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221B1 - 균일 압축성 평판 - Google Patents

균일 압축성 평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221B1
KR0181221B1 KR1019960035518A KR19960035518A KR0181221B1 KR 0181221 B1 KR0181221 B1 KR 0181221B1 KR 1019960035518 A KR1019960035518 A KR 1019960035518A KR 19960035518 A KR19960035518 A KR 19960035518A KR 0181221 B1 KR0181221 B1 KR 0181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support structure
walls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017A (ko
Inventor
글래세너 피에르
Original Assignee
이호마스 소올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마스 소올,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호마스 소올
Priority to KR1019960035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221B1/ko
Publication of KR1998001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힘이 제1방향으로 생성되도록 된 클램핑 작동에 사용하기 위한 평판은 연부와 중심 영역과 적어도 제1 및 제2측면을 갖는 제1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은 클램핑 작동부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평판은 제1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이에 평행한 제2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벽은 힘의 제1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중간지지 구조물은 벽들 사이에 위치하며, 제1벽이 제1측면을 따라 비균일하게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힘을 제1벽의 연부로부터 중심영역 쪽으로 안내하는 데 사용된다.

Description

균일 압축성 평판
본 발명은 주형기 및 성형기에 사용되는 평판, 특히 최소 평판 무게에서 최소 평판 변형을 허용하는 구조를 취하는 평판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 평판은 대개 블록 형상을 취하는데, 그 예로는 히라따 등의 미국 특허 제5,188,850호, 후꾸자와 등의 미국 특허 제5,066,217호, 블륌 등의 미국 특허 제5,110,283호, 요시오까의 미국 특허 제5,162,782호 및 히라따 등의 미국 특허 제5,192,557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상기 각 특허에서, 주형 평판은 주형 반부를 지지하는 대개 장방형인 측면을 갖는 블록 형상을 취한다. 주형 반부들의 클램프-업 중에 힘은 평판의 주형 장착면에 대하여 생성된다. 이러한 블럭 형상의 평판이 대표적이기 때문에 주형 장착면이 변형되어 측면의 상연부 및 하연부를 작용하는 힘쪽으로 가하게 되며 평판을 절곡시키고 주형 평판을 가로질러 인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 결과, 클램프-업 하에서 평판들의 중심은 주형 반부들 사이에 갭을 형성하게 되고, 때로는 부산물로서 플래시(flash)를 형성하게 된다.
베이어드의 미국 특허 제4,615,857호에는 주조 작동 중에 플래시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포획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구에 따르면, 플라스틱의 사출 및 이송 성형이 플래시를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성형기 내부의 편향은 클램핑 형상부의 성형기로 측정된다. 주형의 지지 구조물은 주형이 클램핑 형상부에 있는 동안에 생성된 힘에 대하여 항상 지지 필러와 바아가 개별적인 스프링으로서 주형면에 작용하도록 이들 지지 필러와 바아에 의해 주형면에 균일한 힘을 작용시키도록 배열되어 있다. 지지 필러와 바아의 스프링 상수 및 길이는 성형기에서 발견되는 실제 편향을 나타내기 위하여 계산되어 성형기의 클램핑 중에 주형 상에 균일 압력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주형 밀봉 중에 주형 평판의 절곡이 측정되고 기구의 주형 장착 블록의 압축성이 평판의 절곡을 보상하기 위해 하나 또는 양 평판 상의 측방향 위치의 함수로서 조정되며, 이로써 주형의 분할면에는 그 측방향 위치와는 별개로 일정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장착 블록의 강성 및 길이는 장착 블록에 의해 제공된 힘을 결정하며, 평판 상의 블록 위치와 평판의 소정 편향에 따라 소정 방정식에 의해 결정된다. 베이어드의 특허가 편향을 보상하기는 하지만 이에 의한 방법 및 장치는 특정 주형에서 생성되는 특정 힘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다. 따라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설계를 얻을 수 없다.
