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117B1 - 새로운 세팔로스포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새로운 세팔로스포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117B1
KR0174117B1 KR1019950061498A KR19950061498A KR0174117B1 KR 0174117 B1 KR0174117 B1 KR 0174117B1 KR 1019950061498 A KR1019950061498 A KR 1019950061498A KR 19950061498 A KR19950061498 A KR 19950061498A KR 0174117 B1 KR0174117 B1 KR 0174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kyl
hydrogen
substituted
alk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563A (ko
Inventor
김기원
강재훈
유동식
장무수
유승우
Original Assignee
윤원영
일동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원영, 일동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원영
Priority to KR101995006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117B1/ko
Priority to PCT/KR1996/000255 priority patent/WO1997024359A1/en
Priority to EP96943362A priority patent/EP0883621A1/en
Priority to CN96199311A priority patent/CN1092663C/zh
Priority to US09/091,883 priority patent/US6063778A/en
Priority to JP09524234A priority patent/JP2000515116A/ja
Publication of KR970042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14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 C07D501/16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with a double bond between positions 2 and 3
    • C07D501/20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 C07D501/24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or hetero rings, attached in position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Abstract

본 발명은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에 대하여 매우 우수한 항균작용을 지닌 일반식 (Ⅰ)의 새로운 세팔로스포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R1a는 수소, 또는 아미노 보호기이고 R1b수소, C1-4알킬기, C2-4알케닐기, C2-4알키닐기, 플루오로로 치환된 C1-3알킬기,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카르복시알킬기 등으로서 특히 메틸기, 에틸기, 알릴기, 프로파질기, 플루오로메틸기, 2-플루오로에틸기, -C(CH3)2COOH기, -CH2COOH기가 바람직하며 Q는 탄소, 또는 질소이다.
R2, R3은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은 C1-3알킬기, C2-4알케닐기, C2-4알키닐기,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3알킬기이고, R4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며,
(R5는 수소, C1-3알킬기,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3알킬기, R6은 수소, C1-3알킬기, C2-4알케닐기, 아미노기, R7은 C1-3알킬기,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3알킬기, Y는 산소, 또는 황, 또는 질소이고, Z는 수소, C1-3알킬기, 염소, 또는 플루오로이다), X는 할로겐원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조식(Ⅰ)의 화합물은 항균활성이 탁월하며, 그 독성이 낮아 새로운 항균제로서 크게 기대된다.

Description

새로운 세팔로스포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에 대하여 매우 우수한 항균작용을 지닌 일반식 (Ⅰ)의 세팔로스포린 유도체 및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들의 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1a는 수소 또는 아미노 보호기이고, R1b는 수소, C1-4알킬기, C2-4알케닐기, C2-4알키닐기, 플루오로로 치환된 C1-3알킬기,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카르복시알킬기 등으로서, 특히 메틸기, 에틸기, 알릴기, 프로파질기, 플루오로메틸기, 2-플루오로에틸기, -C(CH3)2COOH기, -CH2COOH기가 바람직하며, Q는 탄소 또는 질소이며, R2, R3은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은 C1-3알킬기, C2-4알케닐기, C2-4알키닐기,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3알킬기이고, R4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R5는 수소, C1-3알킬기 또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3알킬기, R6은 수소, C1-3알킬기, C2-4알케닐기 또는 아미노기, R7은 C1-3알킬기 또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3알킬기, Y는 산소, 황 또는 질소이고, Z는 수소, C1-3알킬기, 염소 또는 플루오로이다)
3-암모니움 유도체의 세팔로스포린 항생물질에 대해서는 미국특허 제4,943,631호 (BMY-28142), 독일특허 제390,956호(세프피롬), 유럽특허 제 0333154호 (E-1077) 등에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세팔로스포린은 용해성이 용이하여 주사용항생제로 개발되었고, 체내흡수도 좋고, 광범위한 항균력을 갖는 항생제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새로운 치환기를 도입하여 기존의 항생제보다 더 우수한 항균력을 갖는 일반식 (Ⅰ)로 표시되는 세펨 유도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일반식 (Ⅰ)의 세펨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 (Ⅰ)의 세펨 유도체를 함유하는 새로운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목적 화합물인 상기 일반식 (Ⅰ)의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J. of. Antibiotics., 43, 5, 533, 1990. 유럽특허 제0333154호)으로 제조한 하기 일반식 (Ⅱ)로부터 하기 일반식 (Ⅲ)을 제조하고 3급 아민화합물(Ⅳ)를 치환반응 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a, R1b, R2, R3, R4, 및 Q는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같고, R8은 수소, 알칼리금속 또는 카르복시보호기이고, L은 이탈기로서 할로겐 원자이다.
