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556B1 -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타설용 거푸집틀과 이 거푸집틀을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타설용 거푸집틀과 이 거푸집틀을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556B1
KR0177556B1 KR1019960039653A KR19960039653A KR0177556B1 KR 0177556 B1 KR0177556 B1 KR 0177556B1 KR 1019960039653 A KR1019960039653 A KR 1019960039653A KR 19960039653 A KR19960039653 A KR 19960039653A KR 0177556 B1 KR0177556 B1 KR 0177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brace
manhole
concre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940A (ko
Inventor
염병대
Original Assignee
강행언
주식회사제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행언, 주식회사제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강행언
Priority to KR1019960039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556B1/ko
Publication of KR1998002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oth placing and remov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or mould-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목적] 반원형 거푸집틀의 형태가 시종일관 완벽하게 유지되어 양질의 시공품질을 얻을 수 있고, 인버트 거푸집틀의 설치 및 철거작업이 수월하여 공기단축이 가능한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타설용 거푸집틀과 이 거푸집틀을 이용한 맨홀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 탄성을 지닌 합성수지제 판체(11)를 하반원형으로 절곡한 거푸집(10)과, 거푸집의 양단부를 외향지지하는 하반원형의 단부 버팀틀(20a)과 거푸집의 중간부위를 외향지지하는 하반원형의 중간 버팀틀(20b), 상기 단부 버팀틀 고정용으로서 신축이 가능한 버팀구(30)와, 상기 중간 버팀틀 고정용 걸쇠(40)로 이뤄지는 하수도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용 거푸집틀이다.

Description

맨홀의 인버트 콘트리트타설용 거푸집틀과 이 거푸집틀을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
본 발명은 유입구를 통하여 하수도용 맨홀로 유입되는 하수가 유출관으로 원활히 유출되도록 하기 위한 하수도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타설용 거푸집틀과 이 거푸집틀을 이용한 맨홀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반원형 거푸집틀의 형태가 시종일관 완벽하게 유지되어 양질의 시공품질을 얻을 수 있고, 인버트 거푸집틀의 설치 및 철거작업이 수월하여 공기단축이 가능한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타설용 거푸집틀과 이 거푸집틀을 이용한 맨홀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2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하수도용 맨홀(1)의 인버트(2)는 하수도용 맨홀로 들어온 하수에 섞인 오물이 퇴적되어 발생하는 악취 등을 억제 내지 방지하고 하수의 흐름을 원활케 할 목적으로 시설하는 맨홀의 바닥구조로서, 주로 유입관(3)과 유출관(4)의 하반원에 상당하는 크기의 통수로(5)와 이 통수로(5)의 양쪽 상면을 구배(6)지게 시공한다.
그런데, 실제에 있어서는 반원형의 거푸집 제작이 매우 어렵다. 설령 목재 등으로 1회용 인버트 거푸집을 제작하더라도 콘크리트의 부력을 견딜 수 있게 지지하는 방법이 마땅치 못했다. 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에 거푸집을 해체하기도 어렵다.
이런 이유 때문에 현장사정에 따라 일일이 반원형 인버트를 따로 제작하여 설치하거나, 어렵지만 1회용 목재 거푸집을 제작하여 시공해 왔는데, 기술이 미숙하고 품질관리가 제대로 안되는데다 운반, 설치과정에서 파손요인이 많아 인버트의 시공품질이 낮고, 공기지연요소가 있어 인버트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버트구축용 반원형 거푸집의 형태가 시종일관 완벽하게 유지되어 양질의 인버트시공품질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인버트용 거푸집의 설치 및 철거작업이 매우 수월하여 공기단축이 가능한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타설용 거푸집과 이 거푸집을 이용한 맨홀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제 하반원형 거푸집과; 거푸집의 양단부에서 내주면을 지지하는 단부 버팀틀과; 거푸집의 중간부위를 버텨주는 중간 버팀틀과; 상기 단부 버팀틀을 고정시키는 버팀구와; 중간 버팀틀 고정용 걸쇠로 조합되는 인버트 콘크리트용 거푸집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은 인버트 콘크리트의 길보다도 약간 길게 형성하여 맨홀의 유입,출관의 단부에 짧게 걸치고, 거푸집 설치후 거푸집의 양단부와 중간중간에 버팀틀을 안치하고 단부 버팀틀의 가로대와 유입,출관의 천정 사이에 버팀구를 설치하여 안정시키고 또한 거푸집의 중간에는 중간 버팀틀을 설치하여 걸쇠로 안정시키며, 거푸집틀 설치후 맨홀과 거푸집틀과의 빈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면이 거푸집틀 쪽으로 구배지도록 면을 조정하여 양생하고, 양생후에는 버팀구와 단부 버팀틀의 철거, 걸쇠의 방향 전환에 의한 중간 버팀틀의 철거, 거푸집의 철거순으로 마무리되는 인버트 콘크리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제1도는 맨홀의 단면도.
