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402B1 -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402B1
KR0180402B1 KR1019960015043A KR19960015043A KR0180402B1 KR 0180402 B1 KR0180402 B1 KR 0180402B1 KR 1019960015043 A KR1019960015043 A KR 1019960015043A KR 19960015043 A KR19960015043 A KR 19960015043A KR 0180402 B1 KR0180402 B1 KR 0180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switching
state
uni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041A (ko
Inventor
조우근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15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402B1/ko
Publication of KR970074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60G17/018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involving parameter estimation, e.g. observer, Kalman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70Temperature of vehicle part or in the vehicle
    • B60G2400/71Temperature of vehicle part or in the vehicle of suspension unit
    • B60G2400/716Temperature of vehicle part or in the vehicle of suspension unit of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9Feedback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1Suspension Control
    • B60G2800/914Height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병은 ECS에 컴프레서 상태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컴프레서의 온/오프를 직접 단속하고 불필요하게 온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함으로 고장 및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으며 운전자가 컴프레서의 작동 여부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에 있어서 중앙연산처리부와, 상기 중앙연산처리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컴프레서를 구동하는 릴레이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하는 수단과, 상기 제1스위칭부의 온/오프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컴프레서를 구비하며, 컴프레서의 동작과 관련하여 쇽 압소버 내부압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감지 수단과;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상태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가변되는 제2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2스위칭 수단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비교연산 값이 가변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출력값과 중앙연산처리부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여 제1스위칭부를 단속하는 논리 연산 수단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에 관한 회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에 관한 회로도이다.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 이하 ECS라 약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쇽 압소버(shock absorber)의 내부 공기압을 조절하는 컴프레서(compressor)의 온/오프(on/off)상태를 ECS에 입력하여 불필요하게 출력되는 온 신호를 오프해줌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주행중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쇽 압소버의 내부 공기압을 조절하는 ECS를 이용한다.
그 구조를 제1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전자제어 현가장치는 운전자가 승차감 향상을 위하여 컴프레서(30)를 작동시키려고 할 때 고레벨인 H신호를 출력하는 ECS CPU(10)와, 상기 ECS CPU(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컴프레서(30)의 작동을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부(20)와, 상기 제1스위칭부(20)의 온/오프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컴프레서(30)와, 상기 컴프레서(30)의 동작에 따라 쇽 압소버 내부의 공기압 상태를 나타내는 임계값 도달여부에 따라 온/오프상태가 가변되는 온도 감지 스위칭부(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스위칭부(20)는 ECS CPU(10)의 출력단자에 베이스단자가 연결되고 에미터 단자에 저항(R1)이 연결되고 저항(R1)의 일측단자에 주전원(Vcc)이 연결되며 컬렉터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R1)와, 일측단자가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코일(C1)과, 일측단자가 주전원(Vcc)에 연결되고 타측당자가 컴프레서(30)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W1)로 이루어진 릴레이(RL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모드가 선택되면 ECS CPU(10)에서 고레벨인 H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신호를 입력받은 트랜지스터(TR1)는 턴오프(turn off)되어 릴레이(RL1)의 코일(C1)DLL 도통된다.
코일(C1)에 의한 자계가 형성됨으로서 릴레이(RL1)내의 스위치(SW1)가 온(on)되어 전원(Vcc)을 컴프레서(30)에 공급하므로 컴프레서(30)는 쇽압소버의 압력 상승에 따라 형성되는 내부 온도가 임계값 이상이 될 때까지 계속 동작하게 된다.
이때 쇽 압소버의 내부가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으로 임계값 이상의 온도로 상승하면 온도 감지 수위칭부(40)가 오프(off)되어 컴프레서(30)의 동작이 중지된다.
