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905B1 - 앵커부재를 이용한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및 그 가설방법 - Google Patents

앵커부재를 이용한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및 그 가설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905B1
KR0147905B1 KR1019950001233A KR19950001233A KR0147905B1 KR 0147905 B1 KR0147905 B1 KR 0147905B1 KR 1019950001233 A KR1019950001233 A KR 1019950001233A KR 19950001233 A KR19950001233 A KR 19950001233A KR 0147905 B1 KR0147905 B1 KR 0147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fixing
hole
ancho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566A (ko
Inventor
문장수
김인석
Original Assignee
박정구
주식회사금호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구, 주식회사금호건설 filed Critical 박정구
Priority to KR101995000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7905B1/ko
Publication of KR960029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2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build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계 설치용 브라켓트(bracket)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 작업과 동시에 사전 매설시킨 앵커부재(anchor member)를 이용하여 이에 착탈 자재하게 설치되는 브라켓트 및 그 가설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브라켓트는 지지관과,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지지관내로 삽입되는 비계 고정용 수평 돌출봉과, 지지관에 일단이 부착되는 1 또는 2개의 지지간과, 지지간의 타단에 부착되는 1 또는 2개의 고정 부재로 구성되며, 고정부재가 콘크리트에 사전 매설된 앵커부재에 착탈 자재하게 나합 고정되며, 브라켓트의 가설은 콘크리트 양생시 앵커부재를 사전 매설시키고 이에 브라켓트를 나합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조립식 공법과 현장 시공법 모두에 적용 가능하고, 원하는 어떠한 위치에도 안전성 높게 설치 가능하며 그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비계 소요량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시공 효율성 및 작업 효율성이 높으므로 공사비 절감 및 공정 단축의 효과가 있는 신규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앵커(Anchor) 부재를 이용한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및 그 가설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트의 사용상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트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 A부분의 횡단면도
제4도는 제 2 도 B부분의 분해도
제5도는 제2도에 나타낸 브라켓트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제6도는 제2도에 나타낸 브라켓트의 사용상태도
제7, 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트의 사시도
제9도는 제7, 8도에 나타낸 브라켓트의 가설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단면도
제10도는 제2도 B부분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트의 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에 나타낸 브라켓트의 A부분의 대향면에서 본 일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1,11',111 : 본 발명의 브라켓트 2,12,112 : 지지관
3,13 : 수평돌출봉 4,14 : 돌출봉 선단부
5,15,115 : 우측 지지간 6,16,116 : 좌측 지지간
7,17,117 : 우측 보강대 8,18 : 좌측 보강대
9,19,119 : 우측고정부재 10,20,120 : 좌측고정부재
21 : 엘보우 22,22':ㄴ형 통공
23,47 : 너트부 24 : 협지핀
25,36 : 돌출부 26 : 장공
27,28 : 통공 29 : 더블핀
30 : 나사부 31,34 : 너트
32 : 앵커부재 33,55 : 지지판
35 : 안내로 40 : 철근 콘크리트
41 : 거푸집 42 : 지지목
43 : 지지대 44 : 버팀대
45 : 비계 46 : 클램프
48 : 볼트부 51 : 앵커 지지간
52 : 커버판 53,57 : 너트형 니플
54 : 와셔 56 : 볼트
본 발명은 브라켓트(bracket) 및 그 가설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 작업과 동시에 사전 매설시킨 앵커(Anchor) 부재를 이용하여 이에 착탈 자재하게 설치되는 브라켓트 및 그 가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축물의 신축시나 개축, 증축시에는 시공에서부터 완공때까지 지면에서부터 건축물의 최상층까지, 즉 건축물의 높이 만큼 비계를 가설한 상태에서 공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이는 건물의 높이 만큼의 비계가 소요되므로 막대한 량의 비계가 소요되어서 건축비의 상승을 초래하였으며 비계 자체의 누적 하중으로 인하여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고, 비계 설치 및 해체에 따른 공사 기간이 지연되었으며, 비계가 지면으로부터 설치되므로 흙더미나 기타 폐자재의 제거 작업 및 하부층 