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삽입하는 것과 함께 가이드 부재(19)의 하단에 빠짐 방지 부재(18)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9)에는 플로우트(14)가 이동한 것을 검출하는 위치-전기신호 변환수단(11), 이 실시예에서는 플로우트(14)에 수용 되어있는 자석(20)이 대향하고 있지않은 때 즉, 플로우트(14)가 상승한때에 오프로 되며 플로우트(14)가 하단까지 강하하고 있을 때에 온으로 되는 리이드 스위치가 수용되어 있다.
부호(21)은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검사기구로서 중심측이 가이드 부재(19)를 올라타고 플로우트(10)에 접하는 볼자형 받침부(21a)를 갖추어(도 3), 지지다리(15)의 하단에 회전축(22)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와이어(17)에 의해 기대(10)가 끌어올려졌을 때, 상기 플로우트(14)를 상방으로 밀어주면서 볼자형 받침부(21a)를 상방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외주측으로 무게중심을 위치시키는 추(23)가 마련되어 있다.
또 도면중 부호 24는 와이어 가이드를, 또 부호 25는 케이블(7)과 접속실 형성부재(13)와를 패킹(26)에 의해 밀봉하는 마개부재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플로우트식 액면계(6)를 검지관(5)의 상부의 트인곳으로부터 내리면 지지다리(15),(16)가 검지관(5)의 바닥판(4)에 맞닿아서 여기에 수직으로 세워져 있게된다.
지금의 상태는 외벽부재(3)와 내부탱크(1)와의 간극(2)에 액이 침입하고 있지 않으므로 플로우트(14)는 가이드 부재(19)의 빠짐 방지 부재(18)에 접하여서 기준위치에 머무른다. 이 때문에 위치-전기신호 변환수단(11)은 플로우트(14)에 수용되어 있는 자석(20)으로부터의 자계를 받아서 온으로 된다.
한편, 내부탱크(1)와 또는 외벽부재(3)가 파손되어 간극(2)내에 연료유 또는 물이 고이게 되면 플로우트(14)가 상승하여 즉, 자석(20)의 위치가 벗어나 위치-전기신호 변환수단(11)이 오프로 절환되어지므로써 간극(2)에 액이 침입한 것이 외부로부터 검지되어 지게되며 이 검지에 의해 탱크(1)가 파손한 것을 알게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연료유나 물이 침입하는 등의 탱크의 파손은 좀처럼 일어나지 않으므로 일년에 몇번, 정기적으로 플로우트(14)가 정상으로 동작하느냐, 아니냐를 검사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손잡이(27)를 끌어올려서 와이어(17)를 끌어당기면 액면계(6) 전체가 상승하여 바닥판(4)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검사기구(21)의 추(23)가 붙어있는 측이 바닥판(4)의 지지를 상실하여서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운동하여 볼자형 받침부(21a)에 의해서 플로우트(14)를 밀어올려서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액면계(6)가 정상인 경우에는, 위치-전기신호 변환수단(11)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절환된다. 이 신호의 절환에 의해서 플로우트(14)가 이동가능하며 또 위치-전기신호 변환수단(1)의 접점도 정상으로 동작하는 것이 확인된다.
검사가 종료하여 와이어(17)를 내리면 지지다리(15),(16)가 바닥판(4)에 접하고 동시에 검사기구(21)의 추(23)가 붙어져 있는 중심측이 바닥판(4)에 놓여지도록 볼자형 받침부(21a)가 강하하여 플로우트(14)도 하방의 기준 위치에 세트되어 액면을 검출할 수 있는 도 2에 나타낸 상태로 돌아간다.
또,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검사기구(21)와 추(23)를 별개체로 하고 있으나 일체로 구성하여도 같은 모양의 작용의 효과를 얻는 것은 명백하다.
또, 동작 검사시 끌어올리는 와이어(17)는 케이블(7)의 상부에 묶어도 좋다. 검사는 1년에 1~2번이므로 이와같이 하여도 케이블의 신호선이 단선하는 일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 끌어올림이 가능한 와이어에 접속되어서 지지다리에 의해 수직으로 위치 결정되어지는 기대의 하면에 액면에 추종하여 가이드 부재를 상하로 움직이는 플로우트와 플로우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전기신호 변환수단과를 마련하는 것과 함께 기대가 끌어올려졌을 때 회전운동하여 상기 플로우트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검사기구를 마련하였으므로 외부로부터 와이어를 끌어올린다고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플로우트의 이상여부를 검출할 수가 있다.

