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828B1 -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또는, 장치 또는 그들에 적용되는 유닛 - Google Patents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또는, 장치 또는 그들에 적용되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828B1
KR0178828B1 KR1019940036303A KR19940036303A KR0178828B1 KR 0178828 B1 KR0178828 B1 KR 0178828B1 KR 1019940036303 A KR1019940036303 A KR 1019940036303A KR 19940036303 A KR19940036303 A KR 19940036303A KR 0178828 B1 KR0178828 B1 KR 0178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camera
film
cover
means compri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875A (ko
Inventor
유키오 오가와
Original Assignee
미타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타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5001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 G03B17/30Locating spools or other rotatable holders of coiled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6Holders for containing light-sensitive material and adapted to be inserted within the camera
    • G03B2217/268Unloading the cartridge from the camera; Loading the cartridge into the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또는, 장치 또는, 적용되는 유닛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또는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행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수단과, 적어도 상기 카트리지의 필름이동에 상기 제1수단이 불편한 작용을 하지 않게 하기 위한 제2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또는, 장치 또는 그들에 적용되는 유닛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카트리지 장전실의 덮개의 폐쇄상태에서의 사시도.
제2도는 마찬가지로 그 개방상태에서의 사시도.
제3도는 마찬가지로 그 카트리지가 장전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간략평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카트리지 장전실의 덮개의 개폐조작도중의 상태를 표시한 간략평면도.
제6도는 제3도의 간략평면도.
제7도는 제1도의 카트리지장전실의 단면도이며 롤러가 카트리지에 압압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
제8도는 마찬가지로 롤러가 카트리지로부터 퇴피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
제9도는 제1도의 카트리지 장전실의 스위치 배치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회로도.
제11도는 제10도의 제어회로의 순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 카트리지 장전실의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의 카트리지 장전실의 롤러가 카트리지로부터 퇴피하고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
제14도는 마찬가지로 롤러가 카트리지에 압압되어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트리지 1a : 삽입구멍
1b : 스풀축 2 :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
2a : 랙부 3 : 구동기어
4 : 아이들러 5 : 캠기어
6 : 전달레버 6b : 캠핀
7 : 구도에버 7a : 긴구멍
8 : 차광문짝개폐부재 8a : 걸어맞춤핀
9 : 포오크기어 9a : 포오크
10 : 카트리지장전인출구 12 : 캠홈
13 : 페이스캠 20 : 태양기어
21 : 유성기어 22 : 롤러
23 : 유성레버 24 : 스토퍼
36 : 제1모터 37 : 제2모터
40 : 롤러 40a : 평면부
41 : 절취판 41a : 절취부
42 : 롤러구동기어 80 : 개폐조작버튼
81 : 덮개개폐조작스위치 82 : 덮개완전폐쇄검지스위치
83 : 덮개완전개방검지스위치 84 : 카트리지검지스위치
85 : 삽입검지스위치 86 : 송출완료스위치
87 : 제어회로 88, 89 : 모터구동회로
90 : 자기헤드회로
본 발명은,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등의 장치에 관하여, 특히, 필름카트리지의 장전 또는, 인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필름의 리더부가 카트리지내에 완전히 수납되어, 그 필름 리더부를 카메라의 필름이 이송포오크에 의해 송출하도록 하는, 소위 「드러스트식카트리지필름」이라고 호칭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 카트리지를 사용하면, 카트리지를 카메라에 장전할 때에 필름리더부를 신경 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그 축방향으로부터 카메라의 필름 장전실에 장전할 수 있는 소위 드롭로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이 카트리지에 수납된 필름에는 자기기록부가 부착되어 있는 것도 특징이다.
