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564B1 -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의 분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의 분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564B1
KR0180564B1 KR1019920025077A KR920025077A KR0180564B1 KR 0180564 B1 KR0180564 B1 KR 0180564B1 KR 1019920025077 A KR1019920025077 A KR 1019920025077A KR 920025077 A KR920025077 A KR 920025077A KR 0180564 B1 KR0180564 B1 KR 0180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salt
reaction
chloro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363A (ko
Inventor
한순종
김진만
박영
Original Assignee
이승동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동,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승동
Priority to KR1019920025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564B1/ko
Publication of KR940014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 C07D27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업용 냉각수나 금속가공유, 페인트, 계면활성제 및 바이오 사이트(biocide)로 유용한 다음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 만을 고체상태로 선택적으로 분리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의 분리 제조방법
본 발명은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의 분리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업용 냉각수나 금속가공유, 페인트, 계면황성제 및 바이오 사이드(biocide)로 유용한 다음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 만을 선택적으로 분리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의 합성 방법은 유럽특허 제95907호에 공지되어 있는 바, 그 합성방법을 요약하면 다음 반응식(1)의 아미드화(Amidation) 반응과 다음 반응식(2)의 클로로화 및 고리화반응이 일어나 2종의 혼합물질로서 제조된다.
상기 유럽특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면 필연적으로 2종의 혼합물 즉, 상기 구조식(Ⅰ)의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과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 혼합물 상태로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구조식(Ⅰ)로 표시되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의 분리 방법은 유럽특허 제 327,214호에 공지되어 있는 바, 그 분리방법을 요약하면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액체상태의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과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의 혼합물을 다음 구조식(Ⅰa)로 표시되는 클라스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해서 액체상태로 분리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R는 3∼7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가지달린 알킬기이고, n은 1 또는 2이다.
그러나 이러한 분리방법은 분리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방법상 개선의 여지가 많을 뿐아니라 경제적으로 불리하여 혼합물 상태 그대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 액체상태로 목적물을 얻어내기 때문에 저장 및 제품 안정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상기 구조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함에 있어 그 반응물질과 반응조건을 달리하므로써 상기 구조식(Ⅰ)의 화합물만을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간다.
본 발명은 3, 3'- 디티오디프로피온산으로부터 클로로화 및 고리화 반응에 의해 상기 구조식(Ⅰ)의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을 제조함에 있어서, 3,3'-디티오디프로피온산과 티오닐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서 다음 구조식(Ⅱ)로 표시되는 3,3'-디티오디프로피오닐디클로라이드를 제조하고, 이를 메틸아민과 반응시켜 다음 구조식(Ⅲ)으로 표시되는 N,N'-디메틸-3,3'-디티오디프로피온아미드를 제조한 다음, 여기에 설프릴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고리화시켜서 선택적으로 상기 구조식(Ⅰ)의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 만을 제조하는 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3,3'-디티오디프로피온산과 티오닐클로라이드, 메틸아민 및 설프릴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식(Ⅰ)의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인 바, 상기 3,3'-디티오디프로피온산과 티오닐클로라이드를 1 : 2 내지 1 : 4의 몰비로 반응시키되 10∼30℃에서 반응시켜 상기 구조식(Ⅱ)로 표시되는 3,3'-디티오디프로피오닐클로라이드를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3,3'-디티오디프로피온산과 티오닐클로라이드의 반응몰비가 1 : 2 미만이면 미반응 물질이 남고 1 : 4를 초과하면 불필요하게 과량 공급되어 비경제적이다.
또한, 반응온도가 10℃보다 낮으면 반응시간이 너무 길어져서 경제성이 없어지고, 30℃를 초과하면 경우에는 독성이 있는 티오닐클로라이드의 증기가 심하게 발생되어 작업상 위험이 있으므로 좋지 않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구조식(Ⅱ)의 화합물에다 메틸아민을 반응시키는데, 이때 상기 구조식(Ⅱ)와 메틸아민이 1 : 2∼1 : 6의 몰비가 되도록 반응시키는 것이 좋으며, 반응온도는 -10℃∼35℃, 바람직하게는 -10℃∼30℃,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5℃ 내지 상온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반응온도가 -10℃ 보다 낮으면 경제적으로 불리하고 35℃ 이상에서는 발열반응으로 인한 폭발의 위험이 있다. 그리고 반응몰비가 1 : 2 미만이면 미반응 물질이 남고 반응몰비가 1 : 6을 초과하면 메틸아민이 불필요하게 과량으로 공급되어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이때 반응용매로서 톨루엔이나 벤젠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반응시키면 상기 구조식(Ⅲ)의 N,N'-디메틸 -3,3'-디티오디프로피온아미드가 생성되며, 여기에 설프릴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고리화 반응을 시키면 목적하는 상기 구조식(Ⅰ)의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 만이 선택적으로 제조된다.