외면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최상층의 미장 공사가 완료되어 비계를 해체한 이후에 실시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작업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 실용신안 공고 번호 제 92-8222호, 93-1484호, 93-5575호, 93-5576, 한국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 93-27284호 등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 브라켓트들은 모두 건축물의 발코니 턱이나 베란다 단턱등의 구조물에 재치된후 브라켓트의 후방 또는 상방에서 나사등의 수단을 이용한 누름판이나 협착판의 전진에 의해 협지되도록 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브라켓트들은 발코니 턱이나 베란다 단턱등의 구조가 없는 건축물이나 건물의 측면 등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나사봉의 전진에 의해 협지되는 것이므로 협지력이 약하고 급격하고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누름판이나 협착판에 연결된 나사봉이 휘거나 파단될 우려가 있으며 발코니턱등의 벽체 너비가 작은 경우에는 누름판이나 협착판이 과다하게 전진하여 압압 지지되므로 위와 같은 우려가 더욱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코니 턱이나, 베란다 단턱등의 지지 구조가 없는 건물의 측면에 사용하기 위한 브라켓트로서 한국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 94-32328호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된 바 있으나, 이 브라켓트는 건물 측벽의 거푸집 작업시 형성되는 폼-타이(form-tie) 구멍에 삽지 고정되는 것으로서 그 설치 개소의 선택에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코니 턱이나 베란다 단턱 또는 폼-타이 구멍 등의 유무에 관계없이 브라켓트를 가설하고자 하는 위치에 앵커부재를 사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킨 후 이에 본 발명의 브라켓트를 착탈 자재하게 가설하거나, 앵커부재와 본 발명의 브라켓트를 함께 가설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키는 것에 의해 브라켓트의 설치 개소 선택에 아무런 제약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하중을 근거로 사전에 일률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안전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공사 기간의 단축과 공사비의 절감을 가능케 하면서도 작업 또한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지지관과,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지지관 내로 삽입되는 비계 고정용 수평 돌출봉과, 지지관에 일단이 부착되는 하나의 지지간과, 지지간의 타단에 부착되는 하나의 고정 부재로 구성되며, 고정 부재가 콘크리트중에 사전 매설된 앵커부재에 나합 고정되는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번재 목적은, 지지관과,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지지관내로 삽입되는 비계 고정용 수평 돌출봉과, 지지관에 일단이 부착되는 2개의 지지간과, 지지간의 타단에 각각 부착되는 2개의 고정 부재로 구성되며, 고정 부재가 콘크리트 중에 사전 매설된 앵커부재에 나합 고정되는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지지관과, 지지관에 일단이 부착되는 2개의 지지간과, 지지간의 타단에 각각 부착되는 2개의 고정 부재로 구성되며, 고정 부재가 콘크리트중에 사전 매설된 앵커부재에 나합 고정되는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네번재 목적은, 조립식 콘크리트(PC : Precast Concrete)공법에 의한 바닥 슬라브 또는 벽체의 성형시, 형틀상의 적정 위치에 앵커부재를 설치 고정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형틀로부터 양생된 콘크리트 바닥 슬라브 또는 벽체를 취출하고 앵커부재가 사전 매설된 콘크리트 바닥 슬라브 또는 벽체를 PC공장으로부터 건축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한 후, 사전 매설된 앵커부재에 첫번째 내지 세번째 목적에 의한 본 발명의 브라켓트의 고정 부재를 너트 또는 볼트로 착탈 자재하게 나합 고정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공법에 있어서의 비계 설치용 브라켓트의 가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목적은, 현장 시공법에 의한 바닥 슬라브 또는 벽체의 시공시, 거푸집 제작과 동시에 앵커부재를 거푸집상의 적정 위치에 설치 고정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거푸집을 제거하고 사전 매설된 앵커부재에 첫번째 내지 세번째 목적에 의한 본 발명의 브라켓트의 고정 부재를 너트 또는 볼트로 착탈 자재하게 나합 고정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현장 시공법에 있어서의 비계 설치용 브라켓트의 가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 뿐이라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지지간(5)을 갖는, 슬라브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의 사용상태도 이다. 제 1 도에 나타낸 브라켓트(1)는 본 발명의 실시예중 가장 기본적인 구성으로 되어있다. 즉, 지지관(2)과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지지관(2)내로 삽입되는 비계 고정용 수평 돌출봉(3)과, 지지간(2)에 일단이 부착되는 지지간(5)과, 지지간(5)의 타단에 부착되는 고정부재(9)로 구성되며, 고정부재(9)가 콘크리트중에 사전 매설된 앵커부재에 나합 고정된다.
