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376B1 - 멜트블로잉 다이 - Google Patents

멜트블로잉 다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376B1
KR0148376B1 KR1019900003250A KR900003250A KR0148376B1 KR 0148376 B1 KR0148376 B1 KR 0148376B1 KR 1019900003250 A KR1019900003250 A KR 1019900003250A KR 900003250 A KR900003250 A KR 900003250A KR 0148376 B1 KR0148376 B1 KR 0148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die tip
tip
die body
flow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108A (ko
Inventor
지.뵈닝 피터
Original Assignee
피터 지. 뵈닝
애큐리트 프로덕츠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지. 뵈닝, 애큐리트 프로덕츠 캄파니 filed Critical 피터 지. 뵈닝
Publication of KR90001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4/00Spinnerette packs; Cleaning thereof
    • D01D4/02Spinnerettes
    • D01D4/025Melt-blowing or solution-blowing d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4/00Spinnerette packs; Cleaning thereof
    • D01D4/06Distributing spinning solution or melt to spinning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슴.

Description

멜트블로잉 다이
제1도는 멜트블로잉 라인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 팁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다이 팁이 다이 본체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멜트블로잉 다이의 단면도.
제4도는 다이의 본체상에 설치할 때 다이 팁에 대한 힘의 분포도로서, 다이 팁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출기 11 : 멜트블로잉 다이
15 : 스크린 16 : 웨브
18 : 가열소자 20 : 다이 본체
본 발명은 열가소성 파이버의 멜트블로잉 다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선된 멜트블로잉 다이에 관한 것이다.
멜트블로잉(melt blowing)이라 함은,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미세한 모세관 구멍(오리피스)을 통해 압출하고 그리고 압출된 파이버의 양측에서 고온의 공기를 송풍하여 그 파이버를 가늘게 인발하는 부직포 제품의 제조방법을 말한다. 파이버는 불규칙적으로 뒤엉킨 부직포 웨브의 상태로 스크린이나 기타 적절한 수집 장치(collection device)상에 수집된다. 그러한 웨브는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고, 그리고 매트, 패브릭, 웨빙, 필터, 배터리 분리기(battery separator)등과 같은 소비 제품으로 추가로 가공될 수도 있다.
다이의 오리피스와 흐름 통로를 가공함에 있어서는 극도의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흔히 다이 팁이라고 불리우는 다이의 핵심 부분은 고품질의 강철을 이용해서 별도로 가공한 다음, 다이 본체에 조립하게 된다.
다이 팁은 삼각형 단면의 돌출편(nose piece)을 구비하는 기다란 부재이다. 삼각형 단면의 꼭지점에는 오리피스가 천공되어 있으며, 이 오리피스는 다이 팁에 형성된 내부 흐름 채널과 연통된다.
이러한 구조의 다이 팁에 있어서는 그것의 꼭지점 부위에 기계적 강도가 약화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오리피스와 내부 흐름 채널은 다이 팁의 꼭지점 부위의 단면적 감소로 인하여 그 부위에 취약부를 발생시킨다. 용융 수지를 미세한 오리피스를 통해 빈번하게 압출시키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높은 내부압력은 다이 팁의 돌출편의 꼭지점 부위를 인장시켜 파손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미합중국 특허 제4,486,161호에 언급된 바 있다. 이 특허는 다이 팁의 흐름 채널을 따라 배치된 일체형 타이 바아(tie bar)를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또한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흐름 채널을 따라 볼트와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조립시에 다이 팁의 돌출편의 꼭지점 부위에 잔류 압축력 및 잔류 응력이 발생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선단부 돌출편이 파손되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잔류 응력은 내부의 유압에 대한 반력으로 작용하여 꼭지점 부위를 파열시키려는 힘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이 다이 팁은 다이 본체에 형성된 표면상에 장착되어 볼트로 적소에 고정되기에 적합하다. 이 장착 표면의 양측 연부에 형성된 내측 숄더는 다이 팁의 종방향 양측 연부와 결합되고, 다이의 바닥은 대향하는 장착 표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다. 다이 팁을 다이 본체에 볼트로 고정하면, 지점(fulcrum)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숄더 주변에는, 서로간에 방향이 반대이고 크기가 같은 굽힘 모멘트가 발생된다. 이러한 굽힘 모멘트는 돌출편의 꼭지점 부위에서 서로 대향하므로 그 꼭지점 부위에는 압축 응력이 작용한다. 그러므로, 다이 팁의 흐름 채널에 유압이 인가되면, 이러한 내부 유압은 꼭지점 부위에서 압축 응력의 대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꼭지점 부위에 가해지는 인장력은 감소된다.