제2도는 맨홀의 평면도.
제3도는 거푸집의 사시도.
제4도는 단부 및 중간 버팀틀의 사시도.
제5도는 버팀구의 분해도.
제6도는 걸쇠의 분해도.
제7도는 맨홀내에 조립한 거푸집틀을 설치한 것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D방향에서 본 부분절개도.
제9도는 제7도의 I-I선 단면도.
제10도는 인버트 콘크리트 양생후 버팀틀이 제거된 때의 거푸집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맨홀 2 : 인버트 콘크리트
3 : 유입관 4 : 유출관
10 : 거푸집 11 : 판체
12 : 보강목 20a :단부 버팀틀
20b : 중간버팀틀 21 : 가로대
23 : 버팀보울트 받이 30 : 버팀구
31 : 천판 32 : 뿔
33 : 조임쇠 34 : 버팀보울트
35 : 각머리 40 : 걸쇠
41 : 보울트
인버트시공용 거푸집틀은 거푸집(10)과 단부 버팀틀(20a), 중간 버팀틀(20b), 버팀구(30), 및 죔쇠(40)로 구성된다.
제3도에서, 거푸집(10)은 유입,출관의 내반경보다도 약간 작은 반경의 원형관을 절반으로 절단한 하반원형의 단면을 갖되 판체(11)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PE)로 제작한다. 동시에 거푸집(10)은 인버트 콘크리트(2)의 통수로(3)의 반경보다도 작은 반경을 갖되 펼치면 인버트(2)의 통수로(3)와 같은 반경의 반원형으로 퍼지게 구성한다. 판체(11)가 탄성을 가져야하는 까닭은 탈형을 수월케 하는데 있다. 즉, 거푸집틀을 설치하고 인버트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행한 후 탈형하기 전에 거푸집에서 버팀틀을 제거하면 저절로 오무라드는 힘에 의하여 양생면으로 부터거푸집이 쉽게 떨어지게 할 목적이다.
거푸집(10)의 길이는 인버트 콘크리트의 길이보다도 약간 길게 형성한다. 예를들면 유입관과 유출관쪽에 다같이 대략 4-5cm 정도가 유입,출관속으로 들어가 얹힐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거푸집(10)의 내면에는 원주를 등분한 곳마다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보강목(12)을 부착하여 휨응력을 높인다.
제4도에서, 단부 버팀틀(20a)은 거푸집(1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것이고 중간 버팀틀(20b)은 거푸집(10)의 중간부위를 지지하는 것으로, 판체(11)와 보강목(12)을 합친 거푸집(10)의 총두께를 감안한 반경의 반원형이며, L자 형강이나 ㄷ자 형강 또는 ㅁ자 형강 소재를 반원으로 절곡하고 양 단부간에 가로대(21)를 질러 붙여서 형태유지가 가능하다.
단부 버팀틀(20a)은 가로대(21)가 설치시 힘을 받아 처질 우려가 있으므로 가로대(21)의 중앙 밑을 보조대(22)로 떠받치고, 가로대(21)의 상면 중앙에는 버팀구(30)를 설치하고서 조임쇠(33)를 틀때에 버팀보울트(34)의 각머리(35)가 걸려서 따로돌지 않게 하기 위한 밑받이(23)를 부착한 것이다.
