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574B1 - 디스크 로딩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로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574B1
KR0171574B1 KR1019890011921A KR890011921A KR0171574B1 KR 0171574 B1 KR0171574 B1 KR 0171574B1 KR 1019890011921 A KR1019890011921 A KR 1019890011921A KR 890011921 A KR890011921 A KR 890011921A KR 0171574 B1 KR0171574 B1 KR 0171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rack portion
chassis
base unit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853A (ko
Inventor
야스오 오사다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00003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53A/ko
Priority to KR1019980014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2095B1/ko
Priority to KR1019980014627A priority patent/KR0172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플레이어에 구비된 디스크 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크 로딩 장치는 프레임 내부의 샤시 위에서 상기 샤시에 대하여 인출/수납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디스크가 배치된 디스크 배치판과, 상기 디스크 배치판측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 배치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직선 형상 래크부와, 상기 직선 형상 래크부에 연속하여 굴곡 형성된 아크 형상 래크부를 구비하는 래크와,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와 광학 헤드가 배치돠고, 상기 샤시에 대하여 상기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가 디스크 배치판의 오목부에 배치된 디스크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와, 상기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가 디스크 배치판에 배치된 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제2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상기 샤시에 부착된 베이스 유닛과,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래크와 결합하는 기어 기구와, 상기 베이스 유닛에 설치된 피결합부가 결합된 캠홈이 구성된 캠부재를 가지며, 상기 샤시에 배치된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기구와 래크에 의해 상기 디스크 배치판이 상기 인출/수납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기어 기구가 상기 직선 형상 래크부로부터 아크 형상 래크부로 이동할 때에 상기 기어 기구에 의해 캠부재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 유닛을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디스크 로딩 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사시도.
제2도는 디스크 배치판을 일부 절단한 사시도.
제3도는 척킹부재의 사시도.
제4도는 유성기어 기구와 캠부재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 장치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
제6a도 및 제6b도는 광학 헤드의 록크 기구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종단면도.
제7a도 및 제7b도는 베이스 유닛의 승강동작을 설명하는 일부를 단면화한 측면도.
제8a도 내지 제8c도는 디스크 배치판의 이동에 따른 유성기어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일부 절결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메카니칼 샤시 4 : 디스크 배치판
8 : 디스크 지지수단으로서의 베이스 유닛
30 : 요동아암 32 : 태양기어
33 : 유성 기어 39 : 캠부재
47 : 래크 48 : 직선형상 래크부
49 : 아크형상 래크부 50 : 안내홈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디스크 플레이어에 구비된 디스크 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디스크 로딩 장치에서, 디스크 지지수단의 승강 제어를, 디스크 배치판에 설치된 아크형상 래크부에 결합되는 유성기어 기구의 유성 기어의 회전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캠수단에 의하여 행하여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디스크 지지수단의 승강동작, 즉 디스크의 척킹동작이 디스크 배치판의 압입동작에 연동(連動)하여 원활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디스크 로딩 장치에서는,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디스크 배치판에 디스크를 위치하여 이것을 구동부까지 이동시키고, 그후 디스크 배치판과 구동부중의 어느 것인가 한쪽을 다른쪽에 대하여 승강 이동시켜 디스크를 구동부에 장착(척킹)하는 동작이 행하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이런 종류의 디스크 로딩 장치에서는 디스크 배치판의 출입 제어와 디스크 배치판의 승강제어를, 대략 직선 형상의 래크와 이 래크와 직교하는 직선 형상의 래크에 결합되는 피니언으로 행하도록 한 것이었다(특허공개 제61-48162호).
