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212B1 - 비페닐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페닐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212B1
KR0181212B1 KR1019950072319A KR19950072319A KR0181212B1 KR 0181212 B1 KR0181212 B1 KR 0181212B1 KR 1019950072319 A KR1019950072319 A KR 1019950072319A KR 19950072319 A KR19950072319 A KR 19950072319A KR 0181212 B1 KR0181212 B1 KR 0181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mmol
pyridinyl
angiotensi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72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523A (ko
Inventor
고동현
박성용
김종훈
이건호
정성목
안양수
Original Assignee
손경식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식,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경식
Priority to KR1019950072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212B1/ko
Publication of KR97004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four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5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four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57/04Five-membered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유기화합물 및 약학.
2. 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분야
개선된 안지오텐신 II 길항제의 개발.
3. 그 기술적 과제의 해결방법의 요지
하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여기서, R1은 C1내지 C6알킬이고, R2는 페닐, 피리디닐, 테트라졸릴 또는 이미다졸릴이고, 여기에서, 페닐 및 피리디닐은 비치환되거나, 할로겐 원자, C1내지 C4알킬, 하이드록실 또는 C1내지 C4알콕시로 단일 치환 또는 다중치환될 수 있으며, 또한 피리디닐은 N-옥사이드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중추신경계 질환 및 심장질환계 질환의 치료제.

Description

비페닐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안지오텐신 II에 대해 길항작용을 갖는 비페닐 유도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안지오텐신 II는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의 생물학적 활성 생성물로서 강력한 혈압 승압작용을 나타내고, 중추신경계 및 신장등에 기타 생리학적 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안지오텐신 II의 작용을 억제하는 화합물들은 중추신경계 증상의 치료, 고혈압 및 심부전증과 같은 심장혈관계 증상의 치료에 유용하다. 지금까지 많은 안지오텐신 II 억제제가 알려져 있으나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신규 억제제의 필요성은 여전히 요구되고 있으며, 신규 및 공지된 안지오텐신 II 억제제의 효과적인 합성방법도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현실에 맞춰 약물학적 효능이 향상된 새로운 안지오텐신 II 길항제 화합물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탁월한 안지오텐신 II 길항 활성을 갖는 신규한 하기 일반식(I)의 비페닐 유도체를 제공한다:
상기식에서, R1은 C1내지 C6알킬이고, R2는 페닐, 피리디닐, 테트라졸릴 또는 이미다졸릴이고, 여기서, 페닐 및 피리디닐은 비치환되거나, 할로겐 원자, C1내지 C4알킬, 하이드록실 또는 C1내지 C4알콕시로 단일 치환 또는 다중치환될 수 있으며, 또한 피리디닐은 N-옥사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임의로 산 또는 염기와 반응시켜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된 도식으로 나타낸다:
상기 반응도식에서, 일반식(II)의 화합물의 테트라졸 그룹을 트리페닐 메틸그룹으로 보호한 후 일반식((III))의 이민화합물과 축합시켜 상기식(IV)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일반식(IV)의 화합물을 디메틸 포름아미드 용매하에서 염기로 수소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요오드화 알킬과 반응시켜 N-알킬화하고, 포름산으로 처리하여 테트라졸기를 탈보호하여 상기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2가 피리딘인 화합물은 디클로로메탄 용매하에서 3-클로로퍼벤조산과 반응시켜 N-옥시드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축합반응에 사용되는 축합시약은 디에틸 시아노 포스포네이트이고, 용매는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메틸 포름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반응온도는 0℃에서 25℃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산 또는 염기와의 염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산 또는 염기로는 유기화학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 