그러나, 이 종류의 카트리지를 사용한 종래의 드롭인 방식의 카메라의 장전순서로서는, 먼저, 카메라쪽의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를 수동으로 열어, 카트리지를 그 축방향으로부터 카트리지장전실의 바닥면에 맞부딪칠 때까지 깊게 삽입하고, 삽입완료후에 상기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를 수동으로 닫는다고 하는 조작을 행하는 것이며, 카트리지 장전실의 덮개의 개폐조작이 번거롭다든가, 카트리지가 소정의 깊이까지 바르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카트리지덮개를 닫아버리면 카트리지와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가 겹쳐서 잘 닫히지 않아 삽입조작을 다시하는 등, 조작성이 나쁘다고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것을 개선하는 것으로서 본 출원인으로부터, 카트리지의 장전을 전동으로 행하도록 카메라가 제안되고 있다. 이것은 카트리지의 카메라내로의 인입 및 카메라외로의 송출을,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롤러를 카트리지셀에 압압회전하는 것으로서 행하도록 한 것이나, 이것에도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카트리지셀은 형상의 공차(公差)에 의해 크고 작은 것이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장전실은 어떠한 카트리지라도 들어가도록 다소 큼직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 카트리지셀과 카트리지내의 필름감기스풀축에 대해서도 공차의 관계로 이 양자간에는 다소의 덜거덕거림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내의 필름감기스풀축에 카메라쪽의 필름이송포오크가 걸어맞춤해서 이 포오크의 구동력을 카트리지내의 스풀축에 전달하는 경우에 카트리지셀에 상기 카트리지장전을 위한 롤러로부터 압압에 의한 부하가 가해져서 그 위치규제를 받게되면, 카트리지내의 필름감기스풀축과 카메라쪽의 포오크와의 걸어맞춤에 무리가 발생하여, 포오크에 걸리는 부하가 무거워졌다가 가벼워졌다가 하기 때문에 포오크의 필름의 송출 혹은 되감기속도에 변화가 발생하여, 그 상태로 필름의 자기기록부에 정보의 판독이나 기록을 행하면 틀림이 발생할 뿐만아니라, 필름의 이송(드러스트)구동에 대한 부하가 무거워져서 정상적인 필름이송동작을 행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또는, 장치 또는, 그들에 적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또는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이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수단과, 적어도 상기 카트리지의 필름이송에 상기 제1수단이 불편한 작용을 하지 않게 하기 위한 제2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필름이송이 적정하게 행하여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표시한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에 의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도 ∼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카메라의 필름카트리지장전장치의 사시도이며, 제4도 ∼ 제6도는 마찬가지로 그 간략평면도이다. 제1도 ∼ 제6도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표시한(10)은 카메라본체쪽의 필름카트리지 장전인출구이며, (1)은 그것에 축방향으로부터 (카메라의 하부쪽으로 부터)삽입되는 상기 관련기술에 대한 설명에서 표시된 바와 같은 필름카트리지이다. (2)는 카메라의 바닥면에서 카트리지축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유지된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이며 단면이 대략 ㄷ자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양단부에는 랙부(2a)가 형성되어 있다.
(3)은 제1모터(36)(제4도 참조)에 기어결합되어 있는 구동기어이며, 랙부(2a)에 기어결합되도록 기어축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2), 구동기어(3) 및 제1모터(36)는, 카메라에 대한 카트리지의 장전을 행하기 위한 제1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8)은 카트리지의 필름출입구를 차광하는 차광문짝을 개폐시키기 위한 삽입구멍(1a)에 삽입되어서 회동하므로서 차광문짝의 개폐를 행하는 차광문짝 개폐부재이다. 차광문짝 개폐부재(8)의 상부면에는 걸어맞춤핀(8a)이 장착되고, 구동레버(7)의 일단부에 형성된 긴구멍(7a)에 끼워넣어져 있다. 또 그 타단부(7b)는 전달레버(6)의 일단부(6a)에 끼워넣어져 있다. 구동기어(3)의 한쪽으로부터 아이들러(4)를 개재해서 캠기어(5)가 기어결합되어 있고, 캠기어(5)에는 페이스캠부(13)와 캠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제2모터(37)(제4도 참조)에 기어결합된 태양기어(20)를 중심으로 공전가능한 유성기어(12)가 함께 ㄷ자형상의 유성레버(23)에 회전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고, 유성레버(23)는 태양기어(20)의 기어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유성기어(21)의 축에는 고무재로 이루어진 롤러(22)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24)는 유성레버(23)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의 회동을 규제하기 위한 카메라본체에 배설된 스토퍼이다. 