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163B1 - 유선장비의 자동 및 수동시험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유선장비의 자동 및 수동시험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163B1
KR0181163B1 KR1019960021890A KR19960021890A KR0181163B1 KR 0181163 B1 KR0181163 B1 KR 0181163B1 KR 1019960021890 A KR1019960021890 A KR 1019960021890A KR 19960021890 A KR19960021890 A KR 19960021890A KR 0181163 B1 KR0181163 B1 KR 0181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d
diagnostic
tester
test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1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026A (ko
Inventor
이유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21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163B1/ko
Publication of KR980007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유선장비의 자동 및 수동 시험방법과 그 장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시험시 오류발생확률을 낮추고 주요신호의 변화되는 신호특성에 대처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진단하고자 하는 진단모듈을 유선관련부문 또는 전원관련부문으로 나누어 진단하고, 진단모듈의 진단부분 전반에 대한 양호/불량여부를 자동으로 체크하며, 필요에 따라 특정 진단 부분만을 택해 양호/불량여부를 체크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장비 진단시험.

Description

유선장비의 자동 및 수동 시험방법과 그 장치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선장비의 시험장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장비의 자동 및 수동 시험장치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유선시험기의 구체 블록 구성도.
본 발명은 장비시험측정에 관한 것으로, 유선장비의 자동 및 수동 시험을 위한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사용되는 각종 통신장비들은 통신장애를 가능한한 최소화시키도록 유지보수되어야 한다. 이러한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해당 장비에 대한 고장 유무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통신장비의 고장 유무를 테스트하는 장비는 제1도와 같은 일예로 구성되어 진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라 유선장비를 시험하는 장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도에서, 진단모듈 32는 유선장비가 되는데, 일예로 교환기, 팩시밀리, 키폰전화기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유선시험기 10은 상기 진단모듈 32를 시험하기 위한 장비이다. 유선시험기 10은 전원공급기 26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또한 컴퓨터 12와 연결된다. 컴퓨터 12는 출력장치 예를 들면, 제1도에 도시된 프린터 34를 구비한다. 컴퓨터 12에는 시험을 위한 운용프로그램등이 내장되어 있으며 모니터상에 시험관련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시험자는 상기 컴퓨터 12를 통하여 시험을 위한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유선시험기 10은 주제어반 14, 시분할 교환반 16, 신호발생반 18, 시험반 1~3 20, 22, 24, 전원반 28, 종명신호반 30으로 구성한다. 주제어반 14는 유선시험기 10의 각부를 제어한다. 시분할 교환반 16은 주제어반 14의 제어에 의거하여 시분할 교환을 수행한다. 신호발생반 18은 유선시험기 10의 각부의 동기를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시험반 1~3 20, 22, 24는 진단모듈 32와 접속해 주제어반 14의 제어에 의거한 시험을 수행한다. 전원반 28은 전원공급부 26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원 조정 및 변환하여 종명신호반 30에 인가한다. 종명신호반 30은 주제어반 14의 제어에 의거하여 링신호를 발생한다.
시험자는 먼저 진단모듈 32의 소정 카드들을 시험반1 20, 시험반2 22, 시험반3 24에 접속시킨다. 하나의 시험반에는 통상 유사한 기능의 다수 카드들이 접속된다. 시험자가 컴퓨터 12에 있는 키보드를 통하여 제어 동작신호를 입력하면 컴퓨터 12는 내장된 운용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유선시험기 10에 시험관련신호를 주제어반 14에 제공한다. 이때 컴퓨터 12의 모니터상에는 명칭이 포함된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유선시험기 10의 신호발생반 18은 시험반들(시험반1,2,3) 20, 22, 24 및 시분할 교환반 16에 동기를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주제어반 14는 컴퓨터 12로부터 인가된 시험관련신호에 응답하여 먼저 신호발생반 18에서 출력되는 동기를 위한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시분할 교환반 16을 제어한다. 그래서 신호발생반 18로부터 출력되는 동기를 위한 신호를 시분할 교환반 16을 통하여 받아 동기를 맞추고 시험할 각종 데이터들을 시분할 교환반 16을 통하여 시험반들(시험반1,2,3) 20, 22, 24에 출력한다. 주제어반 14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받은 시험반들(시험반1,2,3) 20, 22, 24는 동작하여 진단모듈 32의 각 카드들로 신호를 송출한다. 만약 주제어반 14가 시험관련신호로서 링신호를 송출할 것을 컴퓨터 12로부터 수신하였다면, 주제어반 14는 종명신호반 30으로부터 출력되는 링신호를 시분할 교환반 16를 통하여 시험반들(시험반1,2,3) 20, 22, 24로 인가되게 제어한다.