본 발명의 목적 화합물인 상기 일반식 (Ⅰ)의 또다른 제조 방법으로서 공지의 방법(J.of. Antibiotics., 41, 11, 1602, 1988. 유럽특허 제0333154호)으로 제조한 하기 일반식 (Ⅴ) 화합물로부터 하기 일반식 (Ⅵ) 화합물을 제조하고 일반식 (Ⅳ)의 삼급 아민화합물을 치환반응 시켜서 일반식 (Ⅶ) 화합물을 제조한 후 아미노 보호기를 제거하여 일반식 (Ⅷ) 화합물을 제조한 다음, 공지의 방법(J. of. Antibiotics., 36, 8, 1020, 1983. J. of. Antibiotics., 45, 5, 709, 1992.)으로 제조한 일반식 (Ⅸ) 화합물 또는 이의 활성유도체와 아실화 반응을 실시하고, 보호기가 있는 경우 이를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식에서 R1a, R1b. R2, R3, R4, R8, Q 및 L은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고, R9는 여러 아실기, 또는 포르밀기, 살리실알데히드기, 벤즈알데히드기이고, X-는 할로겐원자 또는 산잔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구조식 (Ⅰ)의 화합물의 예를 다음에 열거한다.
7β-[(Z)-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아미노아세트아미도]-3-[(E)-3-[(4-메틸티아졸-5-일)-메틸디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7β-[(Z)-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1-카바모일-1-프로펜-3-일)-3-에틸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 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β-[(Z)-2-(2-아미노티아졸-4-일)-2-플루오로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4-메틸티아졸-5-일)-메틸디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 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β-[(Z)-2-(2-아미노티아졸-4-일)-2-플루오로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1-카바모일-1-프로펜-3-일)-3-에틸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 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β-[(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1-카바모일-1-프로펜-3-일)-3-에틸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 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β-[(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4-메틸티아졸-5-일)-메틸디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 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β-[(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플루오로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4-메틸티아졸-5-일)-메틸디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 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β-[(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플루오로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1-카바모일-1-프로펜-3-일)-3-에틸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 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하, 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a) 4-메틸-5-옥사졸카르복시산에틸에스테르의 합성.
에틸-2-클로로아세토아세테이트 5.6g(0.03mole)에 포름아미드 4.6g(0.12mole)을 가하여 120℃에서 12시간 교반 후 냉각하고 포타슘카보네이트 수용액을 부가한 다음, 벤젠으로 추출하여 2.1g을 얻었다.
NMR(CDCl3) δ(ppm) : 1.40(t,3H), 2.50(s,3H), 4.35(q,2H), 7,84(s,1H)
b) 5-히드록시메틸-4-메틸옥사졸의 합성.
4-메틸-5-옥사졸카르복시산에틸에스테르 3g(0.08mole)을 에탄올 50ml에 넣고 소디움보로히드리드 3g(0.08mole)을 가한 후 17시간동안 환류시키고 농축한 다음 물을 부가하고 디엘틸에테르로 추출한 후 0.9g을 얻었다.
NMR(CDCl3) δ(ppm) : 2.18(s,3H), 3.45(s,1H). 4.65(s,2H), 7.80(s,1H)
c) 5-디메틸아미노메틸-4-메틸옥사졸의 합성.
5-히드록시메틸-4-메틸옥사졸 2g(0.02mole)을 디클로로메탄 20ml에 넣고 0℃로 냉각한다음 티오닐클로리드 3.9ml(0.05mole)를 서서히 부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교반 후 빙수 15ml를 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건조한 후 농축하여 5-클로로메틸-4-메틸옥사졸 2g을 얻는다. 에탄올 25ml를 부가하고 디메틸아민염산염 2.5g(0.03mole)과 포타슘카보네이트 6.3g(0.05mole)을 넣어 상온에서 4시간 교반한 후 농축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목적물 0.9g을 얻었다.
NMR(CDCl3) δ(ppm) : 2.12(S,3H), 2.24(s,6H), 3.42(s,2H). 7.78(s,1H)
[실시예 2]
a) 4-메틸-5-티아졸카보알데히드의 합성.
디클로로메탄 600ml에 피리딘디크로메이트 164.19g(0.436mole)을 넣고 교반 후 물 20ml를 첨가한다. 디클로로메탄 500ml에 4-메틸-5-티아졸에탄올 10g(0.0698mole)을 녹인용액을 상기반응액에 적가 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고 불용물 여과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농축하여 6g을 얻었다.
NMR(CDCl3) δ(ppm) : 2.79(s,3H), 9.02(s,1H), 10.18(s,1H)
b) 4-메틸-5-티아졸메탄올의 합성.
테트라히드로푸란 35ml를 0℃로 냉각하고 소디움보로히드리드 2.32g(0.0613mole)을 가하여 교반하다. 테트라히드로푸란 35ml에 4-메틸-5-티아졸카보알데히드 6g(0.0472mole)을 녹인용액을 상기 반응액에 적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 후 얼음 30g과 물 30ml혼합액에 부가하고 포화소금물 30ml를 첨가 후 유기층을 분리한다. 유기층을 건조하고 농축하여 5g을 얻었다.
NMR(CDCl3) δ(ppm) : 2.35(s,3H), 4.79(s,2H), 8.61(s,1H)
c) 5-디메틸아미노메틸-4-메틸티아졸의 합성.
클로로포름 50ml에 4-메틸-5-티아졸메탄올 1.5g(0.0116mole)을 녹이고 티오닐클로리드 1.7ml(0.023mole)를 부가하고 2시간 환류 후 감압농축하고 IPA를 가하여 5-클로로메틸-4-메틸티아졸 염산염 1.5g을 얻는다. 에탄올 25ml에 녹이고 포타슘카보네이트 2.3g(0.0163mole)과 디메틸아민 염산염 1.33g(0.0163mole)을 첨가 후 5시간 환류하고 불용물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한다. 잔사에 클로로포름 100ml를 첨가하고 물과 포화소금물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목적물 1g을 얻었다.