즉, 이 디스크 로딩 장치는 디스크 배치판에, 그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 제1직선형상 래크와, 이 래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직선형상 래크가 연속하여 설치되고, 고정측에는 이 래크가 결합되며, 모터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피니언 기어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피니언 기어는 제1직선형상 래크에 결합하고 있는 범위에서는 디스크 배치판의 출입동작이 행하여지며, 피니언 기어가 제2직선형상 래크에 결합되면, 제2직선형상 래크에 따라 피니언 기어가 디스크 배치판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에 의해 구동기구를 작동시키고, 디스크 배치판을 승강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디스크 로딩 장치에서는, 디스크 배치판의 승강제어는 피니언 기어가 디스크 배치판의 출입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직선형상 래크에 따라 직선이동에 의하여 행하여지기 때문에, 그 동작은 원활성이 부족하게 됨에 따라 디스크 배치판의 승강동작, 즉 디스크의 척킹동작이 불안정하게 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디스크의 척킹이 원활하고 확실하게 행하여지는 디스크 로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스크 로딩 장치는, 프레임에 대하여 출입가능하게 지지된 디스크 배치판과, 이 디스크 배치판의 출입 방향에 따라 직선형상으로 설치된 직선형상 래크부와, 이 래크부에 결합되는 유성 기어와, 이 유성 기어와 결합하는 태양기어와, 유성 기어를 태양기어를 중심으로 회전 지지하는 요동아암과, 이 요동아암과 일체적으로 회전되는 캠수단과, 이 캠수단에 결합하여 승강 제어되는 디스크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디스크 배치판에서는, 직선형상 래브부와 아크형상 래크부에 따라 요동아암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캠수단은 상승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되는 것이 양호하다.
[작용]
상술의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디스크 배치판이 인출된 상태로부터 태양기어를 거쳐 유성 기어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이 회전이 유성 기어로부터 직선형상 래크부에 전달됨으로써, 디스크 배치판은 수납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가 아크형상 래크부에 결합된 상태로 되면, 유성 기어가 아크 형상 래크부를 따라 회전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요동아암이 회전된다. 그 초기의 동작에서는, 디스크 배치판이 수납되기 직전의 위치에서 감속되는 상태로 되며, 그후는 요동아암과 일체로 회전되는 캠수단에 의해 디스크 지지수단이 상승되며, 디스크의 척킹이 행하여진다.
또한 이 동작에서는, 디스크 배치판에 설치된 안내 수단에 의하여 요동아암이 안내됨으로서, 유성 기어와 래크의 결합은 확실하게 지지된다. 또한, 캠수단이 상승방향으로 스프링이 가압되어 있으므로서, 디스크 지지수단은 상승위치에서 고정부에 압접되는 상태로 되며, 안정하게 지지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로딩 장치를 전체로서 도시하고, 2는 그 기구부품이 구성되는 메카니칼 샤시이고, 이 메카니칼 샤시(2)는 레그(3)를 거쳐 디스크 플레이어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고정 지지된다.
도면 부호 4는 디스크 배치판을 나타내고, 4a는 디스크가 배치 지지되는 원형 오목부, 4b는 후술하는 광학 헤드나 턴테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구 부이고, 이 디스크 배치판(4)은 메카니칼 샤시(2)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즉 디스크 플레이어의 프레임에 대하여 출입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메카니칼 샤시(2)의 상면 일측 단부에는 베어링부재(5, 6)가 전후로 소정간격으로 고정되며, 이 베어링부재(5, 6)의 베어링 구멍(5a, 6a)에 슬라이더 로드(7)가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더 로드(7)의 양단부에 디스크 배치판(4)을 그 전후부에서 연결 고정함으로써, 디스크 배치판(4)은 메카니칼 샤시(2)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도면 부호 8은 광학 헤드등이 탑재된 베이스 유닛이고 이 베이스 유닛(8)은 메카니칼 샤시(2)에 형성된 개구부(9)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베이스 유닛(8)은 개구부(9)보다 1회전 큰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 유닛을 부착하는 샤시(8a)와, 이 샤시(8a)에 지지된 기판(8b)으로 구성되며, 이 기판(8b)위에는 각종 구동 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즉, 기판(8b)의 일 측부에 설치된 안내 축(1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슬라이더(11)가 지지되고, 이 슬라이더(11)위에 광학 헤드(12)가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이 슬라이더(11)와 기판(8b)의 사이에는 선형(linear) 모터(13)가 구성되어 있다. 이 선형 모터(13)는 요크(13a)가 기판(8b)에 고정되며, 코일 보빈(bobbin; 13b)이 슬라이더(11)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하는 코일 보빈(13b)에 대향하도록 마그네트(13c)가 요크(13a)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선형 모터(13)에 의하여 광학 헤드(12)는 전후방향, 즉 디스크의 직경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8b)에는, 슬라이더(11)의 최전단 위치보다도 전방으로 위치하여 스핀들 모터(14)가 배치되고, 이 스핀들 모터(4)의 구동축(14a)에는 디스크의 중심구멍을 지지하는 턴테이블(15)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종 구동 부품이 지지된 기판(8b)은 네 모퉁이에서 완충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16a)을 삽입하는 부착부재(16)에 의하여, 베이스 유닛 부착 샤시(8a)에 플로우팅(floating)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베이스 유닛을 부착하는 샤시(8a)의 후단부에는, 좌우 양측에 축부(17)가 돌출 설치되며, 한편 축부(17)에 대응하여 메카니칼 샤시(2)의 하면부에는, 개구부(9)의 후방에서 베어링(18)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베어링부(18)에 축부(17)를 선회(pivot) 시킴으로써, 베이스 유닛(8)은 메카니칼 샤시(2)의 하면측에서 개구부(9)와 대응하여 승강이 가능하게, 즉 선회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이 베이스 유닛(8)의 단부, 즉 베이스 유닛을 부착하는 샤시(8a)의 전면부에는 결합핀(19)이 돌출 설치된 롤러(19a)가 유동 삽입되어 있으며, 이 롤러(19)가 후술하는 구동기구의 캠부재에 결합되고, 이 캠부재의 동작에 의하여 베이스 유닛(8)의 회전 승강동작이 행하여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베이스 유닛(8)에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수송시 등에 광학 헤드(12)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록크기구(20)가 갖추어져 있다.
