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664B1 - 스프링형 임팩트빔 - Google Patents

스프링형 임팩트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664B1
KR0173664B1 KR1019960043075A KR19960043075A KR0173664B1 KR 0173664 B1 KR0173664 B1 KR 0173664B1 KR 1019960043075 A KR1019960043075 A KR 1019960043075A KR 19960043075 A KR19960043075 A KR 19960043075A KR 0173664 B1 KR0173664 B1 KR 0173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mpact beam
flange portions
spr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577A (ko
Inventor
진수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43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66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3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the elements being flexible, e.g. belts, cables or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5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essentially horizontal in the centre of the 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7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to the door, e.g. releasable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5Reinforcement elements integrated in door structure or other door elements, e.g. beam-like shapes stamped in inner door panel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스프링형 임팩트빔에 관한 것으로, 활형의 본체(11)와 그 양단부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12, 13)를 지닌 제 1 플레이트(1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10)와 동일한 형상을 지니고 상기 제 1플레이트(10)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플랜지부(12, 13)와 접착되는 플랜지부(22, 23)를 지닌 제 2플레이트(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10)의 활형 본체(11)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20)의 활형 본체(2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되, 양단이 상기 활형 본체(11, 21)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팽창스프링(14)이 구비되어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도어의 변형량이 감소됨으로써 승객의 안전성을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프링형 임팩트빔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스프링형 임팩트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내부에 장착되는 임팩트 빔의 구조를 스프링이 내장된 플레이트형으로 하여 충격완화 및 흡수의 기능을 증대시킨 스프링형 임팩트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자동차의 도어의 외부 패널과 내부 패널 사이에는 측면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임팩트 빔이 장착되어 있다. 이같은 임팩트 빔의 설치 높이는 주로 사이드 몰딩 위치와 일치한다. 이는 사이드 몰딩이 도어의 외측으로 가장 돌출된 부분으로 측면 충돌시 가장 빈번하게 최초로 충격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임팩트 빔이 승용차에 적용될 경우 앞뒤 4개의 도어 중간부분에 각각 내장되어 측면 충돌시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해 주고 있다.
상기 임팩트빔은 자동차 도어의 내부패널과 외부패널 사이에 장착되며 도 1에 도시된바와 같이 임팩트빔(5)의 양단부가 브래킷(7)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지지를 위하여 상기 임팩트빔(5)과 브래킷(7)사이에는 CO2용접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7)은 보통 도어의 내측패널(2)에 스폿용접 등으로 접합된다. 상기 임팩트빔(5)은 보통 중공형의 파이프가 제공된다.
따라서, 측면 충돌시에 1차적으로 외측패널이 변형되고 2차적으로 상기 임팩트빔(5)이 변형되었다. 이때에 상기 임팩트빔(5)의 변형이 심해지게 되면 도어의 내측패널이 변형되며 운전자 또는 승객에게 까지 상해를 줄 수 도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임팩트빔을 더욱 두껍게 하는 방법이 고려되어 왔으나 이에 따른 중량의 증가는 자동차의 연비향상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이 있어 실용화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측면충돌에 대한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어의 내부에 장착되는 임팩트빔의 구조를 변경하여 결과적으로 충격완화 및 흡수력을 증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임팩트빔이 자동차 도어의 내부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형 임팩트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형 임팩트빔이 도어 내부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 플레이트 11, 21: 본체
14: 탄성스프링 20: 제 2 플레이트
31, 32: 브래킷
이같은 목적은 본발명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활형의 본체와 그 양단부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지닌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동일한 형상을 지니고 상기 제 1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플랜지부와 접착되는 플랜지부를 지닌 제 2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활형본체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활형본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되, 양단이 상기 활형 본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팽창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형 임팩트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제 1플레이트의 플랜지부는 각각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플랜지부와 볼트에 의하여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형 임팩트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제 1플레이트의 플랜지부는 각각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플랜지부와 용접에 의하여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형 임팩트빔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형 임팩트빔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제 1플레이트(10), 제 2플레이트(20) 및 팽창스프링(1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10)는 활형의 본체(11)와 그 양단부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12, 13)를 지니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플레이트(20)는 활형의 본체(21)와 그 양단부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22, 23)를 지니고 있다. 즉 상기 제 2플레이트(2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10)와 동일한 형상을 지니고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20)는 상기 제 1플레이트(10)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플랜지부(12, 13)와 접착되는 플랜지부(22, 23)를 지니고 있다.
한편, 상기 제 1 플레이트(10)의 활형 본체(11)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20)의 활형 본체(21) 사이의 공간에는 다수개의 팽창스프링(14)이 장착되어 있다. 즉, 팽창스프링(14)의 양단은 상기 활형 본체(11, 21)의 안쪽면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활형 본체(11, 21)들을 각각 바깥쪽으로 밀치는 힘을 지니고 있다.
한편, 상기 제 1플레이트(10)의 플랜지부(12, 13)는 각각 상기 제 2 플레이트(20)의 플랜지부(22, 23)와 볼트(15)에 의하여 접합되어도 좋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어도 좋다. 상기와 같이 접합되어 있는 각각의 플랜지부 들은 도어의 일측이 내측패널에 용접접합되는 브래킷(31, 32)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브래킷(31, 32)은 용접접합되는 부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형 임팩트빔이 도어 내부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자동차 도어의 외측패널(9)과 내측패널(8) 사이에 제 1 플레이트(10), 탄성스프링(14) 및 제 2 플레이트(20)로 이루어진 스프링형 임팩트빔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측면충돌시 1차적으로 외측패널(9)이 변형되고 상기 외측패널(9)이 변형됨에 따라 외측패널(9)면이 제 1 플레이트(10)에 접촉하게 되고 변형이 더욱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제 1 플레이트(10)도 제 2 플레이트(20)를 향하여 변형된다. 이때 상기 제 1 플레이트(10)의 변형은 탄성스프링(14)에 의하여 일부 저지되고, 상기 탄성스프링(14)이 압축되며 충격완화 및 흡수를 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플레이트(20)로는 매우 미미한 충격력이 전달될 뿐이고, 그결과 상기 제 2 플레이트(20) 가까이에 위치된 내측 패널(8)은 종래의 파이프형 임팩트빔이 장착된 경우보다 그 변형량은 감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자동차에 적용하는 경우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탄성스프링이 충격흡수량을 증대시켜 줌으로써 도어 패널의 변형량을 감소시켜 승객의 안전성을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3)