다이 본체의 통로로부터 다이 팁의 흐름 채널로 흐르는 용융 중합체에 대한 유체 시일을 제공하려면 다이 팁 또는 그의 구성 요소가 다이 본체와 접촉해야 한다. 숄더의 크기는, 다이 팁의 접촉 시일 표면 및 상기 장착 표면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충분한 유체 시일 접촉을 제공함과 아울러 꼭지점 부위에서 잔류 압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선정한다.
다른 형태의 장착 구조에 의해서도 꼭지점 부위에 압축 응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원리는 다이 팁의 종방향 연부를 중심으로 서로간에 방향이 반대이고 크기가 동일한 굽힘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 이 굽힘 모멘트는 꼭지점 부위에 작용하는 방향이 반대이고 크기가 동일한 힘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항된다.
본 발명자의 명의로 된 계류중인 1987년 11월 5일자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130,359호는 멜트블로잉 다이에 관하여 개시하고는 있으나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에 관하여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130,359호는, 1987년 7월 16일자로 국제 공개 제 WO 87/04195호로서 공개된 PCT 출원 제 PCT/US 86/00041호를 기초로 한 것이다. 이러한 PCT 출원은 그의 꼭지점 부위에 압축력이 인가된 다이 팁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실제로, 상기 PCT 출원서의 도면중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구조체는 꼭지점 부위에 방향이 서로 반대인 굽힘 모멘트를 가하여 인장 응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는 돌출편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멜트블로잉 라인이 압출기(10)와, 멜트블로잉 다이(11)와, 회전식 집적 드럼 또는 스크린(15)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압출기(10)는 용융 수지를 다이(11)로 공급하고, 이 다이(11)는 파이버를 수렴하는 고온 기류속으로 병렬 압출한다. 이러한 고온 기류는 파이버를 가늘게 인발하여 공기/파이버 스트림(12)을 형성하게 된다. 그후, 파이버는 스크린(15)에 수집된 다음, 웨브(16)로서 배출된다. 또한, 통상의 유형의 멜트블로잉 라인은 밸브 라인(17)을 통해서 다이(11)에 접속된 공기 공급원과 가열소자(18)을 갖추고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11)는 다이 본체(20)와, 이 다이 본체(20)에 고정된 긴 다이 팁(22)과, 에어 플레이트(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다이 본체(20)는 상반부(27)와 하반부(28)[부품(27a 및 28a)도 포함됨]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상반부와 하반부를 조립하면 다이 본체(20)가 형성된다. 다이 본체의 조립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이들 부품의 조립은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130,359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볼트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제2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이 팁(22)은 외측으로 연장하는 삼각형 단면의 돌출편(29)과 측부 플랜지(25,26)를 포함한다. 이 돌출편(29)은 꼭지점 부위(30)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돌출편(29)의 테이퍼부의 사잇각은 대체로 45°내지 90°이다. 다이 팁(22)에는 긴 중앙 채널(31)이 형성되어 있다. 꼭지점 부위(30)에는 복수개의 병렬 오리피스(32)가 천공되어 채널(31)과 연통되어 있다. 돌출편(29)의 꼭지점 부위(30)는 오리피스(32)를 포함하는 선단부이다. 오리피스는 돌출편(29)의 칼날형 연부(30a)를 따라 단위 인치당 대략 10개 내지 40개로 분포되어 있다. 오리피스(32)의 직경은 대체로 0.010인치 내지 0.025인치이다.