즉, 슬라이더(11)의 일 측부 소정위치에는 결합 오목부(21)가 설치되며, 한편 베이스 유닛을 부착하는 샤시(8a)의 일 측단부에는, 슬라이더(11)가 최전단 위치에 있을 때에 이 결합부(21)와 대응된 위치에서, 훅크 형상의 록크아암(22)이 지축(23)에 의하여 내외방향, 즉 슬라이더(11)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선회되어 있다.
이 록크아암(22)의 기초부는, 외측방향에 직각으로 연장 돌출하여 작용편(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는 상방으로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메카니칼 샤시(2)의 하면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메카니칼 샤시(2)의 하면부에는 탄성을 갖는 가압편(24)이 돌출 설치되며, 그 선단부는 내쪽으로 L자형상으로 절곡된 록크아암(22)의 작용편(22a)의 하면측과 대응하고 있다. 또한, 메카니칼 샤시(2)의 개구부(9)의 테두리부에는, 록크 아암(22)과 대응하는 위치로 도피하는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록크 아암(22)이 기립 회전시에 메카니칼 샤시(2)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록크아암(22)은 베이스 유닛(8)이 강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메카니칼 샤시(2)의 가압편(24)의 선단부가 작용편(22a)의 하면에 접하여 이것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이 때문에 떨어진 선단 결합부가 슬라이더(11)의 결합 오목부(21)에 결합하고, 이것에 의하여 광학 헤드(12)는 이동 불가능하게 록크된다(제6a도).
또한, 베이스 유닛(8)이 상승되면, 작용편(22a)의 선단부가 메카니칼 샤시(2)의 하면에 합쳐짐으로서, 록크아암(22)은 슬라이더(11)의 결합 오목부(21)로부터 벗어나도록 기립 회전하고, 이것에 의하여 광학 헤드(12)의 록크가 해제된다(제6b도).
또한, 이 록크아암(22)은 스프링부재에 의하여 결합 오목부(21)에 항상 결합되는 방향으로 편의시켜 두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배치판(4)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고, 또한 베이스 유닛(8)이 승강가능하도록 지지된 메카니칼 샤시(2)의 전방부에는, 디스크 배치판(4)의 이동 동작 및 베이스 유닛(8)의 승강동작을 행하기 위한 구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면부호 27은 메카니칼 샤시(2)의 하면측에 고정된 모터이고, 이 모터(27)의 구동축(27a)은 상면측에 돌출되어 그 선단에는 풀리(2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모터(27)에 의해 이격된 위치에서 메카니칼 샤시(2)의 상하면에 관통하여 축(29)이 지지되며, 이 축(29)에는 메카니칼 샤시(2)의 상면측에서 요동아암(30)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선회되어 있으며, 이 요동아암(30)위에는 유성기어 기구(31)가 갖추어져 있다. 이 유성기어 기구(31)는 태양기어(32)와, 유성 기어(33)와, 태양기어(32)와 유성 기어(33) 사이에 배치된 카운터 기어(34)로 구성되며, 태양기어(32)는 축(29)에 선회되고, 또한 유성 기어(33) 및 카운터 기어(34)는 요동아암(30)에 설치된 지축(35, 36)에 각각 선회되어 있다.
