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362B1 - 홈버스정보표시방식 - Google Patents

홈버스정보표시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362B1
KR0170362B1 KR1019890015171A KR890015171A KR0170362B1 KR 0170362 B1 KR0170362 B1 KR 0170362B1 KR 1019890015171 A KR1019890015171 A KR 1019890015171A KR 890015171 A KR890015171 A KR 890015171A KR 0170362 B1 KR0170362 B1 KR 0170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bus
television receiver
device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806A (ko
Inventor
마사유끼 미야가와
다까오 이다바시
히사후미 야마다
요시오 오사가베
Original Assignee
오가 노리오
소니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 노리오, 소니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00008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36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Studio Circuits (AREA)
  • Alarm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안테나선에 접속된 동축케이블 등의 이른바 홈버스를 사용하여 복수의 기기의 제어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홈버스정보표시방식으로서, 복수의 기기와 텔레비전수상기와를 버스라인으로 접속하고, 그들 복수의 기기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그 버스라인에 흐르게 하여, 그 텔레비전수상기의 영상화면상에 그들 복수의 기기의 제어상태를 선택적으로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별도 중앙제어반과 같은 것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예를 들면 일반 가정에 있어서 다른 가전제품이나 안전시스템 등의 상태를 텔레비전수상기로 집중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홈버스정보표시방식
제1도는 본 발명 홈버스정보표시방식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실시예의 텔레비전수상기를 나타낸 구성도.
제3도는 실시예의 주파수대역을 나타낸 선도.
제4도는 실시예의 지시기의 원격조작신호의 구성을 나타낸 선도.
제5도∼제7도는 각각 실시예의 상태변화시의 동작의 설명을 위한 선도.
제8도∼제10도는 각각 실시예의 상태표시모드시의 동작의 설명을 위한 선도.
제11도 및 제12도는 각각 상태표시중에 버스입력 등이 있었던 경우의 동작의 설명을 위한 선도.
제13도∼제15도는 각각 데모모드시 등의 동작의 설명을 위한 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안테나선 4 : 동축케이블(버스라인)
6 : 텔레비전수상기 7 : 지시기
19 : 신호교환장치 21 : AC전원라인
28, 48 : 버스인터페이스 42 : 수상관(受像管)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안테나선에 접속된 동축케이블 등의 이른바 홈버스를 사용하여 복수의 기기의 제어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홈버스정보표시방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안테나선에 접속된 동축케이블 등의 이른바 홈버스를 사용하여 복수의 기기의 제어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홈버스정보표시방식으로서, 화면을 가지는 영상모니터와, 영상프로그램을 공급하는 신호원과,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홈기기와, 복수의 홈기기 각각에 배설된 전기적 제어수단과로 이루어지는 홈버스정보표시방식에 있어서, 영상모니터와 복수의 홈기기 각각의 사이에 접속된 버스라인과, 복수의 홈기기 각각에 배설되어, 전기적 제어수단에 따라서 판별상태정보신호를 발생하고, 이 상태정보신호를 버스라인을 통하여 영상모니터에 전송하는 정보수단과, 영상프로그램 및 상태정보에 따라서 영상모니터의 화면상의 영상프로그램에 추가적으로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로 이루어짐으로써, 예를 들면 일반 가정에 있어서 다른 가전제품이나 안전시스템 등의 상태를 텔레비전수상기로 집중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오피스에 있어서는, 가전제품, 조명장치 및 안전시스템 등 다종다양한 기기가 사용되어 왔다. 종래 이들의 기기는 각각 독립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들의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부속의 원격조작용의 지시기를 사용하든가, 또는 이들의 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스위치 등을 직접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따라서, 이들의 기기가 어떤 제어상태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알고 싶은 경우에도, 이들의 기기를 보고 알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그들 복수의 기기와 각각 별개로 접속된 중앙제어반을 별도 설치하고, 이 중앙제어반에 의하여 그들의 기기를 집중적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그들의 기기의 제어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별도 중앙제어반과 같은 것을 설치하는 것은 시스템이 복잡화되는 동시에, 공간의 사용효율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그들의 기기와 그 중앙제어반과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이 복잡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일반 가정이나 오피스에 있어서, 별도 중앙제어반과 같은 것을 설치하지 않아도 복수의 기기의 제어상태를 집중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정보표시방식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의 제1의 발명에 의한 홈버스정보표시방식은, 복수의 기기(10), (13), (16) 등과 텔레비전수상기(6)와를 버스라인(4), (21)으로 접속하고, 그들 복수의 기기의 제어상태 (예를 들면 VTR ON )를 나타내는 정보를 그 버스라인(4), (21)에 흐르게 하여, 상기 텔레비전수상기(6)의 영상화면(42a)상에 그들 복수의 기기의 제어상태를 선택적으로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또, 본원의 제2의 발명은 그 중첩표시의 시간이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이 되도록 한 것이다.