중간 버팀틀(20b)은 버팀구(30)의 위를 받쳐줄 요소가 없으므로 걸쇠(40)를 사용하여 가로대(21)의 양단을 윗걸어 고정하는 것으로 안정시킨다.
제5도에서, 버팀구(30)는 거푸집의 양단부에 배치된 버팀틀의 버팀대 중간부와 유입,출관의 천정 사이에 설치하여 버팀틀을 안정시킴으로써 거푸집의 안정을 꾀하는 것이다. 이 버팀구(30)는 유입,출관의 천정에 갖다대는 천판(31)의 저면 중앙에 뿔(32)을 매달아 조임쇠(33)의 상단부를 끼워 지지토록 하고, 이 조임쇠(33)의 아래쪽에서 각머리(35)가 달린 버팀보울트(34)를 나사결합한 것이다.
버팀보울트(34)이 가만히 있는 가운데 조임쇠(33)를 역체결방향으로 틀면 버팀구(30)의 기장이 늘어나고 상기와는 반대쪽으로 조임쇠(33)를 틀면 버팀구(30)의 기장이 줄어든다. 이같은 버팀구(30)의 신장은 맨홀(1)에 거치한 거푸집(10)을 안정시킬 때, 그리고 축소는 거푸집(10)과 단부 버팀틀(20a)을 철거할 때에 이뤄진다.
제6도에서, 걸쇠(40)는 중간 버팀틀용 고정구이며, 중간 버팀틀이 안치될 거푸집(10)의 상변에 보울트(4)로 후단부를 고정한 것이며, 걸쇠(40)는 상기 보울트(41)를 축삼아 제자리에서 수평방향으로 선회가 가능한 형태로 설치한다. 거푸집(10)에 중간 버팀틀(20b)이 안치된 상태에서 걸쇠(40)를 거푸집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안쪽 직각방향으로 돌리면 중간 버팀틀(20b)의 가로대(21)의 상면 양단부가 걸려 윗빠짐이 방지되고 이 상태에서 걸쇠(40)를 거푸집(10)의 길이방향으로 틀면 걸림이 해제돼 중간 버팀틀(20b)을 분리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제7도 이하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하나의 거푸집(10)과 복수의 단부 버팀틀(20a)과 하나 이상의 중간 버팀틀(20b), 버팀구(30) 및 걸쇠(40)를 이용하여 맨홀(1)에 인버트 콘크리트(2)를 구축하는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먼저, 맨홀(1)의 바닥으로 거푸집(10)을 내려서 거푸집(10)의 양단을 유입관(3)과, 유출관(4)의 하반부에 균등하게 걸쳐 놓는다. 거푸집(10)이 인버트 콘크리트의 길이 보다도 8cm를 더 길게 형성한 경우라면 맨홀(1)의 유입,출관에 각각 4cm씩 삽입하여 걸리게 한다.
제8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거푸집(10)을 설치한 후에는 그 양단부 안쪽에 단부 버팀틀(20a)을 내리끼운다. 평소 오무라든 상태였던 거푸집(10)은 단부 버팀틀(20a)이 삽입되면서 내압을 받아 탄력적으로 벌어지며, 이때 벌어지지 않으려고 반발하는 수축성 탄력에 의하여 단부 버팀틀(20a)이 견고하게 물린다.
단부 버팀틀(20a)이 설치된 다음 그 가로대(21)와 유입,출관(3,4)의 천정 사이로 높이를 줄인 버팀구(30)를 들이밀어 각머리(35)가 버팀대(21)상의 버팀보울트 받이(23)에 들어앉게 하고 천판(31)은 유입,출관(3,4)의 천정을 향하게 조정한 후 조임쇠(33)를 역체결방향으로 틀어 기장을 늘리는 것에 의하여 거푸집(10)의 양단부를 안정(고정)시킨다.
제9도에서, 거푸집(10)의 중간에 중간 버팀틀(20b)을 내리끼우고 버팀대(21)의 양단부 위치한 거푸집(10)의 상변에 보울트(41)로 걸쇠(40)을 박아 중간 버팀틀(20b)를 안정시킨다. 이로써 비로서 인버트 콘크리트용 거푸집틀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거푸집(10)과 맨홀(1)과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면을 거푸집쪽으로 구배지게 조정하고 양생한다.