태양기어(32)는 기어부(32a)와, 이 기어부(32a) 보다 큰 직경의 풀리부(32b)를 일체로 가져 형성되며, 이 풀리부(32b)와 모터(27)의 풀리(28) 사이에는 벨트(37)가 설치되어 있다. 유성 기어(33)는 큰 직경의 기어부(33a)와, 작은 직경의 기어부(33b)를 일체로 가져 구성되며, 이 작은 직경의 기어부(33b)는 후술하는 래크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 유성 기어(33)의 상면 중심부에는 원주 형상의 볼록부(33c)가 형성되어 있다. 카운터 기어(34)는 큰 직경의 기어부(34a)와 작은 직경의 기어부(34b)를 일체로 가지고, 큰 직경의 기어부(34b)는 태양기어(32)의 기어부(32a)에, 작은 직경의 기어부(34b)는 유성 기어(33)의 큰 직경 기어부(33a)에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태양기어(32)의 회전은 카운터 기어(34)를 거쳐 감속되어 유성 기어(33)에 전달되고, 이 유성 기어(33)는 태양기어(32)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동아암(30)의 단부에는 돌출편(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듯이 요동 아암(30)이 종단까지 회전되는 상태에서 상기 돌출편(30a)은, 메카니칼 샤시(2)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정지 스위치(38)에 접함으로써 모터(27)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축(29)에는 메카니칼 샤시(2)의 하면측에서 원통형상의 캠부재(39)가 요동아암(30)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캠부재(39)의 외주에는 캠홈(40)이 형성되고, 이 캠홈(40)은 하 수평부(40a)와 경사부(40b)와 상 수평부(40c)를 연속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캠홈(40)내에, 베이스 유닛을 부착하는 샤시(8a)의 전면부에 돌출 설치된 결합핀(19)이 롤러(19a)를 거쳐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상 캠부재(39)는, 요동아암(30)과 회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즉 요동아암(30)의 소정 부위에는 결합편(41)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결합편(41)은 하측으로 향하여 절곡되어 메카니칼 샤시(2)의 관통구멍(42)을 거쳐 그 하면측에 돌출하고, 그 선단부는 캠부재(39)의 상부에 설치된 결합부(43)에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요동아암(30)의 회전과 일체적으로 캠부재(39)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부재(39)는 축(29)에 대하여 그 축방향으로 다소 미끄럼 가능하고, 그 하면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오목부(44)와 축(29)의 하단부에 끼워붙혀진 정지링(45)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46)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코일 스프링(46)의 탄성 편의력에 의하여 캠부재(39)는 항상 상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 있다.
상술한 디스크 배치판(4)에는 그 내면측에, 유성기어 기구(31)의 유성 기어(33)와 결합하는 래크(4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크(47)는 디스크 배치판(4)의 이동방향 즉 전후방향에 따라 직선형상으로 설치된 직선형상 래크부(48)와, 직선형상 래크부(48)의 전방부에 연속하여 디스크 배치판(4)의 전방측에, 기어를 내측으로 하여 굴곡 형성시킨 아크형상 래크부(49)로 구성되고, 상기 아크형상 래크부(49)는 후술하듯이 디스크 배치판(4)의 감속에 사용되는 브레이크영역(49a)과, 베이스 유닛(8)의 승강동작에 사용되는 척킹영역(49b)으로 구성되며, 브레이크영역(49a)과 척킹영역(49b)은 각각 다른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래크(47)의 직선형상 래크부(48)는, 유성기어 기구(31)의 유성기어(33)의 작은 직경 기어부(33b)가 요동아암(30)의 회전중심과 유성 기어(33)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a)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아크형상 래크부(49)의 척킹영역(49b)은 상기 중심선(a)의 연장위에서 유성 기어(33)의 작은 직경 기어부(33b)가 결합되는 원호형상으로, 그리고 브레이크 영역(49a)은 척킹영역(49b)이 직선형상 래크부(48)를 연결하는 변형 원호, 즉 직선형상 래크부(48)로 향하여 순차적으로 작은 직경이 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 배치판(4)의 내면측에는, 래크(47)에 대응하여 래크(47)에 평행한 형상의 안내홈(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홈(50)에 유성 기어(33)의 볼록부(33c)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50)에 