또한, 상기 태양기어(20), 유성기어(21) 및 롤러(22)는, 카메라에 대한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어느 한쪽을 행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수단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페이스캠부(13) 및 유성레버(23)는, 적어도 카트리지의 필름이송에 상기 제1수단이 불편한 작용을 하지 않게 하기 위한 제2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9)는, 카트리지(1)의 스풀축(1b)과 걸어맞춤해서, 필름의 송출, 되감기를 행하는 포오크(9a)를 가진 포오크기어이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카메라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의 상태는 카트리지가 아직 카메라내에 장전되지 않은 상태(즉 빈상태)이며, 또한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가 닫혀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차광문짝개폐부재(8)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1)가 장전되어 있으면 카트리지(1)의 필름출입구의 차광문짝을 여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2)가 완전히 닫혀서 제1도의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캠기어(5)의 캠홈(12)의 제1캠부(12a)에 전달레버(6)의 캠핀(6b)이 걸어맞춤하므로서 전달레버(6)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고, 따라서 구동레버(7)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차광문짝 개폐부재(8)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있다. 또 페이스캠부(13)의 제1캠면(13a)에 유성레버(23)의 선단부(23b)가 당접하기까지 유성레버(23)가 시계반대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가능하게 되어었기 때문에, 롤러(22)는 카트리지(1)의 바깥통에 하등 부하를 가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 상태로 먼저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2)를 열기 위하여 후술의 개폐조작스위치를 누르면 제1모터(36)가 온하고, 구동기어(3)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2)가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구동되어서, 카트리지 장전인출구(10)로부터 완전히 우측방향으로 퇴피한 위치에서 정지한다(제2도, 제4도의 상태).
이 상태에 있어서는, 전달레버(6)는, 캠핀(6b)이 제2캠홈(12b)에 안내되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있고, 따라서 구동레버(7)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고 있다. 이에 의해 차광문짝개폐부재(8)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카트리지(1)가 장전되어 있으면, 카트리지(1)의 필름출입구의 차광문짝을 닫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다음에 카트리지(1)를 카메라를 카메라의 아래쪽으로부터 카트리지장전인출구(10)에 그 축방향으로 삽입하므로서 후술의 스위치가 온하고, 카트리지(1)는 롤러(22)의 압압회전력에 의해서 카메라내로 인입된다. 즉, 제2모터(37)로부터 기어결합되어 있는 태양기어(20)를 개재해서 유성기어(21)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따라서 롤러(22)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22)의 카트리지의 축과 직교방향의 고무압에 의해서 카트리지(1)는 카메라내로 인입된다. 카트리지(1)가 카메라내에 완전히 인입된 후, 제2모터(37)가 오프하는 동시에 이번에는 제1모터(36)가 재차 온해서 상기 회전방향과는 역전하므로서 카트리지덮개(2)를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시킨다. 카트리지덮개(2)의 선단부(2b)가 카트리지장전인출구(10)를 완전히 씌워감추는 위치까지 슬라이드이동하는 동안은 차광문짝개폐부재(8)는 제2도의 상태를 유지시켜둘 필요가 있으나(즉 카트리지(1)의 필름출입구의 차광문짝을 닫은 상태), 이것을 전달레버(6)의 캠핀(6b)과 걸어맞춤하는 캠홈(12)의 제2캠홈부(12b)에 의해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있다(제5도의 상태).
카트리지덮개(2)가 슬라이드이동해서 그 선단부(2b)가 카트리지 장전인출구(10)를 완전히 씌워감추는 위치까지 도달하면, 전달레버(6)의 캠핀(6b)은, 캠홈(12)의 제2캠홈부(12b)로부터 제1캠홈부(12a)쪽으로 걸어맞춤이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전달레버(6)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구동레버(7)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서, 차광문짝개폐부재(8)도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카트리지(1)의 필름출입구의 차광문짝을 열게된다. 한편, 캠기어(5)의 페이스캠부(13)에 당접하고 있던 유성레버(23)는 페이스캠부(13)가 유성레버(23)의 선단부(23a)로부터 퇴피하게 되기 때문에, 유성레버(23)는, 페이스캠부(13)가 퇴피한 분량만큼 시계반대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고무압에 의해서 카트리지(1)의 바깥통을 압압하고 있던 롤러(22)는, 카트리지(1)와의 사이에서 푸리이상태가 되고, 카트리지(1)에의 압압압력이 없어진다. 따라서 카트리지(1)는 장전이 완료하면 롤러(22)에 의해서 위치를 규제받는 일이 없어진다.
