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089B1 -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피복된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피복된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089B1
KR0173089B1 KR1019960002103A KR19960002103A KR0173089B1 KR 0173089 B1 KR0173089 B1 KR 0173089B1 KR 1019960002103 A KR1019960002103 A KR 1019960002103A KR 19960002103 A KR19960002103 A KR 19960002103A KR 0173089 B1 KR0173089 B1 KR 0173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ic acid
drug
isopropylacrylamide
liposome
octadecyl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691A (ko
Inventor
김종득
김진철
배수경
Original Assignee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윤덕용
Priority to KR1019960002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089B1/ko
Priority to US08/783,113 priority patent/US5720976A/en
Publication of KR97005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0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은 약물이 봉입된 리포솜 현탁액에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를 중량비로 1:0.05∼0.2로 첨가하고, 약 0∼10℃에서 약 10∼14시간 동안 보관하여 상기 리포솜 표면을 상기 공중합체로 피복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가 피복된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에 의하면, 피복되는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공중합체 중의 아크릴산의 함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약 28℃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8 내지 36℃의 온도 범위에서 약물의 방출온도를 직선적으로 제어할 수 있었고, 또한 종래의 열민감성 리포솜보다 상온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Description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피복된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 및 그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서 합성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상전이 온도(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를 온도에 따른 빛의 차단도로서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서 합성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피복된 레시틴 리포솜 및 피복되지 않은 레시틴 리포솜의 온도에 따른 칼세인 방출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약물의 방출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열민감성 리포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약물이 봉입된 리포솜에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를 피복시킴으로써 피복되는 공중합체 중의 아크릴산의 함량에 따라 약물의 방출온도가 제어되는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업계에는 여러 가지 열민감성 리포솜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인지질이 1/100 내지 30/100의 몰비로 구성된 리포솜은 40∼45℃에서 약물을 빠르게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 일본국 특허공개 (평)06-227966호].
또한,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dipalmitoylphosphatidyl choline; DPPC)과 1, 2-디아실글리세로-포스포리피드 (1, 2-diacylglycerophospholipid)가 중량비로 20/1 내지 8/2로 구성된 리포솜은 40∼44℃에서 약물을 가장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참조 : 일본국 특허공개(평)05-194192호].
또한, 레시틴 또는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리포솜에 몰비로 9.9/0.1의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피복시켜 25∼30℃의 온도에서 약물을 방출하기 시작하는 열민감성 리포솜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참조 : K. Kono et al., J. Controlled Release, 30 : 69-75(1994)].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열민감성 리포솜은 약물 방출온도를 제어할 수 없다거나, 상온에 가까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약물을 방출하여 상온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또는 40℃ 이상의 너무 높은 온도에서 방출하기 때문에 체내에서 약물 방출이 너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약물 방출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리포솜에 관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약물이 봉입된 리포솜을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피복시키면, 피복되는 공중합체 중의 아크릴산의 함량에 따라 리포솜의 약물 방출온도가 일정 온도 범위에서 직선적으로 제어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약물 방출온도를 상온 이상의 일정 온도 범위에서 직선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물 방출온도를 상온 이상의 일정 온도 범위에서 직선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을 달성하는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의 제조방법은 약물이 봉입된 리포솜 현탁액에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를 첨가하여 상기 리포솜 표면을 상기 공중합체로 피복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리포솜으로서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리포솜도 사용될 수 있지만, 바림직하게는 레시틴 또는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리포솜이 사용된다.
상기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로서는 각 단량체들이 9.9/0.1/0.1 내지 9.9/0.1/0.4, 바람직하게는 9.9/0.1/0.11 내지 9.9/0.1/0.33의 몰비로 공중합된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는 상기 소정의 몰비의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과, AIBN(α, α'-azobisisobutyronitrile)을 유기용매, 예를 들면 디옥산에 용해시킨 다음, 질소를 유입시켜 유기용매에 녹아있는 가스를 제거하고, 반응액을 약 70℃로 유지시키면서 약 12시간 교반시켜 공중합 시킨 다음, 반응액에 디에틸에테르를 가하고, 여과하여 합성된 공중합체를 회수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본 발명의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리포솜 표면에 상기 공중합체를 피복시키는 단계는, 상기 리포솜 현탁액에 상기 공중합체를 중량비로 약 1 : 0.05∼0.2, 바람직하게는 약 1 : 0.08∼0.15의 양으로 첨가한 후, 약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5℃에서 약 10 내지 14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본 발명의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의 제어방법에 의해 제조된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은 리포솜 표면에 피복되는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중의 아크릴산의 함량에 따라 약 28℃ 이사, 바람직하게는 약 28 내지 36℃의 온도에서 약물을 방출하기 시작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열민감성 리포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약물은 당업계에서 리포솜 제제로 이용되고 있는 어떠한 약물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칼세인(calcein)을 들 수 있다. 리포솜으로서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리포솜도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레시틴 또는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리포솜이 사용된다.
