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280B1 - 세팔로스포린 항생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팔로스포린 항생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280B1
KR0178280B1 KR1019920016595A KR920016595A KR0178280B1 KR 0178280 B1 KR0178280 B1 KR 0178280B1 KR 1019920016595 A KR1019920016595 A KR 1019920016595A KR 920016595 A KR920016595 A KR 920016595A KR 0178280 B1 KR0178280 B1 KR 0178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minothiazol
isomer
methyl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6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032A (ko
Inventor
엠. 에프. 림 게리
엠. 로우비 존
앤 가로팔로 엘리자베스
Original Assignee
도미니크 엠. 메짜펠
브리스톨-마이어즈 스퀴브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미니크 엠. 메짜펠, 브리스톨-마이어즈 스퀴브 컴패니 filed Critical 도미니크 엠. 메짜펠
Publication of KR930006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14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 C07D501/16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with a double bond between positions 2 and 3
    • C07D501/20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 C07D501/24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or hetero rings, attached in position 3
    • C07D501/38Methylene 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Lactams thereof with the 2-carboxyl group; Methylene 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containing hetero rings attached by the ring nitrogen atom; Quaternary compounds thereof
    • C07D501/46Methylene 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Lactams thereof with the 2-carboxyl group; Methylene 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containing hetero rings attached by the ring nitrogen atom; Quaternary compounds thereof with the 7-amino radical acylated by carboxylic acids containing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의 실릴레이션된 유도체를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신-이성질체로 N-아실레이션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와 △2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 항생제 제조를 위한 무수 아실레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팔로스포린 항생제의 제조방법
제1도는 실시예 10에서 제조된 신(syn)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아세트산-d4(100MHz)에서의 양자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이다.
제2도는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산물의 아세트산-d4(100MHz)에서의 양자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이다.
제3도는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산물의 아세트산-d4(100MHz)에서의 양자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이다.
제4도는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산물의 아세트산-d4(100MHz)에서의 양자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이다.
본 발명은 7-[2-(2-아미노티아졸-4-일)-2-(Z)-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로도 알려진 항생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을 제조하기 위한 화학적 아실레이션 방법 특히, 무수 아실레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티아졸릴 중간체의 신(syn)-이성질체의 안정한 결정염과, 유용하고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항균제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그것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공지된 아실레이션 방법에 의해 세팔로스포레닌산의 7-아미노기와 결합되는 2-(2-아미노티아졸-4-일)-(Z)-2-메톡시이미노아세트산 측쇄를 가지는 세팔로스포린 항생제는 다수가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경우 아실레이션 과정의 일부로써 측쇄의 아미노 부분을 보호하고 카르복실산 부분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티아졸환의 2-아미노기를 위한 다수의 아미노-보호기와 카르복실산을 위한 다수의 활성화 기가 공개되어 있다. 특정한 활성기에 관련하여, 비용과 독성의 관점에서 원하는 항생제를 생산하기 위해 새로운 보호기와 활성기를 연구하는 것은 여전히 과제이다. 따라서, 세팔로스포린 핵의 7-아미노기에 쉽게 커플링되는 기하학적 (Z)-이성질체를 갖는, 단순하고 안정되고 결정상태로 되고 경제적이며 비독성인 측쇄를 위한 유용하고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항생제를 제조할 필요는 여전히 존재한다. 다음은 몇몇 티아졸 측쇄 기술의 대표적인 것이다.
미국특허 제4,203,899호(1980. 5. 20등록)에서 오키아이등은 다음 일반식의 화합물을 공개하였다.
상기식에서 R1은 아미노, 보호된 아미노, 하이드록시 또는 보호된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고; R5는 하이드록시 또는 보호된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고; W는 하이드록시, C1-4알콕시, 할로겐 또 OM(M은 알칼리 금속)을 나타낸다.
영국 특허출원 GB-2,144,424(1985. 3. 6 공개)는 다음 일반식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의 사용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에 의한 일련의 피리디늄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공개한다.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C1-6알킬 레디칼을 나타내고; R4는 수소 또는 아미노 보호기 또는 이 화합물의 활성화된 유도체로 되는 기를 나타낸다.
유럽 특허출원 EP-160,546(1985. 11. 6 공개)에서도 다음 일반식인 치환된 옥시이미노티아졸릴 아세트산 또는 그것의 반응성 있는 유도체의 사용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에 의한 일련의 세팔로스포린 화합물 제조하는 방법을 공개한다.
상기식에서 R8은 수소원자 또는 아미노기의 보호기를 나타낸다. 공개된 반응성 있는 적절한 예로는 혼합된 산 무수물, 산 무수물, 산 할라이드, 활성 에스테르, 활성 아미드, 산 아자이드가 있다.
미국특허 제4,385,181호(1983. 5. 24 등록)에서 파르지 등은 다음 일반식의 티올로에스테르(thioloesters)를 공개한다.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보호 레디칼을 나타내고; R0은 수소, 알킬, 비닐, 시아노메틸 또는 보호 레디칼을 나타내고; R은 알킬, L-2-아미노-2-카르복시에틸, 페닐 또는 컬럼 4-8에 기재된 다수의 다양한 헤테로사이클릭 레디칼과 그들의 신- 및 안티(anti)-이성질체 및 그들의 혼합물을 나타낸다.
위의 참조문헌 외에도 2-아미노 치환체를 위한 다양한 보호기와 7-아미노 세팔로스포린 화합물의 아실레이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카르복실산 부위의 더욱 많은 수의 활성기/이탈기를 공개하는 다수의 참조문헌이 있다.
그러나, 가장 관련있는 기술은 체코슬로바키아 특허 제238,950호(1987. 3. 16 공개)[Chemical Abstracts, Vol. 110, p. 544(1989)]로 다음 일반식을 가지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공개하였으며 그 화합물은 신-구조를 가진다고 주장되었으나, 그 발명에 의한 생성물에 대해 제출된 증거는 염소 함량이 이론값의 99%-100.5%라는 것 뿐이다.
항생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새로운 합성 방법의 개발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당해 기술분야의 다른 전문가들과 마찬가지로 항생물질 제조에 사용될 간단하고, 편리하고, 경제적이고 결정상태로 되고 안정하고 비독성인 출발물질의 필요를 인식하였다. 보호기를 사용하지 않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의 산염화물을 제조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최초의 시도는 성공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마침내 특별하게 제한된 반응조건하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제조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 발견은 본 발명자들이 위에서 인용한 체코슬로바키아 특허의 내용을 재현할 수 없었음에 의해 더욱 확인되었다. 원하는 항생제 생산을 위해 필요한 산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요망되는 신-이성질체는 재현될 수 없었다. 게다가, 부가적인 실험에 의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기술의 공개내용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가 섞이지 않고 양자핵자기공명 스펙트럼(1H NMR)을 가지는, 산 염화물의 요망되는 신-이성질체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이 제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광범위 스펙트럼 항생제인 세페핌은 아부라키 등에 의해 미국특허 제4,406,899호(1983. 9. 27)에서 공개되었으며 그 제조방법은 반응물과 생성물이 방어(blocking)기 및 방어해제(deblocking)기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두 반응체계에 의해 설명된다. 반응체계가 실제적으로 예시화될 때, △2와 △3이성질체의 혼합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생성물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야 하며 이렇게 하여 생상된 세페핌 산물은 양극성 이온(zwitterion) 형태이다. 그러나 세페핌의 양극성 이온형태는 상온 및 상승된 온도에서는 불안정하다.
뮤레이등은 미국특허 제4,910,301호(1990. 3. 20 등록)에서 아부라키등이 미국특허 제4,406,899호에서 공개한 양극성 이온형태의 세페핌과 비교하여 상온 및 상승된 온도에서의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건조분말 형태로 온도에 대해 안정한 세페핌의 결정상태 염을 공개하였다.
미국특허 제4,868,294호(1989. 9. 19 등록)에서 실질적으로 △2이성질체가 없는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염의 제조방법과, 항생물질 세페핌의 황산염으로 제조하기 위한 수용액층 아실레이션 과정에서의 그것의 사용을 공개한다.
미국특허 제4,754,031호(1988. 6. 28 등록)에서 엔젤바우어 등은 양극성이온 형태의 세페핌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세팔로스포린 항생제의 제조방법을 공개하였다. 비록 이 방법이 보호기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세페핌의 양극성이온 형태를 제공하기 위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단계가 필요한 수용액 아실레이션 반응에서 활성화를 위해 무수물을 사용하였다.
미국특허 제4,943,631호(1990. 7. 24 등록)에서 브리엔 이. 루커는 항생제 세페핌을 하이드리오디드 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개선된 방법을 공개한다. 이 방법은 세팔로스포린 설폭사이드 중간체를 이용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2이성질체의 형성을 조절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방법에 2단계를 더 추가한 것이고, 여전히 블라킹 및 디블라킹 과정이 필요한 보호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비용이 많이 들고 비효율적이다. 게다가, 이 과정은 정제 방법으로써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과정이 요구되며 이것은 제조 규모에서는 비실제적이다.
세페핌의 결정상태 황산염 및 양극성이온 제조에 관한 종래의 기술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수용액층 아실레이션 과정을 이용하고 다양한 블로킹 및 디블로킹기와 활성 에스테르를 사용한다. 모든 경우에서 바람직한 결정상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 형태는 정제된 양극성이온 형태의 세페핌을 거쳐서 제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보호기를 첨가하거나 제거하는 단계, 화학량적 조절 단계, 크로마토그래피 단계가 필요없는 간단하고 직접적이며 비용에 있어서 효율적인 아실레이션 과정, 특히 중요하게는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와 △2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원하는 항생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을 생산할 수 있는 아실레이션 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와 △2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 항생제 제조를 위한 화학적 아실레이션 방법, 특히 무수 아실레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광범위한 스펙트럼 항생물질인 세페핌을 제조하기 위한 아실레이션 방법에 사용되는,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안정하고 결정상태의 신-이성질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2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온도에 안정한 결정상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을 제조하기 위해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를,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신-이성질체와 반응시켜 N-아실레이션시키기 위한 무수 아실레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온도에 안정한 결정상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은 다음 구조식 Ⅴ에 의해 표시되며 z는 1 또는 2이다.