이에 의해 이후 계속 행해지는 카트리지(1)로부터의 필름의 송출, 즉 드러스트구동때에 카트리지(1)의 스풀축(16)에 롤러(22)로부터 부하가 가하여지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송출토크의 안정된 필름의 송출동작이 가능해진다.
그후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2)는 또는 제1모터(36)에 의해서 왼쪽으로 이동하여, 도시생략의 스토퍼에 당접하므로서, 제1모터(36)가 오프하면 카트리지 장전실의 덮개(2)의 좌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정지해서 카트리지(1)의 장전조작이 완료한다(이것이 제3도, 제6도의 상태이다).
또한, 카트리지(1)의 꺼냄조작은, 이상과는 반대동작이 된다. 여기서, 롤러(22)와 카트리지(1)와의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7도, 제8도는 카트리지장전실의 단면을 표시한 것이다.
제7도는, 카트리지(1)를 카메라내에 인입하고, 혹은, 카메라 밖으로의 송출작동중에서의 롤러(22)의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제7도에 있어서 유성레버(23)의 선단부(23a)가 페이스캠부(13)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의 회동의 규제를 받고 있고, 이 상태에서 고무재에 의한 롤러(22)의 외형은, 카트리지(1)의 셀면과 약간 오버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롤러(22)는, 카트리지(1)의 셀라의 사이에서 압압력을 발생하고 있고, 롤러(22)의 회전방향에 의해 카트리지(1)는 인입하고, 또는 송출이 행해진다.
제8도는 카트리지(1)이 카메라내로의 인입이 완전히 종료된 시점이후의 롤러(22)의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유성레버(23)의 선단부(23a)가 페이스캠부(13)에 당접하기까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이 제8도의 상태에 있어서는 롤러(22)는 유성레버(23)를 개재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므로서 카트리지(1)의 셀면으로부터 퇴피한 상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카트리지(1)의 셀에는, 롤러(22)로부터의 압압력은 일체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9도는 상기한 동작제어를 행하기 위한 스위치구성을 표시한 스위치 배치도이다.
제9도에 있어서, (81)은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2)의 개폐조작버튼(80)을 누르므로서 온하는 덮개개폐조작스위치이며, (82)는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2)의 폐쇄동작완료를 검지하기 위한 덮개완전폐쇄검지스위치, (83)은 마찬가지로 그 개방동작의 완료를 검지하기 위한 덮개완전개방검지스위치이다. (84)는 카트리지(1)가 완전히 카메라내로 인입된 것을 검지하기 위한 카트리지검지스위치, (85)는 카트리지(1)가 장전인출구로부터 속으로 삽입된 것을 검지하기 위한 삽입검지스위치이며, (86)은, 카트리지(1)를 카트리지장전실로부터 송출할 경우에 송출동작이 완료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송출완료스위치이다. 또한, 상기 어느 스위치도 상시에는 오프하고 있는 스위치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각 스위치를 포함한 상기 동작제어를 행하는 회로도이다. 제10도에 있어서, (87)은 상기 제어를 관장하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되는 제어회로, (88), (89)는 상기 모터(36), (37)의 전진회전, 후진회전의 구동을 행하기 위한 모터 구동회로, (90)는, 필름의 자기기록에 대하여, 필름이송중에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기 위한 자기헤드회로이다.