제1a도 및 제1b도는 상기 특허들에서 논의된 블록형 평판과는 약간 다른 형상을 취하는 종래 기술의 주형 평판이 도시되어 있다. 제1a도에 도시된 것처럼 주형 평판은 수개의 관통 개구를 포함하는 측면부와, 전방벽 및 후방벽을 갖는다. 제1b도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슬롯 및 리브는 평판의 전방벽보다 작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는 후방벽 쪽으로 연장된다. 또한, 평판은 주형의 클램프-업 중에 평판들 사이의 힘 F에 대하여 저항하는 인장 바아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이의 각 모서리에 포함하고 있다. 각 결속 바아는 도시된 것처럼 반력 FR을 갖고 있다. 평판의 무게를 감소시키도록 복수개의 리브 및 슬롯이 마련되어 있다. 즉, 전방 주형 장착면은 주형 클램프-업 중에 압축 하에 있고, 후방벽은 단일 비임으로서 인장 하에 있게 된다. 결속 바아는 제1a도에 점선 및 화살표로 도시된 것처럼 내향 발출되어 평판면의 이동을 따르도록 변형되며, 이로써 주형면을 절곡시켜 상기 특허들에서의 평판과 유사하게 주조 중에 오목 형상을 갖게 해준다. 따라서, 제1a도 및 제1b도에 도시된 주형 평판의 구조에도 불구하고 주형면 절곡이 보상되지 않아서 플래시의 발생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평판의 양 측면이 절곡되기 때문에 결속 바아의 모서리에서의 지지부도 절곡되어 결속 바아 지지부를 비균일 하중 상태로 만들게 된다. 이는 결속 바아의 절곡 및 높은 응력 집중을 일으켜서 조기에 피로 파괴를 일으키게 된다. 화살표 C는 클램프-업 중에 결속 바아가 절곡되는 것을 도시한다.
따라서, 주형기 또는 성형기의 클램프-업 중에 평판의 변형을 보상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플래시의 생성을 실질적으로 배제하는 간단한 설계의 경량 평판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클램프-업 중에 주형 장착면들을 평평하고 평행하게 해주는 주조, 클램핑 또는 성형에 사용할 수 있는 주형 평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출성형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경량의 주형 평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램프-업 중에 평판의 어떠한 절곡도 일으키지 않으면서 클램핑력을 평판의 연부들에 있는 결속 바아로부터 평판의 중심 주형 장착 영역 쪽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주형 평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램프-업 중에 거의 평평한 상태로 유지되고 플래시의 형성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주형 장착면을 갖는 주형 평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개의 측면과 클램프-업 중에 주형측에서의 주형 평판의 비균일 편향을 방지하는 중간 지지 구조물을 갖는 주형 평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개의 벽과 주형측에서의 평판의 비균일 편향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중심 아치 형상의 중간지지 구조물을 상기 두 개의 벽들 사이에 갖는 주형 평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개의 측면과 주형측에서의 평판의 비균일 편향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원추형의 중간 지지 구조물을 갖는 주형 평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램프-업 중에 결속 바아 및 너트의 비균일 하중을 배제할 수 있는 주형 평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은 힘이 제1방향으로 생성되도록 된 클램핑 작동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형 평판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평판은 연부와 중심 영역과 적어도 제1 및 제2측면을 갖는 제1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은 클램핑 작동부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평판은 제1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벽을 포함하며, 이들 제1 및 제2벽은 힘의 제1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힘을 제1벽의 연부로부터 제1벽의 중심 영역 쪽으로 안내하는 수단은 제1벽이 제1측면을 따라 비균일하게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2벽은 중간 구조물에 의해 생성된 분리력에 저항할 목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을 유사한 부분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a도는 종래 기술의 주형 평판과 이 주형 평판을 클램프-업 하는 동안의 힘 및 편향에 의해 취하게 되는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1b도는 제1a도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주형 평판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제3도 내지 제5도의 평판의 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평판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평판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단면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평판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평판 12 : 주형 장착벽
14 : 단부벽 16 : 중간지지 구조물
17 : 주형 반부 18 : 구멍
20 : 사출 유닛 25 : 결속 바아
26, 28 : 리브 30 : 중심 영역
31 : 공동 32, 34 : 연부
도면에서, 제2도는 주조 작동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평판의 제1실시예의 측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평판(10)의 사시도이다. 대개, 평판(10)은 주형 반부(17)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주형 장착벽(12), 단부벽(14) 및 이들 주형벽(12)과 단부벽(14) 사이에 위치한 중간지지 구조물(16)을 포함한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평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2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유사하다. 제4도는 특히 양호한 실시예, 즉 아치형 벽 대신에 각을 이룬 벽을 갖거나 또는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원추형 중간부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설명 및 이후의 설명에서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모든 실시예 및 도면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낸다.