NMR(CDCl3) δ(ppm) : 2.24(s,6H), 2.41(s,3H), 3.63(s,2H), 8.62(s,1H)
[실시예 3]
a) 4-브로모-2-부텐니트릴의 합성.
t-부탄올 55ml와 석유에테르 273ml 혼합용액에 알릴시아니드 40g(0.5962mole)을 녹인다. t-부탄올 60.8ml에 브롬 30.6ml(0.5962mole)를 녹인용액을 상기반응액에 15℃를 유지하면서 적가한 후 실온에서 15∼30분 교반한다. 0℃로 냉각 후 소디움에톡시드 222.6ml(0.5962mole)를 적가하고 불용물 여과한다음 감압증류(80∼85℃, 12mm)하여 55g을 얻었다.
NMR(CDCl3) δ(ppm) : 4.10(d,2H), 5.54(m,1H), 6.81(m,1H)
b) 4-브로모-2-부테닐아미드의 합성.
4-브로모-2-부텐니트릴 20g(0.1367mole)에 물2.3ml를 가하고 황산 7.8ml를 40℃를 유지하면서 천천히 적가한 후 80∼90℃에서 1시간 교반하고 40℃로 냉각한다음 얼음 40g과 암모니아수 19.8ml혼합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여 고체를 형성시킨다. 0℃로 냉각하여 30분 교반 후 여과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6.7g을 얻었다.
NMR(CDCl3) δ(ppm) : 4.15(d,2H), 5.8∼6.2(br m,1H, NH2), 6.92(m,1H)
c) 4-메틸에틸아미노-2-부테닐아미드의 합성.
아세토니트닐 55ml에 4-브로모-2-부텐아미드 5.4g(0.0329mole)을 첨가하고 0℃로 냉각하고 N-에틸메틸아민 5.7ml(0.0658mole)를 천천히 적가한 후 0℃에서 1시간 교반한다음 여과하여 목적물 3.1g을 얻었다.
NMR(DMSO-d6) δ(ppm) : 1.01(t,2H), 2.13(s,3H), 2.35(q,2H), 3.04(d,2H), 5.99(d,1H), 6.55(m,1H)
[실시예 4]
7β-[(Z)-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아미노아세트아미도]-3-[(E)-3-[(4-메틸티아졸-5-일)-메틸디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아세톤 30ml에 p-메톡시벤질-7β-[(Z)-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Z)-3-클로로-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5g(1.83mmole)과 요오드화나트륨 0.82g(5.48mmole)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감압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묽히고 10%소디움티오설페이트와 포화소금물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p-메톡시벤질-7β-[(Z)-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E)-3-요오도-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2g을 얻었다. N,N-디메틸포름아미드 2ml에 녹이고 -10℃로 냉각하고 5-디메틸아미노메틸-4-메틸티아졸 0.31g(1.97mmole)을 첨가하여 동온도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 10%소디움디오설페이트 70ml를 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한다. 그 고체를 88%개미산 1.8ml에 녹인 후 40℃에서 1시간 교반한다. 반응액에 아세톤 400ml를 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80%아세토니트릴수)와 Sephadex LH-20으로 분리하고 동결건조하여 목적화합물 250mg을 얻었다.
mp : 181℃(dec.)
IR(KBr,cm-1) : 1762, 1663, 1608, 1530
NMR(DMSO-d6) δ(ppm) : 2.43(s,3H), 2.94(s,6H), 3.42(s,2H), 3.82(s,3H), 4.01(d,2H), 4.62(s,2H), 5.04(d,1H), 5.58(d,1H), 5.62(br d,1H), 7.1∼7.4(d,1H. s,1H. s,1H), 9.62(d,1H)
[실시예 5]
7β-[(Z)-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5-메틸이미다졸-4-일)-메틸디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5-디메틸아미노메틸-4-메틸티아졸 대신에 4-디메틸아미노메틸-5-메틸이미다졸 0.17g(1.22mmole)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 100mg을 얻었다.
mp : 178℃(dec.)
IR(KBr,cm-1) : 1760, 1670, 1610, 1531
NMR(DMSO-d6) δ(ppm) : 2.25(s,3H), 2.98(s,6H), 3.38(s,2H), 3.80(s,3H), 4.11(d,2H), 4.59(s,2H), 5.01(d,1H), 5.53(d,1H), 5.59(br d,1H), 7.2∼7.84(d,1H. s,1H. s,1H), 9.66(d,1H)
[실시예 6]
7β-[(Z)-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2-아미노티아졸-4-일)-메틸디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5-디메틸아미노메틸-4-메틸티아졸 대신에 4-디메틸아미노메틸-2-아미노티아졸 0.21g(1.33mmole)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 150mg을 얻었다.
mp : 192℃(dec.)
IR(KBr,cm-1) : 1760, 1672, 1600, 1530
NMR(DMSO-d6) δ(ppm) : 2.12(s,6H), 3.35(s,2H), 3.83(s,3H), 4.01(d,2H), 4.55(s,2H), 5.02(d,1H), 5.58(d,1H), 5.62(br d,1H) 6.72(br,2H), 7.1∼7.5(d,1H. s,1H. s,1H), 9.60(d,1H)
[실시예 7]
7β-[(Z)-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티오펜-2-일)-메틸디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5-디메틸아미노메틸-4-메틸티아졸 대신에 2-티오펜메틸디메틸아민 0.18g(1.27mmole)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 170mg을 얻었다.
mp : 186℃(dec.)