본 발명의 무수 아실레이션 방법의 이점은 명백하여 모든 이점이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고려되면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은 이것에 감사하게 될 것이다. 형식적인 아미노 및 카르복실 보호기가 필요하지 않고, 블로킹 및 디블로킹을 위해 필요한 부가적인 화학적 단계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방법에 비해 전체 과정의 효율성 및 산물의 가격의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부차적으로, 원하지 않는 세팔로스포린 부산물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할 필요없이, 또 미국특허 제4,043,631호에서 공개된 바와 같은 화학량적 조절을 위한 설폭사이드 중간체를 사용할 필요없이 메톡시이미노 이성질체의 입체 화학적 배치와 세팔로스포린 핵의 △3이중 결합을 제공,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이점은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유별나고 때때로 복잡한 유기 이탈기를 회피할 수 있는, 구조식 Ⅲ의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신-이성질체의 보호되지 않은 결정상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것이다. 이탈기로 단순한 염화물 이온을 사용하는 것은 2-멀캅토벤조티아졸과 같은 가능성 있는 독성 이탈기의 사용을 피한다. 본 무수 아실레이션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이점은 세페핌의 황산염 또는 양극성이온을 제조, 분리할 필요없이 아실레이션 반응의 혼합물로부터 직접 원하는 온도에 안정한 결정상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두층(diphasic) 용액의 수용액층에서 직접 높은 수율로,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와 △2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잘녹는 결정상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 또는 이수화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안정하고 결정상태의,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가 섞이지 않고 구조식 Ⅲ으로 표시되는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신-이성질체를 제공한다.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가 섞여있지 않으므로 화합물 Ⅲ은 신-이성질체와 안티-이성질체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할 필요없이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광범위 스펙트럼 세팔로스포린으로 전환된다. 안정성이 강화되었으므로 화합물 Ⅲ은 실질적으로 △2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원하는 항생제를 생산하는데 유리한 다른 용매내에서 최종 산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구조식 Ⅲ 중간체의 또 다른 이점은 아실레이션전에 아미노기의 블라킹, 또는 아실레이션 후에 아미노기의 디블라킹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반응과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구조식 Ⅲ의 산 클로라이드의 또 다른 이점은 광범위 스펙트럼 세팔로스포린을 제조하기 위한 아실레이션 과정에 사용된다는 점이다. 아부라키등이 미국특허 제4,406,899호에서 공개한 것등의 다른 방법과는 달리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대부분의 이탈기가, 원하는 항생물질에서 그 이탈기를 제거해야 하는 것에 비해 구조식 Ⅲ의 중간체는 그럴 필요없고 비독성이며 간단한 염화물 이온을 가진다. 또한 당해분야에서 알려진 다른 이탈기를 갖는 몇몇 중간체는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2-멀캅토벤조티아졸과 같은 이탈기를 가지는 중간체에 비하여 제조하기가 어렵다([Chem. Abstracts, 1989, Vol. 111(3), 19243p].
구조식 Ⅲ 산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신-이성질체는, 반응과정 1에서와 같이, 구조식 Ⅰ 산의 신-이성질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구조식 Ⅰ산은 먼저, 공지의 방법에 의해 대응되는 구조식 Ⅱ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 전환되고, 원하는 경우, 구조식 Ⅱ의 무수 결정상태 화합물로써 분리된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형성은 약 -10-50℃에서 톨루엔,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벤젠, 크실렌, 사이클로헥산, 헥산, 디옥산 또는 디에틸에테르와 같은 불활성 용매내에서 최소한 1몰 당량(molar equivalent)의 염화수소 가스와 함께 유리하게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톨루엔, 디클로로메탄 또는 아세토니트릴내에서 반응이 수행되며, 그렇게 하여 생성된 구조식 Ⅱ 하이드로클로라이드는 그 자체로 분리되거나 사용된다. 반응이 아세토니트릴 내에서 수행된 경우, 생성된 구조식 Ⅱ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는 느슨하게 결합된 용매를 보유하는 경향이 있다. 결국은, 공기중의 습기에 의한 솔베이트(solvate) 치환을 회피하기 위해 다음 단계에서 적당한 시간에서 구조식 Ⅱ의 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가장 바랍직하게는, 약 0℃ 내지 상온에서, 톨루엔 또는 디클로로메탄 내에서 반응이 수행된다.
구조식 Ⅱ의 산염은 염소화(chlorinating)제로 처리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Ⅱ의 안정한 결정상태의 신-이성질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디메틸포름아미드와 옥사릴 클로라이드로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 증명되는 바와 같이, 공지된 다른 염소화제를 사용하면 원하지 않는 안티-이성질체로 이성질체화 되거나 신-이성질체 및 안티-이성질체의 혼합물이 생긴다. 게다가,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등의 염소화제는 티아졸환의 5위치를 염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항생제 불순도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자들은 구조식 Ⅱ의 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제조외에도 염소화제 및 용매, 온도등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화합물 Ⅲ의 신-이성질체를 제조하는데 매우 중요한 반응조건의 적절한 선택도 알게 되었다.
산을 활성화하는데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염소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는 염소화제로 가장 널리 사용되나 메톡시이미노기를 이성질체화하여 원하지 않는 화합물 Ⅲ의 안티-이성질체를 만들므로 화합물 Ⅱ의 염소화에는 적당하지 않다. 이것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 12, 13, 14 및 16에서 잘 알 수 있다. 공지된 또 다른 염소화 반응은 디메틸포름아미드와 옥사릴 클로라이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디메틸포름아미드가 촉매로 사용되는 옥사릴 클로라이드 방법이, 원하는 화합물 Ⅲ의 신-이성질체를 실질적인 양 정도로 생산하지 못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것은 실시예 15에 의해 증명된다. 깊이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디메틸포름아미드의 양을 옥사릴 클로라이드 양보다 적은 몰당량만큼 사용하면 원하는 구조식 Ⅲ 산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신-이성질체 생산에 해롭다는 것을 밝혔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포름아미드의 몰당량이 옥사릴 클로라이드의 몰당량 이상이어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디메틸포름아미드의 몰당량이 많은 것 역시 반응과 원하는 산물의 안정성에 좋지 않음을 밝혔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옥사릴 클로라이드에 의해 발생되는 염화물 이온을 과도하게 하거나 디메틸포름아미드를 과도하게 하여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화합물 Ⅲ의 안정하고 결정상태의 신-이성질체 제조에 매우 중요한 반응물질의 불안정성을 조절하는 방법을 밝혔다. 본 발명에서, 구조식 Ⅱ 화합물에서 구조식 Ⅲ 화합물로의 전환이 불완전한 경우 분리된 화학식 Ⅲ 산물에 구조식 Ⅱ산의 신-이성질체가 소량 존재한다. 화합물 Ⅲ 산물에 남아있는 소량의 반응하지 않은 화합물 Ⅱ와 화합물 Ⅲ의 안티-이성질체는, 원하는 항생제의 안티-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섞이지 않은 상기 항생제를 성공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연속적인 아실레이션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염소화 반응의 온도와 반응용매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의 온도에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또는 아세트니트릴등의 불활성 유기 용매내에서 반응이 수행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40℃에서 디클로로메탄 용매에서 반응이 유리하게 수행된다.
유용한 광범위 스펙트럼 항생제를 제조하기 위해, 일반적인 아실레이션 반응에 의해 구조식 Ⅱ 산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신-이성질체를 사용하는 것은 반응과정 2에서 설명된다. 더욱 특별하게, 반응과정 2는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와 △2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광범위 스펙트럼 항생제인 세페핌을 제조하기 위해 구조식 Ⅲ 산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게다가 구조식 Ⅲ 산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는 세포디짐, 세프메녹심, 세포탁심, 세프피롬, 세프포독심, 세프퀴놈, 세프테람, 세프티오퍼, 세페타메트 및 세푸조남과 같은 세팔로스포린 핵의 7-아미노기에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이 결합된 신-이성질체를 가지는 세팔로스포린 항생제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종래 기술의 산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산물이 원하는 신-이성질체에서가 아니라 안티-이성질체에서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산물과 같은 종래 기술의 산물을 반응과정 2와 실시예 4에서 설명되는 아실레이션 반응에 의해 제조된 구조식 Ⅲ 화합물의 신-이성질체와 치환하였다. 실시예 17, 18, 23에 의해 제조된 세팔로스포린 산물을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세페핌 항생제와 비교하였다. 실시예 19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 기술에 의해 제조된 안티-세페핌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용하고 광범위한 스펙트럼 신-세페핌과 동일하지 않다.
본 발명과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섞이지 않은의 개념은 화합물이 원하지 않은 이성질체를 5% 미만으로 포함한다는 것을 뜻한다. 바람직하게는 그 화합물은 1% 미만의 원하지 않는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와 △2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광범위 스펙트럼 항생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은 반응과정 2에서 설명되듯이, 일반식 Ⅳ 화합물을 구조식 Ⅲ 산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신-이성질체로 N-아실레이션시켜 제조한다.
실질적으로 △2이성질체가 섞이지 않고 일반식 Ⅳ로 표시되는(HX는 HCl, HI 또는 H2SO4이다)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염은 브룬디지 등에 의해 미국특허 제4,868,294호에 개시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HX가 바람직하게는 HI인 일반식 Ⅳ 세팔로스포린 중간체는, R과 R1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실릴(silyl)기 또는 극서의 혼합물인 일반식 Ⅳ으로 표시되는 녹는 실릴레이션된(silylated) 유도체 그 자체용액으로 하기 위해 불활성 유기 용매내에서 실릴레이션시키는 것이 이로울 것이다. 한1H NMR 연구에서 R1이 주로 실릴레이션되고 R은 대부분 수소임이 알려졌다. 용액내의 다른 종류의 평형의 일정한 변화 때문에 특정한 시간에 반응 혼합물에서 생성되는 특별한 일반식 Ⅳ 화합물을 동정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은 이 사실에 감사해야 한다. 그러나, 충분한 실릴레이팅제(silylating agent)와, 필요하다면 무수 용액을 구조식 Ⅲ 화합물로 처리하기 전에 구조식 Ⅳ 세팔로스포린 중간체를 녹이기 위한 염기를 첨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하는 실릴레이팅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트리메틸클로로실란, 트리메틸아이오도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 털트부틸디메틸클로로실란, 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 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 비스-(트리메틸실릴)우레아등이다.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클로로실란, 또는 트리메틸클로로실란과 헥사메틸디실라잔의 혼합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클로로실란과 헥사메틸디실라잔의 혼합물이 아실레이션 반응이 사용될 수 이다.