또, 본원의 제3의 발명은 그 텔레비전수상기(6)에 상태표시모드를 설정하고, 이 상태표시모드로 설정되었을 때에 그 중첩표시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또, 본원의 제4의 발명은 그 제3의 발명에 있어서, 그들 복수의 기기 각각의 복수의 제어항목을, 예를 들면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기마다 상이한 표시화면으로 순차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또, 본원의 제5의 발명은 그 제4의 발명에 있어서, 그 상태표시모드기간에 그들 복수의 기기내의 어떤 기기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그 텔레비전수상기(6)가 받았을 때는, 예를 들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발신된 어떤 기기에 대응한 표시화면으로 되도록 한 것이다.
또, 본원의 제6의 발명은 그 제5의 발명에 있어서, 그 어떤 기기에 대응한 표시화면중의 그 어떤 기기에 대응한 표시부분을 점멸표시하든가, 또는 다른 부분의 표시색과는 상이한 표시색으로 한 것이다.
또, 본원의 제7의 발명은 그 제1의 발명에 있어서, 그들 복수의 기기의 제어상태의 종류 (예를 들면 ON 과 OFF )에 의하여 표시색을 다르게 하도록 한 것이다.
또, 본원의 제8의 발명은, 복수의 기기(10), (13), (16) 등과 버스라인(4), (21)을 통하여 접속가능한 텔레비전수상기(6)에 복수의 기기의 데모용의 제어항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설치하고, 선택스위치조작시에 그 데모용의 제어항목을, 예를 들면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텔레비전수상기(6)의 영상화면(42a)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제1의 발명에 의하면, 일반 가정이나 오피스에 통상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른바 맨·머신인터페이스의 단말로서 최적의 텔레비전수상기(6)의 영상화면(42a)상에, 그들 복수의 기기(10), (13), (16) 등의 제어상태가 시청자의 요구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중첩하여 표시된다. 따라서, 별도 중앙제어반과 같은 것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제2의 발명에 의하면, 그 중첩표시가 항상 행해지는 것이 아니므로 시청의 장해로 되는 일이 없다.
또, 제3의 발명에 의하면, 상태표시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시청자가 희망할 때에 언제라도 그들 복수의 기기의 제어상태를 알 수 있다.
또, 제4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기기의 각각의 복수의 제어항목이 기기마다 상이한 표시화면으로 순차 표시되므로, 시청자가 복잡한 조작을 행하지 않고 모든 기기의 제어항목을 순차 보기 쉬운 표시로 볼 수 있다.
또, 제5의 발명에 의하면, 시청자는 제어상태에 변화가 있었던 기기를 알 수 있다.