  1. 활형의 본체(11)와 그 양단부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12, 13)를 지닌 제 1 플레이트(1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10)와 동일한 형상을 지니고 상기 제 1플레이트(10)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플랜지부(12, 13)와 접착되는 플랜지부(22, 23)를 지닌 제 2플레이트(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10)의 활형 본체(11)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20)의 활형 본체(2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되, 양단이 상기 활형 본체(11, 21)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팽창스프링(1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형 임팩트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플레이트(10)의 플랜지부(12, 13)는 각각 상기 제 2 플레이트(20)의 플랜지부(22, 23)와 볼트(15)에 의하여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형 임팩트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플레이트(10)의 플랜지부(12, 13)는 각각 상기 제 2 플레이트(20)의 플랜지부(22, 23)와 용접에 의하여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형 임팩트빔.
KR1019960043075A 1996-09-30 1996-09-30 스프링형 임팩트빔 KR0173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075A KR0173664B1 (ko) 1996-09-30 1996-09-30 스프링형 임팩트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075A KR0173664B1 (ko) 1996-09-30 1996-09-30 스프링형 임팩트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577A KR19980023577A (ko) 1998-07-06
KR0173664B1 true KR0173664B1 (ko) 1999-02-18

Family

ID=1947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075A KR0173664B1 (ko) 1996-09-30 1996-09-30 스프링형 임팩트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6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577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664B1 (ko) 스프링형 임팩트빔
KR200238035Y1 (ko) 자동차의사이드실보강구조
KR19980043336A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KR100195500B1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빔의 취부구조
KR19980043327A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KR970003659Y1 (ko) 충격 감쇠효과를 갖는 차량의 스페이스 프레임의 세로부재
KR100334273B1 (ko) 자동차 범퍼의 완충구조
KR970002212Y1 (ko) 3 도어식 승용차의 측면바디 보강구조
KR0133981Y1 (ko) 자동차용 임팩트 바
KR100717448B1 (ko) 충격흡수 기능이 있는 범퍼 스테이
KR100187361B1 (ko)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멤버 설치구조
KR0136868Y1 (ko) 충격흡수 가능한 리어범퍼의 린포스먼트
KR19990035701A (ko)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바 조립체
KR200176262Y1 (ko) 자동차의 어퍼멤버
KR200179580Y1 (ko) 승용차 사이드 씰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100208585B1 (ko) 자동차용 도어용 보강부재
KR200161058Y1 (ko) 자동차용 도어 임펙트바의 취부구조
KR200160661Y1 (ko) 자동차의 도어패널 보강장치
KR960005104Y1 (ko) 자동차 임팩트비임의 충격완화용 탄성부재
KR100401861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안전빔
KR200151619Y1 (ko) 차량의 범퍼스테이구조
KR19980038515A (ko) 자동차 프런트펜더패널의 보강구조
KR19980047978A (ko) 차량의 오프셋 충돌 보강구조
KR19980029569A (ko) 자동차용 후방 차체의 보강구조
KR19990015288U (ko)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 쿼드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