이때, 상기 구조식(Ⅲ)의 화합물과 설프릴클로라이드는 1 : 6.1 내지 1 : 8 의 몰비로 반응시키는 것이 좋은데, 만일 1 : 6.1 보다 적은량으로 설프릴클로라이드를 사용하면 혼합물이 생성되며, 1 : 8 보다 과량으로 사용하면 수율 및 순도가 떨어져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이때의 반응온도는 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80℃로 반응시키는 것이 좋은 바, 0℃ 이하에서는 저온유지로 인해 경제성이 떨어지고 100℃ 보다 높은온도에서는 최종 생성물의 순도가 현저히 떨어져서 수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최종반응의 반응용매로서 유기용매 즉, CH2X2,CHX3,CX3CH3,CHX2, CHX2, 톨루엔, 벤젠, 에틸아세테이트등(여기서, X는 할로겐 원소이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분리 제조된 상기 구조식(Ⅰ)의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은 종래에 필수적으로 함유되었던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이 혼합되지 않는 순수 화합물로만 선택적으로 분리 제조된다.
이러한 상기 구조식(Ⅰ)의 목적화합물은 안정성 및 지속성이 있는 바이오사이드로서 냉각탑내의 조류방지제, 도료방부제, 공업용금속가공유 방부제, 화장품 및 샴푸첨가제, 제지용첨가제, 계면활성제용 방부제 및 농약등 일반 산업용방부제로 매우 유용하고, 방곰팡이제 및 살균제로도 매우 유용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의 화합물만 선택적으로 분리 제조되고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분야의 용도에서 제한 없이 모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특히 그 분리방법이 종래에 비하여 간단하고 고체로 목적화합물을 분리 제조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1L 3구 플라스크에 온도계, 드릅핑펀넬, 교반기를 장착하고, N,N'-디메틸-3,3'-디티오디프로피온아미드 23.6g(0.1mol)과 에틸아세테이트 350ml를 넣은 후 상온에서 드릅핑펀넬을 통하여 설프릴클로라이드 87.75g(0.65mole)을 3시간동안 천천히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설프릴클로라이드의 첨가가 끝나면 반응온도를 3시간동안에 60±2℃로 올리면서 교반해 주고 60±2℃에서 3 시간동안 유지한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흰색의 침전물이 생성되고 60±2℃에서 반응이 완전히 끝난 후 침전물을 여과시켜 반응 침전물을 수거한 후 남아있는 용매를 진공오븐에서 3시간동안 50℃로 유지하여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HCl 염24.2g(65 몰%)을 얻었다.
1H-N.M.R.(300MHz, D2O) δ : 6.45(s), 3.34(s).
[실시예 2]
1L 3구 플라스크에 온도계, 드롭핑펀텔, 교반기를 장착하고, N,N'-디메틸-3,3'디티오디프로피온아미드 23.6g(0.lmol)과 에틸아세테이트 350ml를 넣은 후 상온에서 드릅핑펀넬을 통하여 설프릴 클로라이드 94.49g(0.7mole)을 3시간동안 천천히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설프릴클로라이드의 첨가가 끝나면 반응온도를 3시간동안에 60±2℃로 올리면서 교반해 주고 60±2℃에서 3시간동안 유지한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흰색의 침전물이 생성되고 60±2℃에서 반응이 완전히 끝난 후 침전물을 여과시켜 반응 침전물을 수거한 후 남아있는 용매를 진공오븐에서 3시간동안 50℃로 유지하여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HCl 염 26.04g(70 몰%)을 얻었다.
1H-N.M.R.(300MHz, D2O) δ : 6.44(s), 3.35(s).
[실시예 3]
1L 3구 플라스크에 온도계, 드롭핑펀넬, 교반기를 장착하고, N,N'-디메틸-3,3'-디티오디프로피온아미드 23.6g(0.1mol)과 에틸아세테이트 350ml를 넣은 후 상온에서 드롭핑펀넬을 통하여 설프릴클로라이드 101.25g(0.75mole)을 3시간동안 천천히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설프릴클로라이드의 첨가가 끝나면 반응온도를 3시간동안에 60±2℃로 올리면서 교반해 주고 60±2℃에서 3시간동안 유지한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흰색의 침전물이 생성되고 60±2℃에서 반응이 완전히 끝난 후 침전물을 여과시켜 반응 침전물을 수거한 후 남아있는 용매를 진공오븐에서 3시간동안 50℃로 유지하여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HCl 염 27.9g(75 몰%)을 얻었다.
