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555B1 - 연약지반을 가진 도로의 단차방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연약지반을 가진 도로의 단차방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555B1
KR0173555B1 KR1019960032604A KR19960032604A KR0173555B1 KR 0173555 B1 KR0173555 B1 KR 0173555B1 KR 1019960032604 A KR1019960032604 A KR 1019960032604A KR 19960032604 A KR19960032604 A KR 19960032604A KR 0173555 B1 KR0173555 B1 KR 0173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polystyrene block
soil
road
ge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3898A (ko
Inventor
권오현
유우현
Original Assignee
추지석
효성바스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지석, 효성바스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지석
Priority to KR1019960032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555B1/ko
Publication of KR19980013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4Devices for laying inserting or positioning reinforcing elements or dowel bars with or without joint bodies; Removable supports for reinforcing or load transfer elements; Devices, e.g. removable forms, for making essentially horizontal ducts in paving, e.g. for prestressed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을 가진 도로의 단차방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성토부와 발포폴리스틸렌블록성토부간의 침하속도 차이에 의해서 유발되는 양 성토부사이 경계부의 파손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 성토부(44)와 발포폴리스틸렌블록성토부(45) 와의 경계부(B) 주위에 상기 성토부(44), (45) 위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슬라브(47)의 두께보다 약 2~3배 정도 두꺼운 단차방지슬라브(10)를 일반성토부(44) 쪽으로 연장되게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을 가진 도로의 단차방지 시공방법.

Description

연약지반을 가진 도로의 단차방지 시공방법
본 발명은 연약지반을 가진 도로의 단차방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에 도로와 같은 각종 토목구조물을 시공할 때 종래에는 통상적인 성토만으로 지반침하와 같은 취약성을 보완해 왔었으나, 통상적인 성토를 할 경우 흙, 돌등과 같은 천연성토자재를 확보하고 운반해야만 하므로 성토비용이 많이 들었고,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어서 근래에는 경량인 발포폴리스틸렌블록(예; EPS 블록)을 성토자재로 사용하는 공법이 널리 보급되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교대(橋台)와 강안사이를 잇는 교량진입로의 경우 종래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교대(40)와 강안(41) 사이를 발포폴리스틸렌블록(42)으로 적층, 조립하여 성토하중자체를 경감시켜서 교량진입로(43)의 침하를 미연에 방지하고 측방향 유동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일반성토부(44)와 발포폴리스틸렌블록 성토부(45) 간의 경계선 상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토압의 하중분포를 균일하게 해줌과 아울러 기울기 조정을 위해서 도로포장층(46)을 시공하기 전에 최상층 발포폴리스틸렌블록(42a) 위에 와이어메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슬라브(47)를 시공하되 교대(40)와 인접하는 쪽에 두께가 상기 콘크리트슬라브(47) 보다 두꺼운 어프로치슬라브(48)를 시공해 왔었다.
그러나 강안(41)쪽 일반성토부(44)와, 발포폴리스틸렌블록 성토부(45)간의 경계부(B) 쪽에서 발생하는 성토부의 재질과 강도 차이에 의한 침하속도의 현저한 차이로 말미암아서 상기 경계부쪽 콘크리트슬라브(47a)가 교량진입로(43)를 주행하는 차량들에 의한 반복하중에 의해서 점진적으로 파괴되어 도로포장충(46)의 균열과 변형을 초래하므로 결국에는 경계부(B)가 침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일반성토부와 발포폴리스틸렌블록 성토부간의 침하속도차이에 의해서 유발되는 양 성토부사이 경계부의 파손을 근본적으로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최상층발포폴리스틸렌블록위에 시공되는 콘크리트슬라브두께보다 약 2~3배정도 두꺼운 철근콘크리트슬라브인 단차방지슬라브를 일반 성토부와 발포폴리스틸렌블록성토부의 경계부 주위에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을 가진 도로의 단차방지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으로 완공시킨 교량진입로의 길이 방향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교량진입로의 폭방향 종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시공방법에 의한 교량진입로의 길이방향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차방지슬라브 12 : 세로지지벽
40 : 교대 41 : 강안
42 : 발포폴리스틸렌블록 44 : 일반성토부
45 : 발포폴리스틸렌블록성토부 46 : 도로포장층
47 : 콘크리트슬라브
제1,2도에는 본 발명을 교량진입로에 적용한 실시예가 표현되어 있는데 교대(40)와 강안(41) 사이를 발포폴리스틸렌블록(42) (예; 효성바이스프의 지오폼) 으로 적층, 조립하여 연결하고, 일반성토부(44)와 발포폴리스틸렌블록성토부(45) 위에 콘크리트슬라브(47)를 형성하며, 콘크리트슬라브(47) 위에 도로포장층(46)을 시공함에 있어서, 강안(41) 쪽 일반성토부(44)와 발포폴리스틸렌블록성토부(45)와의 경계부(B) 주위에 상기 콘크리트슬라브(47)의 두께보다 약 2~3배정도 두꺼운 철근콘크리트슬라브인 단차방지슬라브(10)를 일반성토부(44) 쪽으로 연장되게끔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슬라브두께 차이가 2배 미만이면 보강력이 떨어지고, 3배를 초과하면 강도는 크나 비용대 효과면에 경제적이지 못하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가 표현되어 있는데 최상층발포폴리스틸렌블록(42a) 들 사이에 공간(11)이 유지되도록 최상층 발포폴리스틸렌블록(42a)들을 조립하고, 상기 공간(11)속과 가장자리에 콘크리트 반죽물을 타설하여 철근콘크리트슬라브인 단차방지슬라브(10)와 연결되는 세로지지벽(12)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재질과 강도차이에 의해서 침하속도가 다를 수 밖에 없는 강안(41)쪽 일반성토부(44)와, 교대(40)와 강안(41) 사이에 적층, 조립되는 발포폴리스틸렌블록성토부(45)간의 경계부(B) 주위를 최상층 발포폴리스틸렌블록(42a) 위에 시공되는 콘크리트슬라브(47)의 두께보다 약 2~3배 정도 두꺼운 철근콘크리트슬라브인 단차방지슬라브(10)로 구조적강도를 강화시켜준 것이기 때문에 일반성토부(44)와 발포폴리스틸렌블록성토부(45)간의 경계부(B) 쪽에서 양 성토부(44), (45)의 침하속도가 다르고, 상기 경계부(B) 위쪽에 교량진입로(43)를 주행하는 차량들에 의해서 반복하중이 장기간 작용하더라도 경계부(B) 위쪽 도로포장층(46)의 균열과 변형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연약지반을 가진 도로의 발포폴리스틸렌블록성토부(45)와 일반 성토부(44)의 취약한 경계부(B) 쪽이 철근콘크리트슬라브인 단차방지슬라브(10)로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경계부(B)에서의 침하와 이로인한 단차(段差)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연약지반 위에 발포폴리스틸렌블록(42)을 적층, 조립하고, 일반성토부(44)와 발포폴리스틸렌블록성토부(45) 위에 콘크리트슬라브(47)를 형성시키며, 콘크리트슬라브(47) 위에 도로포장층(46)을 시공함에 있어서, 일반 성토부(44)와 발포폴리스틸렌블록성토부(45)와의 경계부(B) 주위에 상기 콘크리트슬라브(47)의 두께보다 약 2~3배정도 두꺼운 단차방지슬라브(10)를 일반성토부(44) 쪽으로 연장되게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을 가진 도로의 단차방지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최상층발포폴리스틸렌블록(42a)들 사이에 공간(11)이 유지되도록 하고, 이 공간(11)과 가장자리에 콘크리트반죽물을 타설하여 철근콘크리트슬라브인 단차방지슬라브(10)와 연결되는 세로지지벽(12)을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을 가진 도로의 단차방지 시공방법.
KR1019960032604A 1996-08-05 1996-08-05 연약지반을 가진 도로의 단차방지 시공방법 KR0173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604A KR0173555B1 (ko) 1996-08-05 1996-08-05 연약지반을 가진 도로의 단차방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604A KR0173555B1 (ko) 1996-08-05 1996-08-05 연약지반을 가진 도로의 단차방지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898A KR19980013898A (ko) 1998-05-15
KR0173555B1 true KR0173555B1 (ko) 1999-02-18