다이 팁(22)의 내측은 평탄한 표면(35)과 이것의 측면에 위치한 종방향 노치(36,37)(제2도 참조)를 포함한다. 다이 팁의 부품과 다이 본체와의 공간 관계를 규정함에 있어서, 내측이라는 용어는 다이 본체에 인접한 다이 팁의 부품을 말한다. 다이 팁의 표면(35)의 중앙부와 채널(31)의 입구에는 종방향 홈(38)이 형성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홈(38)에는 대체로 편평한 흐름 분배부재(39)[브레이커 플레이트(breaker plate)라 칭함]가 설치된다. 이 브레이커 플레이트(39)는 그것을 홈(38)에 설치할 때 용융 수지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브레이커 플레이트(39)는 표면(35)을 지나서 약간 돌출되어 있으며, 편평한 표면(41)을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커 플레이트(39)의 표면(41)의 종방향 외측 연부는 다이 본체와 결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와 함께 유체 시일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브레이커 플레이트(39)는 다이 팁(22)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다이의 구조에 따라서는 브레이커 플레이트(39)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홈(38)은 없어도 될 것이고, 채널(31)의 측부에 위치하여 표면(35)의 외측으로 돌출된 양각 스트립(embossed strips)(제4도 참조)이 다이 본체(20)상에서 시일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이 본체(20)는 일반적으로 고품질의 강철로부터 대칭형의 반부로 제작되어 볼트로 체결된다. 또한, 이 다이 본체는 측벽(42,43) 및 바닥 표면(44)에 의해 규정된 홈을 가진다. 또한, 이 바닥 표면(44)의 종방향 연부에는 평행 숄더(46,47)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평행 숄더는 다이 팁(22)의 평행 노치(36,37)와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숄더(46,47)는 다이 팁의 장착 지지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숄더(46,4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이 팁의 연부를 볼트 결합력(bolt force)의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 이외에도, 다이 팁의 베이스가 측방향으로 팽창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을 주목할 수 있다.
용융 중합체의 옷걸이형 흐름 통로(coat hanger flow passage)(33)는 바닥 표면(44)의 중앙부에 형성된 공동부(34)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공동부(34)는 다이의 상당한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그를 따라 용융 중합체를 분배하고 그리고 이 용융 중합체를 브레이커 플레이트(39)를 통해서 채널(31)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다이 본체(20)는 공기를 다이 팁(22)의 양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도관(48,49)을 갖추고 있다. 에어 플레이트(23,24)는 다이 팁(22)과 함께 그 사이에 수렴형 공기 흐름 통로(converging air flow passage)(51,52)를 규정한다. 수렴하는 기류가 돌출편(29)의 칼날형 연부(30a)에 방출되어서 오리피스(32)로부터 압출된 용융 수지의 파이버와 접촉한다. 이러한 수렴하는 기류는 파이버를 가늘게 인발시켜서 제1도 및 제3도에서 참조부호(12)로 표시된 공기/파이버 스트림을 형성한다.
제2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이 팁의 플랜지(25,26)에는 정렬된 볼트 구멍(53,54)의 세트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볼트 구멍(53,54)은 돌출편(29)의 양측면에 각각 정렬되고, 그리고 그의 외측 단부는 영역(53a,54a)에서 카운터보어(counterbore)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제3도를 참조하면, 다이 팁(22)은 다이 본체(20)의 숄더(46,47)가 다이 팁(22)의 상보형 다이 노치(36,37)내에 수납되도록 다이 본체(20)에 끼워맞춤 된다.
다이 본체(20)는 2세트의 정렬된 볼트 체결 구멍(56,57)을 구비하는데, 이들 볼트 체결 구멍은 바닥 표면(44)에서 개방되어 그를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볼트 체결 구멍(56,57)은 다이 팁의 볼트 구멍(53,54)과 정렬되어 있다. 볼트(58,59)는 다이 팁(22)의 구멍(53,54)을 통해 연장되어 이 볼트 체결 구멍(56,57)에 나사결합 됨으로써 다이 팁(22)을 다이 본체(20)에 고정시킨다. 볼트의 헤드(58a,59a)는 카운터보어(counterbore)(53a,54a)내에 매립된다.