모든 유기 또는 무기산 또는 염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서 출발물질로서 사용된 일반식(II)의 화합물은 미합중국 특허 제4870186호에 기재된 공지방법에 따라 합성하여 얻을 수 있는 하기 일반식(V)의 화합물을 과망간산칼륨으로 산화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서 일반식(III)의 화합물은 미합중국의 알드리치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식(I)의 화합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안지오텐신 II의 작용에 의한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경구투여의 경우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일 수 있고 결합체 (예, 전분) 및 습윤화제 (예,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와 같은 통상적인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비경구로는 근육내, 비내, 복강내등으로 주사 또는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I)의 화합물은 최대 수축이 일어나는 안지오텐신 II 농도 3 X 10-8M에서의 수축을 Emax로 하고 약물을 가한 조직에서의 수축을 Emax에 대한 %로 환산한 결과 우수한 수축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하기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단지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a)]
5-(4'-카르복시비페닐-2-일)테트라졸
화합물(II) 200mg(0.85mmol)을 물 20ml에 현탁시킨 후 과망간산칼륨 317mg(2.0mmol)을 가하여 12시간 동안 가열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여과하여 고체를 제거한 후 2N 염산용액으로 pH를 2로 맞추어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하여 상기 목적화합물을 190mg을 얻었다. IR(KBr): 3423 내지 2344, 1686cm-1
[실시예 1(b)]
4-[N-[[2'-(N-트리페닐메틸-테트라졸-5-일)비페닐-4-일]카르보닐]]아미노메틸피리딘
상기 실시예 1(a)로부터 얻은 화합물 (II) 300mg(1.13mmol)을 디클로로메탄 20ml에 녹인 후 트리페닐메틸 클로라이드 330mg(2.26mmol)과 트리에틸아민 0.3ml(2.26mmol)을 가하여 5시간동안 가열환류시켰다. 반응용액을 0℃로 냉각한 후 4-아미노메틸피리딘 146mg(1.36mmol)과 트리에틸아민 0.15ml(1.13mmol)를 가하였다. 이어서 디에틸 시아노포스포네이트 221mg(1.35mmol)을 서서히 가한후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포화탄산수소나트륨용액으로 세척하고 (20ml X 2)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한 후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2:1의 에틸 아세테이트:핵산)로 분리하여 상기 목적화합물을 470mg을 얻었다.
IR(KBr): 1664 cm-1
1H NMR(CDCl3): δ 4.62(2H, d), 6.23(1H, t), 6.84 내지 8.52(27H,m).
[실시예 2]
4-[N-에틸-N-[[2'-(테트라졸-5-일)비페닐-4-일]카르보닐]]아미노메틸피리딘
상기 실시예 1(b)로부터 얻은 화합물(IV) 600mg(1.0mmol)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 6ml에 녹인 후 50% 수산화나트륨 60mg을 가하고 1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요오드화에틸 0.1ml(1.2mmol)을 가한후 실온에서 1일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에틸아세테이트 100ml과 물 100ml을 가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액층을 물 100ml로 씻어준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1:1의 에틸아세테이트:핵산)로 분리하여 트리틸로 보호된 상기 목적화합물 300mg을 얻은 후 디클로로메탄 7ml에 녹이고 88% 포름산 7ml을 가하여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농축한 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5:1의 디클로로메탄:메탄을)로 분리하여 상기 목적화합물 140mg을 얻었다.
1H NMR(DMSO-d6): δ 1.04(3H, d), 3.17(2H, br s), 4.50, 4.69(2H, 2br s), 7.06 내지 8.63(12H, m).
[실시예 3]
4-[N-프로필-N-[[2'-(테트라졸-5-일)비페닐-4-일]카르보닐]]아미노메틸피리딘
상기 실시예 1(b)로부터 얻은 화합물(IV) 450mg(0.75mmol)과 요오드화프로필 0.09ml(0.90mmol)를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상기목적화합물 65mg을 얻었다.1H NMR(DMSO-d6): δ 0.66, 0.87(3H, 2br s), 1.47(2H, m), 3.14(2H,m), 4.50, 4.69(2H, 2br s), 7.18 내지 8.63(12H, m).
[실시예 4]
4-[N-n-부틸-N-[[2'-(테트라졸-5-일)비페닐-4-일]카르보닐]]아미노메틸피리딘
상기 실시예 1(b)로부터 얻은 화합물(IV) 910mg(1.52mmol)과 요오드화부틸 0.13ml(1.14mmol)를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상기목적화합물 50mg을 얻었다.1H NMR(DMSO-d6): δ 0.63, 0.85(3H, 2br s), 1.38(2H, m), 3.15, 3.34(2H, 2br s), 4.46, 4.66(2H, 2br s), 7.06-8.48(12H, m).