비록 반응에 최소한 1몰 당량의 실릴레이팅제와 최소한 1몰 당량의 염기가 필요하나, 실제로는 구조식 Ⅳ 중간체 용액을 얻기 위해서는 약 2몰 당량의 실릴레이팅제와 약 2몰 당량 또는 그 이하의 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실릴레이팅제가 트리메틸클로로실란과 헥사메틸디실라잔의 혼합물인 경우, 구조식 Ⅵ의 녹는(soluble) 유도체 제조를 위해 어떠한 염기라도 첨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릴레이팅제로써 헥사메틸디실라잔은 부산물로 생성되는 산의 일부를 중화시키기에 충분한 염기를 생산할 것이다. 과량의 염기는 실질적으로 △2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원하는 항생제 제조에 해로우므로 본 발명에서는 트리메틸클로로실란과 헥사메틸디실라잔의 혼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세팔로스포린 핵에서 △2로 이성질체화 되는 △3의 양은 구조식 Ⅵ의 녹는 실릴레이션된 유도체 제조의 반응조건과, 구조식 Ⅴ 화합물 제조를 위해 그것을 구조식 Ⅲ 산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Ⅳ-아실레이션시키는 반응조건에 민감하다. 이성질체화 양은 반응에 필요한 염기, 용매의 양과 첨가순서, 온도등의 요인에 의존한다. 가장 중요하게는, 과량의 염기를 사용함에 의한, 또는 구조식 Ⅲ 산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실릴레이팅제 첨가전에 산을 첨가함에 의한 염기적 조건은 △3에서 △2로의 세페핌 이중 결합의 이성질체화를 증가시킬 것이다. 그러므로 무수 아실레이션 반응에서 비-염기적 반응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당한 염기는 NaHCO3, KHCO3, Na2CO3, K2CO3, 암모니아, 1차 아민, 2차 아민, 3차 아민 등의, 적절한 산수용체인 무기 또는 유기 염기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기 염기는 예를 들면,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운덱-7-엔, N-메틸몰포린, 2,6-루티딘, 2-메틸-6-에틸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N,N-디에틸아닐린,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등이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원한다면, N-메틸몰포린 또는 트리에틸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실릴레이션과 N-아실레이션 반응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구조식 Ⅲ 화합물에 의한 구조식 Ⅵ 화합물의 N-아실레이션에 N-메틸몰포린 또는 트리에틸아민이 사용된다.
위 반응에서 생성되는 잘녹고 실릴레이션된 구조식 Ⅵ 유도체는 구조식 Ⅲ 산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바람직하게는 1몰 당량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간 과량의 산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처리되며 이어서 원하는 항생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구조식 Ⅲ 화합물과 1몰 당량, 바람직하게는 1몰 당량보다 더 적은 양의 염기로 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구조식 Ⅲ 산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염기의 양은 천천히 일부씩 가해진다. 비록 반응온도와 비-염기적 조건이 조절될 수 있다면 반응물을 한꺼번에 첨가할 수 있을 것이나 반응물을 2-3부분으로 나누어 첨가하는 것이 반응을 완전히 수행하기 위해 유리하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적당한 용매는 그 용매내에서 구조식 Ⅵ 실릴레이션된 유도체가 녹고 △3이중 결합의 이성질체화가 가장 적게 일어나는 모든 불활성 유기 용매이며 예를 들면, 톨루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메틸아세트아미드등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약 -60℃∼50℃, 바람직하게는 약 -40℃∼상온에서 수행된다. N-아실레이션이 약 -40℃∼0℃에서 유리하게 수행되는 반면 구조식 Ⅵ 실릴레이션된 화합물의 제조는 약 -10℃∼상온에서 수행된다.
당해 기술분야이 공지된 검출방법, 예를 들면, TLC, HPLC, 분광기적 방법에 의해 확인되듯이 구조식 Ⅵ 녹는 실릴레이션된 화합물의 N-아실레이션이 완전히 끝나면, 원하는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법에 따라 눈에 보이는 고체를 노이고 유기액층과 물층의 두층 용액을 만들기 위해 반응 혼합물에 충분하게 물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에 가하는 물의 양은 반응에서 사용되는 불활성 유기 용매의 선택과 양에 의해 결정되며 층분리가 일어날 만큼 충분하여야 한다. 층분리가 일어나면, 원하는 항생제를 포함하는 물이 풍부한 용액층(rich aqueous solution)(이하 수용액층이라 한다)을 얻기 위해 유기액층을 분리하여 버리는 것이 좋다. 원하는 세페핌염의 결정상태가 잘 일어나도록 하기 위한 원하는 카운터(counter) 음이온을 충분히 공급하기 위해 분리된 수용액층에 염산,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염화칼륨, 황산, 황산나트륨, 황산칼륨, 황산암모늄, 인산,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인산암모늄, 질산, 질산나트륨, 질산칼륨과 같은 산 또는 수용성이고 비독성인 그것의 염을 가하고, 선택적으로 결정상태를 유도하거나 완전하게 하기 위해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아이소프로판올, 부탄올과 같이 물에 분산되는 적당한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희석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와 △2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세페핌의 황산염을 결정상태시키기 위해 수용액층에 충분한 양의 황산을 첨가한다. 황산 세페핌은, 카플란등에 의해 미국특허 제4,910,301호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 결정상태의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황산 세페핌은, 세페핌의 양극성이온 형태를 포함하는 수용액층 또는 수용액층-유기용액을 생산하기 위해 염기, 바람직하게는 공지된 약 염기성 이온 교환수지, 바람직하게는 엠벌라이트 LA-2, 도웩스 WGR, 바이오-래드 AG3-X4A, 엠벌라이트 IRA 93, 엠벌라이트 35등의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약염기성 이온교환수지로 중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결정상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의 결정상태를 유도하기 위해 위 용액에 충분한 양의 염산을 가하고 선택적으로 물에 분산되는 유기 용매를 가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세톤과 같이 물에 분산되는 유기 용매를 첨가할 때 상기 항생제인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의 결정상태를 유도하고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무수 아실레이션으로 얻은 수용액층에 충분한 양의 염산을 첨가한다. 첨가하는 물에 분산되는 유기 용매의 양은 상기 항생제의 결정상태를 완전히 일어나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이어야 하며, 좋기로는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와 △2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온도에 안정한 결정상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 또는 이수화물을 생산하기 위해서 부피비로 수용액층의 2-9배를 첨가한다.
단지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만을 제조하고자 할 때에는 무수 아실레이션에 의한 수용액층에 충분한 양의 염산을 처리하고, 본 발명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원하는 일수화물 형태의 결정상태를 보장하기 위해 적당한 양의 물에 분산되는 유기 용매로 희석시키는 것이 좋다. 한편,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수화물을 제조하고자 할 때에는 수용액층에 평형 농도보다 많은 양의 염산을 첨가하고, 결정상태가 완전히 일어나도록 첨가하는 부차적인 유기 용매의 첨가전에 크라우드점(cloud point)에서 결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을 정도의 물에 분산되는 유기 용매를 첨가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수용액층으로 부터의 분리 단계가 조심스럽게 조절되지 않으면 결정상태의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과 이수화물의 혼합물이 생산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재결정상태 방법에 의하여 수화물 또는 수화물 혼합물로 부터 원하는 수화물 하나만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결정상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용매와 염산의 농도, 클라우드정(초기 결정상태)에서의 유지시간을 조절하면서 안정한 결정상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수화물을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결정상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수화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또다른 조절된 조건에서 재결정상태함으로써 안정한 결정상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을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항생제의 일수화물 또는 이수화물을 원하는 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4,910,301호에 기재된, 물의 두번째 물(mole)을 쉽게 잃는 불안정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수화물과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결정상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수화물은 두번째 몰당량의 물도 여전히 보유하는 매우 안정된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새로운 결정 이수화물 형태(바늘 모양의 결정)는 매우 안정하고 그 결정형태가 다양한 조건, 예를 들면 70℃ 공기중에서 2달 이상, 50℃ P2O2및 진공상태에서 48시간, 70℃ 오븐 건조기에서 96시간, 상대습도가 높거나 낮은 조건에서 변하지 않음이 밝혀졌다. 결정상태 이수화물은 KBr과 13mm 시료컵을 사용하는 니콜렛(Nicolet) 20SX 스펙트로미터를 가지는 FT-IR 확산 리플렉턴스(reflectance) 스펙트로스코피에 의해 3574cm-1와 3432cm-1에서 특징적인 자외선 흡수피크를 나타낸다. 또한 온도와 습기에 안정한 세페핌의 결정상태 이수화물 형태는 표 1에 나타난 것처럼 X-레이 분말 회절패턴에 의해 결정된다.
표 1에서 d는 플레너 사이의 (interplanar) 공간을 말하고 I/I는 인텐시티의 상대적 백분율이다. X-레이 패턴은 리가쿠 게이거플렉스 X-레이 디플렉토미터(Rigaku Geigerflex X-Ray Diffractometer)와 니켈로 여과된 파장이 1.5425Å인 구리(Kα) 조사에 의해 수집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는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의 실리레이션된 유도체와,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신-이성질체를 불활성 유기 용매내에서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와 △ 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 항생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 신-이성질체의 무수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최소한 1몰 당량의 옥사릴 클로라이드와 최소한 1몰 당량 내지 옥사릴 클로라이드보다 약간 과량의 디메틸포름아미드의 혼합물과 -10℃ 이하의 온도에서 불활성 유기 용매내에서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불활성 유기 용매내에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염과 실릴레이팅제를 반응시켜 실릴레이션된 유도체를 제조하는 것을 추가로 하여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는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와 △ 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 항생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이것은 불활성 유기 용매내에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의 실릴레이션된 유도체와,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신-이성질체를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추가로 유기액층-수용액층의 이상(diphasic) 용액을 얻기 위해 반응용액에 충분한 양의 물을 첨가하고; 충분한 양의 산 또는 그것의 녹는 비독성 염을 첨가하고, 선택적으로, 분리된 수용액층에 물에 분산되는 유기 용매(water-miscible)를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무수 아실레이션 과정에 의한 수용액층으로 부터 직접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 또는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수화물 항생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세페핌(화합물 Ⅴ)의 유용성은 아부라키등에 의해 미국특허 제4,406,899호에 개시되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세페핌의 안정한 이수화물 형태는 미국특허 제4,406,899호의 세페핌의 항생제 특성을 나타내며 유사한 형태로 항생제로써의 유용성을 가진다.
