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857B1 -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857B1
KR0175857B1 KR1019950033082A KR19950033082A KR0175857B1 KR 0175857 B1 KR0175857 B1 KR 0175857B1 KR 1019950033082 A KR1019950033082 A KR 1019950033082A KR 19950033082 A KR19950033082 A KR 19950033082A KR 0175857 B1 KR0175857 B1 KR 0175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inlet
barrier film
inlet opening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313A (ko
Inventor
박판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33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857B1/ko
Publication of KR96001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8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에어콘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실내기의 흡입구를 차단막에 의해 폐쇄할 수 있는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흡입구를 통하여 실내기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구 내측에 흡입구개폐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예의 에어콘 실내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측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흡입구 개폐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흡입구 개폐수단에 의해 흡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흡입구 개폐수단에 의해 흡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내기 30 : 그릴부재
31 : 흡입구 32 : 토출구
40 : 에어필터 70 : 증발기
100 : 흡입구개폐수단 110 : 차단막이송부
111 : 구동체 112,132 : 베어링
113 : 구동축 120 : 차단막
121 : 개방부 130 : 차단막견인부
131 : 회전복원수단 133 : 종동축
140,141 : 제1 및 제2텐션롤러
본 발명은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콘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실내기의 흡입구를 차단막에 의해 폐쇄할 수 있는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예에 의한 에어콘 실내기(10)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개재해서 벽면에 밀착 고정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전면(前面)에 장착되며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1) 및 흡입된 실내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그릴부재(30)와, 상기 그릴부재(30)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 또는 벌레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상기 그릴부재(30)의 후측 상부에 착탈가능케 장착된 에어필터(40)와, 상기 그릴부재(3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풍향조절하도록 그릴부재(30)를 매개로 하부에 장착된 풍향조절수단(50)과, 상기 그릴부재(30)에 형성된 흡입구(31)를 통하여 흡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풍향조절수단(50)이 장착된 토출구(32)를 통하여 실내로 다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풍향안내수단(60)과, 상기 그릴부재(30)에 형성된 흡입구(31)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하도록 본체(20) 내부에 경사지게 장착된 증발기(70)와, 상기 증발기(70)에 착상된 제상수를 집수하여 실내기(10)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증발기(70)의 하부에 장착된 배수수단(80)과, 상기 그릴부재(30)에 형성된 흡입구(31)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70)에서 열교환된 차가운 공기를 상기 그릴부재(30)의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3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하도록 상기 증발기(70)의 하측 후면에 설치된 블로워팬(송풍팬)(9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그릴부재(30)에는 본체(20)의 전면(前面)에 상기 실내기(10)의 내부로 실내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개방된 흡입구(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31)의 하부측 전면에 상기 실내기(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70)에서 열교환된 후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토출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수단(80)은 상기 증발기(70)에 착상된 제상수를 집수함과 동시에 집수된 제상수를 외부로 원활히 배수시키도록 증발기(70)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설된 제상수받이(82)와, 상기 제상수받이(82)에 집수된 제상수를 실내기(10)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홀(81)과 연결되는 배수호스(8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내기(10)를 작동시킴에 따라 블로워팬(90)이 가동하게 되면, 이 블로워팬(90)의 구동력에 의해 실내공기는 제2도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점선 화살표방향을 따라 그릴부재(30)에 형성된 흡입구(31)를 통하여 실내기(10)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흡입구(31)의 후측에는 에어필터(4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에어필터(40)에서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또는 벌레등의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이 에어필터(40)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증발기(70)를 통과하면서 증발기(70)와 접촉되어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된 후, 상기 풍향안내부재(60)의 안내를 받아 그릴부재(3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3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공간을 차갑게 냉방시켜 주게 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증발기(70)의 전체면을 통과하는 실내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시켜 줄 때, 실내공기의 온도와 증발기(70)의 온도차에 의해 그 표면에 제상수가 생성되고, 이 제상수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 설치된 증발기(70)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린다. 이와 같이 하부로 흘러내린 제상수는 증발기(70)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수단(80)의 제상수받이(82)에 의해 접수된다. 