다음에 제10도의 회로에 의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 및 , 제11도에 표시한 송출동작을, 제어회로(87)의 순서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먼저 처음에, 카트리지장전실로의 카트리지의 인입동작으로부터 설명하면, 카트리지 덮개(2)의 개폐조작버튼(80)이 수동조작되고, 덮개개폐조작스위치(81)가 온하면(S1), 모터구동회로(88)에 의해 모터(36)를 전진회전(正轉)시켜(S2),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2)가 개방동작을 개시한다. 카트리지덮개(2)가 완전개방에 도달하고, 덮개완전개방검지스위치(83)가 온하면(S3), 모터(36)를 정지시킨다(S4). 이 상태에서는, 카트리지(1)가 카메라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카트리지검지스위치(84)는 오프하고 있으므로(S5), 여기서 카트리지(1)를 카트리지장전인출구로부터 삽입하면, 삽입검지스위치(85)가 온하고(S13), 모터구동회로(89)에 의해 모터(37)를 전진회전시켜(S14), 롤러(22)를 구동해서, 카트리지(1)의 인입동작을 행한다. 카트리지(1)의 인입동작이 완료하면, 카트리지검지스위치(84)가 온하므로(S15), 모터(37)를 정진시킨다(S16).
다음에 모터(36)를 후진회전(逆轉)시켜(S10),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2)를 폐쇄동작시킨다.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2)가 폐쇄동작을 종료하면 덮개완전폐쇄검지스위치(82)가 온하고(S11), 모터(36)를 정지시켜(S12), 카트리지장전동작을 종료한다. 그후, 필름이송동작이 행해지고, 그 필름이송중에 자기헤드회로(90)에 의해 필름의 자기기록부에 대한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의 적어도 어느한쪽이 행해진다.
다음에 카트리지의 카트리지장전실로부터의 송출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메라내에 카트리지가 장전되어 있는 상태로, 개폐조작버튼(80)을 조작하면,덮개개폐조작스위치(81)가 온해서 상기와 마찬가지의 스텝 S1로부터 스텝 S5까지 진행하는 이 상태에서, 이번에는 카트리지검지스위치(84)가 온되고 있기 때문에, 스텝 S6으로 진행하여(S5), 모터(37)를 후진회전시킨다(S6). 이에 의해 롤러(22)가 구동되어서 카트리지(1)의 송출이 행해진다. 송출동작이 완료되면, 송출완료스위치(86)가 오프하므로(S7), 모터(37)를 정지시킨다(S8). 이 상태에서는 카트리지(1)는 카트리지장전인출구로부터 약 절반만큼 노출된 위치에서 멈추고 있으나, 다음에 카트리지(1)를 인출하므로서, 삽입검지스위치가 오프해서(S9), 모터(36)를 후진회전하고(S10),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2)의 폐쇄동작을 행한다.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2)의 폐쇄동작이 완료되면 덮개완전폐쇄검지스위치(82)가 온하므로(S11), 모터(36)를 정지시킨다(S12). 또한, 카트리지(1)의 장전시에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2)가 열리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해도, 카트리지(1)가 삽입동작이 되지 않을 경우는 제어회로(87)의 내부의 타이머에 의해 이것이 판정되고(S17), 스텝10으로 진행해서 카트리지덮개(2)를 재차 폐쇄동작을 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87)는 카트리지의 장전을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 소정의 동작을 행하는 제2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트리지구동용의 롤러를 유성기어를 이용하므로서 카트리지셀면으로부터 퇴피하도록 하고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의 일부에 평면부를 형성하여 카트리지의 장전완료상태에 있어서는 그 평면부가 카트리지의 셀면과 대향하도록 해서 카트리지의 셀면과 롤러와의 접촉을 해제하도록 하고 있다.