이들 구성요소 각각은 제 2 도에 나타낸 브라켓트(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후술하는 제 2 도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라며, 브라켓트(1')의 돌출봉 일 선단부(4)에 대하여 설명하면, 선단부(4)가 90°각도로 상방으로 만곡되고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안내로(35)가 형성된다. 비계(45)의 단부에는 돌출부(36)가 형성되어 비계(45) 장착시 안내로(35)를 따라 이동하여 안내로(35)의 단부에 삽입 고정된다. 비계(45) 설치시에는 하방으로만 하중이 가해지므로 견고히 협지되며, 비계(45) 해체시에는 비계(45)를 상방으로 힘을 가하여 비틀어 인출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의 지지간(5),(6)을 갖는, 슬라브에 가설되는 브라켓트의 측면도이다.
지지관(2)은 사각 또는 원형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통공(28)이 관통형성되며 그 대향면상의 대응 위치에도 통공(28)이 관통 형성된다.
지지관(2)의 일단에는 비계 고정용 수평 돌출봉(3)이 삽입되며, 측면에는 다수의 관통 통공(27)이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형성되며 그 대향면상의 대응 위치에도 통공(27)이 형성된다.
따라서, 비계 설치 위치에 맞게 수평 돌출봉(3)을 지지관(2)으로부터 적정 길이 만큼 인출하거나 지지관(2)내로 수납하여 지지관(2) 상의 통공(28)과 수평 돌출봉(3) 상의 통공(27)을 일치시킨 후,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더블 핀(29)을 삽입하고 그 일단 또는 양단에 형성된 나사부(30)에 너트(31)로 나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평 돌출봉(3)의 인출 길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고정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수평 돌출봉(3)의 고정 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임의의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예컨대, 지지관(2)에 하나의 통공(28)만을 형성시키고 수평 돌출봉(3)에는 통공을 형성시키지 않고서 통공(28)을 통하여 나비 고정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여 압지시킬 수도 있다.
지지관(2)의 상단부에는 우측 지지간(5)과 좌측 지지간(6)이 용접 또는 나사 고정 수단에 의해 부착되며, 지지간(5),(6)은 사각 또는 원형 파이프나 ㄷ자형 또는 ㄴ자형 채널(channel)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관(2)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지지간(5),(6)의 타단에는, 브라켓트(1)를 앵커부재에 나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9),(10)가 각각 부착된다. 고정 부재(9),(10)은 평판, ㄴ자형 또는 ㄷ자형 채널의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며 앵커부재에 나합시키기 위한 통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브라켓트(1')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우측 및 좌측 보강대(7),(8) 또는 우측 보강대(7)만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보강대(7),(8)의 형상은 사각 또는 원형 파이프나 ㄷ자형 또는 ㄴ자형 채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대(7),(8)의 일단은 지지관(2)에 용접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타단은 지지간(5),(6) 또는 지지간(5),(6) 및 고정부재(9),(10)에 함께 고정되어 트러스트 구조로 형성시킬 수 있다.