그러나, ECS CPU(10)에서는 상기 온도 감지 스위칭부(40)에 의해 컴프레서(30) 동작이 중지된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초기 설정된 신호만큼 무조건 온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따라서, ECS CPU(10)는 불필요한 온신호를 계속 출력하게 되며 이로인하여 ECS CPU(10)의 고장이 유발될 수 있으며 타기구에 오동작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온도 감지 스위칭부(3)를 부성 온도 특성을 지닌 서미스터(thermistor)로 대체하고, 이 서미스터의 온도와 임계온도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ECS CPU(1)에 확인시켜줌으로써 ECS CPU(1)와 컴프레서(30)간의 오차가 발생하지 않고 오동작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에 있어서 중앙연산처리부와, 상기 중앙연산처리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컴프레서를 구동하는 릴레이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하는 수단과, 상기 제1스위칭부의 온/오프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컴프레서를 구비하며 컴프레서의 동작과 관련하여 쇽 압소버 내부압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감지 수단과;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상태에 따라 온오프상태가 가변되는 제2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2스위칭 수단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비교연산 값이 가변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출력값과 중앙연산처리부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여 제1스위칭부를 단속하는 논리 연산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구성을 살펴보면, 운전자가 선택하는 모드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ECS CPU(10)와, 상기 ECS CPU(10)의 제어신호와 컴프레서의 동작완료 상태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AND게이트(G1)와, 상기 AND게이트(G1)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제1스위칭부(20)와, 상기 제1스위칭부의 출력값인 전원공급 여부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쇽 압소버의 내부압을 조절하는 컴프레서(30)와, 상기 컴프레서(30)의 동작과 관련한 쇽 압소버 내부압을 온도상태로 검출하여 그 온도의 상태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하는 서미스터(40)와, 상기 서미스터(40)의 상태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가변되어 컴프레서(30) 중지 및 동작에 해당하는 신호를 ECS CPU(10) 및 AND게이트(G1)로 출력하는 제2스위칭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스위칭부(20)는 AND게이트(G1)의 출력단자에 베이스단자가 연결되고 에미터 단자에 저항(R1)이 연결되고 저항(R1)의 일측단자에 주전원(Vcc)이 연결되며 컬렉터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R1)와, 일측단자가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코일(C1)과, 일측단자가 주전원(Vcc)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컴프레서(30)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W1)로 이루어진 릴레이(RL1)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미스터(40)는 일측단자가 컴프레서(30)의 타측단자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다.
상기 제2스위칭부(50)는 베이스단자가 서미스터(40)의 일측단자에 연결되고, 일측단자가 주전원(Vcc)에 연결되며 타측단자가 에미터 단가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2)과, 일측단자가 주전원(Vcc)에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베이스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3)과, 일측단자가 접지되고 타측단자가 베이스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4)으로 이루어져 있는 트랜지스터(TR2)와,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단자에 반전단자(-)가 연결되고 비반전단자(+)에 설정 전원(Vref)이 연결되어 있는 비교기 (A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드를 선택하기전의 초기상태의 컴프레서(30)의 동작이 이루어지기 이전의 상태이므로 쇽 압소버의 내부압은 임계값 이하이며 온도상태 또한 임계값 이하이므로 서미스터(40)의 특성상 저항값은 아주 작다.
그러므로 전류가 서미스터(40)를 통해 흐르므로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단자에는 전원(Vcc)이 인가되지 않는다.
그리고 트랜지스터(TR2)는 턴오프상태가 되므로 비교기(A1)의 반전단자(-)는 설정 전원(Vref)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며 비교기(A1)의 출력값은 고레벨인 H가 된다.
상기 비교기(A1)의 출력값이 고레벨인 H상태에서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모드가 선택되면 ECS CPU(1)는 고레벨인 H신호를 출력하고, AND게이트(G1)에서 상기 두 신호 즉 ECS CPU(1)와 비교기(A1)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한다.
상기 AND게이트(G1)의 출력신호를 입력 받은 트랜지스터(TR1)는 턴오프(turn off)되어 전원(Vcc)이 코일(C1)로 인가된다.
코일(C1)에 흐르는 전류로 인한 자계 형성으로 릴레이(RL1)내의 스위치(SW1)가 온되고, 온신호를 인가 받은 컴프레서(30)는 쇽 압소버 내부의 공기압이 임계레벨에 도달하여 임계값 이상이 될 때까지 계속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임계값 이상의 온도로 상승되면 서미스터(40) 특성에 의하여 저항값이 커지고 따라서 전원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단자엥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2)는 턴온(turn on)된다.