따라 요동아암(30)이 안내됨으로써, 유성 기어(33) 즉, 작은직경 기어부(33b)와 래크(47)의 결합이 확실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 배치판(4)의 내면측에는, 그 후방부의 소정 위치에 돌출편(51)이 설치되어 있으며, 후술하듯이 디스크 배치판(4)이 최전단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돌출편(51)이 메카니칼 샤시(2)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정지 스위치(52)에 접함으로써 모터(27)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메카니칼 샤시(2)에는 디스크 배치판(4)을 넘도록 지지판(53)이 고정되고, 이 지지판(53)의 중앙부에, 베이스 유닛(8)의 턴테이블(15)에 대응하여 마그네트를 구비한 척킹부재(54)가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고 승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예의 디스크 로딩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금, 디스크 배치판(4)이 최전단 위치, 즉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인출된 디스크를 배치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유성기어 기구(31)의 유성 기어(33)는 직선형상 래크부(48)의 최후 단부에 상술하듯이 중심선(a)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유닛(8)의 결합핀(19)의 롤러(19a)는 캠부재(39)의 캠홈(40)의 하 수평부(40a)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있으며, 이 때문에 베이스 유닛(8)은 강하위치에 있다(제7a도 참조). 또한, 상기 베이스 유닛(8)의 강하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록크아암(22)에 의하여 광학 헤드(12)는 록크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배치판(4)의 원형 오목부(4a)에 디스크를 탑재한 후,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이젝트 버턴(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하면, 모터(27)가 한쪽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풀리(28) 및 벨트(37)를 거쳐서 유성기어 기구(31)의 태양기어(32)가 회전되며, 또한 상기 태양기어(32)의 회전에 의하여 카운터 기어(34)를 거쳐서 유성 기어(33)가 감속 회전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33)의 회전이 그 작은 직경 기어부(33b)를 거쳐 래크(47)의 직선형상 래크부(48)에 전달함으로써 제8a도와 같이 디스크 배치판(4)은 후방, 즉 수납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8b도와 같이 디스크 배치판(4)이 완전히 수납되는 직전까지 이동되면, 유성 기어(33)의 작은 직경 기어부(33b)(이하 단순히 유성 기어라 한다)가 직선형상 래크부(48)로부터 굴곡하는 아크형상 래크부(49)의 브레이크 영역(49a)에 이동결합되는 상태로 되고, 이 때문에 유성 기어(33)는 아크형상 래크부(49)가 내부 기어로서 작용하여 공전되는 상태로 되어 아크형상 래크부(49)에 따라 회전 이동한다. 즉, 유성 기어(33)는 아크형상 래크부(49)의 브레이크 영역(49a)에 대하여 상기 중심선(a)의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중심선(a)의 연장측에 걸쳐서 이동 결합하는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유성 기어(33)의 아크형상 래크부(49)에 대한 상대적 원주속도는 지체되며, 디스크 배치판(4)은 완전히 수납되기 직전의 위치에서 감속되어 완화된 브레이크가 걸려지는 상태로 된다. 한편, 유성 기어(33)의 이동결합에 의하여 요동아암(30)이 회전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33)는 아크형상 래크부(49)의 브레이크영역(49a)을 넘어서 척킹영역(49b)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디스크 배치판(4)은 완전히 수납된 상태로 되며,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유성 기어(33)는 제8c도와 같은 아크형상 래크부(49)의 척킹영역(49b)에 대하여 상기 중심선(a)의 연장측에서 결합하여 이 척킹영역(49b)에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공전)된다. 상기 유성 기어(33)의 회전이동에 따라 요동아암(30)이 축(29)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요동아암(30)의 회전과 일체로 캠부재(39)가 회전된다.
이상의 유성 기어(30)와 래크(47)의 결합 상태에서의 상대적 이동은, 유성 기어(33)의 회전 중심의 볼록부(33c)가 래크(47)와 평행한 안내홈(50)에 결합된 상태로서 행하여짐으로, 전 행정에서 결합이 벗어날 염려가 없다.