주형 장착벽(12)은 주형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반부(도시 생략)와 정합시켜 화살표로 도시한 클램핑력 F에 의해 다른 주형 반부에 충분히 클램핑시키기 위해 주형 반부(17)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속 바아(25)에서의 반력 FR은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주형 장착벽(12)은 장방형을 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형상을 취할 수도 있으며, 힘 F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평판 중 하나 또는 기계 상에 사출 유닛(20)의 삽입을 위해 그 중심을 관통하는 구멍(18)을 포함한다. 제2도에 단면도로 도시된 것처럼 사출 유닛(20)의 팁부(22)는 주형 반부(17)를 연결하도록 구멍(18)을 통해서 연장되며, 이로써 효율적인 공간 활용에 기여한다. 또한, 주형 장착벽(12)은 결속 바아(25)를 수용하기 위해 각 모서리에서 결속 바아(25)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멍(24)을 포함한다. 주형 장착벽(12)은 이를 관통하여 단부벽(14) 쪽으로 연장되는 4개의 결속 바아(25)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간 지지 구조물(16)은 클램핑력 F의 작용 중에 평판(10)의 주형 장착벽(12)이 비균일하게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형기 부품 상에서의 플래시 형성 및 마모를 방지하게 되는 기구를 마련한다.
중간 지지 구조물(16)은 주형 장착벽(12)의 내측면(27)으로부터 단부벽(14)의 내측면(29)까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내측 리브(26 및/또는 28)를 포함하며, 이로써 중간 지지 구조물이 좁은 단부 및 넓은 단부를 갖게 된다. 제5도의 실시예에서, 중간 지지 구조물은 상부 리브 및 하부 리브와 관련하여 이후에 설명하는 것과 유사한 단부벽 및 장착벽에 부착되는 반원형 또는 원추형의 하나의 연속 벽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26, 28)는 주형 장착벽(12)의 내측면(27)의 중심 영역(30)에 부착되어 이로부터 외향 연장되며, 단부벽(14)의 내측면(29)의 연부(32, 34)에는 좁은 단부를 형성하고 리브(26, 28)들 사이에는 넓은 단부 및 공동(31)을 형성한다. 따라서, 중심 영역(30)은 주형 장착벽(12)의 주형 장착 영역의 반대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리브(26, 28)는 주형이 위치하는 평판면을 직접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 상부 리브(12)는 주형 장착벽(12)의 중심 영역(30)으로부터 단부벽(14)의 내측면(29)의 상연부(32)까지 연장되어 이에 부착된다. 상부 리브(26)는 이후에 설명하는 구조와는 다르지만 제3도에 사시도로 도시된 것처럼 장착벽(12)의 내측면(27)에 부착되어 이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하부 리브(28)도 중심 영역(30)에 부착되어 이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주형 장착벽(12)의 내측면(27)의 전체 폭을 따라 연장되며, 벽(14)의 내측면(29)의 하연부(34)에 부착된다. 리브(26, 28)가 전체폭에 인접하여 이를 교차하여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리브(26, 28)가 작은 폭을 갖고 서로 이격되어 있고 주형 장착벽 및 단부벽의 전체 폭을 덮을 필요가 없는 복수개의 개별 리브로 구성된 것도 고려하고 있다.
