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320B1 -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320B1
KR0178320B1 KR1019960010505A KR19960010505A KR0178320B1 KR 0178320 B1 KR0178320 B1 KR 0178320B1 KR 1019960010505 A KR1019960010505 A KR 1019960010505A KR 19960010505 A KR19960010505 A KR 19960010505A KR 0178320 B1 KR0178320 B1 KR 0178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heated
dilution
wat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913A (ko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김성환
주식회사남촌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주식회사남촌물산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1019960010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320B1/ko
Publication of KR97006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물을 수집 여과하여 고형분은 퇴비화하고 동시에 오수를 정화할 수 있는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정화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수피트 20 : 스크린
30 : 제1침전조 40 : 폭기조
50 : 제2침전조 60 : 배양조
70 : 오니조 80 : 탈수기
90 : 발효조
본 발명은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물을 수집 여과하여 고형분은 퇴비화하고 동시에 오수를 정화할 수 있는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물은 배출원에 따라 화장실로부터 배출되는 분뇨와 주방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및 목욕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 등을 포함하여 그 외에 기타 폐기 처리되는 것들이 있다. 이 중에서 화장실로부터 배출되는 분뇨와 주방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중 고형분은 퇴비화하여 재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가정에서 분뇨를 물로 희석하여 세척하는 수세식으로 처리하여 정화조로 배출하고, 음식물 쓰레기중 고형분은 비닐봉지에 담아서 페기하고 있는 실정이며, 한편 음식물 쓰레기중 액체성분인 오수는 하수구를 통하여 배출하고, 목욕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 역시 하수구를 통하여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물의 이와 같은 처리는 토질 및 수질 오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원을 재활용할 수 없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물중 재활용될 수 있는 고형분은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에 의하여 퇴비화하고,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는 오수 정화 시설에 의하여 정화되도록하는 복합공정형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정화조는 본 출원인 명의로 등록되어있는 대한민국 특허 제72181호의 분뇨 정화조의 무희석 가열식에 의한 부속 퇴비화 장치로서, 본 출원인은 상기의 장치를 더욱 개선하여 음식물 스레기도 퇴비화할 수 있도록하여 이를 1996년 4월 4일 자로 특허출원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번호 제 96-10162호).
대한민국 특허 제 72181호의 분뇨 정화조의 무희석 가열식에 의한 부속 퇴비화 장치는 히이터가 설치된 분뇨 탱크(부숙실)가 가정집의 변소와 연통되는 아래 위치에 설치하고, 그 내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들에 의하여 유입되는 분뇨가 혼합되도록하고, 히이터에 의한 가열 및/또는 부숙열과 호기성 발효균에 의하여 분뇨가 부숙 분해되어 퇴비로서 반출구를 통하여 반출시킬 수 있는 장치이고, 1996년 4월 4일자로 출원된 장치는 대한민국 특허 제 72181호의 가열식 발효조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장치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수집부;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적정 수준으로 제거할 수 있는 탈수부; 및 상기 가열식 발효조로 음식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식 발효조의 온도가 70℃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식 발효조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장치이다.
한편 상기한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장치의 가열식 발효조에 의하여 분뇨도 퇴비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는 다수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분뇨 및 오물 등이 수집되어 여과된 고형분이 수분이 제거된 후, 동일한 가열식 발효조에서 퇴비화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재활용될 수 있는 고형분의 오물을 퇴비화하는 동시에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정화처리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복합공정형 정화장치라고 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정화장치의 구성도이다.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물 중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의하여 처리되는 것은 화장실로부터 배출되는 분뇨와 이를 수세하기 위하여 사용된 물(실선 표시)과 주방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와 목욕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점선 표시)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처리 용량에 따라서 그 규모를 정할 수 있으므로 각 가정마다 설치될 필요없이 다수의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물을 수집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는 복수개의 가정으로부터 수집된 오물이 저장되는 오수피트(10); 상기 오스피트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로부터 일정 크기이상의 오물을 여과하는 스크린(20); 상기 스크린에 의하여 여과된 오수 중 물보다 비중인 큰 오물을 침전시키는 제1 침전조(30); 상기 제1 침전조를 거친 오수 중 유기물질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산화처리되는 폭기조(40); 상기 폭기조에 의하여 산화처리된 처리수와 미생물을 분리시켜서 최종 처리수를 방출하는 제2 침전조(50); 상기 제2 침전조에 의하여 분리된 미생물을 배양하고 상기 폭기조에 활동성있는 미생물을 공급하는 배양조(60); 상기 배양조로부터 배출되는 찌꺼기를 수집하는 오니조(70); 상기 스크린에 의하여 여과된 고형분과 상기 오니조로부터 배출되는 찌꺼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80) 및 상기 탈수기에 의하여 탈수된 고형분 오물을 가열 발효시켜서 퇴비화하는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90)를 포함한다.
상기 오수피트(10)의 용량은 본 발명에 의한 정화장치에 의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가정의 수에 따라서 적정하게 선택된다.
상기 스크린(20)은 지름이 5mm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스크린에 의한 여과에 의한 오물의 제거율은 유입수에 대하여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의 감소율이 약 9%정도이고, 부유 고형물(Suspended Solids, SS)의 제거율이 약 2%이다.
상기 제 1침전조(30)에서는 유입된 오수 중에 물보다 비중이 큰 입자들이 물과의 비중차이로 인하여 아래로 가라앉는 성질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침전시켜서 제거한다.
상기 폭기조(40)에서는 호기성 미생물의 세포합성 과정에 의하여 유입수 중 유기물질이 산화되는 곳이다. 폭기조(40)에 의한 오염물질의 제거율은 유입수에 대하여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의 감소율이 약 90%정도이고, 부유 고형물(Suspended Solids, SS)의 제거율이 약 93%이다.
상기 제 2침전조(50)에서는 유기물을 산화시켜 활성화된 미생물과 처리수를 분리하여 최종 처리수를 배출하고 활성화된 미생물은 다음의 배양조(60)로 보내진다. 제 2침전조(50)로부터 배출되는 최종 처리수의 산소 요구량(BOD)은 약 10ppm이하이고, 부유 고형물(Suspended Solids, SS)은 약 6ppm이하로서 이러한 최종 처리수는 농업용수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정도로 정화된 것이다.
상기 배양조(60)에서는 제 2침전조(50)로부터 공급된 미생물이 배양되고 그중 일부의 활동성있는 미생물이 폭기조(40)로 공급되어 폭기조(40)에서의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산화를 돕는다.
상기 탈수기(80)에서는 상기 스크린(20)에 의하여 결려진 고형분과 오니조(70)에 수집된 찌꺼기로부터 수분이 제거되는데, 탈수기에 의하여 탈수된 후의 수분의 함량은 다음 단계의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90)에 적함한 정도이어야 하고 약 7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90)에서는 탈수된 고형분의 오물이 가열 발효되어 퇴비화되어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하는 복합공정형 정화장치는, 첫째 다수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분뇨와 음식물 쓰레기 중 고형분을 퇴비화하고, 오수는 정화처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고, 둘째 각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물에 의한 토질 및 수질 오염을 줄일 수 있고, 세째 다수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물을 수집하여 처리하므로 오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물을 수집 여과하여 고형분은 퇴비화하고 동시에 오수를 정화할 수 있는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3)