제 4 도는 제 2 도의 B부분에 대한 분해도이며, 비계 고정용 수평 돌출봉(3)의 선단부(4)가 엘보우(21)에 한정된 범위내에서 이동하게 협지됨을 나타낸다.
수평 돌출봉(3)의 선단부(4)의 측면 중앙부에는 장타원형의 장공(26)이 형성되며 그 대칭면의 대응위치에도 장공(26)이 형성된다.
협지핀(24)은 수평 돌출봉 선단부(4)에 삽입된 상태에서 선단부(4)를 압압하여 협지핀(24)상의 돌출부(25)가 장공(26)의 외부로 돌출되게 한다. 협지핀(24)이 선단부(4)에 고정된 상태에서 엘보우(21)의 L형 통공(22)내로 삽지 시킨다. 이때 협지핀(24)의 양 돌출부(25)는 L형 통공(22')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엘보우(21)의 상부에 형성된 너트부(23)에 비계를 가설하여 사용시 엘보우(21)가 하방으로만 하중을 받게 되므로 협지핀(24)의 돌출부(25)가 엘보우(21)의 통공(22')상단에 걸린 상태로 고정되고, 운송, 보관 등의 경우를 위하여 엘보우(21)를 지지관(2) 방향으로 90°각도로 회전시켜 접철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엘보우(21)를 상방으로 힘을 가하여 돌출부(25)가 엘보우(21)상의 L형 통공(22')하단에 걸리게 하는 것에 의해서 엘보우(21)를 90°각도로 접을 수 있게 된다.
수평 돌출봉(3)의 선단부(4)를 엘보우(21)에 협지시키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임의의 적절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엘보우(21)를 L형의 2조각으로 하고 협지핀(24)의 돌출부(25)와 수평 돌출봉(3)의 선단부(4)를 적정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 2조각의 엘보우(21) 상하부 외주상의 나사부에 원형 너트(23)를 나합시키거나 돌출 고정 지지편(도시하지 않음)을 2조각의 엘보우(21)의 동일 위치에 형성시킨 다음 볼트와 너트로 나합 고정시킬 수도 있다.
제 5 도는 제 2 도에 나타낸 브라켓트(1')의 고정부(9)(10)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로서, 현장 시공법에 의한 슬라브 시공시 베니어 합판등으로 형성되는 거푸집(41)제작과 동시에 앵커부재의 일구체예로서의 앵커 볼트(32)를 거푸집(41)상의 적정 위치에 설치한 후 각목 등과 같은 지지목(42)설치시 고정 부재(9),(10)의 상면에 플라스틱 수지 성형체로 된 지지대(43)를 게재시킨 다음, 브라켓트(1)의 고정부재(9)(10)를 지지판(43)을 게재하여 너트(34)로 나합 고정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것이다. 플라스틱 수지 성형체로 된 지지대(43)의 사용은 거푸집(41)의 지지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일뿐, 그 사용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제 6 도는 제 2 도에 나타낸 브라켓트(1')의 사용 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브라켓트(1')를 거푸집(41) 설치시 함께 설치하여 시공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양생후, 지지목(42), 버팀대(44)등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브라켓트(1')는 가설된 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수평 돌출봉(3)의 선단부(4)에는 엘보우(21)가 협지되고 엘보우(21)위에는 비계(45)가 가설된다. 또한, 수평 돌출봉의 중간부에는 필요에 따라 공지의 클램프(46)를 사용하여 비계(45)를 가설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지지간(15)을 갖는, 벽체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의 사시도로서, 그 기본 구성은 제 1 도에 나타낸 슬라브상에 가설되는 브라켓트(1)와 거의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7 도에는 지지간(15)과 고정 부재(19)가 각각 하나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브라켓트(11)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고 수평 돌출봉(3)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연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수평 돌출봉(13)의 양단에 엘보우(21)를 모두 설치하거나, 그 일단만을 90°각도 상방으로 만곡시키고 그 내부에 너트부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비계(45)의 하단에 볼트부를 형성하여 나합 고정시킬 수도 있다.