제2도 및 이와 관련한 실시예에서, 상부 리브(26) 및 하부 리브(28)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아치형 또는 C형이며, 여기서 각 리브는 평판(10)의 활모양 외향 공동(31)으로 된다.
제4도 및 이와 관련한 실시예에서, 상부 리브(126) 및 하부 리브(128)는 실질적으로 직선형으로 되어 있고 중심 영역(130)으로부터 단부벽(14)의 상연부(132) 및 하연부(134)로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형상은 Ⅴ형이다. 수평으로 취한 단면은 또 다른 실시예, 즉 제5도에 도시된 원추형에서도 동일하다. 제5도의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내는 제4도에는 구멍(124)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공동(131)에 도시된 결속 바아(125) 부분은 벽(226)이 블록형으로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제5도 및 이와 관련한 실시예에서, 중간 지지 구조물(216)은 주형 장착벽(212)의 내측면(227)에 부착된 원추형 또는 구형의 좁은 부분과 단부 평판(214)의 내측면(229)에 부착된 원추형 또는 구형의 넓은 부분을 갖는 원추형 또는 구형의 벽(226)을 포함한다. 원추형 또는 구형 벽은 제조의 편의를 위해 구역들로 분할될 수 있거나 단일 주조부로 될 수도 있다. 대개 중간부(216)의 벽(226)은 원추형 또는 구형을 취하기 때문에 제2도 및 제4도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단부벽 및 주형 장착벽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지는 않는다.
제2도, 제4도 및 제5도의 실시예에서, 중간 지지 구조물의 상부 리브 및 하부 리브 또는 원추형 또는 구형지지 구조물의 벽은 이에 대하여 예각 ω로 주형벽(12, 112, 또는 212)에 각각 부착되어 있고(제5도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4도와 유사함), 예각 α로 단부벽(14, 114 또는 214)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제5도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4도와 유사함).
단부벽(14)은 장방형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형상으로도 될 수 있으며, 벽(12)에 평행하게 그리고 힘 F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용융물을 주형 반부(17)안에 사출하기 위하여 사출 유닛(20)이 연장될 수 있게 관통 구멍(36)을 포함할 수도 있다. 주형벽(12)과 마찬가지로 단부벽(14)도 결속 바아들을 관통 수용하기 위해 그 각 모서리에서 구멍(24)에 정렬된 구멍(28)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각 구멍(28)은 결속 바아 너트(42)를 수용하기 위한 카운터싱크(40)를 포함하기도 한다. 상부 리브(26) 및 하부 리브(28)도 필요에 따라 결속 바아(25)를 수용하기 위하여 벽(12, 14)의 구멍(24, 38)에 정렬된 개구(48, 50)를 자체 내에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부벽(14)은 용융물이 배출되는 소제 개구(44)를 리브(26, 28)에 인접한 위치에 포함할 수 있으며, 파편 및/또는 배출물은 하부 리브(28)의 내측면(46)을 정지시킴으로써 평판으로부터 소제 개구(44)를 통해서 방출된다.
평판이 주조 재료로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의 요소, 즉 벽 및 중간지지 구조물은 클램프-업 중에 발생한 힘에 대하여 견디도록 필요한 강도를 제공하게 되는 임의의 방식으로 분리식으로 함께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작동 시에, 평판(100)은 예를 들어 주형기 및 기계식 성형기 또는 다른 클램핑 기계에 사용되는 가동식 및 고정식 평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평판의 편향은 클램프-업 힘의 발생에 기인하여 이들 주형기 및 성형기 또는 다른 클램핑 기계의 단일 및 탠덤식 구조에서 가능하다.