본 명세서와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신(syn)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25g, 124.25mmol)을 톨루엔(250ml)에 현탁시킨 현탁액을 20℃-28℃에서 HCl로 개싱(gasing)시켰다. 각 알리큇 첨가사이에 30분간의 교반을 가하면서 각 8.1g(222.2mmol), 4.8g(131.7mmol)씩의 HCl 알리큇 액표면 밑으로 첨가하였다. 20℃에서 1시간후 질소 분위기하에서 여과하여 생성물을 모으고 톨루엔(50ml)과 헥산(250ml)으로 씻고 20℃-25℃에서 진공으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28.68g(97%) 얻었다.
[실시예 2]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0.77ml, 10mmol)를 디클로로메탄(40ml)에 5℃에서 녹인 용액에, 98% 옥사릴 클로라이드(0.89ml, 10mmol)을 디클로로메탄(4.1ml)에 녹인 용액을 4℃-5℃를 유지하면서 한방울씩 가하였다. 이 현탁액을 -27℃로 냉각시키고 실시예 1에서 제조한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2.37g, 10mmol)을 가하였다. 현탁액을 -25℃에서 2.5시간 교반하였다. 질소 분위기하에서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50ml)과 헥산(100ml)으로 씻은 후 20℃에서 진공으로 건조시켜 희고 결정상태의 표제 화합물을 1.78g(69.5%) 얻었다.
표제의 산 염화물로 아실레이션된 7-아미노 데사세톡시 세팔로스포린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피리딘에 녹인 용액은, 진짜 데사세톡시 세팔로스포린 에스테르를 대조구로 하여 TLC한 결과 진짜 시료와 동일하며 분리할 수 없는, 하나의 띠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1.55ml, 20mmol)를 디클로로메탄(80ml)에 5℃에서 녹인 용액에, 98% 옥사릴 클로라이드(1.78ml, 20mmol)를 디클로로메탄(8.2ml)에 녹인 용액을 5℃-8℃에서 5분에 걸쳐 가하였다. 이 현탁액을 5℃에서 10분간 저어주고 -30℃로 냉각시킨 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4.75g, 20mmol)를가하였다. 현탁액을 -25℃--30℃에서 2.5시간 교반하였다. 질소 분위기하에서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75ml)과 헥산(100ml)으로 씻은 후 20℃에서 진공으로 건조시켜 결정상태의 표제 화합물을 3.57g(69.7%) 얻었다.
표제의 산 염화물로 아실레이션된 7-아미노 데사세톡시 세팔로스포린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고체를 피리딘에 녹인 용액을 TLC한 결과, 원하는 데사세톡시 세팔로스포린 에스테르와 동일하고 분리할 수 없는 하나의 띠로 나타났다.
[실시예 4]
[7-[2-(2-아미노티아졸-4-일)-2-(Z)-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세페핌)의 제조]
아세톤:물이 2:1인 용액 9ml에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모노하이드리오디드(0.85g, 2.0mmol)[피. 브룬디지등에 의해 미국특허 제4,714,760호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와 트리에틸아민을 20℃, pH 6.5에서 녹였다. 트리에틸아민으로 pH 5-7을 유지하면서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신 2-(2-아미노티아졸-4-일)-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0.56g, 2.2mmol)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HPLC로 분석한 결과 원하는 세팔로스포린(세페핌)을 58% 수율로 얻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부라키등이 미국특허 제4,406,899(1983. 9. 27)호에서 개시하고, 카플란 등이 미국특허 제4,910,301호에서 개시한 것과 같이 황산(51% 활성수율)으로 pH 2.2로 산성화시킨 결과 표제 항생제를 황산염 형태로 0.63g을 얻었다.
[실시예 5]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9.75ml, 125.9mmol)를 디클로로메탄(450ml)에 5℃에서 녹인 용액에, 98% 옥사릴 클로라이드(11.21ml, 125.9mmol)을 디클로로메탄(15ml)에 녹인 용액을 5℃-7℃에서 10분에 걸쳐 한방울씩 가하였다. 이 슬러리를 -25℃로 냉각시킨 후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28.5g, 119.9mmol)을 1알리큇 가하였다. 현탁액을 -25℃--30℃에서 3.5시간 교반하였다. 질소 분위기하에서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100ml)과 헥산(400ml)으로 씻은 후 20℃-25℃에서 진공으로 건조시켜 결정상태의 표제 화합물 30.7g(72.5%)을 얻었다.
표제의 산 염화물로 아실레이션된 7-아미노 데사세톡시 세팔로스포린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피리딘에 녹인 용액을 진짜 시료를 대조구로 하여 TLC한 결과, 원하는 세팔로스포린 에스테르와 같은 지점에 띠가 나타났다. 표제의 산 염화물(200mg, 0.8mmol)은 물에 가수분해되었다. 분리된 생성물의1H NMR 결과는 출발물질인 신 산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6]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8.13ml, 105mmol)를 디클로로메탄(350ml)에 5℃에서 녹인 용액에 순도 98%의 옥사릴 클로라이드(9.34ml, 105mmol)를 디클로로메탄(5ml)에 녹인 용액을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첨가 도중의 최고 온도는 7℃였다. 이 현탁액을 5℃에서 10분간 교반하고 -27℃로 냉각시킨 후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23.8g, 100mmol)를 한알리큇 가하였다. 현탁액을 -25℃--30℃에서 2.5시간 교반한 후 질소 분위기하에서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25ml)과 헥산(125ml)으로 씻고 20℃에서 진공으로 건조시켜 결정상태의 산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1.39g(83.5%)를 얻었다.
C6H7N3O2SCl2의 이론값:
C, 28.14; H, 2.76; N, 16.41; S, 12.52;
실험값 C, 28.25; H, 2.93; N, 16.32; S, 12.67.
1H NMR(DMSO-d6) δ:3.93(CH3), 7.04(H5).
[실시예 7]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87g, 432.4mmol)을 22℃에서 톨루엔(870ml)에 현탁시킨 현탁액을 두알리큇 HCl-각 알리큇 사이에 20분간 저어주면서 각각 30분 동안 17.5g, 480mmol, 20분 동안 15.0g, 410mmol의 HCl-로 가스(gas)시켰다. 이 슬러리를 25℃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질소 분위기하에서 여과하고 톨루엔(100ml)과 헥산(400ml)로 씻고 20℃-25℃에서 진공으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100.2g(97.5%)을 얻었다.
C6H8N3O3SCl의 이론값:
C, 30.32; H, 3.39; N, 17.68; S, 13.49; Cl, 14.92;
실험값 C, 30.51; H, 3.39; N, 17.54; S, 13.37; Cl, 14.90.
[실시예 8]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32.4ml, 419.7mmol)를 디클로로메탄(400ml)에 5℃에서 녹인 용액에 98%의 옥사릴 클로라이드(37.4ml, 419.7mmol)를 첨가하였다. 이 현탁액을 -25℃로 냉각시킨 후 실시예 7에서 제조한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95g, 399.7mmol)의 -25℃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25℃--28℃에서 2.5시간 교반하였다. 질소 분위기하에서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100ml)과 헥산(500ml)으로 씻은 후 20℃-25℃에서 진공으로 건조시켜 결정상태의 표제 화합물 84.3g(82.3%)를 얻었다.
C6H7N3O2SCl2의 이론값:
C, 28.14; H, 2.76; N, 16.41; S, 12.52;
실험값 C, 27.90; H, 3.10; N, 16.14; S, 12.27.
1H NMR(DMSO-d6) δ:3.95(CH3), 7.04(H5).
[실시예 9]
[7-[2-(2-아미노티아졸-4-일)-2-(Z)-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세페핌)의 제조]
아세톤 240ml과 물 80ml의 용액에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20.0g, 0.047mol)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종말점을 pH 6.5로 맞추고 N-메틸몰포린으로 채운 레디오미터 ABU 80 자동 적정기를 이용하여 pH를 6.5로 유지하면서 실시예 5에서 제조된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20.0g, 0.0785mol)을 4부분으로 나누어 5분 간격으로 첨가하였다. 첨가가 완전히 끝난후 얇은 슬러리를 상온에서 20분간 더 교반하였다. 6N H2SO421ml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의 pH를 pH 2.65로 낮추었고, 표제 화합물의 침전이 일어났다. 슬러리는 시드(seed)되었으며 상온에서 20분간 교반되었다. 6N H2SO416ml을 첨가하여 슬러리의 pH를 pH 1.8로 다시 맞추고 60분간 더 교반하였다. 진공상태에서 슬러리를 여과하고 물-아세톤(1:1) 용액 70ml로 씻고 아세톤 70ml로 씻어 표제 화합물 24.09g(88.5%, 화학량적 무게)을 얻었다. 이것은 실시예 4의 화합물과, 아부라키 등이 미국특허 제4,406,899(1983. 9. 27)호에서 공개한 세페핌 및 카플란등이 미국특허 제4,910,301(1990. 3. 30)에서 공개한 세페핌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10]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8.76ml, 0.113mol)를 5℃에서 디클로로메탄(375ml)에 녹인 용액에 옥사릴 클로라이드(9.64ml, 0.111mol)를 5℃-6℃에서 첨가하였다. 이 현탁액을 10분간 흔들어주고 -25℃로 냉각시킨 후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25.0g)을 건조 질소 분위기에서 11분에 걸쳐 알리큇 첨가하였다. 그 슬러리를 -25℃에서 2.5시간 흔들어준 후 생성물을 건조 질소 분위기에서 여과하고 고형분을 디클로로메탄 80ml로 씻었다. 생성물을 20℃-25℃에서 P2O2에 더하여 진공으로 건조하여 바랜 노랸색의 결정상태 고체 형태의 목적 화합물 23.88g(88.6%)을 얻었다.