제 8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의 지지간(15),(16)을 갖는, 벽체에 가설되는 브라켓트의 사시도이다.
그 기본 구성은 제 2 도에 나타낸 슬라브상에 가설되는 브라켓트(1')와 거의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제 8 도에는 지지간(15),(16)과 고정 부재(19),(20)가 2개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제 9 도는 제 7, 8 도에 나타낸 브라켓트(11)의 가설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단면도로서, 그 기본 구성은 제 1 내지 5도와 거의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제 9 도에 나타낸 브라켓트(11)는 거푸집(41)상에 고정시킨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거푸집(41) 제거의 편의를 위하여 그 고정부재(20)를 거푸집(41) 대용으로 직접 콘크리트(40)면에 당접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 앵커부재의 일예로서의 앵커 볼트(32)에 대한 브라켓트(11)의 고정을 거푸집(41) 제작시 또는 콘크리트 양생후 거푸집(41)을 제거한 다음 수행할 수도 있고, 플라스틱 수지 성형체로 된 지지대(43)를 거푸집(41)과 고정부재(20) 사이에 게재시켜 거푸집(41) 제작과 동시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제 10 도는 제 2 도 B 부분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로서, 접철식 엘보우(21)를 사용함이 없이 수평 돌출봉(3)의 선단부(4)를 단순히 L자형으로 만곡시킨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수평 돌출봉(3)의 선단부(4)에는 너트부(47)를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이는 선택적인 것이며, 통상의 클램프(46)를 사용하여 비계(45)를 가설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 10 도의 예는 제 2 도뿐만 아니라 제 1, 8 도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 11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트의 측면도로서 슬라브에 가설된다.
지지관(112)은 원형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그 일단부는 90°각도로 상방으로 만곡되며 그 단부 외주면상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너트형 니플(57)에 의해 비계(45)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 11 도에 나타낸 브라켓트(111)의 비계 설치 위치는 고정식이나, 제 1,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조정이 자유로운 가변식으로 형성시킬수도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지지관(112)의 상단부에는 우측 지지간(115)과 좌측 지지간(116)이 용접 또는 나사고정수단등의 관용수단에 의해 부착되고, 지지간(115)(116)은 사각 또는 원형 파이프나 ㄷ자형 또는 ㄴ자형 채널등의 어느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며, 도면상에는 원형 파이프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관(112)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지지간(115)(116)의 타단에는 브라켓트(111)를 앵커부재에 나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19)(120)가 각각 부착되며, 고정부재(119)(120)는 평판, ㄴ자형 또는 ㄷ자형 채널의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고, 앵커부재에 나합시키기 위한 통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브라켓트(111)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우측 보강대(117)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제 11 도상의 앵커부재(32)는 커버판(52) 의 하면 중앙부에 너트형 니플(53)을 용접하고 그 하면에 와셔(52)를 다시 용접한 앵커 유니트 2개를 앵커 지지간(51)으로 용접 지지한 구성이다. 여기서, 앵커 지지간(51)의 사용은 선택적 사항이다.
따라서, 너트형 니플(53)을 사용한 앵커부재(32)는 콘크리트(40)상에 사전 매설되므로 콘크리트(40) 외면상에 돌출된 부분이 없으므로 앵커 볼트를 사용한 경우에서와 같이 콘크리트(40) 외면에 돌출된 볼트부를 공사 완료후 해머로 두드리거나 볼트 커터로 절단하여야 하는 노력이 필요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제 12 도는 제 11 도에 나타낸 브라켓트(111)의 A부분을 그 대향면에서 바라본 가설 상태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커버판(52) 너트형 니플(53), 와셔(54)를 용접 고정시킨 앵커 유니트 2개를 앵커 지지간(51)으로 용접 고정시켜 형성되는 앵커부재(32)는 콘크리트(40)상에 사전 매설된다.
