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353B1 - 차량도어 내판용의 접착제가 부착된 필름 - Google Patents

차량도어 내판용의 접착제가 부착된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353B1
KR0180353B1 KR1019960046648A KR19960046648A KR0180353B1 KR 0180353 B1 KR0180353 B1 KR 0180353B1 KR 1019960046648 A KR1019960046648 A KR 1019960046648A KR 19960046648 A KR19960046648 A KR 19960046648A KR 0180353 B1 KR0180353 B1 KR 0180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m
parts
vehicle
butyl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878A (ko
Inventor
권태신
Original Assignee
이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복 filed Critical 이연복
Priority to KR1019960046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353B1/ko
Publication of KR970003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9J1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9J1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부틸고무를 주재료로 한 불건성 액상 접착제(1)나 테이프상 접착제(1') 또는 핫멜트형 접착제(1' ')를 일면은 평활하고 타면은 엠보싱된 필름의 엠보싱면에 미리 부착, 도포한 것을 차량도어의 내판용 필름으로 한 것으로서 이와같은 필름은 차량 조립과정에서 차량도어의 보호할 홀에 필름의 접착면을 대고 접착만 하면 됨으로 필름의 부착공정이 간편하고 용이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도어 내판용의 접착제가 부착된 필름
제1도는 차량도어 내부판넬(내판)에 필름을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제2도 (a)(b)(c)는 본 발명 필름에 의한 차체내판에 필름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예시 단면도.
제3도 (a)(b)(c)는 종래 방법으로 차량내판에 필름부착 상태를 나타낸 각종 예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상 접착제 1 : 테이프상 접착제
1 : 핫멜트형접착제 2 : 필름
2 : 엠보싱면 3 : 내부철판
본 발명은 차량도어 내부철판의 홀을 수밀 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 재질로 된 얇은 필름을 부착시 작업성이 뛰어나면서 용이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져 한 차량도어 내판용의 접착제가 부착된 필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특히 승용차의 조립공정은 분업에 의한 연속 작업으로 이뤄지며 상당한 속도의 작업 진행이 요구된다.
특히 자동차 조립공정중 접착제 도포공정은 작업자의 손에 의존하여 수동으로 실시되거나 고가의 설비인 로봇에 의하여 실시되었기 때문에 수동에 의한 접착은 균일성이 결여되고 로봇에 의한 접착은 고가의 설비비가 요구되는데다가 전력소모 등 부가되는 비용이 막대하여 작업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어 왔었다.
종래의 차체내판에 필름 접착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은 4가지 정도의 방법이 적용이 되어 왔는 바, 그 각각의 현황 및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한가지 방법으로는, 제3도(a)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붓을 사용하여 본드형 접착제(1a)를 차제 내철판면(3)에 도포한 후 그 위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필름(2)을 부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 접착제로서 아크릴계의 용제형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인체에 유해할 뿐 아니라 수작업에 의하여 도포하므로 작업성이 지극히 불량하고 균일성이 떨어지게 되며 또한 용제가 휘산되고 나면 수지성분만이 잔존하게 되어 장시간 방치시 접착면에 크랙이 발생하고 접착성이 상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두 번째 방법으로 제3도(b)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부틸고무를 주원료로 하여 성형한 두께 2~5mm, 폭 5~15mm, 길이 10~40m의 롤타입 양면 접착테이프(1a`)의 일면을 차체내 철판면(3)에 부착한 후 표면의 이형지를 제거하고 그 위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필름(2)을 부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 롤 타입으로 감아두기 위해 접착테이프(1a`) 일면에 접착면 보호용 이형지를 부착하고 있어서 철판면에 테이프를 부착후에는 접착테이프의 한쪽면을 보호하는 이형지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결점이 있었다.