그후 피이드백되는 데이터를 시분할 교환반 16을 통하여 주제어반 14로 출력한다. 주제어반 14는 피이드백되는 데이터를 받아 기준값으로 미리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양부를 판단한다. 주제어반 14에서 생성된 결과정보는 컴퓨터 12로 제공되는데, 컴퓨터 12에서는 운용프로그램에 맞게 결과를 처리한다. 결과의 출력요구가 있을 때에는 결과리스트를 프린터 34를 통하여 프린팅하여 준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기술의 유선시험기는 진단모듈의 일반적인 기준값을 설정해놓고 피이드백되는 신호값과 비교하여 양부(良不)를 판단하므로, 오류발생확률이 높다. 그리고 주요신호의 변환되는 신호특성에 대처하는 능력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선장비를 자동 및 수동 시험하기 위한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험시 오류발생확률을 낮추고 주요신호의 변화되는 신호특성에 대처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장비의 자동 및 수동 시험장치 구성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를 보면, 크게 진단모듈 48과, 통합치구 46과, 유선시험기 44와 측정계기 66 및 측정계기 66과 인터페이스 가능한 장치를 부가한 컴퓨터 40으로 구성하고 있다.
진단모듈 48은 유선장비로서 시험대상이 되는 진단대상기기이다. 유선시험기 44는 진단모듈 48에 대해 각종 유선 시험을 제어하는 기기이다. 통합치구 46은 변환치구 56, 변환치구 연동반 54, 유선모듈 연동반 52, 및 전원모듈 연동반 50으로 구성한다. 그 기능은 상기 진단대상기기인 진단모듈 48의 해당 진단부분을 접속시키며 상기 유선시험기 4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진단모듈 48의 유선관련부문 및 전원관련부문의 루프를 형성하여 주는 것이다. 또한 유선시험기 44로부터의 시험정보 인가에 따라 상기 유선관련부문 또는 전원관련부문의 루프 형성된 진단모듈 48의 진단부분의 상태를 측정계기 66으로 송출하여 주는 것이다.
측정계기 66은 디지털 다중계기 58와 디지털 오실로 스코프 60으로 구성되며, 진단모듈 48내 진단부분의 상태를 각종 파형 및 전압전류 파형을 시험자가 측정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그러면 컴퓨터 40은 측정계기 66으로 표시되는 파형을 정보로 읽어들여 시험자가 요구하는 시험결과로 처리한다. 이때 상기 컴퓨터 40은 측정계기 66으로 표시되는 파형을 정보로 읽어들일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GPIB(General Purpose Interface Bus)카드 42 등이 된다.