C6H7N3O2SCl2의 이론값:
C, 28.14; H, 2.76; N, 16.41; S, 12.52; Cl, 27.68;
실험값 C, 28.06; H, 2.71; N, 16.26; S, 12.30; Cl, 27.23.
앞 실험의 생성물은 그림 1의 아세트산-d4내에서의 양자핵자기공명 스펙트럼( 1H NMR)에 의해 특징지워졌다.
1H NMR(CD2CO2D) δ:4.14(CH3), 7.10(H5), CH3(4.11) 적분으로 부터의 잔여 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농도는 5.1%이다. 이성질화 H5의 미량 농도는 7.67ppm에서 나타난다.
[실시예 11]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17.92ml, 231.9mmol)를 5℃에서 디클로로메탄(375ml)에 녹인 용액에 옥사릴 클로라이드(19.76ml, 220.8mmol)를 5℃-6℃에서 15분에 걸쳐 가하였다. 이 현탁액을 5℃-6℃에서 10분간 흔들어주고 -25℃로 냉각시킨 후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25.0g, 105.2mmol)를 가하였다. 생성물 슬러리를 생산하기 위해 반응용액을 표제 화합물로 시드시켰다. 현탁액을 -25℃에서 3.5시간 흔든 후 건조 질소 분위기에서 여과하였다. 디클로로메탄(150ml)로 씻고 20-25℃에서 진공으로 건조시켜 결정상태 표제 화합물 9.61g(35.7%)을 얻었다.
산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생성물로 아실레이션된 7-아미노 데사세톡시 세팔로스포린산 디페닐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고체를 피리딘에 녹인 용액은, 진짜 데시세톡시 세팔로스포린 에스테르를 대조구로 하여 낱한 결과 진짜 시료와 동일하며 분리할 수 없는 하나의 띠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체코슬로바키아 특허 제238,950호의 실시예 1의 실험방법을 아래와 같이 반복하였다.
0.06% KF를 포함하는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4.0g) 시료를 21℃에서 벤젠 30ml으로 슬러리로 만들었다. 디메틸포름아미드 한방울 가한후 분말로된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5.0g을 한알리큇 가하였다. 약 2분내에 온도가 34℃로 상승되었고, 반응을 완결시키기 위해 1분 내에 40℃로 올렸다. 용액을 냉각시켰으며 36℃가 되었을 때 침전이 형성되었다. 30분간 교반한 후 온도는 22℃로 되었다. 건조 질소 분위기에서 여과하여, 밝은 노란색 고체를 모아 벤젠 30ml과 헵탄 20ml로 씻었다. 20℃-25℃에서 P2O2에 더하여 진공으로 18시간 건조하여 2.88g을 얻었다.
앞 실험의 생성물은 그림 2의, 아세트산-d4내에서의 양자핵자기공명 스펙트럼(1H NMR)에 의해 특징지워졌다. 그림 2는 7.56ppm에서 H5, 4.34ppm에서 CH3를 나타낸다. 이 스펙트럼은 표제 화합물의 안티-이성질체 구조와 일치하며 상기 체코슬로바키아 특허에 개시된 것처럼 신-이성질체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실시예 13]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체코슬로바키아 특허 제238,950호의 실시예 2의 실험방법을 아래와 같이 반복하였다.
0.06% KF를 포함하는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4.0g)을, KF를 0.22% 함유하도록 조정된 아세토니트릴 20ml으로 슬러리로 만들었다. 디메틸포름아미드를 한방울 가하였으며 온도는 20℃였다. 분말로된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6.0g을 가하자 온도는 40℃로 상승되었으며 완전한 용액이 얻어졌다. 용액을 20℃로 냉각시켰으며 33℃에서 침전이 형성되었다. 30분간 교반한 후 건조 질소 분위기에서 생성물을 수집하고 벤젠 30ml과 헵탄 20ml로 씻었다. 20℃-25℃에서 P2O2에 더하여 진공으로 18시간 건조하여 1.86g을 얻었다.
앞 실험의 생성물은 그림 3의, 아세트산-d4내에서의 양자핵자기공명 스펙트럼(1H NMR)에 의해 특징지워졌다. 그림 3은 7.56ppm에서 H5, 4.31ppm에서 CH3를 나타낸다. 이 스펙트럼은 표제 화합물의 아티-이성질체 구조와 일치하며 상기 체코슬로바키아 특허에 개시된 것처럼 신-이성질체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실시예 14]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체코슬로바키아 특허 제238,950호의 실시예 3의 실험방법을 아래와 같이 반복하였다.
디클로로메탄 30ml에 진한 염산 0.16ml을 첨가하고 -10℃로 냉각시킨 후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6.5g을 첨가하였다. 0℃로 가온한 후 0.06% KF를 포함하는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 4.0g을 한알리큇 첨가하였다. 온도가 2℃로 상승하였다. 0℃에서 9분후에 완전한 용액을 얻었다. 40분후, 침전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생성물 슬러리를 2°-3℃에서 2.8시간 흔들어 준 후 건조 질소 분위기에서 여과하고 벤젠 30ml과 헵탄 20ml로 씻었다. 20°-25℃에서 P2O2에 더하여 진공으로 18시간 건조하여 밝은 노란색 분말을 3.42g 얻었다.
앞 실험의 생성물은 그림 4의, 아세트산-d4내에서의 양자핵자기공명 스펙트럼(1H NMR)에 의해 특징지워졌다. 그림 4는 7.56ppm에서 H5, 4.31ppm에서 CH3를 나타낸다. 이 스펙트럼은 표제 화합물의 안티-이성질체 구조와 일치하며 상기 체코슬로바키아 특허에 개시된 것처럼 신-이성질체는 일치하지 않는다.
[실시예 15]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시도된 제조]
보호된 아미노티아졸 아세트산을 대응하는 산 클로라이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미국특허 제4,203,899호의 실시예 7에서 설명된 일반적인 방법을, 본 발명의 보호되지 않은 아미노티아졸 아세트산에 아래와 같이 적용하였다.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2.38g, 0.01mole)을 벤젠 30.5ml에 현탁시키고 20℃로 냉각시켰다. 옥사릴 클로라이드(2.09ml, 0.024mole)를 첨가하고 디메틸포름아미드(0.50ml, 0.0065mole)를 첨가하였다. 격렬한 가스 발생과 함께 온도가 22℃로 상승되었다. 20℃에서 20분내에 가스발생은 진정되었으며, 슬러리를 20±2℃에서 2시간 흔들어 주었다.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슬러리를 진공상태에서 농축시키고 결과로 생긴 노란색 생성물을 20°-25℃에서 P2O2에 더하여 진공으로 16시간 건조시켰다. 수율은 2.59g이었다.
앞 실험의 생성물은 아세트산-d4내에서의 양자핵자기공명 스펙트럼(1H NMR)에 의해 특징지워졌으며 7.60ppm에서 H5, 4.37ppm에서 CH3을 나타낸다. 생성물의 스펙트럼은 표제 화합물의 안티-이성질체 구조와 일치한다.
[실시예 16]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시도된 제조]
보호된 아미노티아졸 아세트산을 대응하는 산 클로라이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미국특허 제4,203,899호의 실시예 59에 설명된 일반적인 방법을 본 발명의 보호되지 않은 아미노티아졸 아세트산에 아래와 같이 적용하였다.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2.38g, 0.01mole)을 디클로로메탄 25ml에 현탁시켰다. 4℃로 냉각시키고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2.08ml, 0.01mole)를 첨가하였다. 온도가 6℃로 상승하는데 얼음으로 다시 4℃로 냉각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건조 질소 분위기에서 여과하여 침전물을 모으고 디클로로메탄(10ml)로 씻은 후 20°-25℃에서 건조하여 옅은 노란색 고체 1.4g을 얻었다.
앞 실험의 생성물은 아세트산-d4내에서의 양자핵자기공명 스펙트럼(1H NMR)에 의해 특징지워졌으며 7.61ppm에서 H5, 4.34ppm에서 CH3을 나타낸다. 생성물의 스펙트럼은 표제 화합물의 안티-이성질체 구조와 일치한다. 게다가 생성물은 출발물질인 산에 의해 확인된, 전환되지 않은 산(1H NMR에서 7.07ppm에 H5를 4.06ppm에서 CH3를 나타낸다)으로 오염되어 있다.