그후, 제상수받이(82)에 의해 집수된 제상수는 제상수받이(82)의 경사에 따라 그 일측에 형성된 배수홀(81)을 통하여 배수됨과 동시에, 배수홀(81)과 연결된 배수호스(83)를 통해 실내기(10)의 외부로 배수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예에 의한 에어콘의 실내기(10)는 동절기에 장시간 실내기(10)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그릴부재(30)에 형성된 흡입구(31)를 통하여 먼지 및 이물질과 벌레등이 유입되어 에어필터(40) 및 증발기(70)등에 흡착되며, 이를 방치시 곰팡이등의 세균이 실내기(10)내부에 서식하여 공기 청정도 및 열교환성능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제품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의 흡입구를 통하여 먼지 또는 벌레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이들 유입된 이물질등이 에어필터 및 증발기등에 흡착되지 않게 함은 물론, 실내기내에서 이들 이물질에 의한 곰팡이 또는 세균 서식을 방지하여 공조공기의 청정도 및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키고 제품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는 흡입구를 통하여 실내기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구 내측에 흡입구개폐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흡입구 개폐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흡입구 개폐수단에 의해 흡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의 흡입구 개폐수단에 의해 흡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내기(10)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부재를 매개로 벽에 밀착고정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전면(前面)에 장착되며 실내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는 흡입구(31) 및 토출구(32)가 형성된 그릴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그릴부재(30)의 내측에는 상기 그릴부재(30)에 형성된 흡입구(31)를 통해서 흡입되는 실내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또는 벌레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에어필터수단(40)이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필터수단(40)의 뒤쪽에는 상기 그릴부재(30)의 흡입구(31)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차게 열교환하는 열교환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증발기(7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증발기(70)의 하부에는 그릴부재(30)의 흡입구(31)를 통해 흡입된 더운공기가 상기 증발기(70)에서 차게 열교환 될 때에 상기 증발기(70)의 표면에 착상되는 제상수를 수집해서 배수하기 위하여 배수수단(8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70)의 하부 뒤쪽에는 상기 그릴부재(30)에 형성된 흡입구(31)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흡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증발기(70)에서 차게 열교환한 다음 상기 그릴부재(30)의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32)를 통해서 실내로 찬공기를 배출시키도록 블로워팬(9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70) 및 블로워팬(90)의 뒤쪽에는 상기 블로워팬(90)에 의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증발기(70)에서 차게 열교환시킨 후, 토출구(32)를 통해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풍향안내부재(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그릴부재(30)의 토출구(32)에는 상기 블로워팬(90)의 구동에 따라 실내로 토출되는 찬공기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풍향을 조절하도록 풍향조절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그릴부재(30)와 에어필터(40)사이에는 실내기(10)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그릴부재(30)의 흡입구(31)를 통하여 먼지나 벌레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흡입구개폐수단(1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80)은 상기 증발기(70)에 착상된 제상수를 집수함과 동시에 집수된 제상수를 외부로 원활히 배수시키도록 증발기(70)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설된 제상수받이(82)와 상기 제상수받이(82)에 집수된 제상수를 실내기(10)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홀(81)과 연결되는 배수호스(8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개폐수단(100)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그릴부재(30)에 형성된 흡입구(31) 상단 내벽에 장착된 차단막이송부(110)와, 상기 차단막이송부(110)의 구동에 따라 감겨지거나 혹은 풀려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흡입구(31)를 개방 혹은 차단하도록 차단막이송부재(110)에 그 상단이 연결된 차단막(120)과, 상기 차단막(120)이 감기거나 풀릴 때 평편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그릴부재(30)내의 흡입구(31) 하단 내벽에 장착되어 차단막(120)의 하단과 연결된 차단막견인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막(120)은 상기 그릴부재(30)의 흡입구(31)의 후측 상,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텐션롤러(140)(14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차단막이송부(110)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도록 상기 흡입구(31)내의 상단 일측내벽에 장착된 구동체(111)와, 상기 구동체(11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 회전되면서 상기 차단막(120)을 감거나 풀어주도록 일측단이 상기 구동체(111)의 회전축(111a)에 연결된 구동축(113)과, 상기 구동축(113)의 타측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1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단막(120)의 하부에는 차단막(120)이 상기 차단막이송부(110)의 구동에 따라 감겨질 때 상기 흡입구(31)를 개방하도록 일정한 폭으로 개방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막견인부(130)는 상기 흡입구(31)내의 하단 일측벽면에 장착되어 차단막(120)을 감도록 회전을 복귀시키는 회전복원스프링(131)과, 상기 차단막이송부(110)의 구동력에 따라 차단막(120)을 매개로 정회전되고 상기 회전복원스프링(131)에 의해 역회전되면서 상기 차단막(120)을 견인하도록 상기 회전복원스프링(131)에 일측이 연결된 종동축(133)과, 상기 종동축(133)의 타측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3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111)는 모터를 사용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모터대신에 구동축(113)을 수동으로 정·역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을 실내기 본체 외부에 설치해서 사용해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에어콘의 실내기(10)를 수시로 사용하는 여름철에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개폐수단(100)을 가동시키면, 차단막이송부(110)의 구동체(111)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면서 상기 구동체(111)의 회전축(111a)에 연결된 구동축(113)을 정회전(예컨대,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축(113)의 정회전에 의해 구동축(113)과 연결된 차단막(120)이 구동축(113)의 외주면에 감긴다.
상기 차단막(120)이 구동축(113)에 감김에 따라 차단막견인수단(130)의 종동축(133)에 감겨있던 차단막(120)이 풀려진다. 그후, 최종적으로는 상기 차단막(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방부(121)가 그릴부재(30)에 형성된 흡입구(31)측과 동일한 위치로 이동하여 흡입구(31)를 완전 개방시킴으로써 블로워팬(90)의 회전작용에 의해 실내공기는 점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방향을 따라 그릴부재(30)에 형성된 흡입구(31)를 통하여 실내기(10)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구(31)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는 증발기(70)를 통과하면서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되어, 그릴부재(30)의 토출구(32)를 통해서 실내로 배출된다.