리포솜에 약물의 봉입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약물이 봉입된 리포솜 현탁액 역시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예를 들면, 약물로서 칼세인이, 그리고 리포솜으로서는 레시틴이 사용되는 경우, 먼저 pH 7.4의 인산 완충용액에 칼세인을 약 10 내지 100mM,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7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60mM의 농도로 용해시켜 약물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레시틴 건조막에 대해 제조딘 약물 용액을 약 1 : 200(w/v)의 비율로 가한 다음, 상온에서 레시틴 건조막을 분산시키고, 약 5분 내지 30분간 초음파 분쇄하여 약물이 봉입된 리포솜의 현탁액을 제조한다. 이 때, 리포솜에 봉입되지 않은 약물은, 예를 들면 Bio-Gel A-0.5m으로 충전된 컬럼에 의해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약물이 봉입된 리포솜 현탁액에,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단량체를 약 9.9/0.1/0.1 내지 9.9/0.1/0.4, 바람직하게는 9.9/0.1/0.11 내지 9.9/0.1/0.33의 몰비로 공중합시켜 제조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를 상기 약물이 봉입된 리포솜에 대해 중량비로 약 1 : 0.05∼0.2, 바람직하게는 약 1 : 0.1의 양으로 첨가한 후, 약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5℃에서 약 10 내지 14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리포솜의 표면은 상기 공중합체로 피복된다.
본 발명의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가 피복된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은 피복되는 공중합체중의 아크릴산의 함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즉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 9.9/0.1(몰비)에 대해 아크릴산의 몰비를 0.1 내지 0.4, 바람직하게는 약 0.11 내지 0.33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리포솜의 약물방출온도를 약 28℃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8 내지 36℃ 범위에서 직선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가 피복된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은 종래의 레시틴 또는 DPPC 리포솜에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피복시킨 열민감성 리포솜[참조 : K. Kono et al., J. Controlled Release, 30 : 69-75(1994)]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약물방출 개시온도 제어성]
종래의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가 피복된 열민감성 리포솜은 28℃ 이하에서부터 민감하게 방출하기 시작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가 피복된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은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 9.9/0.1(몰비)에 대해 아크릴산의 함량을 몰비로 0.1 이상, 바람직하게는 0.11에서 0.33까지 증가시킴으로써 약물 방출 온도를 28℃ 이상, 36℃까지 증가시킬 수 있어, 아크릴산의 함량에 따라 약물 방출온도를 직선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온 안정성]
종래의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피복된 열민감성 리포솜은 28℃이하에서부터 민감하게 방출하기 시작하는 리포솜이기 때문에, 상온에서 취급할 경우 리포솜이 어느 정도 약물을 방출하게 되어 열민감성 리포솜의 가치를 상실할 수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가 피복된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은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 9.9/0.1(몰비)에 대해 아크릴산의 함량을 0.11몰 이상으로 할 경우 28℃이하에서는 민감하게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상온안정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의 합성 및 상전이 온도 측정
몰비로 각각 9.9/0.1/0, 9.9/0.1/0.11, 9.9/0.1/0.22 및 9.9/0.1/0.33의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단량체와, AIBN(α, α'-azobisisobutyronitrile)을 디옥산에 용해시킨 다음, 질소를 유입시켜 유기용매에 녹아있는 가스를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액을 70℃로 유지시키면서 1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액에 디에틸 에테르를 가한 다음, 여과시켜 합성된 공중합체를 회수하였다. 공중합체를 5mg/ml 농도가 되게 pH 7.4의 인산완충용액에 용해시킨 다음, 이 공중합체 용액을 직경 1cm, 두께 2mm의 셀(cell)에 도입하고, 시료를 분당 1℃씩 승온시켜 시료가 빛을 투과하는 정도를 관찰함으로써 공중합체의 상전이 온도(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제 1도에 나타내었다. 제1도는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단량체의 몰비가 각각 9.9/0.1/0, 9.9/0.1/0.11, 9.9/0.1/0.22 및 9.9/0.1/0.33인 공중합체의 상전이 온도를 온도에 따른 각 고분자의 빛의 차단도로서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크릴산의 함량이 증가하면 빛의 차단율이 변하는 온도, 즉 상전이 온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9.9몰의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에 대해서 아크릴산의 함량이 0몰(곡선1), 0.11몰(곡선2), 0.22몰(곡선3)로 증가하면, 빛의 차단율이 50%가 되는 온도는 각각 32.3, 37.5, 39.7, 46.9℃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공중합체로 피복된 칼세인 함유 레시틴 리포솜의 제조
20mg의 레시틴 건조막에 50mM 농도로 칼세인이 용해되어 있는 인산 완충용액(pH 7.4) 2ml를 가하였다. 그런 다음, 상온에서 레시틴 건조막을 분산시키고 10분간 초음파 분쇄하여 리포솜을 제조하였다. 리포솜에 봉입되지 않은 칼세인은 Bio-Gel A-0.5m이 충전된 컬럼을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칼세인이 봉입된 리포솜 현탁액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9.9/0.1/0, 9.9/0.1/0.11, 9.9/0.1/0.22, 9.9/0.1/0.33(몰비)의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를 각각 리포솜에 대한 공중합체의 중량비가 0.1이 되게 첨가한 후, 4℃에서 12시간 보관함으로써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피복된 레시틴 리포솜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온도에 따른 리포솜의 칼세인 방출율의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의 약물 방출율을 온도제어기가 달린 형광측정기를 사용하여 20-46℃의 온도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3ml의 형광분광용 셀(cell)에 2.6ml의 인산완충용액을 도입해서 20-46℃의 온도범위내의 어느 특정 온도에 인산완충용액의 온도를 미리 맞춘 다음, 18℃로 유지시킨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리포솜 시료 0.2ml을 셀 내부의 인산완충용액에 가한 후, 520nm에서의 형광성 변화를 형광분광계로 80초간 관찰하였다. 이 때, 여기 파장은 490nm로 하였다. 칼세인 방출율(%)은 다음 식에 의해서 계산하였다.