또, 제6의 발명에 의하면, 그 어떤 기기에 대응한 표시부분이 점멸표시되거나, 또는 다른 부분의 표시색과는 상이한 표시색으로 되므로, 시청자는 그 제어상태에 변화가 있었던 기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 제7의 발명에 의하면, 그들 복수의 기기의 제어상태의 종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 제8의 발명에 의하면, 그 텔레비전수상기(6)에 그들 복수의 기기(10), (13), (16) 등이 버스라인(4), (21)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도, 그 텔레비전수상기(6)는 마치, 그들의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것처럼 제어상태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데모 등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홈버스정보표시방식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예는, 일반 가정에 있어서 가전제품이나 안전장치 등을 집중적으로 제어하거나, 또한 그들 가전제품이나 안전장치 등의 제어상태를 집중적으로 감시하거나 할 수 있는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1. 전체의 시스템구성
제1도는 본 예의 일반 가정에 있어서의 가전제품 등의 배치상태를 나타내고, 그 제1도에 있어서, (1)은 텔레비전방송수신용의 안테나, (2)는 안테나선, (3)은 분기기(分岐器), (4)는 그 분기기(3)를 통하여 그 안테나선(2)과 접속된 동축케이블, (5)는 그 분기기(3)를 통하여 그 동축케이블(4)에 일단이 접속된 분기동축케이블이고, 이 분기동축케이블(5)의 타단을 텔레비전수상기(6)의 입력단자에 접속한다. 그리고, 동축케이블(4), (5)의 대신에 이른바 리본피더나 안경형 피더를 사용해도 된다. 또, (7)은 이 텔레비전수상기(6)를 시청자가 원격조작하기 위한 지시기이다. 본 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청자는 이 지시기(7)를 조작함으로써, 텔레비전수상기(6)를 통하여 가전제품이나 안전장치 등의 모든 기기를 집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동시에, 그 텔레비전수상기(6)의 영상화면(42a)에 모든 기기의 제어상태를 중첩적으로 또는 단독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 그 동축케이블(4)에는 분기기(8) 및 분기동축케이블(9)을 통하여 비디오테이프레코더(VTR)(10)를 접속하고, 분기기(11) 및 분기동축케이블(12)을 통하여 이른바 비디오디스크재생장치(13)를 접속하고, 분기기(14) 및 분기동축케이블(15)을 통하여 오디오장치(16)를 접속하고, 분기기(17) 및 분기동축케이블(18)을 통하여 신호교환장치(19)의 한쪽의 입출력단자를 접속한다. 또, (20)은 브레이커이고, 이 브레이커(20)의 입력단자에는 외부로부터 AC 100V 정도로 주파수 50Hz 또는 60Hz의 상용전원 E을 공급하고, 이 브레이커(20)의 출력단자는 그 일반 가정내의 AC전원라인(21)에 접속한다. 이 AC전원라인(21)에 분기선(22)을 통하여 신호교환장치(18)의 다른 쪽의 입출력단자를 접속한다. 이 신호교환장치(18)는 동축케이블(4)을 흐르는 제어신호를 AC전원라인(21)의 50 Hz 또는 60 Hz의 정현파(正弦波)전원신호에 중첩하도록 전하는 동시에, AC전원라인(21)을 흐르는 50 Hz 또는 60 Hz의 정현파전원신호에 중첩되어 오는 제어신호 또는 제어상태신호를 추출하여 동축케이블(4)측에 전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VTR(10)을 예로 들면, 제어신호 라는 것은 예를 들면 그 VTR(10)을 오프의 상태로부터 온의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명령인 VTR ON에 대응하는 신호를 말하고, 제어상태신호 라는 것은 예를 들면 그 VTR(10)이 온의 상태일 때에 외부로부터의 요구에 의하여 외부에 출력되는 메시지인 VTR ON 에 대응하는 신호를 말한다.