Claims (5)

  1. 외부로부터 끌어올림이 가능한 와이어에 접속되고 지지다리에 의해 수직으로 위치결정 되어지는 기대의 하면에 액면을 추종하여 가이드 부재를 따라 상하로 운동하는 플로우트와, 상기 플로우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전기신호 변환수단과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기대가 와이어에 의해 끌어올려 졌을때에 회전 운동하여 상기 플로우트를 가이드 부재를 따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검사기구를 마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트식 액면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기구는, 상기 기대에 회전축에 의해 붙여지며 상기 플로우트측에 상기 가이드 부재를 걸터앉는 볼자형 받침부를 구비하고 또 상기 회전축에서 외측으로 무게중심이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트식 액면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의 상면에 외부로 부터의 케이블과 상기 위치-전기신호 변환수단의 리이드선과를 접속하는 접속실 형성부재가 마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트식 액면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트식 액면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가 하단을 봉하여 막은 파이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내부에 상기 위치-전기신호 변환수단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트식 액면계.
KR1019960036107A 1995-09-22 1996-08-28 플로우트식 액면계 KR0181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269189A JP3139531B2 (ja) 1995-09-22 1995-09-22 フロート式液面計
JP95-269189 1995-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545A KR970016545A (ko) 1997-04-28
KR0181378B1 true KR0181378B1 (ko) 1999-05-15

Family

ID=1746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107A KR0181378B1 (ko) 1995-09-22 1996-08-28 플로우트식 액면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39531B2 (ko)
KR (1) KR01813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4326B2 (ja) * 2009-11-05 2014-01-29 玉田工業株式会社 地下タンクの液漏れ検出装置
KR101503773B1 (ko) * 2013-12-31 2015-03-18 한국중부발전(주) 레벨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39531B2 (ja) 2001-03-05
JPH0989634A (ja) 1997-04-04
KR970016545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5047A1 (en) Identifying undesired conditions in the function of a floating roof of a tank
KR0181378B1 (ko) 플로우트식 액면계
JP4079148B2 (ja) 漏洩液検知装置
US3276246A (en) Stuffing box with leakage detector
US4973946A (en) Underground liquid storage tank leak containment, detection and alarm system
JP2012127715A (ja) 浮遊型油漏れ検出装置
JP3019252B2 (ja) ガソリンスタンド地下タンク用漏洩検知装置
RU2313837C1 (ru) Контейнер перегрузочный
KR101145607B1 (ko) 고압용기의 액체레벨 검출장치
JP6308402B2 (ja) 液面計
KR200283738Y1 (ko) 부레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자석의 흡인력을 이용하여경보감도를 향상시킨 수위경보장치
US5174150A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false indications of leakage in a double-wall tank
CN207908207U (zh) 多深度水层水质采样器
JPS628129B2 (ko)
JP3013912B2 (ja) 二重タンクの漏洩検知装置
JP3100132B1 (ja) 漏洩検知装置
KR102018264B1 (ko) 누유 및 누수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류 저장 장치
JP3006651B2 (ja) フロート式液面計
CN110554447A (zh) 一种磁致伸缩式雨量计及感雨方法
JPS6117038Y2 (ko)
CN220055017U (zh) 一种sf双层油罐
KR102309964B1 (ko) 맨홀 부공기압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험방법
CN103837210B (zh) 一种水位计
KR20000002549U (ko) 지하매설용 이중관의 유체누설감지장치
JPH08327489A (ja) 地下タンクの漏洩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