1H-N.M.R.(300MHz, D2O) δ : 6.44(s), 3.34(s).
[실시예 4]
1L 3구 플라스크에 온도계, 드롭핑펀넬, 교반기를 장착하고, N,N'-디메틸- 3,3'-디티오디프로피온아미드 23.6g(0.1mol)과 벤젠 350ml를 넣은 후 상온에서 드롭핑펀넬을 통하여 설프릴클로라이드 87.75g(0.65mole)을 3시간동안 천천히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설프릴클로라이드의 첨가가 끝나면 반응온도를 3시간동안에 60±2℃로 올리면서 교반해 주고 60±2℃에서 3시간동안 유지한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흰색의 침전물이 생성되고 60±2℃에서 반응이 완전히 끝난 후 침전물을 여과시켜 반응 침전물을 수거한 후 남아있는 용매를 진공오븐에서 3시간동안 50℃로 유지하여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HCl 염 25.3g(68 몰%)을 얻었다.
1H-N.M.R.(300MHz, D2O) δ : 6.45(s), 3.34(s).
[실시예 5]
1L 3구 플라스크에 온도계, 드롭핑펀넬, 교반기를 장착하고, N,N'-디메틸-3,3'-디티오디프로피온아미드 23.6g(0.1mol)과 벤젠 350ml를 넣은 후 상온에서 드롭핑펀넬을 통하여 설프릴클로라이드 94.49g(0.7mole)을 3시간동안 천천히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설프릴클로라이드의 첨가가 끝나면 반응온도를 3시간동안에 60±2℃로 올리면서 교반해 주고 60±2℃에서 3시간동안 유지한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흰색의 침전물이 생성되고 60±2℃에서 반응이 완전히 끝난 후 침전물을 여과시켜 반응 침전물을 수거한 후 남아있는 용매를 진공오븐에서 3시간동안 50℃로 유지하여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HCl 염 26.8g(72 몰%)을 얻었다.
1H-N.M.R.(300MHz, D2O) δ : 6.44(s), 3.35(s).
[실시예 6]
1L 3구 플라스크에 온도계, 드롭핑펀넬, 교반기를 장착하고, N,N'-디메틸-3,3'-디티오디프로피온아미드 23.6g(0.1mol)과 벤젠 350ml를 넣은 후 상온에서 드릅핑펀넬을 통하여 설프릴클로라이드 108g(0.8mole)을 3시간동안 천천히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설프릴클로라이드의 첨가가 끝나면 반응온도를 3시간동안에 60±2℃로 올리면서 교반해 주고 60±2℃에서 3시간동안 유지한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흰색의 침전물이 생성되고 60±2℃에서 반응이 완전히 끝난 후 침전물을 여과시켜 반응 침전물을 수거한 후 남아있는 용매를 진공오븐에서 3시간동안 50℃로 유지하여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HCl 염 28.65g(77 몰%)을 얻었다.
1H-N.M.R.(300MHz, D2O) δ : 6.44(s), 3.34(s).
[실시예 7]
1L 3구 플라스크에 온도계, 드롭핑펀넬, 교반기를 장착하고, N,N'-디메틸-3,3'-디티오디프로피온아미드 23.6g(0.1mol)과 톨루엔 350ml를 넣은 후 상온에서 드롭핑펀넬을 통하여 설프릴클로라이드 87.75g(0.65mole)을 3시간동안 천천히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설프릴클로라이드의 첨가가 끝나면 반응온도를 3시간동안에 60±2℃로 올리면서 교반해 주고 60±2℃에서 3시간동안 유지한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흰색의 침전물이 생성되고 60±2℃에서 반응이 완전히 끝난 후 침점물을 여과시켜 침전물을 수거한 후 남아있는 용매를 진공오븐에서 3시간동안 50℃로 유지하여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HCl 염 29.77g (80 몰%)을 얻었다.
1H-N.M.R.(300MHz, D2O) δ : 6.45(s), 3.34(s).
[실시예 8]
1L 3구 플라스크에 온도계, 드롭핑펀넬, 교반기를 장착하고, N,N'-디메틸- 3,3'- 디티오디프로피온아미드 23.6g(0.1mol)과 톨루엔 350ml를 넣은 후 상온에서 드롭핑펀넬을 통하여 설프릴클로라이드 101.25g(0.75mole)을 3시간동안 천천히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설프릴클로라이드의 첨가가 끝나면 반응온도를 3시간동안에 60±2℃로 올리면서 교반해 주고 60±2℃에서 3시간동안 유지한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흰색의 침전물이 생성되고 60±2℃에서 반응이 완전히 끝난 후 침전물을 여과시켜 반응 침전물을 수거한 후 남아있는 용매를 진공오븐에서 3시간동안 50℃로 유지하여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HCl 염 25.68g(69 몰%)을 얻었다.