그리고, 캠부재(39)의 회전에 의하여 베이스 유닛(8)의 결합핀(19)의 롤러(19a)는 캠홈(40)의 경사부(40b)에 안내되어 상 수평부(40c)까지 이동되고, 이 때문에 베이스 유닛(8)은 상승방향으로 회전되어 광학 헤드(12), 턴테이블(15)등이 개구부(9)에서 메카니칼 샤시(2)의 상면측으로 크게 돌출됨과 동시에, 베이스 유닛을 부착하는 샤시(8a)가 메카니칼 샤시(2)의 하면에 결합된다(제7b도 참조). 상기 캠부재(39)에 의한 베이스 유닛(8)의 상승 동작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캠부재(39)는 유성기어 기구(31)의 유성 기어(33)가 디스크 배치판(4)의 수납상태에서 아크형상 래크부(49)의 척킹영역(49b)에 따라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만 요동아암(30)을 거쳐 회전됨으로써, 본 예와 같은 작은 직경에서 소형의 캠부재(39)에서도 충분히 베이스 유닛(8)을 상승 구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유닛(8)의 상승 동작에서는, 베이스 유닛(8)의 결합핀(19)의 롤러(19a)의 캠홈(40)의 경사부(40b)에서 상 수평부(40c)로 이동하기 직전으로 베이스 유닛을 부착한 샤시(8a)가 메카니칼 샤시(2)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이 때문에 롤러(19a)가 캠홈(40)의 상 수평부(40c)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캠부재(39)는 코일 스프링(46)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코일 스프링(46)의 편의력에 의하여 베이스 유닛(8)은 메카니칼 샤시(2)의 하면에 압접되는 상태로 되고, 따라서 소음 등이 생기지 않고 상승위치에서 안정하게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베이스 유닛(8)이 상승됨으로써, 광학 헤드(12)와 턴테이블(15)은 디스크 배치판(4)의 삽입구(4b)내에 하방으로 삽입되고, 이것에 의하여 디스크 배치판(4)의 원형 오목부(4a)위에 배치되어 있던 디스크가 턴테이블(15)위에 올라가도록 배치하여 턴테이블(15)에 대한 척킹부재(54)의 흡착에 의하여 디스크의 척킹이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 유닛(8)의 상승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헤드(12)의 록크가 해제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하여 베이스 유닛(8)은 상승되며, 유성 기어(33)가 아크형상 래크부(49)의 종단부까지 회전 이동되면, 요동아암(30)의 돌출편(30a)이 정지 스위치(38)에 접하고, 이것에 의하여 모터(27)의 구동이 정지되어 유성기어(31)의 구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베이스 유닛(8)은 메카니칼 샤시(2)에 대하여 고정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유성 기어(33)는 아크형상 래크부(49)의 종단부에 결합된 위치에 유지되며, 디스크 배치판(4)에 외부로부터 인출방향의 힘이 가하여져도 유성 기어(33)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디스크 배치판(4)은 수납위치에서 록크된 상태로 유지됨과 동시에, 캠부재(39)의 회전도 저지됨으로, 베이스 유닛(8)은 상승위치에서 지지된다.
그래서 디스크 플레이의 플레이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스핀들 모터(14)가 구동되어 턴테이블(15)에 의하여 디스크가 회전됨과 동시에, 광학 헤드(12)가 선형 모터(13)에 의하여 작동하여 재생이 행하여진다.
또한, 디스크 재생 종료후 디스크를 취출하는 경우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이젝트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모터(27)가 상술한 로딩, 척킹의 경우와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이것에 의하여 척킹동작과 반대의 동작에 의하여 베이스 유닛(8)이 강하되고, 디스크 배치판(4)은 전방으로 이동하며, 디스크 배치판(4)이 최전단이 인출위치까지 이동되면, 그 돌출편(51)은 정지 스위치(52)에 접하고, 이것에 의하여 모터(27)의 구동이 정지되어 디스크 배치판(4)의 전방이동 동작이 정지된다.
상기 이젝트 동작에서 디스크 배치판(4)의 인출 동작은 초기의 단계, 즉 유성기어 기구(31)의 유성 기어(33)가 래크(47)의 아크형상부(49)를 결합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지속으로 행하여지며, 직선 형상 래크부(48)가 유성 기어(33)에 결합되면, 소정의 고속으로 행하여진다.