또, 그 AC전원라인(21)에는 도어록장치(23), 현관용 라이트(24A), 거실용 라이트(24B), 접시세척기(25), 전자레인지(26), 침실용 공조기(27A) 및 거실용 공조기(27B) 등을 병렬로 접속한다. 그 도어록장치(23)∼거실용 공조기(27B) 등은 각각, 그 AC전원라인(21)을 정현파전원신호에 중첩하여 흐르는 제어신호를 추출하는 동시에 그 정현파전원신호에 중첩하여 제어신호 등을 출력할 수 있는 버스인터페이스(48)를 내장한다 (제2도 참조). 따라서, 그 도어록장치(23)∼거실용 공조기(27B) 등은 각각 AC전원라인(21), 신호교환장치(19) 및 동축케이블(4)을 통하여 텔레비전수상기(6)와 접속되어 있다. 또, 텔레비전수상기(6), VTR(10) 등도 AC전원라인(21)과 접속되어 있으나, 본 예에 있어서는 제어신호의 전송용에는 사용되고 있지 않으므로, 그 배선은 도시생략하였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선(2)에 접속된 동축케이블(4) 및 AC전원라인(21)의 이른바 홈버스가 버스라인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별도 새로운 배선을 행할 필요가 없는 이익이 있다. 또한, 홈버스로서는 일반 가정에 필수로 되어 있는 전화선이 있는데, 이 전화선을 버스라인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는, 그 동축케이블(4)과 전화선을 접속하는 신호교환장치 또는 그 AC전원라인(21)과 전화선과를 접속하는 신호교환장치가 있으면 편리하다.
2. 텔레비전수상기의 구성 및 기본적 동작
제2도는 주로 본 예의 텔레비전수상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이 제2도에 있어서, (28)은 버스인터페이스이고, 이 버스인터페이스(28)는 분기동축케이블(5)을 입출력단자에 접속한 주파수분리변복조회로(29) 및 홈버스인터페이스회로(30)로 이루어진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90 MHz 이상의 주파수대역(50)이 텔레비전방송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0∼50 kHz 정도의 주파수대역(49)이 홈버스용의 제어신호의 전송에 사용되고 있다. 단, 전원주파수인 50 Hz 또는 60 Hz의 근방 및 그 고조파(高調波)의 근방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따라서, 그 주파수분리변복조회로(29)는 주파수대역(50)의 신호(RF신호)를 여파(濾波)하여 튜너(31)에 공급하는 바이패스필터, 주파수대역(49)의 신호를 여파하는 밴드패스필터, 주파수대역(49)의 신호를 복조하여 디지탈신호를 얻는 복조회로 및 디지탈신호를 주파수대역(49)의 신호로 변조하는 변조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그 홈버스인터페이스회로(30)는 그 주파수분리변복조회로(29)와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탈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 (32)는 이 텔레비전수상기(6)의 중앙제어장치로서의 선국용 마이크로콤퓨터(선국용 CPU), (33)은 예를 들면 클록용 버스와 데이터용 버스로 이루어지는 2선식 버스라인 등의 샤시내 버스, (34)는 음성검파회로, (35)는 음성증폭회로, (36)은 스피커, (37)은 색복조·동기분리회로, (38)은 수직 및 수평편향회로, (39)는 편향코일이다. 또, (40)은 RGB전환회로이고, 이 RGB전환회로(40)는 색복조·동기분리회로(37)로부터 입력되는 3원색 신호와 관면(管面)표시회로(43)로부터 입력되는 3원색 신호를 전환하여 영상출력회로(41)에 출력하고, 수상관(42)에는 이들 2조의 3원색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이 중첩적으로 또는 각각 독립으로 표시된다.
또, (44)는 불휘발성 메모리, (45)는 지시기(7)로부터의 적외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포토다이오드, (46)는 그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선국용 CPU(32)에 전하는 증폭회로, (47)은 버스상태표시용 LED이고, 이 버스상태표시용 LED(47)는 버스라인(4), (21)에 제어신호가 흐르고 있는 동안은 점등하도록 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지시기(7)는, 모든 기기(6), (10), (13) 등을 제어하기 위한 키를 장비하고 있으며, 지시기(7)의 원격조작신호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바이트의 기기어드레스(51) 및 4바이트의 기능코드(52)로 구성된다. 그리고, 선국용 CPU(32)는 그 지시기(7)로부터 입력된 원격조작신호의 기기어드레스(51)가 텔레비전범주가 아닌 경우에는, 그 기기어드레스(51) 및 기능코드(52)를 버스인터페이스(28)를 통하여 분기동축케이블(5)측에 송신한다. 또한, 그 버스인터페이스(28)로부터 그 선국용 CPU(32)에 기기어드레스(51) 및 기능코드(52)가 공급되어 온 경우에는, 그 선국용 CPU(32)는 그들 코드를 디코드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행한다.