IR(KBr,cm-1) : 1762, 1670, 1600, 1530
NMR(DMSO-d6) δ(ppm) : 2.98(s,6H), 3.32(s,2H), 3.88(s,3H), 4.01(d,2H), 4.49(s,2H), 5.02(d,1H), 5.55(d,1H), 5.62(br d,1H), 6.70(br d,2H. 1H), 7.1∼7.7(d,1H. s,1H. s,1H), 9.60(d,1H)
[실시예 8]
7β-[(Z)-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4-메틸옥사졸-5-일)-메틸디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5-디메틸아미노메틸-4-메틸티아졸 대신에 5-디메틸아미노메틸-4-메틸옥사졸 0.31g(2.21mmole)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 300mg을 얻었다.
mp : 199℃(dec.)
IR(KBr,cm-1) : 1762, 1668, 1610, 1533
NMR(DMSO-d6) δ(ppm) : 2.25(s,2H), 2.95(s,6H), 3.42(s,2H), 3.84(s,1H), 4.01(d,2H), 4.62(s,2H), 5.04(d,1H), 5.58(d,1H), 5.62(br d,1H), 7.1∼7.3(d,1H. s,1H. s,1H), 9.58(d,1H)
[실시예 9]
7β-[(Z)-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1-카바모일-1-프로펜-3-일)-3-에틸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 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5-디메틸아미노메틸-4-메틸티아졸 대신에 5-에틸메틸아미노-2-부테닐아미드 0.23g(1.62mmole)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 190mg을 얻었다.
mp : 189℃(dec.)
IR(KBr,cm-1) : 1761, 1675, 1608, 1530
NMR(DMSO-d6) δ(ppm) : 1.29(t,3H), 2.98(s,3H), 3.82(s,3H), 3.85(q,2H), 3.90(d,2H), 3.94(d,2H), 4.75(s,2H), 5.08(d,1H), 5.62(d,1H), 5.68(br d,1H), 6.75(d,1H), 6.99-7.12(br d,1H), 7.21∼7.38(d,1H. s,1H), 9.59(d,1H)
[실시예 10]
7β-[(Z)-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1-카바모일-1-프로펜-3-일)-3-디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 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5-디메틸아미노메틸-4-메틸티아졸 대신에 4-디메틸아미노-2-부테닐아미드 0.25g(1.95mmole) 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 200mg을 얻었다.
mp : 198℃(dec.)
IR(KBr,cm-1) : 1763, 1670, 1600, 1530
NMR(DMSO-d6) δ(ppm) : 3.11(s,6H), 3.88(s,3H), 3.92(d,2H), 3.95(d,2H), 4.07(s,2H), 5.05(d,1H), 5.62(d,1H), 5.69(br d,1H), 6.73(d,1H), 7.01-7.14(br d,1H), 7.18∼7.32(d,1H. s,1H), 9.57(d,1H)
[실시예 11]
7β-[(Z)-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4-메틸티아졸-5-일)-메틸에틸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 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5-디메틸아미노메틸-4-메틸티아졸 대신에 5-에틸메틸아미노메틸-4-메틸티아졸0.35g(2.05mmole)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 300mg을 얻었다.
mp : 194℃(dec.)
IR(KBr,cm-1) : 1762, 1662, 1610, 1530
NMR(DMSO-d6) δ(ppm) : 1.33(t,3H), 2.44(s,3H), 2.92(s,3H), 3.43(s,2H), 3.85(q,2H), 3.87(s,3H), 4.01(d,2H), 4.60(s,2H), 5.05(d,1H), 5.56(d,1H), 5.67(br d,1H), 7.18∼7.32(d,1H. s,1H. s,1H), 9.60(d, 1H)
[실시예 12]
7β-[(Z)-2-(2-아미노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프-2-옥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1-카바모일-1-프로펜-3-일)-3-에틸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p-메톡시벤질-7β-[(Z)-2-(2-카르복시프로프-2-옥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Z)-3-클로로-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5g(1.67mmole)과 요오드화나트륨 0.75g(5.03mmole), 4-에틸메틸아미노-2-부테닐아미드 0.28g(2.01mmole)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 210mg을 얻었다.
mp : 204℃(dec.)
IR(KBr,cm-1) : 1760, 1663, 1610, 1530
NMR(DMSO-d6) δ(ppm) : 1.29(t,1H), 1.49(s,6H), 2.98(s,3H), 3.85(q,2H), 3.90(d,2H), 3.94(d,2H), 4.75(s,2H), 5.08(d,1H), 5.62(d,1H), 5.68(br d,1H), 6.75(d,1H), 6.99∼7.12(br d,1H), 7.21∼7.38(d,1H. s,1H), 9.59(d,1H)
[실시예 13]
7β-[(Z)-2-(2-아미노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프-2-옥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4-메틸티아졸-5-일)-메틸디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p-메톡시벤질-7β-[(Z)-2-(2-카르복시프로프-2-옥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Z)-3-클로로-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5g(1.67mmole)과 요오드화나트륨 0.75g(5.03mmole), 5-디메틸아미노메틸-4-메틸티아졸 0.31g(2.01mmole)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 180mg을 얻었다.
mp : 198℃(dec.)