브레이커 플레이트(39)는 홈(38)내에 설치되고, 다이 팁(22)은 다이 본체(20)의 숄더(46,47)상에 설치된다. 브레이커 플레이트(39)의 바닥 표면(41)은 공동부(34)를 둘러싸고 있는 바닥 표면(44)의 일부와 대향한다. 다이 팁(22)은 숄더(46,47)상에 놓여 있을 뿐, 볼트로 체결되지는 않으므로, 다이 팁의 표면(35)은 다이 본체의 표면(4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게 되고, 또한 브레이커 플레이트의 표면(41)도 다이 본체의 표면(4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게 된다. 응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표면(35,44)의 간격(S1)은 표면(41,44)간의 간격(S2) 보다 크다. 공동부(34)로부터 채널(31)로 흐르는 중합체에 대한 유체 시일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이 팁(22)의 볼트체결 위치에서 S2가 0이 되어야 한다. 간격(S1)과 간격(S2)는 다음과 같은 값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2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S2(볼트 미체결 간격)는 S1(볼트 미체결 간격)에서 S1(볼트 체결 간격)을 뺀 값과 같다.
표면(41,44)간의 간격은 브레이커 플레이트(39)를 홈(38)에 완전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측정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실제적으로, 브레이커 플레이트(39)는 그의 내측 표면과 홈(38)의 바닥면사이에 간극을 둔 상태로 표면(4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간극은 어느쪽에 위치시켜도 무방하다.
볼트(58,59)를 조이면, 다이 팁(22)상에는 지점으로 작용하는 숄더(46,47)를 중심으로 하여 방향이 서로 반대인 굽힘 모멘트가 작용한다. 볼트(58)는 제3도에서 시계방향의 굽힘 모멘트를 발생시키고, 볼트(59)는 반시계방향으로의 굽힘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굽힘력은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으로, 다이 팁(22)의 꼭지점 부위(30)에 집중된다. 볼트(58,59)에 의해서 토오크가 계속적으로 인가되면, 이 표면(41)은 표면(44)과 밀봉 접촉하여 공동부(34)로부터 채널(31)로 흐르는 중합체에 대한 유체 시일을 제공한다. 또한, 브레이커 플레이트(39)는 볼트 결합력에 의해서 초기 위치와는 관계없이 홈(38)에 완전하게 안착되어 그와 함께 유체 시일을 형성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제4도는 힘의 분포도로서, 다이 팁(22)상에 작용하는 설치 압력(mounting force)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볼트 결합력(F, F')에 의해 지점(A, A')을 중심으로 굽힘 모멘트가 발생되면, 꼭지점 부위(30)에서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크기가 같은 힘(B, B')이 발생되며, 그리고 유체 시일 부위에서 힘(C, C')이 발생된다. 힘(B, B')중 적어도 일부는 힘(C, C')이 발생하기 전에 발생된다.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크기가 같은 힘(B, B')은 압축력을 발생시키고, 이 압축력은 다이 팁(22)이 다이 본체(20)에 볼트 결합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이 압축력은 채널(31) 내부의 유압에 대항한다. 이 힘(B, B')은 각종 인자에 따라 넓은 범위에서 변화될 수도 있으나, 꼭지점 부위(30)[즉, 오리피스(32)의 중심축을 지나는 평면내의 금속의 영역]에서 적어도 1,000psi,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00psi,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00psi의 압축 응력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해야 한다. S2가 커질수록 압축응력은 커지며, S2의 값은 0.002 내지 0.00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의 중요한 특징중 하나는, 꼭지점 부위(30)에서 압축응력이 발생하도록 다이 팁(22)을 다이 본체에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돌출편(29)상에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크기가 같은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도록 다이 팁(22)의 연부를 다이 본체상에 지지시키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볼트(58,59)에 충분한 토오크가 작용하면, 꼭지점 부위(30)에는 잔류 압축 응력이 발생되고, 그리고 표면(41,44)의 접합부에 시일 압축력(compressive seal force)이 발생된다. 