또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예의 장치를 갖춘 디스크 플레이어는, 공장 출하시에 특수한 작업에 의하여 광학 헤드(12)의 록크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예 장치에서는 광학 헤드(12)는 선형 모터(13)에 의하여 이동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선형 모터(13)의 비통전 상태에서는 슬라이더(11)를 거쳐 이동 가능하게 되며, 수송시 등에 슬라이더(11)가 관성에 의하여 이동하고, 이동단에서 선형 모터(13)의 요크등에 충돌하여 손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장출하시에는 슬라이더(11)를 록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광학 헤드(12)의 록크공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디스크 플레이어의 전원을 온(ON)으로 하고, 로딩/이젝트 버턴을 조작하여 디스크 배치판(4)을 인출하고, 원형 오목부(4a)에 디스크를 위치한 위에서 그리고 로딩/이젝트 버턴을 조작하여 디스크 배치판(4)을 수납하면, 상기 수납 동작에 연동하여 상술했듯이 베이스 유닛(8)이 상승되어 디스크를 척킹한다. 상기 척킹 동작이 완료하면, 마이크로 컴퓨터의 지령에 의하여 광학 헤드(12)가 최전단 위치 즉 디스크의 최내주 위치로 이동되고, 광학 헤드(12)는 디스크의 최내주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판독하고, 디스크 플레이어의 표시부에 표시가 행하여지도록 동작된다.
이와 같이 하여 디스크의 로딩 동작, 척킹동작, 신호의 판독동작이 확실히 행하여지는가를 검사한 후, 다시 로딩/이젝트 버턴을 조작하여 디스크 배치판(4)을 인출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술했듯이 베이스 유닛(8)은 강하된다. 이 베이스 유닛(8)의 강하에 따라 록크아암(22)이 상술했듯이 최전단 위치에 있는 슬라이더(11)의 결합 오목부(21)에 결합하고, 광학 헤드(12)의 록크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인출 상태의 디스크 배치판(4)으로부터 디스크를 취출한 후, 전원을 오프로 하고, 이 상태에서 디스크 배치판(4)을 손으로 밀어넣어 삽입한다. 이 디스크 배치판(4)을 인출위치로 부터 수납위치까지 수동으로 압입하는 동작에서는, 유성 기어(33)는 직선형상 래크부(48)의 후단부에서 아크형상 래크부(49)의 브레이크영역(49a)까지 결합위치가 이동되지만, 그것 이상은 이동되지 않고, 즉 유성 기어(33)가 아크형상 래크부(49)의 척킹영역(49b)까지 결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캠부재(39)는 거의 회전되지 않으므로, 베이스 유닛(8)은 강하위치에서 지지되는 상태로 된다. 즉 디스크 배치판(4)이 수납위치에 있으면서 베이스 유닛(8)은 강하위치에 있으며, 광학헤드(12)는 록크되어 있다는 특수한 상태로 설정되고, 이 상태에서 디스크 플레이어를 출하함으로써, 수송중에 광학 헤드(12)가 예측 불가능하게 이동하여 손상되는 것은 없다.
그리고 사용자가 디스크 플레이어를 구입한 후, 전원을 온(ON)으로 함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동작이 행하여지며, 베이스 유닛(8)이 상승함으로서 광학 헤드(12)의 록크가 해제됨으로, 사용자는 특별한 록크해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디스크 플레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들면, 래크의 아크형상 래크부는 척킹영역이 역방향으로 굴곡하는 대략 S자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로딩 장치는 직선형상 래크부에 유성 기어가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디스크 배치판의 이동동작이 행하여지며, 아크형상 래크부에 유성 기어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디스크 배치판의 감속과 디스크 지지수단의 승강동작이 행하여지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디스크 지지수단의 승강동작은, 아크형상 래크부에 따른 유성 기어의 회전이동에 의하여 캠수단을 회전시킴으로서 행하여지고, 종래 장치와 같은 기어의 직선방향과 직교방향의 방향 전환 이동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구성에 비하여 원활하고 확실하게 승강되며, 이 때문에 안정된 척킹동작이 행하여진다. 또한, 디스크 배치판이 수납위치 부근에서 감속됨으로써, 디스크 배치판이 프레임에 접하는 상태로 될 때의 충격이 대폭 경감되며, 이 때문에 충격소리가 적게 됨과 동시에, 디스크 배치판에 위치된 디스크가 뛰지 않고 손상이 방지되며, 또한 디스크 배치판이 가감속됨으로써 조작느낌이 양호한 효과를 가진다.
디스크 배치판에 래크부에 따라 요동아암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설치한 것에 의하여, 유성 기어는 래크부에 대하여 확실하에 결합상태를 지지시키고, 디스크 배치판에 왜곡등이 발생하여도 유성 기어와 래크부의 결합이 떨어지는 것은 없다.