평판(10)을 사용하는 클램프-업 중에 중간지지 구조물(16) 및 이 중간지지 구조물(16)에 대한 주형 장착벽(12)의 배열은 평판의 연부에서의 클램핑력 F가 주형 반부가 위치하여 있는 평판의 중심 쪽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는데, 즉 주형 아래에서 직접 지지하도록 브릿지 원리로 기능한다. 따라서, 평판의 주형 장착면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식으로 변형되어 절곡 및 플래시의 생성을 방지하게 된다.
클램프-업 중에 평판(10)의 주형 장착면에 생성되는 힘 F는 제2도의 큰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주형 클램프-업 중에 평판에 작용하는 힘 F는 작은 화살표로 도시한 것처럼 힘 FI로서 내측 리브(26, 28)를 따라 외향 분산되며, 이로써 중간지지 구조물(16)이 화살표 C로 도시된 것처럼 압축되게 하고 벽(12)의 장착면이 그 위에서 비대향 관계로 작용하는 절곡력의 의미에서 중립 상태를 취하게 한다. 또한, 단부벽(14)은 화살표 T로 도시된 인장 상태에 있게 되고, 반력 FR을 갖는 결속 바아는 단부벽(14)의 신장에 기인하여 외향으로 약간 밀려난다. 평판 상에서의 그리고 그 내부에서의 힘의 작용에 의해 장착벽(12)의 주형 장착면은 비균일하게 편향된다. 상기에 설명한 힘의 분배는 다른 실시예, 즉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아치형 또는 C형 중간지지 구조물 및 V형 중간지지 구조물 그리고 제5도에 도시된 원추형 또는 구형 중간지지 구조물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된 장점은 클램프-업 중에 주형 장착면들을 평평하고 평행하게 해주는 주조, 클램핑 또는 성형에 사용할 수 있는 주형 평판이 마련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은 사출성형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경량의 주형 평판이 마련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은 클램프-업 중에 평판의 어떠한 절곡도 일으키지 않으면서 클램핑력을 평판의 연부들에 있는 결속 바아로부터 평판의 중심 주형 장착 영역 쪽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주형 평판이 마련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은 클램프-업 중에 거의 평평한 상태로 유지되고 플래시의 형성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주형 장착면을 갖는 주형 평판이 마련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은 두 개의 측면과 클램프-업 중에 평판의 주형 장착측의 비균일 편향을 방지하는 중간지지 구조물을 갖는 주형 평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은 두 개의 벽과 주형 장착측에서의 평판의 비균일 편향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중심 아치 형상의 중간지지 구조물을 상기 두 개의 벽들 사이에 갖는 주형 평판이 마련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은 두 개의 벽과 주형측에서의 평판의 비균일 편향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원추형 또는 구형 중간지지 구조물을 갖는 평판이 마련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은 클램프-업 중에 결속 바아 및 너트의 비균일 하중을 배제할 수 있는 주형 평판이 마련된다는 것이다. 평판의 절곡이 최소로 되기 때문에 결속 바아의 하중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되고 결속 바아의 어떠한 절곡도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은 이를 수행하는 최선의 모드를 도시한 것에 불과한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에서의 부품의 형태, 크기 및 배열과 작동 방식은 다른 형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Claims (17)

  1. 힘이 제1방향으로 발생되도록 된 클램핑 작동에 사용하기 위한 평판에 있어서, 주형측 상에 있는 제1벽과 이 제1벽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된 제2벽 등 두 개의 벽을 갖고, 제1벽 및 제2벽이 상기 힘의 제1방향을 교차하여 연장되고 제1벽 및 제2벽 각각이 연부 및 중심 영역을 갖도록 구성된 주형 평판과, 제1벽의 편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힘을 상기 벽중 하나의 벽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다른 벽의 연부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양 벽들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에 연결된 중간지지 구조물을 갖춘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이 호형, 원추형, V형 또는 C형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이 좁은 단부 및 넓은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4. 제1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이 하나의 연속 벽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5. 제1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이 중공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6. 제1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이 하나의 벽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다른 벽의 연부 쪽으로 외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7. 제1항에 있어서, 벽들이 소정의 폭을 갖고, 지지 구조물이 상기 벽중 적어도 하나의 벽의 전체 폭에 걸려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8. 