다른 구조를 이용하여 굽힘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면, 노치(36,37) 대신에 다이 팁의 돌출 연부가 숄더(46,47)를 거치지 않고 표면(44)에 결합되어 S1S2가 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형태의 구조로는, S1= S2(응력이 발생하지 않음)일 때 꼭지점 부위에서 잔류 압축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이 팁(22)이 다이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융 중합체는 통로(33,34), 브레이커 플레이트(39), 채널(31) 및 오리피스(32)를 통해서 흐르는 반면, 고온의 공기는 공기 통로(48,51) 및 통로(49,52)를 통해 흘러서, 돌출편의 꼭지점(30a)의 양측에서 시이트 형상으로 방출된다. 전술한 설명에서, 꼭지점 부위(30)의 내부 압력은 그 부위에 집중된 상호 반대 방향의 굽힘 모멘트로 인한 압축력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대항을 받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되고 청구된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는 변경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멜트블로잉 다이에 있어서, (a) 꼭지점 부위에서 종단되는 외족으로 연장된 삼각형 돌출편과, 용융된 중합체의 내측 흐름 채널과, 상기 꼭지점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 흐름 채널과 유체 연통하는 다수의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긴 다이 팁과 ; (b) 공기를 상기 삼각형 돌출편의 대향 측면으로 공급하도록 그안에 형성된 공기 흐름 통로와, 용융된 중합체를 상기 다이 팁의 상기 흐름 채널로 공급하기 위한 중합체 흐름 공동을 구비하는 다이 본체와 ; (c) 상기 다이 팁을 상기 다이 본체상에 장착하여, 상기 삼각형 돌출편의 상기 꼭지점 부위가 상기 흐름 채널내에서 유체 압력없이 압축 유지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멜트블로잉 다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팁을 상기 다이본체상에 장착하는 수단은, 상기 다이 팁상에 형성된 긴 내측 표면과 ; 상기 다이 본체상에 형성되어 상기 다이 팁의 내측 표면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외측 표면으로, 상기 중합체 흐름 공동과 상기 다이 팁의 흐름 채널의 접속부를 둘러싸는 내측 부분과 그리고 긴 외측 연부에서 상기 다이 팁과 접촉하며, 다이 팁의 상기 내측 표면과 다이 본체의 상기 외측 표면은 접촉 표면 사이의 부위에서 이격되어 있는 상기 외측 표면과 ; 상기 돌출편의 일측면상에서 상기 다이 팁을 따라 이격되고 그리고 상기 다이 팁의 내측 표면과 상기 다이 본체의 외측 표면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제1세트의 볼트와 ; 상기 돌출편의 대향 측면상에서 상기 다이 팁을 따라 이격되고 그리고 상기 다이 팁의 내측 표면과 상기 다이 본체의 외측 표면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제2세트의 볼트를 포함하고 있고 ; 상기 제1세트의 볼트 및 제2세트의 볼트가 상기 다이 본체에 나사 결합되어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크기가 같은 굽힘 모멘트가 발생되며, 상기 굽힘 모멘트는 상기 돌출편의 꼭지점 부위에 집중되어 압축력을 발생시키는 멜트블로잉 다이.
  3. 멜트블로잉 다이에 있어서, (a) (ⅰ) 장방향 다이 팁 장착 표면과, (ⅱ) 상기 장착 표면의 중앙부내로 개방된 긴 배출 공동에서 종단되는 중합체 흐름 통로와, (ⅲ) 상기 장착 표면내에 형성되어 상기 공동을 둘러싸는 시일 표면을 구비하는 다이 본체와 ; (b) 상기 다이 본체의 장착 표면상에 설치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ⅰ) 꼭지점 부위에서 종단되 외측으로 연장된 삼각형 돌출편과, (ⅱ) 내측 흐름 채널과, (ⅲ) 상기 꼭지점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흐름 채널과 유체 연통되는 다수의 오리피스와, (ⅳ) 상기 흐름 채널의 입구를 둘러싸며 상기 다이 본체의 장착 표면상에 형성된 시일 표면과 정렬된 시일 표면을 구비하는 긴 다이 팁과 ; (c) 상기 다이 본체의 장착 표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다이 팁의 대향하는 종방향 연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된 상기 종방향 연부들 사이의 상기 다이 팁은 어떠한 장착력도 받지 않은 상태로 상기 다이 본체의 장착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지 수단과 ; (d) 상기 지지 수단을 중심으로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크기가 동일한 굽힘 모멘트를 가함으로써 상기 돌출편의 꼭지점 부위에 압축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다이 팁의 시일 표면과 상기 다이 본체의 장착 표면사이에 유체 시일 접촉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다이 팁을 상기 다이 본체의 장착 표면상에 강제로 장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멜트블로잉 다이.