제12도는 본 실시예의 필름카트리지장전장치를 표시한 사시도이며, 제13도, 제14도는 그 종단면도를 표시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 표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2도에 있어서, (42)는 모터(37)로부터 기어결합되어 있는 롤러구동기어이며 그축에는 평면부(40a)를 가진 롤러(40)가 고정되어 있다. 또 롤러구동기어(42)에는, 1개소에 절취부(41a)를 가진 절취판(41)이 장착되어 있고, 롤러구동기어(42)와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43)는 포토인터러프터(photoinerrupter)이며, 절취판(41)의 절취부(41a)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취부(41a)가 포토인터러프터(43)에 의해서 검지되는 위치에 절취판(41)가 유지되었을 때에 롤러(40)의 평면부(40a)가 카트리지의 셀에 대향하는 위상으로 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모터(37), 롤러(40) 및 롤러구동기어(42)는 카메라에 대한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한쪽을 행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수단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절취판(41) 및 포토인터러프터(43)는, 적어도 카트리지의 필름이송에 상기 제1수단이 불편한 작용을 하지 않게 하기 위한 제2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제13도는 그 롤러(40)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카트리지(1)가, 카트리지장전실내로 인입완료한 후의 롤러(40)의 유지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제1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롤러(40)의 평면부(40a)에 의해서 롤러(40)와 카트리지(1)의 셀면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기 때문에 카트리지(1)에는 롤러(40)로부터의 압압력이 일체가하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필름의 카트리지로부터의 압출(드러스트)구동 및 필름급송(給送)이 안정된 트랙에서 행해진다. 제14도는 카트리지의 카트리지장전실내로의 인입, 또는, 카트리지장전실로부터의 송출구동중의 상태를 표시한 것이며, 롤러(40)가 회전하므로서 그 원주부에 의해 간헐적(間歇的)으로 구성되게 된다. 즉, 카트리지(1)가 카트리지 장전인출구(10)로부터 삽입된 후, 롤러(40)가 구동되어서 롤러(40)의 원주부가 카트리지(1)의 셀면에 압압되면서 회전하므로서 카트리지(1)는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헐적인 마찰력에 의해서 카메라내부에 인입된다. 완전하게 카트리지실의 안쪽까지의 인입이 완료하면,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카트리지검지스위치가 온하면, 포토인터러프터(43)가 절취판(41)의 절취부(41a)를 검지한 위치에서, 모터(37)의 통전을 정지시켜 롤러(4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예에 의하면, 카트리지의 카메라내로의 인입 및 카메라밖으로의 송출조작을 롤러를 사용해서 전동구동하는 것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카메라내로의 인입 완료후는, 카트리지의 셀에 가하여지고 있는 상기 롤러의 압압압력을 해제하기 위해서, 롤러를 셀로부터 퇴피시키도록 한 것이므로, 필름의 드러스트구동시에 카트리지의 스풀축에 포오크로부터의 회전력이외의 외부로부터의 불요한 부하가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된 드러스트구동력을 얻을 수 있고, 필름의 송출, 되감기 등의 필름이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특히 필름의 자기기록에 대해서 필름이송중에 정보의 기록 또는 판독을 행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카트리지구동용의 롤러의 퇴피는 카트리지장전완료의 타이밍에서 행하고 있었으나, 이 퇴피는, 필름의 이송시에 퇴피할 수 있으면 어떠한 타이밍에서라도 상관없다.
또, 카트리지의 장전 또는 인출을 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카트리지를 걸어서 장전 또는 인출을 행하는 등 상기 롤러 이외의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 카트리지에 필름이송으로서 불편한 부하를 작용시키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롤러의 퇴피이외라도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아무것이라도 상관없다.
또, 카트리지를 장전 또는 인출하기 위한 구동원으로서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전동구동수단이나, 스프링이나 수동등, 다른 구동력을 사용해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가 열리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해도 카트리지가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를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하고 있으나, 이 덮개의 폐쇄에 맞추어서 또는, 덮개의 폐쇄대신에 경고 등의 다른 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덮개의 개폐에 맞추어서 또는 덮개의 개폐 대신에 카트리지인입 또는 송출동작 등 다른 동작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카트리지의 장전방향이 실시예 기재한 바와 같이 카메라 아래쪽으로부터 장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예를 들면, 카메라위쪽 또는 옆쪽이라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카트리지가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 축방향으로부터 장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기재한 이외의 형태의 가동차광문짝 또는 그와 같은 것을 구비한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필름이외의 화상기록매체라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기재한 카트리지이외의 형식의 카트리지나 필름이외의 화상기록매체를 가진 카트리지, 또한 그밖의 종류의 카트리지나 전지 등의 카트리지이외의 장전물이라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필름에 대한 정보의 기록 또는 판독이 전자기적(電子氣的), 광학적 등, 자기이외의 것이라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 이외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라고 생각되는 것에 관해서 설명하여 왔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와 반대로, 본 발명은, 첨부된 크레임의 정신 및 범위내에 포함되는 여러 가지 변형예 및 동등한 장치를 커버하는 것이다. 다음의 클레임의 범위는 이와 같은 모드 변형예 및 동등한 구조·기능을 포함하기 위해서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 도면에 개략블록형태로 표시된 개개의 구성요소는 카메라기술분야에 있어서 모두 공지된 것이며, 또한 그들의 특정구조 및 작동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작동 또는 최상의 모우드는 아니다.