제1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이 하나의 벽에 대한 예각으로 이 벽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다른 벽에 대한 예각으로 이 벽에 이르기까지 외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9.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벽과 중간 지지 구조물을 통해서 사출 유닛을 수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10. 제9항에 있어서, 제2벽이 사출 유닛을 사용하는 주조 작동 중에 생기는 파편을 제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수단이 파편의 배출을 허용하기 위해 제2벽을 통해서 소제 개구에 이어지는 지지벽의 내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벽이 사출성형기의 주형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주형 반부에 결합되는 제1주형 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13. 중간지지 구조물에 의해 이격된 두 개의 평행한 벽을 갖는 평판 내에서 힘을 분배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형측 상에 있는 제1벽과 이 제1벽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된 제2벽 등 두 개의 벽을 갖고, 이들 제1벽 및 제2벽 각각이 연부 및 중심 영역을 갖도록 구성된 주형 평판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벽들이 연장되는 제1방향으로 이들 벽중 적어도 하나의 벽에 대하여 힘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제1벽의 편향을 방지하도록 상기 힘을 하나의 벽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다른 벽의 연부 쪽으로 이들 양 벽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되어 있는 중간지지 구조물을 거쳐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힘이 호형, 원추형, V형 또는 C형을 취하는 지지 구조물을 거쳐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을 하나의 벽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다른 벽의 연부 쪽으로 외향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벽들이 소정의 폭을 갖고, 지지 구조물을 상기 벽중 적어도 하나의 벽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을 하나의 벽에 대한 예각으로 이 벽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다른 벽에 대한 예각으로 이 벽에 이르기까지 외향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035518A 1996-08-26 1996-08-26 균일 압축성 평판 KR0181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518A KR0181221B1 (ko) 1996-08-26 1996-08-26 균일 압축성 평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518A KR0181221B1 (ko) 1996-08-26 1996-08-26 균일 압축성 평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17A KR19980016017A (ko) 1998-05-25
KR0181221B1 true KR0181221B1 (ko) 1999-05-15

Family

ID=19470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518A KR0181221B1 (ko) 1996-08-26 1996-08-26 균일 압축성 평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2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17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3711A (en) Uniformly compressible platen
MXPA96002232A (en) Press plate uniformly comprimi
KR100715388B1 (ko) 플래튼 및 이를 포함한 사출 성형기
KR0148376B1 (ko) 멜트블로잉 다이
FI115023B (fi) Malline tai maski, laite mallineen tai maskin tukemiseksi ja laite tekemään mahdolliseksi mallineprosessien suorittamiseksi
WO2002036322A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having a mold plate for uniform distribution of mold clamping forces
US4120784A (en) Screening apparatus
US9533349B2 (en) Casting mold
KR0181221B1 (ko) 균일 압축성 평판
ITMI970728A1 (it) Collegamento di spigolo per una lama
RU2242549C1 (ru) Держатель пластинки шабера
JPH08258103A (ja) 射出成形機の型締機構
KR20080025651A (ko) 사출성형기의 몰드조임기구
CA2500561C (en) Air bag cover forming apparatus
GB2037618A (en) Sieve construction
KR100270162B1 (ko) 웨브의 비접촉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1504199A (ja) チエーン部材及びライン用の取付けユニットを有する取付け装置
KR101589816B1 (ko) 사출 성형기용 클램핑 유닛 및 클램핑 유닛을 구비하는 사출 성형기
JP5563288B2 (ja) 堅固なコーナー接続を有するヘルド枠
JP2011506786A (ja) テンプルシリンダ
JP4107509B2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EP0855951B1 (en) A collapsible core
US6427593B1 (en) Clamping device having plurality of plate spring elements
JP2594346Y2 (ja) 織機における筬固定機構
KR200181525Y1 (ko) 연속주조용 주형의 치수변경에 대응하는 주형진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