[실시예 17]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실시예 14의 안티-이성질체)를 사용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HI염의 아실레이션]
10℃로 미리 냉각된 아세톤 9ml과 물 3.4ml의 용액에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HI염(1.13g, 2.66mmol)을 첨가하였다. 트리에틸아민(0.37ml, 2.66mmol)을 사용하여 pH를 6.0-7.0으로 유지하면서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09g, 4.21mmol)을 5부분으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5분간 교반시켰다. 반응 용액을 주위 온도에서 15분간 교반시켰다. 반응용액을 HPLC(그래디언트 C18컬럼, 0.005M NH4H2PO4를 포함하는 2%-25% 아세토니트릴)한 결과 13.08분에서 72.4 면적 백분율의 안티-세페핌을 나타내었고 유지 시간이 8.5분일 것으로 기재되는 신-세페핌은 검출되지 않았다. 황산으로 pH 1.9로 산성화한 결과 황산염 형태의 안티-세페핌을 1.48g 얻었다. 생성물의 동정은1N-NMR 스펙트로스코피(DMSO-d6)으로 확인되었으며 트리에틸아민 염을 0.58몰 포함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실시예 18]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실시예 14의 안티-이성질체)를 사용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HI염의 아실레이션]
10℃로 미리 냉각된 아세톤 108ml과 물 40.5ml의 용액에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HI염(13.5g, 0.0317mol)을 첨가하였다. 14% NH4OH 2.7ml을 사용하여 슬러리 pH 7.0으로 조절하였다.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3.05g, 0.015mol)을 부분으로 나누어 10℃에서 첨가하였는데 14% NH4OH 27ml을 사용하여 첨가 전반부는 pH를 6.3-7.0으로 유지하였고 후반부는 6.1-6.6로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30분간 교반시키고 연마(polished) 여과시킨 후 아세톤/물이 2:1인 용액 6ml로 씻었다. 이때 여과액에 6N H2SO415ml을 천천히 가하여 pH를 1.87-1.90으로 조정하였다. 1시간 교반한 후 불용성 성분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아세톤/물이 2:1인 용액 21ml으로 씻고 다시 아세톤 30ml로 씻었다. 여과액에 30분에 걸쳐 아세톤 1ℓ를 가하고 5-8℃에서 40분간 교반하였다. 여과하여 생성물을 모으고 아세톤/물이 4:1인 용액 24ml로 두번 씻은 후 진공으로 건조시켜 황산염 형태의 안티-세페핌(HPLC에 의해 95.4% 순도) 20.64g(116% 화학량 무게)를 얻었다.1H-NMR 스펙트럼은 암모늄 염 3 몰을 함유하는 안티-세페핌 구조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19]
[물리적 특성에서 다음과 같은 차이를 나타내는 실시예 9의 산물(세페핌 신-이성질체)과 실시예 17(세페핌 안티-이성질체)의 비교]
세페핌 이성질체의 HPLC는 워터스사의 μ본다펙(Waters μBondapack) C18컬럼(3.9×300mm)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용매로는 헵탄 설포닌산 나트륨염 2.88g(0.013mol)을 함유하고 아세트산으로 pH 4.0로 맞춘 물 1000ml과 아세토니트릴 100ml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였고 용출속도는 2.0ml/min으로 하였다. 파장을 254λ로 지정한 워터스 모델 450 다양한 파장 검출기를 이용하여 산물을 가시화하였으며 다음 결과를 얻었다.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형태의 세페핌 신-, 안티-메톡심 이성질체의 양자 NMR 스펙트럼은 중수소화된 디메틸 설폭사이드를 용매로 사용하여 브룩커(Bruker) AMX-400 FT NMR 스펙트로미터에서 수행되었다. 2.49ppm에서 DMSO를 대조구로 하여 화학적 이동을 관찰하였다. 아래 표와 그림에 표시된 숫자 매김은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다. 신- 및 안티-세페핌
위에서 알 수 있듯이 세페핌의 2개의 메톡심 이성질체의1H NMR 스펙트럼은 상당히 다르다. 신-(Z)메톡심 이성질체의 티아졸환 CH(18)은 6.88ppm으로 7.57인 안티-(E)메톡심 이성질체 CH(18)보다 윗쪽에 나타난다.
[실시예 20]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신-이성질체)를 사용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HI염의 무수 아실레이션]
질소 분위기하에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HI염(50g, 0.1176mol)을 아세토니트릴 500ml내에서 -20℃로 냉각시켰다. 온도를 -10℃ 이하로 유지하면서 트리메틸클로로실란(39ml, 2.5eq.)과 트리에틸아민(38ml, 2.3eq.)을 첨가하였다. 이 실릴 혼합물을 -10℃에서 1.5시간 교반시킨 후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실시예 5에서 제조된 신-이성질체)를 각각 15g, 0.50eq.씩 2 알리큇으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트리에틸아민 8ml을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신-이성질체) 7.5g(0.5eq)와 함께 더 첨가하였다. 이 슬러리를 -10℃에서 15분간 교바하고 물 150ml을 첨가한 후 모든 고체를 녹이기 위해 주위의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아세토니트릴층을 수용액층과 분리하고 수용액층에 아세톤 400ml과 6N HCl(2.5eq.)를 첨가하였다. 용액은 시드(seed)되었고 15분간 결정상태되었다. 완전히 결정상태시키기 위하여 아세톤 1000ml을 추가로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1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아세톤 400ml로 씻고 40℃에서 건조하여 세페핌(HPLC한 결과 세페핌·2HCl·H2O가 98.6%) 56.51g을 얻었으며 이것은 카플란등이 미국특허 제4,910,301(1990. 3. 20)에서 개시한 세페핌·2HCl·H2O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21]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신-이성질체)를 사용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HI염의 무수 아실레이션]
질소 분위기하에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HI염(5.0g, 0.01176mol)을 아세토니트릴 50ml내에서 0-5℃로 냉각시켰다. 온도를 5℃ 이하로 유지하면서 트리메틸클로로실란(3.3ml, 2.2eq.)과 N-메틸몰포린(2.7ml, 2.1eq.)을 첨가하였다. 이 실릴 혼합물을 0-5℃에서 1.5시간 교반시킨 후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각각 1.5g, 0.50eq.씩 2 알리큇 첨가하고 10분간 교반하였다.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각각 1.5g, 0.5eq.)와 트리에틸아민(각각 0.8ml, 0.5eq.)를 2 알리큇 더 첨가하였다. 이 슬러리를 0-5℃에서 1시간 교반하고 물 15ml을 첨가한 후 모든 고체를 녹이기 위해 주위의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유기액층을 수용액층과 분리하고 수용액층에 아세톤 60ml과 6N HCl(5ml, 2.5eq.)를 첨가하였다. 결정상태의 시작을 위해 15분간 교반되었다. 완전히 결정상태시키기 위하여 아세톤 80ml을 추가로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1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아세톤 50ml로 씻고 40℃에서 건조하여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86.0% 화학량 무게) 5.78g을 얻었다.
[실시예 22]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신-이성질체)를 사용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HI염의 무수 아실레이션]
질소 분위기하에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HI염(5.0g, 0.01176mol)을 아세토니트릴 5ml내에서 0-5℃로 냉각시켰다. 온도를 5℃ 이하로 유지하면서 트리메틸클로로실란(1.34ml, 0.90eq.)과 헥사메틸디실라잔(1.8ml, 0.75eq.)을 첨가하였다. 이 실릴 혼합물을 0-5℃에서 1시간 교반시킨 후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각각 1.8g, 0.59eq.씩 2 알리큇 10분간 교반하였다. 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각각 1.5g, 0.5eq.)와 트리메틸아민(각각 0.8ml, 0.5eq.)을 2 알리큇 더 첨가하였다. 이 슬러리를 0-5℃에서 1.5시간 교반하고 물 15ml을 첨가한 후 모든 고체를 녹이기 위해 주위의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유기액층을 수용액층과 분리하고 수용액층에 아세톤 30ml과 6N HCl(5ml, 2.5eq.)를 첨가하였다. 결정상태로 시키기 위해 반응물을 10분간 교반하였다. 완전히 결정상태로 시키기 위하여 아세톤 110ml을 추가로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1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고 아세톤 75ml로 씻고 40℃에서 건조하여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 5.45g(81.1% 화학량)을 얻었다.
[실시예 23]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안티-이성질체)를 사용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HI염의 무수 아실레이션]
질소 분위기하에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HI염(2g, 0.01176mol)을 아세토니트릴 20ml내에서 -20℃로 냉각시켰다. 온도를 -10℃ 이하로 유지하면서 트리메틸클로로실란(1.26ml, 2.1eq.)과 트리에틸아민(1.32ml, 2.05eq.)을 첨가하였다. 이 실릴 혼합물을 -10℃에서 1.5시간 교반시킨 후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안티-이성질체)를 1.2g, 1.4당량만큼 첨가하고 -1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위 아실레이션 혼합물의 생성물을 실시예 20에서 제조된,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한 유사한 무수 아실레이션 혼합물과 비교하였다. 위 아실레이션 반응의 HPLC에 의한 주 생성물 피크는 원하는 세페핌 하앵제에 대응하지 않았다. 위 아실레이션 반응의 생성물을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1H NMR, HPLC를 한 결과 데이타가 실시예 19의 세페핌 안티-이성질체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24]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신-이성질체)를 사용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HI염의 무수 아실레이션]
질소 분위기하에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HI염(10g, 0.02252mol)과 디클로로메탄 100ml을 20℃에서 교반하였다. 트리메틸클로로실란(2.35ml, 0.82eq.)과 헥사메틸디실라잔(3.85ml, 1.62eq.)을 첨가하였다. 이 실릴 혼합물의 온도를 25℃로 올리고 1.5시간 동안 25℃-30℃로 유지하였다. 실릴 혼합물을 -40℃로 냉각시키고 -40℃--20℃에서 40분에 걸쳐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6.04g, 0.93당량)을 첨가하였다. 트리에틸아민(1.65ml, 0.5당량)과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21g, 0.19당량)을 첨가하고 -20℃-25℃에서 65분간 유지하였다. 이 슬러리에 물 50ml을 10분에 걸쳐 가하고 대부분의 고체를 녹이기 위해 주위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세리트(celite) 0.5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여과한 후 덩어리를 디클로로메탄 10ml로 씻었다. 수용액층으로부터 유기액층을 분리하고 20℃-25℃에서 5분에 걸쳐 수용액층에 진한 황산(5.0ml, 0.111몰)을 가하였다. 생성물을 결정상태하기 위해 35분에 걸쳐 물층에 아세톤 320ml을 가하였다. 슬러리를 주위 온도에서 20분간 방치하고 1시간 동안 0℃-5℃로 냉각시켰다. 슬러리를 여과하고 아세톤 150ml로 씻은 후 그 고체를 40℃에 건조시켜 황산 세페핌 11.54g(84.9% 화학량 무게)을 얻었다.
[실시예 25]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신-이성질체)를 사용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HI염의 무수 아실레이션]
질소 분위기하에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HI염(10.0g, 0.02252mol)과 디클로로메탄 100ml을 20℃에서 교반하였다. 트리메틸클로로실란(2.35ml, 0.82)과 헥사메틸디실라잔(3.85ml, 1.62)을 첨가하고 실릴 혼합물의 온도를 25℃로 올린 후 25℃-30℃에서 1.5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실릴 혼합물을 -40℃로 냉각시키고 -40℃--20℃에서 40분에 걸쳐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6.04g, 0.93당량)을 첨가하였다. 트리에틸아민(1.65ml, 0.5당량)과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21g, 0.19당량)을 첨가하고 슬러리를 -20℃-25℃에서 45분간 유지하였다. 이 슬러리에 물 45ml을 10분에 걸쳐 가하고 대부분의 고체를 녹이기 위해 주위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세리트 0.5g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세리트(1.0g) 패드를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수옹액층으로 부터 유기액층을 분리한 후 수용액층을 탄소(각각 1.0g)와 두번 교반하고 여과한다. 혼합된 탄소 덩어리는 물(10.5ml), 12N HCl(5ml, 2.5당량) 및 아세톤(20.5ml)의 혼합 용액으로 씻었다. 생성물을 결정상태하기 위해 35분에 걸쳐 혼합된 여과액에 아세톤 320ml을 가하고 씻었다. 슬러리를 주위 온도에서 30분간 방치하고 1시간 동안 0℃로 냉각시켰다. 슬러리를 여과하고 아세톤 80ml로 씻은 후 그 고체를 40℃에서 건조시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 10.25g(76.3% 화학량 무게)을 얻었다.