본 발명의 브라켓트(111)의 ㄴ자형 고정부재(120)는 지지판(55)을 게재하여 볼트(56)에 의해 너트형 니플(53)에 나합 고정된다.
제 12 도에 나타낸 좌측 지지간(116)은 원형 파이프이나, 다양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브라켓트(1)(1')(11)(11')(111)의 가설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브라켓트(1)(1')(11)(11')(111)는 조립식 공법이나 현장시공법 모두에 적용될 수 있으며, 비계 설치가 필요한 어떠한 위치에도 앵커부재(32)를 사전에 매설하여 본 발명의 브라켓트(1)(1')(11)(11')(111)를 착탈하게 가설할 수 있다.
조립식 공법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설치용 브라켓트(1)(1')(11)(11')(111)의 가설 방법은, 조립식 콘크리트 공법에 의한 슬라브 또는 벽체의 성형시 형틀상의 소정위치에 앵커부재(32)를 설치 고정시키고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형틀로부터 양생된 콘크리트 바닥 슬라브 또는 벽체를 취출하고 앵커부재(32)가 사전 매설된 콘크리트 바닥 슬라브 또는 벽체를 조립식 콘크리트 생산공장으로부터 건축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한 후, 사전 매설된 앵커부재(32)에 본 발명의 브라켓트(1)(1')(11)(11')(111)의 고정부재(9)(10), (19)(20), (119)(120)를 너트(34) 또는 볼트(56)로 착탈 자재하게 나합 고정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현장 시공법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설치용 브라켓트(1)(1')(11)(11')(111)의 가설 방법은 대별하여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 방법은 거푸집(41) 제작과 동시에 앵커부재(32)를 거푸집(41)상의 적정위치에 설치 고정시키고 콘크리트(40)을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거푸집(41)을 제거하고 매설된 앵커부재(32)에 본 발명의 브라켓트(1)(1')(11)(11')(111)의 고정 부재(9)(10), (19)(20), (119)(120)를 너트(34) 또는 볼트(56)로 착탈 자재하게 나합 고정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두번째 방법은 거푸집(41) 제작과 동시에 앵커부재(32) 뿐만 아니라 브라켓트(1)(1')(11)(11')(111)를 함께 나합 고정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양생시켜 본 발명의 브라켓트(1)(1')(11)(11')(111)를 가설하는 것이다.
현장 시공법에 사용되는 브라켓트는 지지간(5)(6)(15)(16)(115)(116)이 1개 또는 2개인 것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브라켓트를 가설하고 이에 비계(45)를 가설하여 공사 진행시 브라켓트를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너트(34) 또는 볼트(56)를 풀어서 브라켓트를 간단히 탈거시키면 되고, 앵커부재(32)로서 앵커 볼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노출되어 있는 앵커부재(32)의 단부를 해머로 두드리거나 볼트 커터로 노출부를 절단한 것에 의해서 간단히 마무리 될 수 있다.