IR(KBr,cm-1) : 1762, 1665, 1610, 1525.
NMR(DMSO-d6) δ(ppm) : 1.50(s,6H), 2.43(s,3H), 2.91(s,6H), 3.41(s,2H), 4.03(d,2H), 4.60(d,2H), 4.60(s,2H), 5.05(d,1H), 5.57(d,1H), 5.65(br d,1H), 7.1∼7.4(d,1H. s,1H. s,1H), 9.62(d,1H)
[실시예 14]
7β-[(Z)-2-(2-아미노티아졸-4-일)-2-플루오로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4-메틸티아졸-5-일)-메틸디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 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p-메톡시벤질-7β-[(Z)-2-플루오로에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Z)-3-클로로-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3g(1.52mmole)과 요오드화나트륨 0.68g(4.57mmole), 5-디메틸아미노메틸-4-메틸티아졸 0.27g(1.73mmole)을 사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 300mg을 얻었다.
mp : 196℃(dec.)
IR(KBr,cm-1) : 1765, 1665, 1610, 1530
NMR(DMSO-d6) δ(ppm) : 2.41(s,3H), 2.95(s,6H), 3.42(s,2H), 4.04(d,2H), 4.25(t,2H), 4.53(t,2H), 4.79(s,2H), 5.04(d,1H), 5.56(d,1H), 5.61(br d,1H), 7.1∼7.4(d,1H. s,1H. s,1H), 9.65(d, 1H)
[실시예 15]
7β-[(Z)-2-(2-아미노티아졸-4-일)-2-플루오로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1-카바모일-1-프로펜-3-일)-3-에틸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 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p-메톡시벤질-7β-[(Z)-2-플루오로에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Z)-3-클로로-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3g(1.52mmole)과 요오드화나트륨 0.68g(4.57mmole), 4-에틸메틸아미노-2-부테닐아미드 0.25g(1.73mmole)을 사용하여 실시예4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 230mg을 얻었다.
mp : 191℃(dec.)
IR(KBr,cm-1) : 1760, 1672, 1600, 1530
NMR(DMSO-d6) δ(ppm) : 1.27(t,1H), 2.99(s,3H), 3.85(q,2H), 3.90(d,2H), 3.94(d,2H), 4.27(t,2H), 4.52(t,2H), 4.75(s,2H), 5.09(d,1H), 5.60(d,1H), 5.69(br d,1H), 6.74(d,1H), 7.19∼7.35(d,1H. s,1H), 9.61(d, 1H)
[실시예 16]
7β-[(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1-카바모일-1-프로펜-3-일)-3-에틸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아세톤 20ml에 p-메톡시벤질-7β-[(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Z)-3-클로로-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5g(1.83mmole)과 요오드화나트륨 0.82g(5.48mmole)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반응 후 감압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묽히고 10%소디움티오설페이트와 포화소금물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p-메톡시벤질-7β-[(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요오도-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1g을 얻었다. N,N-디메틸포름아미드 2.5ml에 녹이고 -10℃로 냉각하고 4-에틸메틸아미노-2-부테닐아미드 0.2g(1.45mmole)을 첨가하여 동온도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 10%소디움티오설페이트 70ml를 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한다. 그 고체를 88%개미산 1.3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한다. 상기 반응액에 아세톤 400ml를 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80%아세토니트릴수)와 Sephadex LH-20, 혹은 Amberlite XAD-2로 분리하고 동결건조하여 목적화합물 180mg을 얻었다.
mp : 202℃(dec.)
IR(KBr,cm-1) : 1765, 1670, 1600, 1520
NMR(DMSO-d6) δ(ppm) : 1.29(t,3H), 2.99(s,3H), 3.83(s,3H), 3.84(q,2H), 3.91(d,2H), 3.94(d,2H), 4.73(s,2H), 5.07(d,1H), 5.66(d,1H), 5.69(br d,1H), 6.59(dd,1H), 6.99∼7.15(br d,1H), 7.28(dd, 1H), 8.63(d,1H), 9.59(d,1H)
[실시예 17]
7β-[(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플루오로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4-메틸티아졸-5-일)-메틸디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 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p-메톡시벤질-7β-[(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플루오로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요오도-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1g(1.56mmole)과 5-디메틸아미노메틸-4-메틸티아졸 0.36g(2.34mmole)을 사용하여 실시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 330mg을 얻었다.
mp : 188℃(dec.)
IR(KBr,cm-1) : 1763, 1670, 1595, 1522
NMR(DMSO-d6) δ(ppm) : 2.40(s,3H), 2.93(s,6H), 3.42(s,2H), 4.04(d,2H), 4.28(t,2H), 4.55(t,2H), 4.78(s,2H), 5.03(d,1H), 5.57(d,1H), 5.61(br d,1H), 7.1∼7.32(d,1H. s,1H), 9.63(d, 1H)
[실시예 18]
7β-[(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플루오로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1-카바모일-1-프로펜-3-일)-3-에틸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 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p-메톡시벤질-7β-[(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플루오로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요오도-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g(1.42mmole)과 4-에틸메틸아미노-2-부테닐아미드 0.30g(2.13mmole)을 사용하여 실시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 290mg을 얻었다.
mp : 196℃(dec.)