Family

ID=19468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604A KR0173555B1 (ko) 1996-08-05 1996-08-05 연약지반을 가진 도로의 단차방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896B1 (ko) * 2001-07-19 2004-06-23 (주)내경엔지니어링 교량의 교대뒷채움부 시공 방법
KR20020025856A (ko) * 2001-12-28 2002-04-04 이기홍 무다짐 교량 뒤채움 공법을 이용한 접속슬래브 침하최소화 공법
KR100809001B1 (ko) * 2006-11-16 2008-03-05 임규동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
KR100802038B1 (ko) * 2007-02-27 2008-02-12 (주)내경엔지니어링 라멘식 교대구조
CN110777586A (zh) * 2019-10-28 2020-02-11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路基差异沉降的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898A (ko)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224B1 (ko) 상하분리형 프리캐스트 암거 박스 및 그 시공 방법
JP5187143B2 (ja) 液状化に伴う不陸抑制・噴発防止構造
US3891340A (en) Paving stone unit having integral connecting webs
KR0173555B1 (ko) 연약지반을 가진 도로의 단차방지 시공방법
KR20190112451A (ko) 탄성보강재를 이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신축이음 시공방법
JP4506316B2 (ja) 道路の段差解消構造
CN211815250U (zh) 一种道路加宽路基拼接结构
US4519730A (en)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KR101973657B1 (ko) 교대 측방유동 방지용 역아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개보수공법
KR101341147B1 (ko) 도로-교량간 포장 일체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6263334B2 (ja) 床版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舗装構造と舗装方法
JPS6043531A (ja) 擁壁の構築方法
JP2673212B2 (ja) 地盤内壁体
JPH08209704A (ja) 盛土の造成方法
KR200414459Y1 (ko)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교량의 포장구조
KR20000044700A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변위 허용을 위한 채움 조인트 시공방법
CN218666977U (zh) 一种用于森林公园绕山便道防塌连接结构
CN213571504U (zh) 桥头搭板结构和桥梁结构
JP2642289B2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誘発目地部構造
JP3563458B2 (ja) 連続高張力鉄筋コンクリート舗装構造
JP3588778B1 (ja) 中埋めブロック擁壁及びこれを使用した盛土工法
JP2024074227A (ja) 橋台ブロックおよび橋梁
KR100683197B1 (ko)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교량의 포장방법
JPH083929A (ja) 橋梁における床版と橋桁のシール材
KR100714645B1 (ko) 교량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