또한, 공사 완료시 본 발명의 브라켓트(1)(1')(11)(11')(111)를 앵커부재(32)로부터 탈거한 다음, 적당한 공지의 볼트식 또는 너트식 걸이를 앵커부재(32)에 나합시켜 화분 걸이나 빨랫대 걸이등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앵커부재(32)를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브라켓트 및 이를 이용한 브라켓트의 가설 방법을 이용하여 비계를 설치하는 경우, 사전에 일정한 하중을 근거로 하여 일률적으로 설치 가능하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며, 비계 설치가 필요한 개소에 브라켓트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 볼트를 사전 매설하는 것에 의해서 원하는 어떠한 장소에도 브라켓트를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해체가 간단하고 브라켓트를 규격형으로 제작하는 것에 의해서 하나의 현장에서 사용이 완료된 브라켓트를 타 현장에 옮겨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지상으로부터 건물높이 만큼 비계를 설치할 필요없이 2-3개층 정도 분량의 비계 소요량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경제성 및 시공 효율성이 높으며, 수평 돌출봉의 인출 길이가 조정 가능하므로 작업 효율성이 양호하고, 엘보우의 접철등에 의해 점유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운반, 보관이 용이하며, 현장 시공시 거푸집 작업과 동시에 브라켓트를 가설하는 경우에는 양생후 거푸집을 제거하더라도 브라켓트는 가설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공정 단축의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지지관(2)(12)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지지관(2)(12)내로 삽입되는 비계 고정용 수평 돌출봉(3)(13)과 지지관(2)(12)에 일단이 부착되는 지지간(5)(15)와, 지지간(5)(15)의 타단에 부착되는 고정부재(9)(19)로 구성되며, 고정부재(9)(19)가 콘크리트중에 사전 매설된 앵커(anchor)부재(32)에 나합 고정되는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관(2)(12)에 2개의 지지간(5)(6), (15)(16)의 일단이 부착되며, 각각의 지지간(5)(6), (15)(16)의 타단에 각각 고정부재(9)(10), (19)(20)가 부착되는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관(2)(12)과 비계 고정용 수평 돌출봉(3)(13)이 원형 파이프로 일체로 구성된 길이 고정식 지지관(112)으로 형성되는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관(2)(12)에 적어도 2개이상의 관통 통공(28)이 형성되고 적정 길이로 인출되는 수평 돌출봉(3)(13)에 다수의 관통통공(27)이 일렬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나사부(30)를 갖는 더블핀(29)이 통공(28)과 통공(27)을 관통하여 삽입된 다음 너트(31)로 나합 고정되는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수평 돌출봉(3)(13)의 선단부(4)(14)에 종방향으로 장타원형의 통공(26)이 형성되고 통공(26)을 통하여 협지핀(24)의 돌출부(25)가 삽지되어 엘보우(21)상의 통공(22)에 관통됨과 동시에 협지핀(24)의 돌출부(25)가 통공(22')을 통해 돌출되어 엘보우(21)가 하방으로 하중을 받을 때는 돌출부(25)가 엘보우(21)의 통공(22') 상단에 걸려 고정되고 엘보우(21)를 접철시키고자 상방으로 하중을 가하는 경우에는 돌출부(25)가 엘보우(23)의 통공(22')하단에 걸리게 되는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6. 제 1 항에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관(2)(12)상에 하나의 통공(28)이 형성되고 수평 돌출봉(3)(13)상에는 통공이 형성되지 않으며 지지관(2)(12)상의 통공(28)에 고정나사를 나합하여 수평 돌출봉(3)(13)이 압지 고정되며, 엘보우(21)가 수평 돌출봉(3)(13)의 선단을 굴곡시켜 일체로 형성되고 단부 내측에 너트부(27)가 형성되는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고정부재(9)(10), (19)(20), (119)(120)가 ㄷ자형 또는 ㄴ자형 채널 형상, 또는 평판 형상이고, 지지관(2)(12)(112)과 우측 지지간(5)(15) 및 좌측 지지간(6)(16)이 각각 우측 보강대(7)(17) 및 좌측 보강대(8)(18)에 의해 경사지게 지지되거나, 또는 우측 지지간(115)만이 우측 보강대(117)에 의해 경사지게 지지되는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8.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앵커부재(32)가 앵커 볼트인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9.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앵커부재(32)가 커버판(52)의 하면 중앙부에 너트형 니플(53)을 용접하고 그 하면에 다시 와셔(54)를 용접한 앵커 유니트를 앵커 지지간(51)으로 용접 구성한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10. 조립식 콘크리트(PC : Precast Concrete) 공법에 의한 슬라브 또는 벽체의 성형시, 형틀상의 소정 위치에 앵커부재(32)를 설치 고정시키고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형틀로부터 양생된 콘크리트 바닥 슬라브 또는 벽체를 취출하고 앵커부재(32)가 사전 매설된 콘크리트 슬라브 또는 벽체를 조립식 콘크리트 생산공장으로부터 건축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한 후, 사전 매설된 앵커부재(32)에, 지지관(2)(12)(112)과, 지지관(2)(12)(112)에 일단이 부착되는 지지간(5)(15)(115)와, 지지간(5)(15)(115)의 타단에 부착되는 고정부재(9)(19)(119)로 구성되는 브라켓트(1)(1')(11)(11')(111)의 고정부재(9)(19)(119)를 착탈 자재하게 나합 고정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공법에 있어서의 비계 설치용 브라켓트의 가설방법.