[실시예 5]
4-[N-프로필-N-[[2'-(테트라졸-5-일)비페닐-4-일]카르보닐]]아미노메틸피리딘 N-옥사이드
실시예 1(b)로부터 얻은 화합물(IV) 680mg(1.14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ml에 녹인 후 50% 수소화나트륨 60mg을 가하여 1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요오드화프로필 0.14ml(1.4mmol)를 가한 후 실온에서 1일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에틸아세테이트 100ml과 물 100ml을 가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액층을 물 100ml로 세척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1:1의 에틸아세테이트:핵산)로 분리하여 트리틸로 보호된 화합물 300mg을 얻은 후 디클로로메탄 10ml에 녹이고 3-클로로퍼벤조산 160mg(0.47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5일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88% 포름산 5ml을 가하고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고 반응액을 감압농축한 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5:1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로 분리하여 상기 목적화합물 120mg을 얻었다.1H NMR(DMSO-d6): δ 0.68, 0.77(3H, 2br s), 1.55(2H, br s), 3.18(2H, br s), 4.56, 4.67(2H, 2br s), 6.89 내지 7.66(10H, m), 8.18(2H, m).
[실시예 6]
N-프로필-N-[[2'-(테트라졸-5-일)비페닐-4-일]카르보닐]벤질아민
상기 실시예 1(b)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N-[[2'-트리패닐메틸-테트라졸-5-일)비페닐-4-일]카르보닐]벤질아민 1.2(2.01mmol)과 요오드화프로필 0.29ml( 2.97mmol)를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상기목적 화합물 550mg을 얻었다.1H NMR(DMSO-d6): δ 0.62, 0.80(3H, 2br s), 1.46(2H, m), (3,14(2H, m), 4.45, 4.67(2H, 2br s), 7.15 내지 7.70(13H, m).
[실시예 7]
N-부틸-N-[[2'-(테트라졸-5-일)비페닐-4-일]카르보닐]벤질아민
상기 실시예 1(b)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N-[[2'-(N-트리페닐메틸-테트라졸-5-일)비페닐-4-일]카르보닐]벤질아민 1.0g(1.67mmol)과 요오드화부틸 0.29ml (2.55mmol)를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상기목적화합물 200mg을 얻었다.1H NMR(DMSO-d6): δ 0.67 내지 1.98(7H, m), 3.09, 3.29(2H, 2br s), 4.46, 4.66(2H, 2br s), 7.16 내지 7.66(12H, m).
[약물학적 효능실험]
토끼의 후두부를 강타하여 기절시킨 후 경동맥을 잘라 혈액을 유실시켰다. 가슴부분을 절개하여 흉관대동맥을 재빨리 적출하여 지방 조직등을 제거하고 3 내지 4mm 길이로 잘라 나선상 스트립(hellical strip)을 얻었다. 안지오텐신II-수축반응 저하요인인 내피를 핀셋 끝으로 제거한 후 즉시 NaCl 118밀리몰/L; NaHCO325밀리몰/L; 글루코스 10밀리몰/L; KCl 4.7밀리몰/L; CaCl22.5밀리몰/L; MgSO47H2O 1.2밀리몰/L; KH2PO41.2밀리몰/L; EDTA 0.001밀리몰/L을 함유하고, 37℃로 항온시킨 95% O2; 5% CO2로 통과시킨 크렙스-바이카보네이트(Krebs-bicarbonate)영양 용액을 함유하는 15ml 기관조내의 아이소토닉 트랜듀서(isotonic tranducer)에 걸어 두었다. 1.0g의 초기하중을 준 상태에서 신선한 완충용액을 5 내지 6회 계속 교체해 주면서 1시간동안 충분히 평형상태를 유지한다. 약물 효과 검색을 위해 부형제(DMSO 1%, 대조군) 또는 시험물질을 가하고 10분 후 안지오텐신 II를 3 X 10-10M부터 점진적으로 가하여 농도-반응 곡선을 얻었다. 그후 신선한 완충용액으로 충분히 씻어주고 1시간동안 평형을 유지한 다음 KCl(122.8mM)을 가하여 수축을 유발시키고 이를 기준으로, 각 농도별 안지오텐신 II에 의한 수축을 염화칼륨에 의한 수축 %로 나타내었다. 안지오텐신 (II)에 의한 최대 수축을 일으키는 농도인 3 X 10-8M의 안지오텐신 II에 의한 수축 %를 Emax로 정하고 약물을 가한 다른 조직들의 안지오텐신II-수축 %를 Emax에 대한 상대적 환산치로 나타내었다. 이리하여 얻은 최종 농도-반응 곡선으로부터 안지오텐신 II의 E50을 구함으로써 시험물질의 안지오텐신 II 길항성을 검색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안지오텐신 II에 대한 길항할성이 탁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상기식에서, R1은 C1내지 C6알킬이고, R2는 페닐 또는 피리디닐이고, 여기서 페닐 및 피리디닐은 비치환되거나, 할로겐 원자, C1내지 C4알킬, 하이드록실 또는 C1내지 C4알콕시로 단일 치환 또는 다중치환될 수 있으며, 또한 피리디닐은 N-옥사이드를 포함한다):