IR(KBr,cm-1) : 1762, 1680, 1600, 1520
NMR(DMSO-d6) δ(ppm) : 1.27(s,1H), 2.98(s,3H), 3.83(q,2H), 3.91(d,2H), 3.94(d,2H), 4.27(t,2H), 4.55(t,2H), 4.76(s,2H), 5.11(d,1H), 5.60(d,1H), 5.70(br d,1H), 6.75(d,1H), 7.03∼7.17(d,1H), 9.59(d, 1H)
[실시예 19]
7β-[(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5-플루오로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1-카바모일-1-프로펜-3-일)-3-디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p-메톡시벤질-7β-[(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플루오로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요오도-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2g(1.71mmole)과 4-디메틸아미노-2-부테닐아미드 0.32g(2.56mmole)을 사용하여 실시예 16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화합물 230mg을 얻었다.
mp : 184℃(dec.)
IR(KBr,cm-1) : 1762, 1675, 1598, 1520
NMR(DMSO-d6) δ(ppm) : 3.10(s,6H), 3.88(d,2H), 3.92(d,2H), 3.93(d,2H), 4.25(t,2H), 4.52(t,2H), 4.77(s,2H), 5.15(d,1H), 5.59(d,1H), 5.71(br d,1H), 6.72(d,1H), 7.01∼7.22(br d,1H), 7.15∼7.34(d,1H), 9.62(d,1H)
[실시예 20]
p-메톡시벤질 7β-벤질리덴아미노-3-[(E)-3-[(1-카바모일-1-프로펜-3-일)-3-에틸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요오드염의 합성.
p-메톡시벤질7β-벤질리덴아미노-3[(Z)-3-클로로-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6g(3.31mmole)을 아세톤 10ml에 가하고 요오드화나트륨 1.5g(9.94mmole)을 가하여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한 다음 감압농축한다. 에틸아세테이드로 묽히고 10%소디움티오설페이트와 포화소금물로 세척 후 유기층을 건조하고 약 30ml까지 농축한다. 에틸아세테트 30ml에 4-에틸메틸아미노-2-부테닐아미드 0.57g(4.01mmole)을 녹인용액을 상기 농축액에 적가하고 2시간 반응시킨다. 에틸에테르 50ml를 가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목적물 1.5g을 얻었다.
IR(KBr,cm-1) : 1762, 1678, 1600
NMR(DMSO-d6) δ(ppm) : 1.27(t,3H), 3.14(s,3H), 3.41∼3.82(m,4H), 3.73(s,3H), 3.95(br,2H), 4.26(m,2H), 5.23(d,1H), 5.44(d,1H), 5.74(br d,1H), 6.17(m,1H), 6.79(d,1H), 7.01∼7.19(br d,1H), 7.28(d,1H), 7.3∼7.9(m,9H), 8.51(br s,1H)
[실시예 21]
7β-아미노-3-[(E)-3-[(1-카바모일-1-프로펜-3-일)-3-에틸메틸암모니오]-1-1-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염산염의 합성.
실시예 20에서 합성한 화합물 1.5g을 90%개미산 4.2ml에 녹이고 0℃로 냉각하고 35%염산 0.85ml를 가한 후 실온에서 1시간30분 교반한다. 반응액에 아세톤 500ml를 가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목적물 0.6g을 얻었다.
IR(KBr,cm-1) : 1786, 1688
NMR(DMSO-d6) δ(ppm) : 1.27(t,3H), 3.11(s,3H), 3.24∼4.35(m,6H), 4.08(br,2H), 5.22(br,2H), 6.0∼6.5(m,1H), 7.04(d,1H), 7.27(d,1H), 7.36(m,1H)
[실시예 22]
7β-[(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플루오로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E)-3-[(1-카바모일-1-프로펜-3-일)-3-에틸메틸암모니오]-1-프로펜-1-일] 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실시예 21에서 합성한 화합물 0.6g(14.9mmole)을 물-메탄올(1:6)21ml에 녹이고 소디움아세테이트 0.61g(7.48mmole)을 가한 후 (Z)-2-(5-아미노-1,2,4-티아디아졸-3-일)-2-플루오로에톡시이미노 아세틸클로리드 염산염 0.43g(1.49mmole)을 가하고 25∼30℃에서 3시간 교반한다. 0℃로 냉각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80%아세토니트릴수)와 Sephadex LH-20 혹은 Amberlite XAD-2로 분리하고 동결건조하여 목적물 420mg을 얻었다.
mp, IR, NMR : 실시예 18와 동일.
[실험예 1]
항균활성 측정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인 일반식(Ⅰ)은 약리적성질 특히 최소발육저지농도(MIC)를 구하여 평가하였다. 이는 표준시험균주에 대한 액체배지희석법으로서 실험균을 희석하여 Mcfarland 0.5로 맞춘 후 Muller Hinton Broth배지로 100배 희석하여 접종균액(106CFU/ml)으로 사용하였으며, 시험검액을 2단계 희석하여 각 농도를 조제하였고, 시험균액을 검액에 각각 접종하여 37℃에서 18∼20시간 배양한 후 육안, 또는 스펙트로 포토미터로 균의 증식여부를 판정하였다. 최소발육저지농도(MIC-㎍/ml)로 표현된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록하였다.