또한, 챔수단은 상승방향으로 스프링이 가압된 것에 의하여, 디스크 지지수단은 상승위치에서 고정부에 압접되어 소음이 생기지않고 확실하게 지지됨으로 안정된 디스크의 재생이 행하여진다.

Claims (4)

  1. 프레임 내부의 샤시 위에서 상기 샤시에 대하여 인출/수납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디스크가 배치된 디스크 배치판과, 상기 디스크 배치판측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 배치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직선 형상 래크부와, 상기 직선 형상 래크부에 연속하여 굴곡 형성된 아크 형상 래크부를 구비하는 래크와,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와 광학 헤드가 배치되고, 상기 샤시에 대하여 상기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가 디스크 배치판의 오목부에 배치된 디스크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와, 상기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가 디스크 배치판에 배치된 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제2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상기 샤시에 부착된 베이스 유닛과,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래크와 결합하는 기어 기구와, 상기 베이스 유닛에 설치된 피결합부가 결합된 캠홈이 구성된 캠부재를 가지며, 상기 샤시에 배치된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기구와 래크에 의해 상기 디스크 배치판이 상기 인출/수납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기어 기구가 상기 직선 형상 래크부로부터 아크 형상 래크부로 이동할 때에 상기 기어 기구에 의해 캠부재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 유닛을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일단측에 상기 피결합부가 배치 설치됨과 동시에, 타단측은 상기 샤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직선 형상 래크부와 아크 형상 래크부의 사이에서, 상기 직선 형상 래크부와 아크 형상 래크부를 연결하고, 또한 상기 기어 기구가 직선 형상 래크부로부터 아크 형상 래크부로 이동될 때에 상기 디스크 배치판의 이동 속도를 감속하는 원호 형상의 래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베이스 유닛이 제2위치로 있을 때에 상기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와 함께 디스크를 끼워 지지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 장치.
KR1019890011921A 1988-08-31 1989-08-22 디스크 로딩 장치 KR0171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626A KR0172095B1 (ko) 1988-08-31 1998-04-24 디스크 로딩장치
KR1019980014627A KR0172094B1 (ko) 1988-08-31 1998-04-24 디스크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17832A JP2663547B2 (ja) 1988-08-31 1988-08-31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17832 1988-08-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626A Division KR0172095B1 (ko) 1988-08-31 1998-04-24 디스크 로딩장치
KR1019980014627A Division KR0172094B1 (ko) 1988-08-31 1998-04-24 디스크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853A KR900003853A (ko) 1990-03-27
KR0171574B1 true KR0171574B1 (ko) 1999-04-15

Family

ID=1671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921A KR0171574B1 (ko) 1988-08-31 1989-08-22 디스크 로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663547B2 (ko)
KR (1) KR0171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1697A (ja) * 1991-11-27 1993-06-18 Sony Corp デイスク駆動装置
JPH06301984A (ja) 1993-04-12 1994-10-28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的情報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853A (ko) 1990-03-27
JP2663547B2 (ja) 1997-10-15
JPH0266772A (ja) 199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1900A (en) Disc players fitted for automatic change of discs
US6256279B1 (en) Disc system
US5539717A (en) Player for reproducing both minidisc and compact disc
JPH03119560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におけるディスク装填装置
KR0171574B1 (ko) 디스크 로딩 장치
KR0172094B1 (ko) 디스크 로딩장치
JP3506598B2 (ja) ディスク移送機構
KR0143603B1 (ko) 디스크플레이어
EP0665544A2 (en) Disc loading apparatus
JP2682531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658996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624184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EP1094457B1 (en) Disk device
US6633518B1 (en)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movable tray
JPH07240053A (ja) ディスク装置のイマージェンシー・イジェクト機構
KR910003047B1 (ko) 디스크플레이어
US6233216B1 (en) Device for loading a tray down into a pick up disk player
JPH0222850Y2 (ko)
KR900010765Y1 (ko) 광디스크 로딩 및 클램핑장치
KR940008650B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KR200151060Y1 (ko) 디스크 플레이어
JP3533727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H0519872Y2 (ko)
US6288868B1 (en) Recording medium driving apparatus
US5896363A (en) Tray loading device of a CD p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