또, 본 발명은, 이상의 각 실시예 또는, 그들 기술요소를 필요에 따라서 조합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크레임 또는 실시예의 구성의 전체 혹은 일부가, 1개의 장치를 형성하는 것이라도, 다른 장치와 결합하는 것이라도,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로 되는 것이라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일안(一眼)레플렉스카메라, 렌즈카메라, 비데오카메라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카메라, 또한 카메라이외의 광학기기나 그밖의 장치, 또한 그들 카메라나 광학기기나 그밖의 장치에 적용되는 장치 또는, 이들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6)

  1.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는,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행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수단과,적어도 상기 카트리지의 필름이송에 상기 제1수단이 불편한 작용을 하지 않게 하기 위한 제2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를 압접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롤러의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상기 압접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롤러의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비압접부를 상기 카트리지에 대향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제1수단의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한쪽에 관련해서 상기 제2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3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단은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단이 상기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열어서 소정시간 경과한 후, 자동적으로 상기 장전실의 커버를 닫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를 작동시키는 것에 관련해서 상기 제2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제1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제1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제1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카트리지로부터 고읍되는 필름의 정보기록부에 대하여 필름이송중에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6.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는,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을 행하기 위한 제1수단과,제1수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을 가능하게한 상태에서 소정시간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는, 소정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제2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닫히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닫히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23.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는,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수단과,적어도 상기 카트리지의 필름이송에 상기 제1수단이 불편한 작용을 하지 않게 하기 위한 제2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에 압접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롤러의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상기 압접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롤러의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비압접부를 상기 카트리지에 대향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제1수단의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관련해서 상기 제2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3수단을 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제3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단은,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단이 상기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열어서 소정시간 경과한 후, 자동적으로 상기 장전실의 커버를 닫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를 작동시키는 것에 관련해서 상기 제2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제1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제1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제1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의 정보기록부에 대하여 필름이송중에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8.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는,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을 행하기 위한 제1수단과,제1수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을 가능하게한 상태에서 소정시간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는, 소정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제2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열기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40. 상기 제1수단은,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닫히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닫히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4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4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45.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은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수단과,적어도 상기 카트리지의 필름이송에 상기 제1수단이 불편한 작용을 하지 않게하기 위한 제2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모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에 압접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롤러의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상기 압접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롤러의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비압접부를 상기 카트리지에 대향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50.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제1수단의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51.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관련해서 상기 제2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3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단은,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단이 상기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열어서 소정시간 경과한 후, 자동적으로 상기 장전실의 커버를 닫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55.