상기 표 1의 결과로 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목적물, 예를 들면 실시예 4, 실시예 9, 실시예 15, 실시예 17에서 얻어진 세펨 유도체가 특히, Staphylococcus aureus와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서 세포탁심에 비해 탁월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제4세대 항생제인 세프피롬에 비해 동등하거나 다소 우수한 결과를 가지며, 실시예 16의 경우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서 역시 우수한 결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모든균주에 광범위하게 항균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급성독성시험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화합물들의 약품으로서의 유용성을 보다 명백하게 하기 위해 실시예 4, 5, 9, 15, 16, 18의 화합물에 대해서 급성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화합물들을 생리식염수 및 인산염 완충액(PH 7.0)에 용해시키고 잘 용해되지 않는 화합물은 카복시메틸셀루로즈(CMC)또는 아라비아고무(Arabia gum)에 현탁시킨 후 인산염 완충액에 혼합하여 정맥 및 피하주사를 하여 잔존수를 일주일 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2 나타낸 바와 같다.
이 실험에서 사용한 실시예 4, 5, 9, 15, 16, 18의 화합물은 정맥주사에서 LD치가 2000mg/kg이며, 피하주사에서도 역시 3000mg/kg를 나타내어 의약품으로서의 안정성이 높다는 것을 명백하게 입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사람 또는 포유동물의 미생물에 의하여 발생되는 여러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일 50 - 5000mg을 1 내지 3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 또는 부형제와 함께 통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방법으로 통상의 약학적 제제 예를들면 정제, 캅셀제, 액제, 주사제, 시럽제, 연고제, 크림제, 좌제등과 같은 통상의 약학적제제형태로 제제화하여 투여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제실시예를 예시한다.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캅셀제의 제조방법으로 젤라틴 캅셀에 충진하여 캅셀제를 제조한다.

Claims (4)

  1. 다음 일반식 (Ⅰ)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상기식에서 R1a는 수소, 또는 아미노 보호기이고 R1b는 수소, C1-4알킬기, C2-4알케닐기, C2-4알키닐기, 플루오로로 치환된 C1-3알킬기,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카르복시알킬기 등으로서 특히 메틸기, 에틸기, 알릴기, 프로파질기, 플루오로메틸기, 2-플루오로에틸기, -C(CH3)2COOH기, -CH2COOH기가 바람직하며 Q는 탄소, 또는 질소이다. R2, R3은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은 C1-3알킬기, C2-4알케닐기, C2-4알키닐기,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3알킬기이고, R4는 다음과 같다.
    (R5는 수소, C1-3알킬기,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3알킬기, R6은 수소, C1-3알킬기, C2-4알케닐기, 아미노기, R7은 C1-3알킬기,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3알킬기, Y는 산소, 또는 황이고 Z는 수소, C1-3알킬기, 염소, 또는 플루오로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a는 수소, R1b는 수소, 메틸기, 에틸기, 알릴기, 프로파질기, 플루오로메틸기, 2-플루오로에틸기, -C(CH3)2COOH기, -CH2COOH기, R2및 R3은 메틸기, 에틸기, 알릴기, 히드록시에틸기, R4
    (R5는 수소, 메틸기, 에틸기, 히드록시메틸기, 히드록시에틸기, R6은 수소, 메틸기, 비닐기, 아미노기, R7은 메틸기, 에틸기, 히드록시메틸기, 히드록시에틸기, Y는 산소 또는 황이고 Z는 수소, 메틸기, 에틸기, 염소, 또는 플루오로이다.)이고 Q는 탄소 또는 질소인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하기 일반식 (Ⅷ)의 화합물.
    상기식에서, R2, R3은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은 C1-3알킬기, C2-4알케닐기, C2-4알키닐기,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3알킬기이고, R4는 다음과 같다.
    (R5는 수소, C1-3알킬기,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3알킬기, R6은 수소, C1-3알킬기, C2-4알케닐기, 아미노기, R7은 C1-3알킬기,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3알킬기, Y는 산소, 또는 황이고 Z는 수소, C1-3알킬기, 염소, 또는 플루오로이다), X는 할로겐이다.
  4. 다음 일반식 (Ⅰ)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 또는 부형제와 함께 통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방법으로 통상의 약학적 제제로 제제화한 항균제 조성물.
    상기식에서 R1a는 수소, 또는 아미노 보호기이고 R1b는 수소, C1-4알킬기, C2-4알케닐기, C2-4알키닐기, 플루오로로 치환된 C1-3알킬기,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카르복시알킬기 등으로서 특히 메틸기, 에틸기, 알릴기, 프로파질기, 플루오로메틸기, 2-플루오로에틸기, -C(CH3)2COOH기, -CH2COOH기가 바람직하며 Q는 탄소, 또는 질소이다. R2, R3은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은 C1-3알킬기, C2-4알케닐기, C2-4알키닐기,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3알킬기이고, R4는 다음과 같다.
    (R5는 수소, C1-3알킬기,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3알킬기, R6은 수소, C1-3알킬기, C2-4알케닐기, 아미노기, R7은 C1-3알킬기,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3알킬기, Y는 산소, 또는 황이고 Z는 수소, C1-3알킬기, 염소, 또는 플루오로이다).