인버트 콘크리트(2)가 양생된 후에는 조임쇠(33)를 체결방향으로 틀어서 기장을 줄인 다음 버팀구(30)를 들어내고, 단부 버팀틀(20a)를 빼낸다. 이어서 보울트(41)를 느슨하게 풀고 걸쇠(40)를 옆으로 틀거나 걸쇠(40)를 해체한 후 중간 버팀틀(20b)을 제거한다.
모든 버팀틀(20a,b)이 제거되면 거푸집(10)의 양쪽 상변 뒤 양생면과의 틈으로 끝이 뾰족한 공구를 들이밀어 가볍게 제끼기만 해도 거푸집(10)은 판체(11)의 탄성 때문에 오무라들므로 쉽게 떨어진다. 탈형후의 거푸집(10)은 맨홀(1) 밖으로 인양한다.
제10도는 인버트 콘크리트(2)를 양생한 후 버팀틀(20a,b)을 제거했을 때 거푸집(10)이 탄력적으로 오무라들어서 탈형이 쉬워진 상태로 변회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같이 거푸집(10)이 오무라드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판체(11) 자체가 탄성을 지닌 합성수지제이고 성형시에 인버트 콘크리트(2)의 통수로(3)의 반경보다도 작은 반경이되 펼치면 통수로(3)와 같은 반경의 반원형으로 펴지도록 구성한데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인버트 콘크리트구축용으로 원주방향으로 벌어지고 향심방향으로 오무라드는 탄성을 가진 하반원형의 거푸집과, 거푸집의 양단부를 외향 지지하여 시종일관되게 거푸집이 하반원형을 유지케 하는 복수의 반원형 단부 버팀틀 및 거푸집의 중간부위를 버텨주는 하나 이상의 중간 버팀틀과, 상기 단부 버팀틀을 잠정적으로 고정시키는 버팀구, 및 중간 버팀틀 고정용 걸쇠로 이뤄지는 인버트 콘크리트용 거푸집틀을 이용하여 하수도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것으로, 인버트 콘크리트 구축용 반원형 거푸집이 버팀틀에 의하여 통수로의 단면형상과 일치되는 하반원형의 형태가 시종일관 완벽하게 유지되는데다 거푸집의 양단부의 외면이 유입관과 유출관이 하반면에 얹힌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므로 양생후의 통수로가 유입,출관의 하반면에 일치되어 단차가 없으므로 하수의 흐름이 순탄해지는 양질의 인버트 콘크리트를 얻을 수가 있다.
또, 거푸집의 판체가 탄성을 지녀서 인버트 콘크리트 양생후의 탈형이 용이하고, 키트화된 거푸집틀은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해 인버트 콘크리트의 완공시간이 단축된다.

Claims (7)

  1. 탄성을 지닌 합성수지제 판체(11)를 하반원형으로 절곡한 거푸집(10)과, 거푸집의 양단부를 외향지지하는 하반원형의 단부 버팀틀(20a)과 거푸집의 중간부위를 외향지지하는 하반원형의 중간 버팀틀(20b), 상기 단부 버팀틀 고정용으로서 신축이 가능한 버팀구(30)와, 상기 중간 버팀틀 고정용 걸쇠(40)로 이뤄지는 하수도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 거푸집틀.
  2. 제1항에 있어서, 거푸집(10)의 기장은 맨홀의 유입관과 유출관의 단부로 짧게 걸칠 수 있도록 인버트 콘크리트의 통수로보다도 약간 길게 형성하고, 반경은 인버트 콘크리트의 통수로의 반경보다도 작게 형성한 하수도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 거푸집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버팀틀(20a)은 버팀목(12)을 포함하는 거푸집(10)의 총두께를 뺀 반경으로 된 하반원이고, 가로대(21)의 상면 중앙에 조임쇠(30)를 체결 및 역체결방향으로 틀 때 버팀구(30)의 버팀보울트(34)가 헛돌지 않게 방지하기 위한 버팀보울트 받이(23)를 부착한 하수도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용 거푸집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버팀틀(20b)은 버팀목(12)을 포함하는 거푸집(10)의 총두께를 뺀 반경으로 된 하반원으로 된 하수도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용 거푸집틀.