[실시예 26]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디클로로메탄(570ml)에 녹인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85.3g, 424mmol)을 질소하에서 블랜더로 15분간 분쇄하였다. 이 결과로 얻은 미세한 현탁액을 디클로로메탄(100ml)로 희석시키고, 질소하에서 1ℓ 부치 재킷 반응기(Buchi jaketed reactor)에 옮겼다. 반응기를 질소로 5psi로 가압하고 혼합물을 375rpm으로 교반하고 -2℃로 냉각시켰다. 염화수소(15.4g, 424mmol)을 1분당 0.2g씩 반응기의 헤드 스페이스에 주입하였다. 온도기 2℃ 상승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30분간 추가로 교반하고 여과한 후 질소하에서 디클로로메탄 350ml로 씻었다. 고체를 45℃에서 진공으로 18시간 건조시켜 탈색된 흰색 분말형태의 표제 화합물(110.9g, 111% 수정되지 않은 수율)을 얻었다.
C6H8N3O3SCl의 이론값:
C, 30.32; H, 3.39; N, 17.68; S, 13.49; Cl, 14.91;
실험값 C, 29.37; H, 3.17; N, 16.34; S, 12.70; Cl, 16.99.
1H NMR(DMSO-d6) δ:4.05(s, 3H, CH3), 5.9(s, 15몰% 잔류 CH2Cl2), 7.1(s, 1H, C-5H). 약 2% 안티-이성질체에 대응하는 4.18(s, 3H, CH3)과 7.7(s, 1H, C-5H)에서 신호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27]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질소하에서 아세토니트릴(125ml)에 녹인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25g, 124mmol)을 아세토니트릴(89.2ml, 123.9mmol)에 녹인 1.39M HCl 용액으로 적정하고 10°-15℃로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10°-15℃에서 30분 더 교반하고 여과한 후 질소하에서 아세토니트릴 200ml로 씻고 고체를 45℃에서 진공으로 3시간 건조시켜 탈색된 흰색 분말형태의 표제 화합물(29.5g, 97.4% 수정되지 않은 수율)을 얻었다.
1H NMR(CD3OD) δ:(s, 13% wt/wt, 잔류 아세토니트릴) 4.1(s, 3H, CH3), 7.1(s, 1H, C-5H). 약 0.5%의 안티-이성질체에 대응하는 4.2(s, 3H, CH3)와 7.8(s, 1H, C-5H)에서도 신호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28]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약 11% wt/wt 잔류 아세토니트릴을 포함하는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56.24g, 210mmol)을 디클로로메탄(450ml)에 녹이고 질소하에서 분랜더로 3분간 분쇄하였다. -35℃로 냉각시킨 후, -35℃ 질소하에서 5분에 걸쳐 잘 교반된 빌스메어 시약(Vilsmeier reagent)에 옮겼다. 빌스메어 시약 슬러리는 디클로로메탄(300ml)에 디메틸포름아미드(16.89g, 231mmol)을 녹인 용액에 옥사릴 클로라이드(28.2g, 221mmol)을 0℃에서 일부분씩 난어 첨가하고 -35℃로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첨가하는 동안 반응온도는 -28℃로 상승했다.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은 생성물로 시드(seed)되었다. -28℃--35℃에서 2.5시간 방치한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된 고형분을 질소하에서 디클로로메탄(200ml)으로 씻었다. 30분간 교형분에 질소를 통과시키고 고체를 상온에서 진공으로 12시간 건조하여 탈색된 흰색 분말형태의 표제 화합물(42.9g, 72% 수율)을 얻었다.
1H NMR(CD3OD) δ:4.06(s, 3H, CH3), 7.12(s, 1H, C-5H). 약 5%의 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에 대응하는 7.18과 약 0.5%의 안티-이성질체에 대응하는 7.80(s, C-5H)에서도 신호가 관찰되었다. 아세토니트릴내에서 디에틸아민으로 유도체화한 후 HPLC 분석에 의하면 디에틸아민 유도체로써의 표제 화합물(신-이성질체)은 9.6분, 출발물질인 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은 2.8분, 디에틸아민 유도체로서의 안티-이성질체는 16.4분의 유지 시간을 나타내었다. 신-이성질체: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안티-이성질체의 비는 90:5:1였다.
[실시예 29]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570ml)에 녹인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84.7g, 421mmol)을 질소하에서 블랜더로 20분간 분쇄하였다. 이 결과로 얻은 미세한 현탁액을 디클로로메탄(100ml)로 희석시키고, 질소하에서 1ℓ 부치 재킷 반응기(Buchi jaketed reactor)에 옮겼다. 반응기를 질소로 5psi로 가압하고 혼합물을 375rpm으로 교반하고 -2℃로 냉각시켰다. 염화수소(15.3g, 421mmol)을 1분당 0.2g씩 반응기의 헤드 스페이스에 주입하였다. 온도가 2℃ 상승했다. 혼합물을 0℃에서 30분간 추가로 교반하고 블랜더로 3분간 분쇄한 후 -35℃로 냉각시키고 -35℃, 질소하에서 5분에 걸쳐 잘 교반된 빌스메어 시약 슬러리에 옮겼다. 빌스메어 시약 슬러리는 디클로로메탄(880ml)에 디메틸포름아미드(33.8g, 462mol)를 녹인 용액에 옥사릴 클로라이드(56.1g, 439mmol)을 0℃에서 일부분씩 나누어 첨가하고 -35℃로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첨가하는 동안 반응온도를 -28℃로 상승했다.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은 생성물로 시드되었다. -28℃--35℃에서 2.5시간 방치한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된 고형분을 질소하에서 디클로로메탄(350ml)로 씻고, 고형분에 30분간 질소를 통과시킨 후 상온에서 12시간 건조시켜 탈색된 흰색 분말형태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95.2g, 89%의 수정되지 않은 수율).
C6H7N3O2SCl2의 이론값:
C, 28.14; H, 2.76; N, 16.41; S, 12.52; Cl, 27.68;
실험값 C, 28.11; H, 2.62; N, 16.20; S, 12.22; Cl, 26.74.
1H NMR(CD3OD) δ:4.06(s, 3H, CH3), 7.12(s, 1H, C-5H). 신호는 약 4%의 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에 대응하는 7.18(s, C-5H)와, 약 2%의 안티-이성질체에 대응하는 7.80(s, C-5H)에서도 나타났다. 아세토니트릴내에서 디에틸아민으로 유도체화한 후 HPLC 분석에 의하면 디에틸아민 유도체로써의 표제 화합물은 9.6분, 출발물질인 산은 2.8분, 디에틸아민 유도체로서의 안티-이성질체는 16.4분의 유지 시간을 나타내었다. 신-이성질체:출발물질인 신:안티-이성질체의 비는 90:4:2였다.
[실시예 30]
[세페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에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수화물로의 전환]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300g, HPLC에 의한 순도 99.9%, KF 3.8%)를 이온을 제거한 물(1200ml)에 녹였다. 6N 염산(132ml, 1.5당량)을 첨가하고 용액을 여과한 후 이온을 제거한 물(300ml)로 씻었다.
여과액에 아세톤 1500ml을 첨가하고 추가의 아세톤 4000ml을 20분에 걸쳐 알리큇 첨가하였다. 무거운 이수화물 결정(현미경적 분석에 의하면 바늘모양; 클라우드점에서 시드는 선택적이다)이 형성될 때까지 용액을 클라우드점에서 방치하였다. 25분에 걸쳐 아세톤 8000ml을 더 첨가하였다. 두꺼운 슬러리를 25℃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결정형태는 현미경 분석에 의해 진짜 시료와 비교함으로써 확인되었다. 슬러리를 여과하고 아세톤(2×1500ml)으로 씻은 후 고형분을 40℃에서 진공으로 15시간 건조시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수화물(HPLC에 의한 순도 99.0%, KF 6.5%)을 305.10g(98.6%)을 얻었다.
[실시예 31]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수화물에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로의 전환]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수화물(15.0g, HPLC에 의한 순도 99.2%, KF 6.4%)를 이온을 제거한 물(75ml)에 녹였다. 6N 염산(0.9ml, 0.2당량)을 첨가하고 용액을 약 0.45μ필터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용액에 20분에 걸쳐 아세톤(200ml)을 한 알리큇 가하였으며 용액은 흐려졌다(이 순간에 선택적으로 시드한다). 이 순간에서 지체없이 40분에 걸쳐 아세톤(400ml)을 떨어뜨렸다. 얼음조에서 슬러리를 0°-5℃로 1시간 냉각시켰다.
현미경 분석에 의해 진짜 시료와 비교하여 이 결정이 일수화물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슬러리를 여과하고 아세톤(2×60ml)으로 씻은 후 고형분을 40℃에서 진공으로 15시간 건조시켜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을 13.28g(91.8%)을 얻었다. 이 결정의 구조는 카플란등이 미국특허 제4,910,301에서 개시한 것과 동일함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2]
[7-[2-(2-아미노티아졸-4-일)-2-(Z)-메톡시이미노 아세트아미도]-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의 제조]
상온, 불활성 분위기에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하이드리오디드(14.67g, 0.0345몰)을 디클로로메탄(150ml)에 현탁시켰다. 슬러리에 트리메틸클로로실란(4.7ml)과 헥시메틸디실라잔(7.7ml)을 첨가하고 25-30℃로 1.5시간 가온하였다. 반응을 -50℃로 냉각시키고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7.24g; 0.0283몰)을 3부분으로 나누어 35분에 걸쳐 가하였으며 온도는 서서히 -30℃까지 상승했다. 트리에틸아민(1.47ml)과 신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78g, 0.0069몰)을 첨가하고 -20℃--25℃에서 약 1시간 동안 아실레이션 반응을 진행시켰다. 반응이 완결되면(HPLC에 의해 알 수 있음) 혼합물을 -5℃로 가온하고 물 56ml과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0ml을 첨가하였다. 고체가 녹을 때까지 25℃에서 반응 슬러리를 교반하였다. 층이 분리되었으며 수용액층을 연마, 여과하였다. 수용액층을 활성탄소(3g)으로 탈색시키고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같은 양으로 이등분하였다.