제2도에서, 변환치구 56, 변환치구 연동반 54, 유선모듈 연동반 52, 전원모듈 연동반 50로 구성된 통합치구 46에서 각부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환치구 56은 진단모듈 48에 있는 다수의 진단부분을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컨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변환치구 연동반 54는 유선시험기 44의 시험정보 인가에 따라 상기 변환치구 56의 소정부분을 유선모듈 연동반 52 또는 전원모듈 연동반 50과 접속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도 다수의 컨넥터를 구비한다. 또한 측정계기 66으로 유선모듈 연동반 52 또는 전원모듈 연동반 50에 의해서 루프 형성된 진단모듈 48의 진단부분의 상태를 측정계기 66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유선모듈 연동반 52는 유선시험기 44의 제어에 의거하여 진단모듈 48의 유선관련부문으로 루프를 형성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수의 릴레이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전원모듈 연동반 50은 유선시험기 44의 제어에 의거하여 진단모듈 48의 전원관련부문으로 루프를 형성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수의 릴레이로 구성하고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유선시험기 44의 구체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유선시험기 44는, 상기 유선시험기 44의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반 70과, 상기 중앙제어반 70의 제어에 의거하여 클럭 및 톤을 발생하는 클럭/톤 발생반 74와 상기 중앙제어반 70의 제어에 의거하여 시분할 교환을 수행하는 시분할교환반 72와, 아나로그 가입자회로 정합시험을 위한 아나로그 가입자 정합반 76과, 디지털 가입자회로 정합시험을 위한 디지털 가입자 정합반 78과, 중앙처리장치가 내장된 회로의 제어클럭을 시험하기 위한 제어클럭 시험 접속반 80과, 간선연동을 위한 회로를 시험하기 위한 간선시험 접속반 82와, 제3자 통화도청방지를 위한 회로를 시험하기 위한 대전자전시험 접속반 84로 구성한다. 이러한 유선시험기 44의 내부구성요소 중 아나로그 가입자 정합반 76, 디지털 가입자 정합반 78, 제어클럭 시험 접속반 80, 간선시험 접속반 82 및 대전자전시험 접속반 84는 제2도에 도시된 통합치구 46과 연결된다. 제3도와 같이 구성된 유선시험기 44는 전원공급기(제2도의 6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시험자는 먼저 진단모듈 48의 소정 카드들을 통합치구 46내 변환치구 56에 있는 컨넥터들에 각각 접속시킨다. 그 다음 시험자는 컴퓨터 40에 있는 키보드를 통하여 제어동작신호를 입력하면 컴퓨터 40은 내장된 운용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유선시험기 44에 시험관련신호를 제공한다. 시험관련신호는 시험자의 시험명령에 관련된 신호이다. 시험유선시험기 44의 중앙제어반 70은 상기 시험관련신호에 응답하여 그에 대응된 각부를 동작시킨다. 즉, 시분할교환반 72, 클럭/톤 발생반 74, 아나로그 가입자 정합반 76, 디지털 가입자 정합반 78, 제어클럭 시험 접속반 80, 간선시험 접속반 82, 및 대전자전시험 접속반 84등 중 상기 시험관련신호에 상응하는 부를 동작시킨다. 상기 시험관련신호에 상응하는 유선시험기 44의 소정 부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시험정보를 통합치구 46으로 송출한다. 만약 시험자의 시험명령이 유선관련부문 루프 형성에 대한 명령이 있었으면, 통합치구 46의 변환치구 연동반 54는 유선시험기 44의 시험정보 인가에 응답하여 상기 변환치구 56의 접속부분과 유선모듈 연동반 52를 연결시킨다. 유선모듈 연동반 52에서는 유선시험기 44의 제어하에 진단모듈 48의 유선관련 진단부분중 해당되는 유선이 루프가 형성되도록 내부 릴레이를 스위칭한다. 만약 시험자의 시험명령이 전원관련부문 루프 형성에 대한 명령이 있었으면, 통합치구 46의 변환치구 연동반 54는 유선시험기 44의 시험정보 인가에 응답하여 상기 변환치구 56의 전원관련 접속부분과 전원모듈 연동반 50을 연결시킨다. 전원모듈 연동반 50에서는 유선시험기 44의 제어하에 진단모듈 48의 전원관련 진단부분중 해당되는 유선이 루프가 형성되도록 내부 릴레이를 스위칭한다.
유선모듈 연동반 52 또는 전원모듈 연동반 50에 의해서 루프 형성된 진단모듈 48의 진단부분의 상태는 통합치구 46의 변환치구 56과 변환치구 연동반 54를 통하여 측정계기 66으로 출력된다.