이때 트랜지스터(TR2)의 턴온으로 반전단자(-)에 전원(Vcc)이 인가되지 않는다. 비교기(A1)에서 비반전단자(+)에 연결된 설정 전원 (Vref)과 반전단자(-)를 비교한 비교 출력값은 저레벨인 L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저레벨인 L신호는 ECS CPU(10)로 피드백(feed back)되고 ECS CPU(10)는 컴프레서 중지 상태로 파악하여 AND게이트(G1)에 저레벨인 L신호를 출력한다.
ECS CPU(10)의 출력신호와 비교기(A1)의 출력신호는 AND게이트(G1)에 입력되어 AND게이트(G1)에서는 저레벨인 L신호가 출력된다.
저레벨인 L신호를 인가받은 트랜지스터(TR1)는 턴온되고 코일(C1)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리고 코일(C1)에 의한 자계가 형성되지 않아 스위치(SW1)는 오프되며 컴프레서(30)의 동작이 중지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ECS에 컴프레서 상태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컴프레서의 온/오프를 직접 단속하고 불필요하게 온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함으로 고장 및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으며 운전자가 컴프레서의 작동 여부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Claims (3)

  1.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에 있어서, 중앙연산처리부와, 상기 중앙연산처리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컴프레서를 구동하는 릴레이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하는 수단과, 상기 제1스위칭부의 온/오프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컴프레서를 구비하며, 컴프레서의 동작과 관련하여 쇽 압소버 내부압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감지 수단과;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상태에 따라 온오프상태가 가변되는 제2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2스위칭 수단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비교연산 값이 가변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출력값과 중앙연산처리부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여 제1스위칭부를 단속하는 논리 연산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은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값이 커지고 온도가 하강하면 저항값이 작아지는 부성 온도 특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온도 감지 수단과 연결되어 온도의 상승에 연동하여 변하는 저항값에 따라 온/오프상태가 가변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수치와 설정 전원을 비교하여 전자제어 현가장치 및 논리 연산 수단에 피드백하는 비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
KR1019960015043A 1996-05-08 1996-05-08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 KR0180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043A KR0180402B1 (ko) 1996-05-08 1996-05-08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043A KR0180402B1 (ko) 1996-05-08 1996-05-08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041A KR970074041A (ko) 1997-12-10
KR0180402B1 true KR0180402B1 (ko) 1999-03-20

Family

ID=1945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5043A KR0180402B1 (ko) 1996-05-08 1996-05-08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032B1 (ko) * 2002-04-08 2008-01-22 주식회사 만도 전자 제어 현가의 구동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032B1 (ko) * 2002-04-08 2008-01-22 주식회사 만도 전자 제어 현가의 구동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041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3472A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safety device
US5095274A (en) Temperature-compensated apparatus for monitoring current having controlled sensitivity to supply voltage
US4034336A (en) Electronic monitor system for automobiles
US6465907B2 (en) Activating device for vehicle passenger protection system
JPH05263711A (ja) 制御装置の後制御の制御回路装置
KR0180402B1 (ko) 자동차의 전자제어 현가장치
US6483370B1 (en) Circuit for controlling a power MOS transistor and detecting a load in series with the transistor
US5848366A (en) Load driving control system for vehicle equipped with microcomputer
US5184300A (e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for controlling a device mounted thereon
JP2863658B2 (ja) 特に自動車応用のためのマイクロプロセッサリセット装置
US4481452A (en) Control circuit for electromagnetic devices
JPS60107461A (ja) 動力舵取装置の制御方法
US4196415A (en) Automotive turn signal flasher unit having integral acoustic signal means
US4945297A (en) Electronic device forming a bidirectional interface for controlling a load switching power element
GB2271874A (en) System for controlling safety device for vehicle
KR0140203Y1 (ko) 암전류 제한 및 배터리방전 제한장치
US3443193A (en) Battery charging systems for use in road vehicles
JP2863972B2 (ja) 車両用前照灯の照射角度位置調整装置
JPH0314672B2 (ko)
JPH0719917Y2 (ja) 車載用電源ic
KR200207615Y1 (ko) 차동 제한 안전 장치
US4916330A (en) Signal level transforming circuit
JPS594329Y2 (ja) 電源装置
JPH07112788B2 (ja) 自動車用定速走行装置
JPS633772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