  11. 현장 시공법에 의한 슬라브 또는 벽체의 시공시, 거푸집(41) 제작과 동시에 앵커부재(32)를 거푸집(41)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 고정시키고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거푸집(41)을 제거하고 매설된 앵커부재(32)에, 지지관(2)(12)(112)과, 지지관(2)(12)(112)에 일단이 부착되는 지지간(5)(15)(115)와, 지지간(5)(15)(115)의 타단에 부착되는 고정부재(9)(19)(119)로 구성되는 브라켓트(1)(1')(11)(11')(111)의 고정부재(9)(19)(119)를 착탈자재하게 나합 고정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현장 시공법에 있어서의 비계설치용 브라켓트의 가설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거푸집(41) 제작과 동시에 앵커부재(32)와 브라켓트(1)(1')(11)(11')(111)의 고정부재(9)(19)(119)를 거푸집(41)과 함께 나합 고정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설치용 브라켓트의 가설방법.
KR1019950001233A 1995-01-24 1995-01-24 앵커부재를 이용한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및 그 가설방법 KR0147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233A KR0147905B1 (ko) 1995-01-24 1995-01-24 앵커부재를 이용한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및 그 가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233A KR0147905B1 (ko) 1995-01-24 1995-01-24 앵커부재를 이용한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및 그 가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566A KR960029566A (ko) 1996-08-17
KR0147905B1 true KR0147905B1 (ko) 1998-09-15

Family

ID=1940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233A KR0147905B1 (ko) 1995-01-24 1995-01-24 앵커부재를 이용한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및 그 가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79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566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0710C (en) Temporary bracing system for insulated wall form and method
CN108756241B (zh) 一种剪力墙外侧悬挑楼板模板支设装置
KR20090001153A (ko)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CN208380078U (zh) 一种用于伸缩缝两侧固定模板的结构
US3609935A (en) Permanent form for precast tilt-up concrete modules and process
CN112962955A (zh) 一种厨卫混凝土防水导墙浇筑模板及施工方法
KR0147905B1 (ko) 앵커부재를 이용한 착탈 자재식 브라켓트 및 그 가설방법
KR100946192B1 (ko) 거푸집 결합 및 해체장치
KR100715788B1 (ko) 거푸집 고정장치
CN110593559A (zh) 一种混凝土梁模板支撑装置及其施工工艺
CN216108608U (zh) 预埋件固定组合装置
CN220813980U (zh) 用于管廊变形缝处施工的组合式端头模架
CN216921168U (zh) 一种装配式一体成型快装地面
JPH0932284A (ja) オーバーハング部の構築装置とその構築方法
CN214091003U (zh) 一种用于吊模的定型化支撑马镫
CN215212312U (zh) 一种用于混凝土导墙或梁模的固定夹具
JP2716357B2 (ja) 立上り部型枠固定治具
KR200470335Y1 (ko) 길이조정이 용이한 거푸집 지지용 브레이싱
KR102370425B1 (ko) 보거푸집의 안전난간대
JPH0126832Y2 (ko)
KR970009265B1 (ko) 원통형 구조물용 거푸집 및 그의 제작방법
KR200345032Y1 (ko) 거푸집 고정장치
CN209855224U (zh) 一种外墙处楼板边缘侧模板支设装置
JPH0233551Y2 (ko)
JPS62449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