방출율(%) = (F - Ft) / (Fo- Ft) × 100
상기 식에서,
F는 특정온도에서의 형광성이고;
Fo는 18℃에서의 형광성이며;
Ft는 0.12% 데옥시콜레이트(deoxycholate)를 첨가하여 리포솜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의 전체 형광성이다.
칼세인 방출율 측정결과를 제2도에 나타내었다.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크릴산 단량체를 함유하지 않는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피복된 리포솜의 경우(▲), 28℃에서 이미 7%의 칼세인을 방출하기 시작하였지만,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피복된 본 발명의 리포솜의 경우, 공중합체 중의 아크릴산의 함량이 9.9몰의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에 대해서 0.11몰(▼), 0.22몰(■), 0.33몰(●)로 증가함에 따라 각각 28℃, 32℃, 36℃에서 방출하기 시작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은 피복되는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중의 아크릴산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리포솜의 약물 방출 온도를 직선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제2도에서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은 순수한 레시틴 리포솜의 방출(○)은 전 온도영역에서 거의 0%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가 피복된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에 의하면, 피복되는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중의 아크릴산의 함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약 28℃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8 내지 36℃의 온도 범위에서 약물의 방출온도를 직선적으로 제어할 수 있었고, 또한 종래의 열민감성 리포솜보다 상온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Claims (3)

  1. 약물이 봉입된 리포솜 현탁액에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를 중량비로 1 : 0.05∼0.2로 첨가하고, 약 0∼10℃에서 약 10∼14시간 동안 보관하여 상기 리포솜 표면을 상기 공중합체로 피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중의 각 단량체의 몰비가 9.9/0.1/0.1 내지 9.9/0.1/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의 제조방법.
  3. 약물이 봉입된 리포솜 현탁액에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를 중량비로 1 : 0.05∼0.2로 첨가하고, 약 0∼10℃에서 약 10∼14시간 동안 보관하여 상기 리포솜 표면을 상기 공중합체로 피복시킴으로써 제조된, 약물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
KR1019960002103A 1996-01-30 1996-01-30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피복된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 및 그의 제조방법 KR0173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103A KR0173089B1 (ko) 1996-01-30 1996-01-30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피복된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 및 그의 제조방법
US08/783,113 US5720976A (en) 1996-01-30 1997-01-14 Thermosensitive liposom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103A KR0173089B1 (ko) 1996-01-30 1996-01-30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피복된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691A KR970058691A (ko) 1997-08-12
KR0173089B1 true KR0173089B1 (ko) 1999-03-20

Family

ID=1945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2103A KR0173089B1 (ko) 1996-01-30 1996-01-30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피복된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720976A (ko)
KR (1) KR01730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889B1 (ko) * 2001-08-30 2004-09-22 동국제약 주식회사 음이온 고분자와 인지질의 결합체가 함유된 인지질 리포좀및 그의 제조방법과 응용
KR20220043756A (ko) 2020-09-29 2022-04-05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암 세포 표적 및 근적외선에 의한 화학-광열 치료가 가능한 온도 감응성 고분자 기반의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6925B1 (en) * 1998-06-18 2004-04-27 Duke University Temperature-sensitive liposomal formulation
US6200598B1 (en) 1998-06-18 2001-03-13 Duke University Temperature-sensitive liposomal formulation
US7425581B2 (en) * 1999-07-30 2008-09-16 Universiteit Utrecht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s
EP1072617A1 (en) * 1999-07-30 2001-01-31 Universiteit van Utrecht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s
AU2000255610A1 (en) * 2000-06-28 2002-01-08 Insightec-Image Guided Treatment Ltd. Use of temperature sensitive liposomes
DE10107165A1 (de) * 2001-02-15 2002-08-29 Max Planck Gesellschaft Thermolabiles Liposom mit geregelter Freigabetemperatur
AU2002322024B2 (en) * 2001-05-31 2008-05-08 Pacira Pharmaceuticals, Inc. Encapsulation of nanosuspensions in liposomes and microspheres
TWI354021B (en) * 2002-12-23 2011-12-11 Alco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protein on