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를 작동시키는 것에 관련해서 상기 제2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5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제1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5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제1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캠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5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제1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검출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59.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의 정보기록부에 대하여 필름이송중에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0.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은,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을 행하기 위한 제1수단과,제1수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을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소정시간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는, 소정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제2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닫히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4.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5. 상기 제1수단은,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6. 상기 제1수단은,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KR1019940036303A 1993-12-28 1994-12-23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또는, 장치 또는 그들에 적용되는 유닛 KR0178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36706 1993-12-28
JP5336706A JP2952144B2 (ja) 1993-12-28 1993-12-28 カメラ及びカメラの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装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875A KR950019875A (ko) 1995-07-24
KR0178828B1 true KR0178828B1 (ko) 1999-05-15

Family

ID=1830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303A KR0178828B1 (ko) 1993-12-28 1994-12-23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또는, 장치 또는 그들에 적용되는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37961A (ko)
EP (1) EP0661587B1 (ko)
JP (1) JP2952144B2 (ko)
KR (1) KR0178828B1 (ko)
CN (1) CN1057164C (ko)
DE (1) DE69423721T2 (ko)
TW (1) TW34063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4248A (en) * 1995-08-08 1997-09-02 Fuji Photo Optical Co., Ltd. Photographic camera
US5867746A (en) * 1996-01-31 1999-02-02 Canon Kabushiki Kaisha Film cartridge detecting apparatus
US6049679A (en) * 1998-12-22 2000-04-11 Eastman Kodak Company Active light locking camera closure and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7230U (ko) * 1985-09-27 1987-04-09
JPH01233431A (ja) * 1988-03-15 1989-09-19 Nikon Corp 使用済パトローネ判別装置付カメラ
JP2693024B2 (ja) * 1990-08-01 1997-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US5122823A (en) * 1991-05-13 1992-06-16 Eastman Kodak Company Film cassette loading apparatus in a photographic camera
JP2583873Y2 (ja) * 1993-01-25 1998-10-27 コニカ株式会社 フィルム簡易装填装置カメラ
US5323201A (en) * 1993-06-04 1994-06-21 Eastman Kodak Company Cassette ejecting apparatus
US5430515A (en) * 1993-06-11 1995-07-04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film cartridge from a loading chamber in a camera
JPH07128733A (ja) * 1993-10-28 1995-05-19 Canon Inc カメラ
JPH07199319A (ja) * 1993-12-28 1995-08-04 Canon Inc 使用済みカートリッジ対策のあるカメラ
US5432573A (en) * 1994-04-14 1995-07-11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with cartridge holder movable between open and closed positions and means for moving a film cartridge at least part way out of the cartridge holder
US5418587A (en) * 1994-06-03 1995-05-23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with deployable cartridge receiving cha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597A (zh) 1996-02-28
EP0661587B1 (en) 2000-03-29
KR950019875A (ko) 1995-07-24
JP2952144B2 (ja) 1999-09-20
US6137961A (en) 2000-10-24
JPH07199337A (ja) 1995-08-04
DE69423721T2 (de) 2000-08-03
CN1057164C (zh) 2000-10-04
TW340634U (en) 1998-09-11
DE69423721D1 (de) 2000-05-04
EP0661587A1 (en) 199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5562A (en) Film supporting apparatus for cameras
KR0178828B1 (ko)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또는, 장치 또는 그들에 적용되는 유닛
JP2728267B2 (ja) 光密性カートリッジを使用するカメラ
US6085043A (en) Apparatus having a power switch controlled by an operating device of an optical device
EP0750218B1 (en) Camera with a cartridge loading device
KR0178830B1 (ko)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또는, 장치 또는, 그들에 적용되는 유닛
US5828921A (en) Camera or apparatus adapted to use film cartridge or device applicable to such camera or apparatus
EP0689089B1 (en) Camera adapted to use film cartridge having movable light shield cover
JPH1073881A (ja) カメラ及び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装填装置
US5835810A (en) Automated camera loading chamber
JPH0749528A (ja) カメラのフイルム装填装置
JPH04178638A (ja) 磁気記憶部付フィルムを用いるカメラ
JPH08262560A (ja) カメラのカートリッジ装填装置
JPH06222456A (ja) フィルム簡易装填カメラ
JP2915871B2 (ja) 光密性カートリッジ
JPH08304915A (ja) カートリッジ装填装置
JPH07199336A (ja) カメラの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装填装置
JP2002255410A (ja) フィルム給送装置
JPH086128A (ja) フィルムカット機構を備えたプリワインドカメラ
JPH07306465A (ja) カートリッジ装填装置
JPH07175123A (ja) カメラ
JPH07319018A (ja) カメラのフィルムの簡易駆動装置
JPH01193723A (ja) カメラおよびカートリッジ装填装置
US20040081452A1 (en) Film magazine
JP2648161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