세 번째 방법으로는 제3도(c)에 나타낸 바와같이 100~130℃의 열에 의해 쉽게 용융되어 유동체가 된 후 상온으로 방냉시 그 자체의 형상 및 접착력을 유지하는 부틸고무계의 핫 멜트(HOT-MELT) 접착제 (1a``)를 차체 내철판(3)에 용융도포한 후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필름(2)을 부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도 접착제를 도포시 용융 및 정확한 위치 도포를 위해 고가의 설비인 로봇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로봇 설치를 위한 설시비용의 가중은 물론 넓은 설치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롤타입 제품의 포장 용기인 드럼과 용융접착제 공급 배관 및 토출설비 등에 가열장치가 부착되어 계속하여 작동되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어서 작업공정, 시설등으로 인한 작업비용의 과다한 부담을 초래하는 결함이 있었다.
네 번째 방법으로는(미도시) 폴리에틸렌 필름의 한쪽면에 양면 접착테이프(폭5~20mm)를 사전에 부착 공급하여 차체 부착시 이형지를 제거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접착층이 취약하여 하절기에는 유동이 일어나거나, 장기간 보관시 건조 및 노화되고 수지성분만 잔존하게 되어 접착성을 상실하게 되며 보수작업을 위해 분리 해체시 재접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체 내판의 보호용 필름 접착에 있어서 접착제의 도포순서, 접착제 성분, 접착제 도포장치(시설) 등의 많은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차체내 철판면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필름을 부착함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작업성 및 생산성을 위해 필름부분에 적절한 접착제를 도포한 것을 자동차 조립 공정에서 별도의 사전 조작없이 직접 부착만 하면 되도록 한 차체도어 내판용 보호필름을 제공코저 하는 것으로서, 이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온에서는 반고형이고 가열하며 고점도의 액체 상태인 부틸고무를 주원료로한 불건성의 액상 접착제(1)나 두께 1~4mm이고 폭 5~20mm인 테이프상의 접착제(1`) 또는 핫멜트형 접착ㅈ(1``)중 어느 하나를 일면은 평활하고 일면은 엠보싱된 폴리에틸렌과 같은 공지의 차량도어 내철판보호용 합성수지 필름(2)의 엠보싱면(2`)의 필요한 부위에 도포 또는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되어 내철판용의 접착제가 부착된 필름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필름(2)은 롤 형태나 평면 형태로 적층 보관하였다가 차량도어 내부철판(내판)(3)에 부착시에 접착면을 대접하여 상온에서 접착을 완료한다.
상기에서 필름(2)의 한쪽면은 엠보싱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다른 한쪽면은 평활하게 하는 것은 접착제가 도포된 필름을 보관 및 운송을 위해 여러층으로 적재할 경우 각장의 표면 접착력을 보호하여 이형지로서의 이형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접착제의 재질은 자동차의 내구년한 동안 건조, 휘발등 변질로 인해 필름이 분리 이탈되지 않아야 하며 보수작업시 분리 후 재밀착시는 접착성이 존재해야 한다.
상기에서 부틸고무를 주원료로 하는 접착제의 조성은 부틸고무 100부, 석유수지계 접착제 20~27부, 카본블랙 120~160부, 탄산칼슘 70~110부, 접착성 폴리부텐 200-140부, 산화방지제 0.5~1.2부, 기타 공지의 고무 제품용 첨가제 2~3부 등으로 이뤄진다.
접착제 원료 배합물의 제조는 14~18inch 롤 밀을 사용하여 10~50kg 단위로 혼합을 행하며 고점도의 소재로부터 소련하여 서서히 점도의 하강이 이뤄지도록 한다.