EP2056711B1 (en) * 2006-08-22 2011-03-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 mammalian body
KR100945271B1 (ko) * 2007-12-28 2010-03-04 에치엔지화장품주식회사 유효성 보존 기간이 개선된 나노 막 리포솜
CN101862478B (zh) * 2010-06-12 2013-01-02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新华医院 一种具有药物温敏控释作用支架的制备方法
KR20130042905A (ko) * 2011-10-19 2013-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엘라스틴 유사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리포좀 및 그의 용도
US9775803B2 (en) 2011-10-19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posome comprising elastin-like polypeptide and tumor cell targeting material and use thereof
EP2583690B1 (en) * 2011-10-19 2016-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posomes including an elastin-like polypeptide conjugated to a hydrophobic group, a chemosensitizer and an anticancer agent, and the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8109A (en) * 1984-05-25 1991-04-16 Vestar, Inc. Vesicle stabilization
US4804539A (en) * 1986-07-28 1989-02-14 Liposome Technology, Inc. Ophthalmic liposom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889B1 (ko) * 2001-08-30 2004-09-22 동국제약 주식회사 음이온 고분자와 인지질의 결합체가 함유된 인지질 리포좀및 그의 제조방법과 응용
KR20220043756A (ko) 2020-09-29 2022-04-05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암 세포 표적 및 근적외선에 의한 화학-광열 치료가 가능한 온도 감응성 고분자 기반의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20976A (en) 1998-02-24
KR970058691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089B1 (ko)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로 피복된 방출온도 제어형 리포솜 및 그의 제조방법
US4448765A (en) Liposomes and their use in treating human or other mammalian patients
Thomas et al. Polyelectrolyte-sensitized phospholipid vesicles
Kirby et al. Dehydration-rehydration vesicles: a simple method for high yield drug entrapment in liposomes
Rudnick Active transport of 5-hydroxytryptamine by plasma membrane vesicles isolated from human blood platelets.
US4532089A (en) Method of preparing giant size liposomes
EP1311138B1 (en) Light emitting polymer composition,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e devic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Åkerman Effect of pH and Ca2+ on the retention of Ca2+ by rat liver mitochondria
Frankel et al. Photoinduced destabilization of bilayer vesicles
Brenner et al. RecA Protein self-assembly: II. Analytical equilibrium ultracentrifugation studies of the entropy-driven self-association of RecA
EP0963758A2 (en) Synthetic polyaminoacid complexes for delivery of nucleic acids to target cells
Kusumi et al. Protein-lipid interaction in rhodopsin recombinant membranes as studied by protein rotational mobility and lipid alkyl chain flexibility measurements
FI56536C (fi) Mot aktivitetsfoerlust stabiliserat ureaspreparat
JP5679357B2 (ja) 静電結合型ベシクル
Jarvinen et al. Drug release from pH and ionic strength responsive poly (acrylic acid) grafted poly (vinylidenefluoride) membrane bags in vitro
US11053349B2 (en) Biomimetic networks comprising polyisocyanopeptide hydrogels
Reinl et al. Lipid transfer between small unilamellar vesicles and single bilayers on a solid support: self-assembly of supported bilayers with asymmetric lipid distribution
Hiramatsu et al. Cooperative binding of hexadecyltrimethylammonium chloride and sodium dodecyl sulfate to cytochrome c and the resultant change in protein conformation
WO2011118587A1 (ja) 温度、pH及び塩濃度感応性分離材及びその用途
Bolard et al. Transfer of the polyene antibiotic amphotericin B between single-walled vesicles of dipalmitoylphosphatidylcholine and egg-yolk phosphatidylcholine
EP0451763B1 (en) Peptide derivatives with amphiphatic properties, intermediates thereof and liposomes and films comprising said derivatives
AU611235B2 (en) Process for preparing bis(3,5-dioxpiperazinyl) alkanes or alkenes
Kitano et al. Mutual recognition between polymerized liposomes: macrophage model systems by polymerized liposomes
Clapp et al. Efficient photoinduced orthogonal energy and electron transfer reactions via phospholipid membrane-bound donors and acceptors
JPH03160086A (ja) ポリペプチド薄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