또,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의 동축케이블(4)에 접속된 VTR(10), 비디오디스크재생장치(13) 등은 텔레비전수상기(6)와 마찬가지로 버스인터페이스(28)를 가진다. 그리고, AC전원라인(21)에 접속된 도어록장치(23) 등은 그 버스인터페이스(28)와 대략 동일 구조의 버스인터페이스(48)를 가진다. 따라서, 그들의 VTR(10) 및 도어록장치(23) 등은 텔레비전수상기(6)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예의 텔레비전수상기(6)의 기본적 기능을 다음에 정리한다.
① 상태변화시의 동작(1)
이것은 텔레비전수상기(6) 이외의 기기로부터 그 텔레비전수상기(6)에 제어신호 또는 제어상태신호가 버스라인(21), (4)을 통하여 발신된 경우, 및 지시기(7)를 사용하여 텔레비전수상기(6)를 통하여 버스라인(4), (21)에 각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흐르게 한 경우의 동작이다. 구체적으로는, 지시기(7)로부터 텔레비전수상기(6) 및 그 버스라인(4)을 통하여 VTR(10)을 온한 경우에, 그 VTR(10)로부터는 그 텔레비전수상기(6)에 수신채널을 VTR용의 제2 채널로 변경하라고 하는 명령을 송출하는 수가 있다. 이 경우, 텔레비전수상기(6)는 그 명령코드를 받은 후에, 수신채널을 제2 채널로 변경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2CH 의 관면표시를 행한다.
② 상태변화시의 동작(2)
각 기기의 제어상태에 변화가 있었던 경우의 동작이다.
구체적으로는, VTR(10)이 유아 등에 의하여 잘못하여 온/오프된 경우, 현관의 도어가 개→폐 또는 페→개된 경우 또는 라이트(24A) 등이 온/오프된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제어상태에 변화가 있었던 기기는 버스라인(21), (4)상에 자신의 기기어드레스와 그 변화 후의 제어상태에 대응하는 기능코드를 흐르게 하므로, 텔레비전수상기(6)는 버스인터페이스(28)에 의하여 그 제어상태에 변화가 있었던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텔레비전수상기(6)는 그 변화가 있었던 상태에 대응하는 관면표시 (예를 들면 VTR ON 등)를 행한다.
③ 상태표시모드시의 동작
시청자가 각 기기의 현재의 상태를 알고 싶은 경우의 동작이다. 이 경우, 시청자는 지시기(7)를 사용하여 텔레비전수상기(6)에 상태표시코맨드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서 텔레비전수상기(6)는 버스라인(4), (21)을 통하여 모든 기기에 현재의 제어상태를 조회한다. 이것에 답하는 형식으로 각 기기로부터 현재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버스라인(4), (21)을 통하여 텔레비전수상기(6)에 전송되어 오므로, 텔레비전수상기(6)는 그들의 정보를 관면표시한다. 이 경우, 버스인터페이스(28), (48)는, 어느 한 대의 버스인터페이스(28), (48)로부터 버스라인(4), (21)에 신호가 출력되어 있을 때에는, 다른 버스인터페이스(28), (48)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신호가 간섭하는 일은 없다.
④ 제어모드시의 동작
시청자가 지시기(7)를 사용하여 텔레비전수상기(6) 및 버스라인(4), (21)을 통하여 각 기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경우의 동작이다. 구체적으로는, 지시기(7)를 사용하여 VTR(10)을 온하는 경우나, 라이트(24A) 등을 끄는 경우 등이 있다. 그중의 VTR(10)을 온하는 경우에는, 시청자가 지시기(7)의 VTR 온의 버튼을 누르면, 텔레비전수상기(6)는 버스라인(4)에 VTR ON 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흐르게 하는 동시에, 영상화면(42a)에 중첩하여 VTR ON 이라고 표시한다. 단, VTR(10)로부터 VTR ON 에 대응하는 제어상태신호가 반송되어 온 시점에서 그 중첩표시를 행하는, 겹치는 동작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라이트(24A) 등을 끄는 경우에는, 시청자가 지시기(7)의 조명오프의 버튼을 누르면, 라이트(24A)가 오프로 되는 동시에 예를 들면 LIGHT OFF 라고 중첩표시된다.