이때 컴퓨터 40에서는 GPIB카드 42를 통하여 측정계기 66로 통합치구 46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진단부분의 상태)를 읽으라는 명령을 출력한다. 측정계기 66중 디지털 다중계기 58은 시험자에 의해서 표시 조작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40의 읽기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진단부분의 상태를 전압 및 전류로 측정가능토록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계기 66중 디지털 오실로스코프 60은 시험자에 의해서 표시 조작될 수 있으며, 상기 진단부분의 상태를 파형으로 측정가능토록 표시한다. 따라서 시험자는 자신이 원하는 부분을 육안으로 정밀측정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40은 장착된 GPIB카드 42를 통하여 측정계기 66으로 표시되는 파형을 정보로 읽어들인다. 컴퓨터 40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양품의 진단모듈에 대한 양호신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컴퓨터 40은 측정계기 66으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읽고 그리고 데이타 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양호신호를 읽어 비교하고 현 진단모듈의 양호 또는 불량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모니터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양호신호에 대응한 신호파형과 측정계기 66으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의 신호파형을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양호 또는 불량 여부를 상기 모니터상으로 보여준다. 또한 양호 또는 불량의 여부를 외부 출력장치 예를 들면, 프린터 등으로 출력한다.
만약 시험자가 컴퓨터 40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자동시험 명령을 내렸다면 본 발명에서는, 컴퓨터 40에 내장된 진단프로그램의 순서에 의거하여 유선부문 관련 진단모듈의 부분, 전원부문 관련 진단모듈의 부분, 상기 유선부분 관련 진단모듈의 부분중에서도 또 특정부분, 상기 전원부문 관련 진단모듈의 부분중에서도 또 특정부분들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게 유선시험기 44, 통합치구 46 및 진단모듈 48을 제어하여 진단루프를 형성하고 이를 측정계기 66에 표시한다. 그리고 GPIB카드 42를 이용하여 컴퓨터 40에도 정보를 보내어 컴퓨터 40가 자동으로 양호불량여부를 계속 판단한다. 이를 모니터 또는 외부 출력장치로 출력한다.
만약 시험자가 컴퓨터 40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수동시험 명령을 내렸다면 시험자가 진단하고자 하는 진단부분만을 진단하게 유선시험기 44, 통합치구 46 및 진단모듈 48을 제어하여 진단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측정계기 66에 표시한다. 그러면 시험자는 디스플레이되는 파형을 상태를 자기가 보기 편하게 조작해 가면서 양호/불량의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정보는 GPIB카드 42를 이용하여 컴퓨터 40에도 보내어진다. 컴퓨터 40에서는 수동시험 명령에 따른 출력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정보를 비교하여 양호/불량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를 모니터 또는 외부 출력장치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단하고자 하는 부분을 유선부문 또는 전원관련부문으로 나누어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진단모듈의 진단부분 전반에 대한 양호/불량여부를 자동으로 체크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특정 진단 부분만을 택해 양호/불량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시험시 오류발생확률을 낮추고 주요신호의 변화되는 신호특성에 대처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Claims (6)

  1. 유선장비의 시험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종 유선 시험을 제어하는 유선시험기와, 상기 유선장비의 해당 진단부분을 접속시키며 상기 유선시험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유선장비의 유선관련부문 및 전원관련부문의 루프를 형성하여 주며 시험정보 인가에 따라 상기 유선관련부문 또는 전원관련부문의 루프 형성된 유선장비 진단부분의 상태를 송출하는 치구와, 상기 진단부분의 상태를 각종 파형 및 전압전류 파형을 시험자가 측정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측정계기와, 상기 측정계기로 표시되는 파형을 정보로 읽어들여 시험자가 요구하는 시험결과로 처리하는 컴퓨터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구는 유선장비 다수의 진단부분을 접속시키기 위한 변환치구와, 유선장비의 유선관련부문으로 루프를 형성시켜주는 유선관련부문 연동반과 유선장비의 전원관련부문으로 루프를 형성시켜주는 전원관련부문 연동반과, 상기 유선장비의 시험정보 인가에 따라 상기 변환치구의 소정부분을 상기 유선관련부문 연동반과 또는 전원관련부문 연동반과 접속시켜주는 변환치구 연동반을 구비하는 통합치구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시험기는 상기 유선시험기의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반과, 상기 중앙제어반의 제어에 의거하여 클럭 및 톤을 발생하는 클럭/톤 발생반과, 상기 중앙제어반의 제어에 의거하여 시분할 교환을 