한편, 에어콘의 실내기(10)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겨울철의 경우에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개폐수단(100)을 가동시키면, 차단막이송부(110)의 구동체(111)는 역방향의 전원을 인가받아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구동체(111)의 회전축(111a)에 연결된 구동축(113)을 역회전(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축(113)의 역회전에 따라 구동축(113)의 외주면에 감겨있던 차단막(120)이 화살표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차단막견인부(130)의 회전복원스프링(131)이 회전복원되면서 종동축(133)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종동축(133)의 외주면에 차단막(120)의 개방부(121)를 감음으로써, 그릴부재(30)의 흡입구(31)를 차단막(120)으로 폐쇄시킨다.
다시 말하면, 상기 차단막견인부(130)의 회전복원스프링(131)의 작동에 따라 종동축(133)이 정회전(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외주면에 차단막(120)의 개방부(121)가 감겨지도록 견인함으로써 차단막(120)의 상측부분(개방부(121)가 없는 부분)이 그릴부재(30)에 형성된 흡입구(31)측과 동일한 위치로 이동되어 흡입구(31)의 통로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차단막(120)에 의해 흡입구(31)의 통로가 폐쇄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흡입구(31)를 통하여 실내의 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 혹은 벌레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이들 먼지, 벌레등의 이물질은 에어필터(40)와 증발기(70)등에 흡착되지 않으므로, 실내기(10)내에 곰팡이등의 세균 서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에 의하면, 실내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차단막에 의해 흡입구를 폐쇄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구를 통하여 먼지 혹은 벌레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에어필터 및 증발기등에 이들 이물질이 흡착되지 않으므로, 실내기내에 곰팡이등의 세균 서식을 방지하여 공기 청정도 및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키고 제품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흡입구를 통하여 실내기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구 내측에 차단막을 이동시켜 흡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흡입구개폐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개폐수단은 그릴부재에 형성된 흡입구 상단 내벽에 장착된 차단막이송부와, 상기 차단막이송부의 구동에 따라 감겨지거나 풀려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흡입구를 개방 혹은 차단하도록 상기 차단막이송부에 그 상단이 연결된 상기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이 감기거나 풀릴 때 평편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그릴부재내의 흡입구 하단 내벽에 장착되어 차단막의 하단과 연결된 차단막견인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내기 흡입구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그릴부재의 흡입구의 후측에 근접해서 상하작동되도록 상기 그릴부재내의 상하측벽에 각각 장착된 제1 및 제2텐션롤러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이송부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 회전되면서 상기 차단막을 감거나 풀어주도록 일측단이 상기 구동체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타측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에는 상기 흡입구를 개방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상기 구동축을 정·역회전시키는 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견인부(130)는 상기 차단막을 감도록 회전을 복귀시키는 회전복원스프링과, 상기 차단막이송부의 구동력에 의해 차단막을 매개로 정회전되고, 상기 회전복원스프링에 의해 역회전되면서 상기 차단막을 견인하도록 상기 회전복원스프링에 일측이 연결된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타측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19950033082A 1994-09-29 1995-09-29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0175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3082A KR0175857B1 (ko) 1994-09-29 1995-09-29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4-25298 1994-09-29
KR19940025298 1994-09-29
KR1019950033082A KR0175857B1 (ko) 1994-09-29 1995-09-29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313A KR960011313A (ko) 1996-04-20
KR0175857B1 true KR0175857B1 (ko) 1999-10-01

Family

ID=1939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3082A KR0175857B1 (ko) 1994-09-29 1995-09-29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37114B2 (ko)
KR (1) KR0175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685B1 (ko) * 2020-09-16 2021-04-01 주식회사 경인기계 냉각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2835A (ja) * 2007-02-19 2008-09-04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14102006A (ja) * 2012-11-16 2014-06-05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CN108426360A (zh) * 2018-03-27 2018-08-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遮挡结构及具有其的空调器
CN111426048A (zh) * 2020-04-28 2020-07-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口组件、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863U (ko) * 1985-07-22 1987-02-05
JPH0411328U (ko) * 1990-05-18 1992-01-3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685B1 (ko) * 2020-09-16 2021-04-01 주식회사 경인기계 냉각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178347A (ja) 1996-07-12
JP3037114B2 (ja) 2000-04-24
KR960011313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8741B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CN105945008B (zh) 一种用于空调的清洁装置、空调及其清洁方法
JPS6214067B2 (ko)
JP404043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0175857B1 (ko) 에어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JP3188410B2 (ja) 空気調和機の自動扉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0175874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0156706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0175867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0175868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0175873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JPH063310Y2 (ja) 冷温風送風装置
JP2004278845A (ja) 空気調和機
KR0127611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CN115978682B (zh) 一种双层帘体的空气换热装置
CN114777250B (zh) 一种建筑工地暖气通风装置
KR100236018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9990018598U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0267996B1 (ko) 공기조화기의흡입구개폐장치
JP2004286234A (ja) 壁掛け型空気調和装置
KR19990041496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0161207B1 (ko) 공기조화기용 토출구의 개폐장치
KR19990041499A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0146821B1 (ko) 공기조화기용 흡입구 및 토출구의 수동개폐장치
KR100191510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