1H-N.M.R.(300MHz, D2O) δ : 6.44(s), 3.35(s).
[실시예 9]
1L 3구 플라스크에 온도계, 드롭핑펀넬, 교반기를 장착하고, N,N'-디메틸-3,3'-디티오디프로피온아미드 23.6g(0.1mol)과 톨루엔 350ml를 넣은 후 상온에서 드롭핑펀넬을 통하여 설프릴클로라이드 108g(0.8mole)을 3시간동안 천천히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설프릴클로라이드의 첨가가 끝나면 반응온도를 3시간동안에 60±2℃로 올리면서 교반해 주고 60±2℃에서 3시간동안 유지한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흰색의 침전물이 생성되고 60±2℃에서 반응이 완전히 끝난 후 침전물을 여과시켜 반응 침전물을 수거한 후 남아있는 용매를 진공오븐에서 3시간동안 50℃로 유지하여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HCl 염 28.28g(76 몰%)을 얻었다.
1H-N.M.R.(300MHz, D2O) δ : 6.44(s), 3.34(s).

Claims (3)

  1. 3,3'-디티오디프로피온산으로부터 클로로화 및 고리화 반응에 의해 다음 구조식(Ⅰ)의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을 제조함에 있어서, 3,3'-디티오디프로피온산과 티오닐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서 다음 구조식(II)로 표시되는 3,3'-디티오디프로피오닐디클로라이드를 제조하고, 이를 메틸아민과 반응시켜 다음 구조식(Ⅲ)으로 표시되는 N,N'-디메틸-3,3'-디티오디프로피온아미드를 제조한 다음, 여기에 설프릴클로라이드를 1 : 6.1 내지 1 : 8의 몰비로 첨가하여 유기용매중에서 고리화시켜서 목적물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얻어냄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구조식(Ⅰ)의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을 분리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3'-디티오디프로피온산과 티오닐클로라이드는 1 : 2 내지 1 : 4의 몰비로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의 분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Ⅱ)의 화합물과 메틸아민을 1 : 2 내지 1 : 6의 몰비로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의 분리 제조방법.
KR1019920025077A 1992-12-22 1992-12-22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의 분리 제조방법 KR0180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077A KR0180564B1 (ko) 1992-12-22 1992-12-22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의 분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077A KR0180564B1 (ko) 1992-12-22 1992-12-22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의 분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363A KR940014363A (ko) 1994-07-18
KR0180564B1 true KR0180564B1 (ko) 1999-03-20

Family

ID=1934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5077A KR0180564B1 (ko) 1992-12-22 1992-12-22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의 분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5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363A (ko) 1994-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78297A1 (en)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halogenated cyclic compounds
US20080227986A1 (en) Preparation of N-Substituted Isothiazolinone Derivatives
JPH04270257A (ja) 尿素類のn−アルキル化法
US5498711A (en) Synthesis of 4,10-dinitro-2,6,8,12-tetraoxa-4,10-diazatetracyclo[5.5.0.05,903,11]dodecane
KR0180564B1 (ko)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의 분리 제조방법
JPH07119219B2 (ja) 4−イソチアゾリン−3−オンの製造方法
JPH07116116B2 (ja) 3−アミノアクリル酸エステルの製造法
KR920002265B1 (ko) 2-히드라지노-1,3-디아자시클로알크-2-엔 히드로할라이드의 제조방법
KR0180563B1 (ko) 4,5-디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제조방법
KR0180562B1 (ko)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염 혼합물의 제조방법
US4780537A (en) Pyrimidine derivatives and process preparing the same
US20040059133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ubstituted thioxanthones
KR0163599B1 (ko) 2-알킬티오-1,3,4-티아디아졸의 제조방법
US566336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yrazolones
KR940000239B1 (ko)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의 제조방법
US4743701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rgano N-hydroxyimidates
JPH0153272B2 (ko)
US4555577A (en) 2,4-Dichloro-5-thiazolecarboxaldehyde and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US4459239A (en) Chloroformates of alkyl esters of C-alkyl- or C-haloalkyl tartronic acid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4264770A (en) Process for preparing 1,4-bis-piperonylpiperazine and similar compounds
KR940002711B1 (ko) 2-n-옥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제조방법
US5411933A (en) Bromopropargyl quarternary ammonium compounds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CA113030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n'-disubstituted 2-naphthaleneethanimidamide and intermediates used therein
US4189444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N'-disubstituted 2-naphthaleneethanimidamide and intermediates used therein
US4539406A (en) Preparation of fused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pyrid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2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6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21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3090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