  4. 멜트블로잉 다이에 있어서, (a) (ⅰ) 바닥 표면을 구비하는 긴 홈과, (ⅱ) 상기 홈의 바닥 표면의 중앙부에 배출 공동을 구비한 중합체 흐름 통로와, (ⅲ) 상기 홈의 바닥 표면의 각각의 종방향 연부에 형성된 숄더와, (ⅳ) 상기 배출 공동을 둘러싸는 상기 홈의 바닥 표면에 형성된 시일 표면을 구비하는 다이 본체와 ; (b) 상기 다이 본체의 홈에 장착되는 것으로, (ⅰ) 꼭지점 부위에서 종단되는 외측으로 연장된 삼각형 돌출편과, (ⅱ) 내측의 긴 흐름 채널과, (ⅲ) 상기 꼭지점 부위에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꼭지점 부위를 따라 이격되어 상기 흐름 채널과 유체 연통되는 다수의 오리피스와, (ⅳ) 상기 다이 팁의 내측 종방향 연부에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다이 본체의 숄더상에 지지되는 한쌍의 평행하고 긴 노치와, (ⅴ) 상기 다이 본체의 중합체 흐름 공동과 유체 연통되는 상기 흐름 채널의 입구를 둘러싸고 그리고 상기 다이 본체의 시일 표면과 접촉하는 돌출 표면을 구비하는 다이 팁과 ; (c) 상기 삼각형 돌출편의 양측 표면상에서 상기 다이 팁을 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다이 본체의 숄더와 상기 시일 표면들 사이의 다이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다수의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숄더와 상기 다이 팁의 노치의 크기는, 상기 다이 팁을 상기 다이 본체를 나사 결합할 때 상기 돌출편의 꼭지점 부위가 상기 흐름 채널내에 내부 압력없이 압축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다이 팁의 시일 표면이 상기 다이 본체의 상기 시일 표면에 밀봉 접촉하도록 설정되는 멜트 블로잉 다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팁은 상기 흐름 채널의 입구에 형성된 긴 홈과, 상기 다이 팁의 홈내에 장착되며 상기 다이 팁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여 상기 다이 팁의 시일 표면을 규정하는 표면을 가지는 흐름 분배 부재를 더 구비하는 멜트블로잉 다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연부와 상기 다이 팁의 시일 표면만이 상기 다이 본체에 접촉하는 멜트블로잉 다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점 부위에서의 압축 응력은 적어도 10,000psi(68.9MPa)인 멜트블로잉 다이.
  8. 멜트블로잉 다이에 있어서, (a) (ⅰ) 길고 편평한 바닥 홈과, (ⅱ) 상기 바닥 홈의 중앙부에 긴 배출 공동을 갖는 용융 중합체 흐름 통로와, (ⅲ) 상기 바닥 홈내에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흐름 통로의 공동을 둘러싸는 시일 표면 수단을 구비하는 다이 본체와 ; (b) 상기 다이 본체의 홈에 장착되는 것으로, (ⅰ) 꼭지점 부위에서 종단되는 외측으로 연장된 삼각형 돌출편과, (ⅱ) 내부 흐름 채널과, (ⅲ) 상기 꼭지점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흐름 통로와 유체 연통되는 다수의 오리피스와, (ⅳ) 상기 흐름 채널의 입구를 둘러싸며 상기 다이 본체의 시일 표면에 접촉하기에 적합하고 그리고 상기 다이 팁에 어떠한 장착력도 가하지 않는 상태로 이격되는 시일 표면을 구비하는 다이 팁과 ; (c) 상기 홈내에 또는 상기 다이 팁상에 형성되어 상기 다이 팁의 종방향 내부 연부를 지지하되, 상기 종방향 내측 연부사이의 바닥 홈과 상기 다이 팁의 대향 표면들을 상기 다이 팁에 어떠한 장착력도 가하지 않은 상태로 이격되게 하는 수단과 ; (d) 상기 다이 팁을 통하여 상기 삼각형 돌출편의 양 측면상에 연장되어 상기 다이 본체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이격된 대향 표면들을 가로질러 상기 다이 팁으로부터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꼭지점 부위에 압축력을 가하여 상기 시일 표면들을 서로 밀봉 접촉시키기에 충분할 정도로 조여지게 되는 다수의 볼트를 포함하는 멜트블로잉 다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팁은 상기 흐름 채널의 입구에 형성된 긴 홈과, 상기 다이 팁에 장착되고 그리고 상기 다이 팁의 시일 표면을 규정하는 흐름 분배 부재를 포함하는 멜트블로잉 다이.