[방법 A]
여과액중 1/2을 12N 염산(11.7ml, 0.14mol)로 산성화시켰다. 이 슬러리를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수화물(0.5g)으로 시드하고 1시간 동안 40℃로 가온한 후 상온에서 하룻밤 방치하였다. 혼합물을 아세톤(126ml)로 희석하고 상온에서 0.5시간 교반한 후 0-5℃로 1시간 냉각시켰다. 여과하여 생성물을 모아 아세톤으로 씻고 45℃에서 진공으로 건조시켰다.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수화물 형태(바늘모양의 결정)의 표제 화합물을 96.3% 순도로 얻었다(9.11g, 87.6% 화학량무게). 칼 피셔(Karl Fischer) 분석에 의한 수분함량은 6.3%였으며, FT-IR(KBr을 사용한 diffuse reflectance) 분석에서 3574cm-1, 3432cm-1에서 흡광 피크를 나타내었다.
[방법 B]
여과액의 나머지 1/2을 6N 염산(15ml, 0.09mol)로 산성화시켰다. 이 슬러리를 20분에 걸쳐 아세톤(280ml)로 희석하고 0-5℃로 1시간 냉각시켰다. 여과하여 생성물을 모아 아세톤으로 씻고 45℃에서 진공으로 건조시켰다.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 형태(과립모양의 결정)의 표제 화합물을 95.5% 순도로 얻었다(8.38g, 83.1% 화학량 무게) 칼 피셔 분석에 의한 수분함량은 3.9%였다.

Claims (19)

  1.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의 실릴레이션된 유도체와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신-이성질체를 불활성 유기 용매에서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안티-이성질체와 △2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 항생제를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트산의 신-이성질체의 무수 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과, 적어도 1몰 당량의 옥사릴 클로라이드와 적어도 1몰 당량 내지 옥사릴 클로라이드보다 약간 과량의 디메틸포름아미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10℃ 이하의 불활성 유기 용매에서 반응시켜 상기 실질저으로 안티-이성질체가 섞이지 않은 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 아세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신-이성질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7-아미노-3-[(1-메틸-1-피롤리디니오)-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염과 실릴레이팅제(silylating agent)를 불활성 유기 용매에서 반응시켜 상기 실릴레이션된 유도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1몰 당량 이하의 염기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유기액-수용액층의 이층 용액을 생성하기 위해 반응 혼합물에 충분한 양의 물을 첨가하고, 분리한 수용액층에 충분한 양의 산 또는 잘녹고 비독성인 그것의 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이 상기 항생제를 제조하기 위한 염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이 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추가로, 결과물인 황산염을 염기로 중화시키고 상기 항생제를 생산하기 위한 충분한 양의 염산을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가 약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옥사릴 클로라이드의 양이 1.0-2.0몰당량이고 디메틸포름아미드의 양이 상기 옥사릴 클로라이드보다 약간 과량의 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옥사릴 클로라이드의 양이 1.05몰당량이고 디메틸포름아미드의 양이 상기 무수 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1.075당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가 -15℃--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릴레이션제가 트리메틸클로로실란과 헥사메틸디실라잔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가 n-메틸몰포린 또는 트리에틸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릴레이션제의 양이 약 2.0-2.5몰당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유기 용매가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클로로메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가 2.5-7.0무게%의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가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가 세페핌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수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19920016595A 1991-09-10 1992-09-09 세팔로스포린 항생제의 제조방법 KR0178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710491A 1991-09-10 1991-09-10
US757,104 1991-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032A KR930006032A (ko) 1993-04-20
KR0178280B1 true KR0178280B1 (ko) 1999-03-20

Family

ID=2504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6595A KR0178280B1 (ko) 1991-09-10 1992-09-09 세팔로스포린 항생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9)

Country Link
EP (1) EP0531981B1 (ko)
JP (1) JP3434840B2 (ko)
KR (1) KR0178280B1 (ko)
CN (2) CN1036587C (ko)
AT (1) ATE209209T1 (ko)
AU (1) AU655838B2 (ko)
BG (1) BG61189B1 (ko)
CA (1) CA2077836A1 (ko)
CZ (2) CZ71996A3 (ko)
DE (1) DE69232216T2 (ko)
DK (1) DK0531981T3 (ko)
EG (1) EG20184A (ko)
ES (1) ES2165351T3 (ko)
FI (2) FI109127B (ko)
HU (1) HU212782B (ko)
IL (1) IL103109A (ko)
MX (1) MX9205147A (ko)
NO (1) NO301930B1 (ko)
NZ (1) NZ244295A (ko)
OA (1) OA09764A (ko)
PH (1) PH31206A (ko)
PL (1) PL174820B1 (ko)
PT (1) PT531981E (ko)
RO (1) RO109651B1 (ko)
RU (1) RU2042681C1 (ko)
SK (2) SK280933B6 (ko)
UY (1) UY23475A1 (ko)
YU (1) YU81692A (ko)
ZA (1) ZA9268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03110A (en) * 1991-09-10 1997-04-15 Bristol Myers Squibb Co Anhydrous process for preparing cefepime dihydrochloride hydrate
CA2101571A1 (en) * 1992-09-08 1994-03-09 Elizabeth A. Garofalo Crystalline dihydrate of a cephalosporin dihydrate salt and injectable compositions thereof
KR19980019860A (ko) * 1996-09-04 1998-06-25 김윤배 세팔로스포린 중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US7847093B2 (en) 2003-04-16 2010-12-07 Sandoz Ag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s of cefepime
EP2218723A3 (en) * 2003-04-16 2010-11-17 Sandoz AG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s of cefepime
GB0416379D0 (en) * 2004-07-22 2004-08-25 Sandoz Ag Organic compounds
ITMI20051684A1 (it) * 2005-09-13 2007-03-14 Harvest Lodge Ltd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el dicloridrato di amminoacidi
RU2469040C1 (ru) * 2011-12-07 2012-12-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МПАНИЯ "ДЕКО"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7-[2-(2-аминотиазол-4-ил)-2(z)-метоксииминоацетамидо]-3-[(1-метил-1-пирролидино)метил]-цеф-3-ем-4-карбоксилата дигидрохлорида моногидрата (цефепима дигидрохлорида моногидрат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13882A (en) * 1982-03-04 1986-11-12 Jun Okumura Cephalosporins
DE3419015A1 (de) * 1984-05-22 1985-11-28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ephalosporinen
GB2165245B (en) * 1984-10-01 1988-05-25 Glaxo Group Ltd Chemical compounds
US4910301A (en) * 1985-08-05 1990-03-20 Bristol-Myers Company Cefepime cephalosporin salts
US4714760A (en) * 1985-08-20 1987-12-22 Bristol-Myers Company Cephalosporin intermediates
IL103110A (en) * 1991-09-10 1997-04-15 Bristol Myers Squibb Co Anhydrous process for preparing cefepime dihydrochloride hyd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K278092A3 (en) 2000-09-12
PL295873A1 (en) 1993-05-04
DE69232216D1 (de) 2002-01-03
PL174820B1 (pl) 1998-09-30
FI119811B (fi) 2009-03-31
FI924031A (fi) 1993-03-11
IL103109A (en) 1997-07-13
CN1059438C (zh) 2000-12-13
EP0531981B1 (en) 2001-11-21
DE69232216T2 (de) 2002-06-27
KR930006032A (ko) 1993-04-20
SK280933B6 (sk) 2000-09-12
ZA926866B (en) 1993-03-09
HU212782B (en) 1996-11-28
NO301930B1 (no) 1997-12-29
CN1158333A (zh) 1997-09-03
CA2077836A1 (en) 1993-03-11
IL103109A0 (en) 1993-02-21
CN1036587C (zh) 1997-12-03
NO923495D0 (no) 1992-09-09
AU2284492A (en) 1993-03-11
UY23475A1 (es) 1992-10-08
CZ278092A3 (en) 1993-03-17
FI924031A0 (fi) 1992-09-09
CN1070398A (zh) 1993-03-31
PT531981E (pt) 2002-05-31
FI109127B (fi) 2002-05-31
SK33698A3 (en) 2000-09-12
YU81692A (sh) 1995-03-27
SK280934B6 (sk) 2000-09-12
DK0531981T3 (da) 2002-05-21
OA09764A (fr) 1993-11-30
JP3434840B2 (ja) 2003-08-11
MX9205147A (es) 1993-03-01
RU2042681C1 (ru) 1995-08-27
EP0531981A1 (en) 1993-03-17
NO923495L (no) 1993-03-11
NZ244295A (en) 1995-08-28
HUT62901A (en) 1993-06-28
PH31206A (en) 1998-05-05
CZ282315B6 (cs) 1997-06-11
HU9202884D0 (en) 1992-11-30
ES2165351T3 (es) 2002-03-16
JPH05194532A (ja) 1993-08-03
CZ282160B6 (cs) 1997-05-14
BG61189B1 (bg) 1997-02-28
EG20184A (en) 1997-09-30
FI20011921A (fi) 2001-10-01
RO109651B1 (ro) 1995-04-28
ATE209209T1 (de) 2001-12-15
AU655838B2 (en) 1995-01-12
CZ71996A3 (en) 199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7692B2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7-[α-amino (4-hydroxyphenyl) acetamido]-3-substituted-3-cephem-4-carboxylic acid
KR0178280B1 (ko) 세팔로스포린 항생제의 제조방법
KR0177828B1 (ko) 티아졸릴 중간체의 신-이성질체를 이용한 세팔로스포린 항생제의 제조방법
EP0175814B1 (en) Process for preparing cephem derivatives
US5594130A (en) Preparation of a cephalosporin antibiotic using the syn-isomer of a thiazolyl intermediate
US5594129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cephalosporin antibiotic
JP2003525932A (ja) 新規チアゾ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698703A (en) Syn-isomer of thiazolyl intermediat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9990054751A (ko) 세펨 유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