다음에, 텔레비전수상기(6)를 사용하여 각 기기의 제어상태를 감시하는 경우에 동작에 중점을 두어 설명한다.
3. 상태변화시의 동작
일예로서 VTR(10)의 상태변화시의 본 예의 텔레비전수상기(6)의 동작에 대하여 제5도∼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경우, 텔레비전수상기(6)에는 지시기(7)로부터 원격조작신호 (이하, 리모콘입력이라 함)가 입력되든가, 또는 버스라인(4), (21)으로부터 각 기기의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신호 (이하, 버스입력이라 함)가 입력된다. 본 예에서는 지시기(7)로부터 VTR(10)을 온시키는 리모콘입력이 발신된다고 가정한다.
먼저, 텔레비전수상기(6)내의 선국용 CPU(32)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102)에 있어서 원격조작신호입력 또는 버스입력의 유무를 검지하고, 어느 하나의 압력이 있었을 때에는 단계(103)로 이행하여 그 입력된 신호의 최초의 1바이트의 기기어드레스가 텔레비전범주인가 여부를 조사한다. 기기어드레스가 텔레비전범주일 때는 단계(104)로 이행하여 하위 4바이트의 기능코드에 대응한 처리가 행해지지만, 기기어드레스가 텔레비전범주가 아닐 때에는 단계(105)로 이행하여, 또한 그 기기어드레스가 VTR범주인가 여부를 조사한다.
그 기기어드레스가 VTR범주가 아닐 때에는 선국용 CPU(32)는 단계(106)로 이행하여, 그 기기어드레스가 그 선국용 CPU(32)의 내장 ROM내의 기기어드레스의 테이블에 존재하는가 여부를 조사한 후,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존재하는 다른 기기의 표시처리를 행한다(단계(107)). 또, 그 기기어드레스가 그 기기어드레스의 테이블중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선국용 CPU(32)는, 입력된 5바이트의 제어신호(1바이트의 기기어드레스 및 4바이트의 기능코드)를 10자리의 16진수로 변환하여, 그 변환한 16진수를 관면표시회로(43)를 사용하여 제7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상관(42)의 영상화면(42a)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제7도 B와 같은 표시는 버스라인에 노이즈가 혼입된 경우나 지시기(7)의 오조작에 의하여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는 그 표시로부터 노이즈의 혼입이나 오동작의 발생을 인식할 수 있는 동시에, 보수자가 그 표시된 코드를 해독하여 정비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또한, 제7도 B와 같은 중첩표시의 대신에, 해당기능 없음 등의 메시지를 중첩표시해도 된다.
단계(105)에 있어서 기기어드레스가 VTR범주인 경우에는 선국용 CPU(32)는 단계(109)로 이행하여, 나머지의 4바이트의 기능코드가 전원온 에 대응하는 것인가 여부를 조사하여, 해당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기능코드가 내장 ROM내의 기능테이블에 존재하는가 여부를 조사한다(단계(110)). 그 기능코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기능코드에 대응하는 처리가 행해지고(단계(111)), 그 기능코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VTR 의 메시지와 그 기능코드를 8자리의 16진수로 변환한 수치가 제7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면표시된다(단계(112)).
기능코드가 전원온 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선국용 CPU(32)는 단계(109)로 부터 단계(113)로 이행하여, 그 기기어드레스와 기능코드를 버스라인(5)을 통하여 VTR(10)에 전송하는 동시에, 관면표시회로(43)에 VTR ON 의 메시지를 입력한후, 그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서 표시색의 선정을 행하여 그 관면표시회로(43)에 지시한다(단계(114)). 표시색의 선정기준은, 예를 들면 접시세척기가 동작하고 있을때, VTR이 전원온의 상태에 있을 때 및 도어록장치가 개상태일 때 등은 적색 으로 하고, 그 접시세척기가 정지하고 있을 때, VTR의 전원이 오프일 때 및 도어록장치가 폐상태일 때 등에는 녹색으로 한다.