  1.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정화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가정으로부터 수집된 오물이 저장되는 오수피트; 상기 오스피트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로부터 일정 크기이상의 오물을 여과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에 의하여 여과된 오수 중 물보다 비중인 큰 오물을 침전시키는 제 1침전조; 상기 제 1침전조를 거친 오수 중 유기물질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산화처리되는 폭기조; 상기 폭기조에 의하여 산화처리된 처리수와 미생물을 분리시켜서 최종 처리수를 방출하는 제 2침전조; 상기 제 2침전조에 의하여 분리된 미생물을 배양하고 상기 폭기조에 활동성있는 미생물을 공급하는 배양조; 상기 배양조로부터 배출되는 찌꺼기를 수집하는 오니조; 상기 스크린에 의하여 여과된 고형분과 상기 오니조로부터 배출되는 찌꺼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 및 상기 탈수기에 의하여 탈수된 고형분 오물을 가열 발효시켜서 퇴비화하는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지름이 5mm 내지 10mm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기는 탈수된 물질의 수분 함량이 70 중량%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
KR1019960010505A 1996-04-08 1996-04-08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 KR0178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505A KR0178320B1 (ko) 1996-04-08 1996-04-08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505A KR0178320B1 (ko) 1996-04-08 1996-04-08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913A KR970069913A (ko) 1997-11-07
KR0178320B1 true KR0178320B1 (ko) 1999-04-01

Family

ID=1945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505A KR0178320B1 (ko) 1996-04-08 1996-04-08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3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913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9546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wage treatment
US4812237A (en) Water recycle system
US68380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wage treatment
US114076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ediation of wastewater including aerobic and electrocoagulation treatment
KR0178320B1 (ko)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
JPH10290990A (ja) 合併浄化槽
KR0178319B1 (ko) 무희석 가열식 퇴비화 발효조를 이용한 복합공정형 정화장치
KR200267145Y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0434745B1 (ko) 오폐수 처리시스템
JPH022639B2 (ko)
KR100460942B1 (ko) 소화조와 연속 회분식 반응조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및장치
JP2020011197A (ja) 混合排水の中間処理システム及び混合排水の中間処理方法
JP2002282899A (ja) 排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3429788B2 (ja) 厨芥含有汚水の処理装置
KR100458908B1 (ko) 화장실용 오폐수 처리시스템
CN106219905A (zh) 一种高速公路服务区污水处理工艺
JP2001232363A (ja) 排水リサイクルシステム
JP3589659B2 (ja) 汚泥の好気的中高温醗酵処理方法
JP4004370B2 (ja) 浄化槽汚泥の処理方法
Mansi et al. SEWAGE TREATMENT UNIT USING DUAL MEDIA FILTER-A STEP TOWARDS WATER CONSERVATION
JPH0987076A (ja) 生ごみ処理方法
JP4013125B2 (ja) 既設単独浄化槽の生ごみ処理装置への改造方法
JPH09206787A (ja) 厨芥含有汚水の処理装置
KR100720161B1 (ko) 하수, 오수 및 폐수처리장치
JPH06238288A (ja) 中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