KR1019950061498A 1995-12-28 1995-12-28 새로운 세팔로스포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0174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1498A KR0174117B1 (ko) 1995-12-28 1995-12-28 새로운 세팔로스포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PCT/KR1996/000255 WO1997024359A1 (en) 1995-12-28 1996-12-27 Novel cephalosporin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P96943362A EP0883621A1 (en) 1995-12-28 1996-12-27 Cephalosporin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N96199311A CN1092663C (zh) 1995-12-28 1996-12-27 新型头孢菌素衍生物及其制备方法
US09/091,883 US6063778A (en) 1995-12-28 1996-12-27 Cephalosporin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09524234A JP2000515116A (ja) 1995-12-28 1996-12-27 新規セファロスポリ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1498A KR0174117B1 (ko) 1995-12-28 1995-12-28 새로운 세팔로스포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563A KR970042563A (ko) 1997-07-24
KR0174117B1 true KR0174117B1 (ko) 1999-02-01

Family

ID=1944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1498A KR0174117B1 (ko) 1995-12-28 1995-12-28 새로운 세팔로스포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63778A (ko)
EP (1) EP0883621A1 (ko)
JP (1) JP2000515116A (ko)
KR (1) KR0174117B1 (ko)
CN (1) CN1092663C (ko)
WO (1) WO199702435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323B1 (ko) * 2000-01-26 2003-04-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N-메틸-n-(3-메틸-1,3-티아졸리움-2-일)아미노기를함유한 신규한 세팔로스포린 화합물
KR100441901B1 (ko) * 2001-07-02 2004-07-27 일동제약주식회사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1230A1 (en) * 2002-04-26 2003-11-06 Orchid Chemicals & Pharmaceuticals Limit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4-methyl-thiazole-5-carbaldehyde intermediate
US9440916B2 (en) 2013-09-26 2016-09-13 Olatec Therapeutics Llc 3, 4-bis-benzylsulfonylbutyronitrile and its pharmaceutical use
JP6360163B2 (ja) * 2013-09-26 2018-07-18 オラテック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3,4−ビス−ベンジルスルホニルブタンニトリル及びその医薬上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72769A (en) * 1968-08-02 1972-05-03 Glaxo Lab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ephalosporin derivatives
US4079180A (en) * 1975-01-22 1978-03-14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eparing 7-aminocephalosporanic acid derivatives
US5373000A (en) * 1985-12-26 1994-12-13 Eisai Co., Ltd. 7Beta-(thiadiazolyl)-2-iminoacetamido-3cephem compounds
EP0612751A3 (en) * 1988-03-16 1994-09-21 Eisai Co Ltd Compounds for the preparation of cephem derivatives.
IT1252308B (it) * 1990-12-21 1995-06-08 Antibioticos Spa Procedimento enzimatico per la produzione di acido 7- amminocefalosporanico e derivati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323B1 (ko) * 2000-01-26 2003-04-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N-메틸-n-(3-메틸-1,3-티아졸리움-2-일)아미노기를함유한 신규한 세팔로스포린 화합물
KR100441901B1 (ko) * 2001-07-02 2004-07-27 일동제약주식회사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24359A1 (en) 1997-07-10
JP2000515116A (ja) 2000-11-14
EP0883621A1 (en) 1998-12-16
CN1092663C (zh) 2002-10-16
CN1205706A (zh) 1999-01-20
US6063778A (en) 2000-05-16
KR970042563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0848B1 (ko)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EP0197409B1 (en) Cephalosporin derivatives
KR870000826B1 (ko)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219828B2 (ko)
FR2509312A1 (fr) Nouveaux derives acyles, leur preparation et leurs utilisations therapeutiques
JPH0149273B2 (ko)
US4918068A (en) Cephem compounds
US4866055A (en) Cephalosporin derivatives and their crystalline derivatives
KR0174117B1 (ko) 새로운 세팔로스포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US4880798A (en) Cephalosporin derivatives
KR100257130B1 (ko) 신규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및 이의 제조방법
US4576938A (en) Cephalosporin compound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4929612A (en) Thiadiazolylacetamide cephem derivatives
US4311842A (en) Cephalosporin compounds
Kamachi et al. Synthesis of a new series of cephalosporins having 3-substituted-ammonio-1-propenyl group as the C-3 side chain
US4725592A (en) 1-Acyloxyalkyl esters of cephalosporin
US4448775A (en) 3-Carbamoyloxymethylcephem derivatives, and antibacterial drugs containing same
EP0188781B1 (en) 1-oxa-1-dethia-cephalosporin compounds and antibacterial agent comprising the same
JP3012986B2 (ja) セフェム化合物及びその製造法
KR100264156B1 (ko) (e)-프로페닐4급암모늄세펨화합물및이의제조방법
CA1068260A (en) 7-(alpha-furoylureidoaryl and cyclohexadieny-lacetamido) cephalosporin antibiotics
US4800199A (en) 3-[2-thiazoloamino]-8-oxo-7-substituted-5-thia-1-azabicyclo-[4.2.0]oct-2-ene-2-carboxylic acid and salts thereof and diphenylmethyl esters thereof
KR810001091B1 (ko) 페니실린 화합물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631260B2 (ja) 新規なセファロスポリン化合物
KR930006769B1 (ko) 세팔로스포린 화합물 제조용 중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