따라서, 본 예에 의하면 안전한 상태는 녹색 으로 표시되고, 위험한 상태는 적색으로 표시되므로, 시청자는 일견하여 안전한가 위험한가를 알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다음에, 선국용 CPU(32)는 단계(115)로 이행하여, 표시모드인가 여부를 조사한다. 구체적으로는, 텔레비전수상기(6)의 배면 등에 설치된 선택스위치의 상태를 조사하든가, 또는 지시기(7)에 의하여 미리 불휘발성메모리(44)내의 플래그에 기입되어 있던 정보를 독취함으로써, 표시모드인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표시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118)로 이행하여 관면표시는 행해지지 않으므로, 시청자는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관면표시가 장해로 되는 경우에는 그 관면표시를 임의로 중지시킬 수 있는 이익이 있다.
표시모드일 때에는 단계(116)로 이행하고, 선국용 CPU(32)는 관면표시회로(43) 및 RGB전환회로(40)를 동작시켜서 제6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첩적 관면표시를 온으로 한다. 그리고, 이 관면표시를 3초간 행한 후(단계(117)), 그 관면표시는 오프로 된다. 본 예에 의하면, VTR(10) 등의 기기의 제어상태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텔레비전수상기(6)의 영상화면(42a)에 중첩하여 표시되므로, 시청자는 텔레비전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을 때에 언제라도 그들의 기기의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또한, 본 예에 의하면, 일반 가정이나 오피스에 있어서 통상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지시기(7)나 수상관(42)을 구비하여 이른바 맨·머신인터페이스의 단말로서 최적의 텔레비전수상기(6)를 사용하여 각 기기 또는 버스라인(4), (21)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으므로, 별도 중앙제어반과 같은 것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공간의 사용효율 및 코스트면에 있어서 유리한 이익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제5도의 단계(117)가 설정되어 있어 관면표시의 시간이 소정 시간 이내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시청자가 텔레비전프로그램을 시청하는데 방해로 되지 않는 동시에, 수상관(42)의 관면(42a)에의 채널정보 등의 중첩표시에의 방해로도 되지 않는 이익이 있다. 또, 시청자는 표시모드의 온/오프의 전환을 빈번히 행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해방된다.
또, 본 예에서는 제6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상태표시용 LED(4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텔레비전수상기(6)는 버스라인(4)에 제어정보가 흐르고 있을 때에 그 버스상태표시용 LED(47)를 점멸시킨다. 따라서, 시청자는 버스라인(4), (21)에 정보가 유통하고 있는가 여부를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제6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화면(42a)상에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중첩표시하고 있으나, 제6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 채널 등을 표시하기 위한 도트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LED표시판(64)를 장착하여, 이 LED표시판(64)에 VTR ON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4. 상태표시모드시 등의 동작
지시기(7)의 상태표시키를 조작하여 텔레비전수상기(6)의 수상관(42)에 각 기기의 제어상태(이하, 상태라 함)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순차 표시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제8도∼제10도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 경우, 본 예에서는 수동표시모드 및 자동표시모드 를 지시기(7)의 조작키에 의하여 또한 선택할 수 있고, 수동표시모드 에서는 1회의 키조작으로 어떤 범주의 기기의 상태정보만을 중첩표시하고, 자동표시모드 에서는 1회의 키조작으로 모든 범주의 기기의 상태정보를 순차 자동적으로 중첩표시한다.