제조된 원료 배합물을 사용하여 필름에 도포하는 공정은 50~150ψ의 압출기로 압출하여 도포하거나, 90~130℃ 정도로 가열한 상태로 롤 코더를 이용하여 도포하거나 스크린 인쇄방법 중에서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도포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차량도어 내판용의 접착제가 부착된 필름은 자동차 조립 공정에서 차량도어 패널내면의 밀폐용 홀 부위에 필름이 접착제 면을 대접하게 상온에서 부착만 하면 됨으로 별도의 접착제 도포공정 및 이형지 제거공정등 작업공수가 절감되며 따라서 이로 인한 인원 감축과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 도포 설비인 로봇 등 고가 장비의 설치 비용 지출을 줄일 수 있으며, 설비의 운영 비용 또한 필요치 않게 되어 원가 절감에 있어서 큰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2)

  1. 상온에서는 반고형이고 가열하면 고점도의 액체상태인 부틸고무를 주원료로 한 불건성의 액상 접착제(1)나 두께 1~4mm이고 폭 5~20mm인 테이프상의 접착제(1`) 또는 핫멜트형 접착제(1)를 일면은 평활하고 일면은 엠보싱된 폴리에틸렌과 같은 공지의 차량도어 내철판보호용 합성수지 필름(2)의 엠보싱면(2')의 필요한 부위에 도포 또는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 내철판용의 접착제가 부착된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부틸고무를 주원료로 하는 접착제는 부틸고무 100부, 석유수지계 접착제 20~27부, 카본블랙 120~160부, 탄산칼슘 70~110부, 접착성 폴리부텐 200~140부, 산화방지제 0.5~1.2부, 기타 공지의 고무 제품용 첨가제 2~3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 내철판용의 접착제가 부착된 필름.
KR1019960046648A 1996-10-18 1996-10-18 차량도어 내판용의 접착제가 부착된 필름 KR0180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648A KR0180353B1 (ko) 1996-10-18 1996-10-18 차량도어 내판용의 접착제가 부착된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648A KR0180353B1 (ko) 1996-10-18 1996-10-18 차량도어 내판용의 접착제가 부착된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878A KR970003878A (ko) 1997-01-29
KR0180353B1 true KR0180353B1 (ko) 1999-04-01

Family

ID=1947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648A KR0180353B1 (ko) 1996-10-18 1996-10-18 차량도어 내판용의 접착제가 부착된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748B1 (ko) * 2012-03-29 2014-07-04 장성득 합성고무를 이용한 접착제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748B1 (ko) * 2012-03-29 2014-07-04 장성득 합성고무를 이용한 접착제 제조방법 및 그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878A (ko) 1997-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1012A (en) Use of a strip of an adhesive film for a re-releasable adhesive bond
ES290010Y (es) Etiqueta para recipientes
DE60008147T2 (de) Klebeverbindungsverfahren und -vorrichtung
KR19980043137A (ko) 타이어 펑크방지 조성물 및 그 도포방법
DE3313585A1 (de) Klebstoffmasse
CA2176219A1 (en) Melt-flowable materials and method of sealing surfaces
JP6555717B2 (ja) 被覆シーリング用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GB2150103B (en) Container with plastics label
JPH08500321A (ja) 車両用窓を結合させる方法
CN107278222B (zh) 粘着胶带
KR0180353B1 (ko) 차량도어 내판용의 접착제가 부착된 필름
EP1963722B1 (en) Method for producing a releasable seal with a sealing compound and use of adhesive strip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U673066B2 (en) Pipewrap having a solid primer-adhesive layer
US3749628A (en) Hot topping an ingot mould by adhesively bonding slabs to the mould wall
JP3287991B2 (ja) 防食構造
JP2996376B2 (ja) ペースト状シール剤及び自動車ボディとウェザーストリップ間のシール方法
JPH01110585A (ja) シーラーテープまたはシートまたは成形物
JP2739152B2 (ja) 反応性粘着剤組成物
CA1155750A (en) Decorative moulding
GB2115696A (en) Insecticidal products
JPH1112547A (ja) 塗膜保護用シート
JPH03115482A (ja) 構造物接合部の防水用アルミ箔シート
DE6925487U (de) Dichtungsband
JPH03165A (ja) 自動車用シーラー材の施工方法
JPH05117628A (ja) 車両用成形シール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