KR1019900003250A 1989-03-13 1990-03-12 멜트블로잉 다이 KR0148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322,562 US4986743A (en) 1989-03-13 1989-03-13 Melt blowing die
US322,562 1989-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108A KR900014108A (ko) 1990-10-22
KR0148376B1 true KR0148376B1 (ko) 1998-12-01

Family

ID=23255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250A KR0148376B1 (ko) 1989-03-13 1990-03-12 멜트블로잉 다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86743A (ko)
EP (1) EP0388036B1 (ko)
JP (1) JP2819423B2 (ko)
KR (1) KR0148376B1 (ko)
CA (1) CA2010860C (ko)
DE (1) DE6900765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5689A (en) * 1990-10-17 1992-09-08 Exxon Chemical Patents Inc. Meltblowing die
US5190812A (en) * 1991-09-30 1993-03-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ilm materials based on multi-layer blown microfibers
US5232770A (en) * 1991-09-30 1993-08-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 temperature stable nonwoven webs based on multi-layer blown microfibers
US5248455A (en) * 1991-09-30 1993-09-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king transparent film from multilayer blown microfibers
US5207970A (en) * 1991-09-30 1993-05-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forming a web of melt blown layered fibers
US5238733A (en) * 1991-09-30 1993-08-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etchable nonwoven webs based on multi-layer blown microfibers
US5258220A (en) * 1991-09-30 1993-11-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ipe materials based on multi-layer blown microfibers
US5176952A (en) * 1991-09-30 1993-01-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odulus nonwoven webs based on multi-layer blown microfibers
WO1993015895A1 (en) * 1992-02-13 1993-08-19 Accurate Products Co. Meltblowing die having presettable air-gap and set-back
US5350624A (en) * 1992-10-05 1994-09-27 Kimberly-Clark Corporation Abrasion resistant fibrous nonwoven composite structure
US5401458A (en) * 1993-10-25 1995-03-28 Exxon Chemical Patents Inc. Meltblowing of ethylene and fluorinated ethylene copolymers
US6022818A (en) * 1995-06-07 2000-02-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ydroentangled nonwoven composites
US5891482A (en) * 1996-07-08 1999-04-06 Aaf International Melt blowing apparatus for producing a layered filter media web product
US7157093B1 (en) 1997-12-05 2007-0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il cleaning sheets for makeup
JP2002513067A (ja) * 1998-04-24 2002-05-08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ストライプ接着剤被覆テープ
US6126430A (en) * 1998-08-05 2000-10-03 General Electric Company Die clamp assembly
US6342561B1 (en) 1999-11-17 2002-0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ganic particulate-filled adhesive
US6533119B1 (en) 2000-05-08 2003-03-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MF face oil remover film
US6474967B1 (en) * 2000-05-18 2002-1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ker plate assembly for producing bicomponent fibers in a meltblown apparatus
US6461133B1 (en) * 2000-05-18 2002-10-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ker plate assembly for producing bicomponent fibers in a meltblown apparatus
US6454096B1 (en) 2000-06-01 2002-09-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ckage for dispensing individual sheets
US6562282B1 (en) 2000-07-20 2003-05-13 Rtica, Inc. Method of melt blowing polymer filaments through alternating slots
US6645611B2 (en) 2001-02-09 2003-11-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spensable oil absorbing skin wipes
US6638611B2 (en) 2001-02-09 2003-10-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purpose cosmetic wipes
US20030091617A1 (en) * 2001-06-07 2003-05-15 Mrozinski James S. Gel-coated oil absorbing skin wipes