수행하는 시분할교환반과, 아나로그 가입자회로 정합시험을 위한 아나로그 가입자 정합반과, 디지털 가입자회로 정합시험을 위한 디지털 가입자 정합반과, 중앙처리장치가 내장된 회로의 제어클럭을 시험하기 위한 제어클럭 시험 접속반과, 간선연동을 위한 회로를 시험하기 위한 간선시험 접속반과, 제3자 통화도청방지를 위한 회로를 시험하기 위한 대전자전시험 접속반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계기는 상기 진단부분의 상태를 전압 및 전류로 측정가능토록 시험자의 제어에 의하여 표시 제어되는 디지털 다중계기와, 상기 진단부분의 상태를 파형으로 측정가능토록 시험자의 제어에 의하여 표시 제어되는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장치는 상기 측정계기로 표시되는 파형을 정보로 읽어들일 수 있는 인터페이스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유선장비의 자동 및 수동 시험방법에 있어서, 시험자의 자동시험 명령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된 진단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유선장비의 모든 진단부분을 순서대로 자동 진단하게 진단루프를 형성하는 자동진단루프 형성과정과, 상기 자동진단루프 형성과정에 의거한 진단결과를 측정계기로 표시하고, 인터페이스장치를 이용하여 정보를 컴퓨터에 인가하여 자동으로 양호불량여부를 계속 판단하며 이를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자동진단 결과 출력과정과, 시험자의 수동시험 명령에 의거하여 시험자가 진단하고자 하는 유선장비의 진단부분만을 진단하게 진단루프를 형성하는 수동진단루프 형성과정과, 상기 수동진단루프 형성과정에 의거한 진단부분의 진단결과를 상기 측정계기로 표시하는 수동진단 결과 출력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021890A 1996-06-17 1996-06-17 유선장비의 자동 및 수동시험방법과 그 장치 KR0181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890A KR0181163B1 (ko) 1996-06-17 1996-06-17 유선장비의 자동 및 수동시험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890A KR0181163B1 (ko) 1996-06-17 1996-06-17 유선장비의 자동 및 수동시험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026A KR980007026A (ko) 1998-03-30
KR0181163B1 true KR0181163B1 (ko) 1999-05-15

Family

ID=1946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1890A KR0181163B1 (ko) 1996-06-17 1996-06-17 유선장비의 자동 및 수동시험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1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660B1 (ko) * 2011-12-22 2012-04-20 추창오 스프루 펀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026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9081B2 (en)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n electronic device
US5005197A (en) Method and apparatus as for testing a telephone line interface card
US4763066A (en) Automatic test equipment for integrated circuits
CN101145859B (zh) 手机单板的测试系统及方法
US20060193444A1 (en) Lin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CN106896318A (zh) 直接数字频率合成器电路动态参数测试系统及方法
KR0181163B1 (ko) 유선장비의 자동 및 수동시험방법과 그 장치
KR0164836B1 (ko) 무선장비 자동 시험장치와 그 방법
KR100454359B1 (ko) 시험장치의 시험상태 표시방법
JP2000065890A (ja) Lsiテストシステム
US5020010A (en) Method for preparing and evaluating measurement specificatons for an electronic circuit
JP3570547B2 (ja) 回線インタフェースカードテスター
US50200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measurement specifications of electronic circuits
JPH1183923A (ja) 電子機器検査装置
RU2633530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й проверки работоспособности и диагностики неисправностей радиоэлектронной аппаратуры
KR960013985B1 (ko) 전전자 교환기 선로시험모듈 범용시험장치 및 그 방법
KR100203363B1 (ko) 북미/유럽 방식 중계선 정합 보드의 하드웨어 기능 시험 장치
KR920000080B1 (ko) 다기능 포터블 선로 시험기
JP3066072U (ja) 半導体試験装置
KR910005334B1 (ko)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KR100270677B1 (ko) 아나로그 가입자 테스트 모듈을 이용한 교환기의 가입자 시험장치
KR0148889B1 (ko) 키폰 시스템의 국선, 내선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JP2605858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モニタダイナミックバーンインテスト装置
KR0145634B1 (ko) 전전자 교환기용 하이브리드 집적회로의 시험회로
KR100362871B1 (ko) 디지털 시험치구를 이용한 자동 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