  2.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일반식(III)의 아민 화합물과 반응시키고 알킬화시켜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1은 C1내지 C6알킬이고, R2는 페닐 또는 피리디닐이고, 여기서 페닐 및 피리디닐은 비치환되거나, 할로겐 원자, C1내지 C4알킬, 하이드록실 또는 C1내지 C4알콕시로 단일 치환 또는 다중치환될 수 있으며, 또한 피리디닐은 N-옥사이드를 포함한다):
KR1019950072319A 1995-12-21 1995-12-21 비페닐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0181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72319A KR0181212B1 (ko) 1995-12-21 1995-12-21 비페닐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72319A KR0181212B1 (ko) 1995-12-21 1995-12-21 비페닐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523A KR970042523A (ko) 1997-07-24
KR0181212B1 true KR0181212B1 (ko) 1999-03-20

Family

ID=1944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72319A KR0181212B1 (ko) 1995-12-21 1995-12-21 비페닐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21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523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8037B2 (ja) 喘息および呼吸器官の炎症の治療に有用なヘテロサイクリックアミン類
KR20200013058A (ko) Ssao 억제제
EP1650205B1 (en) Cyclohexanecarboxylic acid compound
CA2155307A1 (en) Heterocyclic compounds a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EP0490820A2 (de) Biphenylyl-Verbindungen
JPH0351706B2 (ko)
JPH09506102A (ja) 双環式化合物−誘導体、の製造及び使用
BRPI0713697A2 (pt) derivados de aril-e heteroaril-etil-acilguanidina, sua preparação e a sua aplicação em terapêuticos
CA2098241A1 (en) Tetrazolyl-(phenoxy and phenoxyalkyl)-piperidinylpyridazines as antiviral agents
KR0181212B1 (ko) 비페닐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H0774205B2 (ja) 新規イミダゾ−ル誘導体
CA2166032A1 (fr) Derives de 1-oxo-2-(phenylsulfonylamino) pentylpiperidine,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WO1996020177A1 (fr) Derives pyrimidiniques
KR0181215B1 (ko) N-치환 헤테로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0181213B1 (ko) 신규 n-치환 헤테로 고리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
KR0184340B1 (ko) N-치환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0181214B1 (ko) 이미다조 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837318B2 (ja) アンジオテンシンii拮抗性ピリジン誘導体
JPH06211814A (ja) (チオ)ウレア誘導体
KR0178086B1 (ko) 히스티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JPH05331164A (ja) アンジオテンシンii拮抗性イソインドール誘導体
JP3750141B2 (ja) チアゾリン誘導体
JPH06287182A (ja) アルキルグリシン誘導体
US5376648A (en) Derivatives of 4-(hetero)arylmethyloxy phenyl diazole, a method of preparing them and use thereof in therapy
JPS613442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