US7018188B2 (en) * 2003-04-08 2006-03-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forming fibers
US6972104B2 (en) * 2003-12-23 2005-12-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ltblown die having a reduced size
US7316552B2 (en) * 2004-12-23 2008-01-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ow turbulence die assembly for meltblowing apparatus
CA2771144C (en) * 2009-08-14 2017-03-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inning die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fibres using said assembly
WO2012078826A2 (en) 2010-12-08 2012-06-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article for three-dimensional applications
US9260799B1 (en) 2013-05-07 2016-02-16 Thomas M. Tao Melt-blowing apparatus with improved primary air delivery system
US9382644B1 (en) 2015-04-26 2016-07-05 Thomas M. Tao Die tip for melt blowing micro- and nano-fibers
AU2018289746A1 (en) * 2017-06-21 2020-02-13 M-Techx Inc. Discharge nozzle for nano fiber manufacturing device and nano fiber manufacturing device provided with discharge nozzle
CN111556909B (zh) 2017-11-22 2024-04-09 挤压集团公司 熔喷模头尖端组件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0199A (en) * 1967-08-11 1969-08-12 Du Pont Spinneret assembly
US3985481A (en) * 1974-12-09 1976-10-12 Rothmans Of Pall Mall Canada Limited Extrusion head for producing polymeric material fibres
DE3216377A1 (de) * 1981-09-26 1983-06-16 Detlef Dipl.-Ing. 4970 Bad Oeynhausen Gneuss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rohren aus plastischen massen
US4465652A (en) * 1983-03-11 1984-08-14 Corning Glass Works Laminated extrusion die blade support
US4486161A (en) * 1983-05-12 1984-12-04 Kimberly-Clark Corporation Melt-blowing die tip with integral tie bars
EP0252909B1 (en) * 1986-01-10 1990-11-07 Accurate Products Company Melt blowing die and air manifold frame assembly
JPS63256418A (ja) * 1987-04-15 1988-10-24 Toray Ind Inc 製膜口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10860C (en) 1998-04-21
DE69007659T2 (de) 1994-10-13
EP0388036A2 (en) 1990-09-19
DE69007659D1 (de) 1994-05-05
EP0388036B1 (en) 1994-03-30
JPH02269806A (ja) 1990-11-05
US4986743A (en) 1991-01-22
KR900014108A (ko) 1990-10-22
EP0388036A3 (en) 1991-03-06
JP2819423B2 (ja) 1998-10-30
CA2010860A1 (en) 199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8376B1 (ko) 멜트블로잉 다이
US5632938A (en) Meltblowing die having presettable air-gap and set-back and method of use thereof
US5593711A (en) Uniformly compressible platen
EP0224817B1 (de) Hitzeschildanordnung, insbesondere für Strukturteile von Gasturbinenanlagen
US5080569A (en) Primary air system for a melt blown die apparatus
RU2316408C2 (ru) Охлаждаемый жидкостью кристаллизатор
NZ228185A (en) Fluid jet cutting nozzle assembly
CN101011820B (zh) 将长型密封件或o型环装配到喷嘴梁的容纳部中的设备
CN1670304B (zh) 造纸设备的着水板
CA2260416A1 (en) Connecting element for elevator guide rail
US6579366B2 (en) Coating machine for direct or indirect coating of a material web
US4493628A (en) Melt spinning apparatus
US4891100A (en) Apparatus for retaining a partition foil
US6289970B1 (en) Mold wall of a continuous casting mold
EP0474422A2 (en) Restrictor bar and sealing arrangement for a melt blown die apparatus
US6179603B1 (en) Rubber mold cold runner system
CN214423664U (zh) 一种墙体保温施工用连接装置
EP0989930A1 (en) Flow control device and apparatus for mounting same
FI107714B (fi) Päällystyslaitteen kannatuspalkki
US6244845B1 (en) Serrated slit melt blown die nosepiece
CA2281207A1 (en) Process for extruding a hollow section or the like from a billet and a device for that purpose
JP3862761B2 (ja) ガス発生器の固定構造
DE10035737A1 (de) Stranggießkokille mit den Gießquerschnitt umschließenden Kupferplatten
CN218137773U (zh) 一种用于法兰垫片更换的工具
KR0181221B1 (ko) 균일 압축성 평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