  5. 제1항에 있어서, 버팀구(30)는 유입관 및 유출관의 천정에 닿는 천판(31)의 저면에 뿔(31)을 매달아 조임쇠(33)의 상단부를 끼우고, 하단에 각머리(35)가 달린 버팀보울트(34)를 상기 조임쇠(33)에 나사끼움한 하수도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용 거푸집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40)는 그 후단부를 거푸집(10)의 상변에다 보울트(41)로 고정한 하수도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용 거푸집틀.
  7. 맨홀 바닥에 내린 하반원형 거푸집의 양단부를 유입,출관의 단부에 걸터 앉히고, 거푸집의 양단부와 중간중간에 단부 및 중간 버팀틀을 내리끼운 다음에 단부 버팀틀은 그 버팀간과 유입,출관의 천정 사이에 버팀구를 설치하여 거푸집의 단부를 안정시키고 중간 버팀틀은 그 버팀대의 양단을 그 부위의 거푸집 상변에 설치한 걸쇠로 고정하며, 거푸집틀 설치후 맨홀과 거푸집틀과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상면이 거푸집틀 쪽으로 구배지게 면을 조정하여 양생하며, 인버트 콘크리트 양생후 버팀구와 걸쇠-버팀틀-거푸집의 순으로 철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KR1019960039653A 1996-09-13 1996-09-13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타설용 거푸집틀과 이 거푸집틀을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 KR0177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653A KR0177556B1 (ko) 1996-09-13 1996-09-13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타설용 거푸집틀과 이 거푸집틀을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653A KR0177556B1 (ko) 1996-09-13 1996-09-13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타설용 거푸집틀과 이 거푸집틀을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940A KR19980020940A (ko) 1998-06-25
KR0177556B1 true KR0177556B1 (ko) 1999-04-01

Family

ID=1947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653A KR0177556B1 (ko) 1996-09-13 1996-09-13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타설용 거푸집틀과 이 거푸집틀을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017B1 (ko) * 2002-04-09 2005-09-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팽창튜브를 이용한 하수맨홀의 인버트 거푸집 및 그의시공방법
CN111119315B (zh) * 2020-01-14 2024-05-28 中电建生态环境集团有限公司 一种检查井流槽定型模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940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791B1 (ko)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KR101608644B1 (ko) 콘크리트타설 이동칸막이 폼
JP2011127361A (ja) 隣地空無し仮枠rc‐0(ゼロ)
KR0177556B1 (ko)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타설용 거푸집틀과 이 거푸집틀을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
JP2005180171A (ja) 建築物の一部を建造するための内側型枠板
KR101675230B1 (ko) 낙차형 콘크리트 수로관 성형장치
CN110616735A (zh) 一种用于挡土墙的模板体系及挡土墙的施工方法
KR20120110862A (ko) 맨홀의 인버트 콘크리트타설용 거푸집틀과 이 거푸집틀을 이용한 맨홀의 시공방법
CN210342689U (zh) 水池池壁用开槽木模板
JPH0633121Y2 (ja) 配管用孔の補修用型枠
JP3676497B2 (ja) 中空スラブ用ボイド管支持方法
US5108671A (en) Concrete formwork and method for forming a draft tube
JP2704976B2 (ja) 水路構成工法
JPH0711242Y2 (ja) 配管用孔の補修用型枠
KR970009265B1 (ko) 원통형 구조물용 거푸집 및 그의 제작방법
KR200205898Y1 (ko) 맨홀 거푸집
CN220848691U (zh) 剪力墙的支模结构
KR200342269Y1 (ko) 거푸집 체결구조
JPH11241355A (ja) マンホールのインバート継手
KR100451145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옹벽용 배수 슬리브
JPH05501B2 (ko)
KR200303802Y1 (ko) 콘크리트제품 성형금형의 잠금장치
KR0147905B1 (ko) 앵커부재를 이용한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및 그 가설방법
CN213539711U (zh) 反坎模板固定体系
KR200277682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옹벽용 배수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