제8도에 있어서, 지시기(7)로부터 리모콘입력이 있으면(단계(119)), 선국용 CPU(32)는 단계(120)로 이행하여, 입력된 코맨드가 상태표시코맨드인가 여부를 조사하여 상태표시코맨드가 아닐 때에는 단계(121)에서 그 입력된 코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상태표시코맨드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단계(122)∼(125)로 이행하고, 먼저 선국용 CPU(32)는 내장 RAM내의 변수 n을 1만큼 증분(增分)한다. 이 변수 n은 전원투입시에는 통상 0으로 설정된다. 이어서, 제n 범주의 기기에 대하여 텔레비전수상기(6)로부터 버스라인(4), (21)을 통하여 모든 상태요구명령이 순차 출력된 후, 그들 제n 범주의 기기로부터 그 텔레비전수상기(6)에 대하여 순차상태정보가 반송된다. 선국용 CPU(32)는 그 반송된 상태정보를 1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양(이하, 면이라 함)으로 나누어 정리하면서 내장 RAM내에 기억한다. 그 후, 선국용 CPU(32)는 그 기억된 상태정보를, 예를 들면 제9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55A) 및 면(56A)으로 분할하여 영상화면상에 순차 중첩표시한다.
선국용 CPU(32)는 단계(126)로 이행하여, 그 변수 n이 최대치 N보다 작은가 여부를 조사하고, n이 N보다 작은 경우에는 현재 표시모드가 자동표시모드 인가 여부를 조사한다(단계(127)). 자동표시모드 인 경우에는 단계(128)로 이행하고, 그 제n 범주의 최종면 표시 후 5초 경과한 후에 선국용 CPU(32)의 동작은 단계(122)로 이행하여, 제9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n+1) 범주의 기기의 상태표시가 면(55B)∼(58B)별로 행해진다. 또, 단계(127)에 있어서 자동표시모드 가 아닌 경우, 즉 수동표시모드 인 경우에는, 선국용 CPU(32)는 리모콘입력대기로 된다(단계(129)). 이 상태에서 시청자가 지시기(7)로부터 수동표시모드 에서 상태표시코맨드를 발신하면, 텔레비전수상기(6)에는 제(n+1) 범주의 상태정보가 표시된다.
단계(126)에 있어서 변수 n이 최대치 N으로 되었을 때, 즉 모든 범주기기의 상태정보의 표시가 완료되었을 때에는, 선국용 CPU(32)의 동작은 단계(130)로 이행하여 그 변수 n을 0으로 초기설정한다. 그리고, 단계(131)에 있어서 자동표시모드 인가 여부의 체크가 행해지고, 자동표시모드 일 때에는 최종 범주표시처리가 행해진다(단계(132)). 구체적으로는, 최종면을 5초간 표시한 후에 그 상태정보의 중첩표시가 오프되지만, 그 최종면을 표시한 그대로의 상태로 유지하여 둘 수도 있다. 또, 단계(131)에서 수동표시모드 일 때에는 선국용 CPU(32)의 동작은 단계(129)로 이행한다
본 예에 의하면, 시청자는 임의로 버스라인(4), (21)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제어상태를 알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또한, 시청자가 지시기(7)의 상태표시키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텔레비전수상기(6)의 영상화면(42a)에는 제9도 A∼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기기의 상태정보가 범주별로 또한 면으로 나누어 순차 표시된다. 따라서, 시청자로서는 그 표시를 보기 쉬운 이익이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제9도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범주별로 상태정보를 표시하였으나, 예를 들면 제10도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기기의 온/오프 또는 개/폐 등의 기본적 상태정보만을 면별로 정리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지시기(7)에 범주별의 상태표시키를 배설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시청자가 원하는 범주의 상태정보를 신속하게 텔레비전수상기(6)의 영상화면(42a)에 중첩표시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다음에, 제11도 및 제12도를 참조하여 상태표시중에 텔레비전수상기(6)가 리모콘입력 또는 버스입력을 받은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선국용 CPU(32)의 동작은 제11도의 단계(133)로부터 단계(134)로 이행하지만, 현재는 상태표시중이라고 가정하고 있으므로 그대로 단계(136)로 이행한다. 그리고, 선국용 CPU(32)는 입력된 제어신호의 선두의 1바이트의 기기어드레스 및 4바이트의 기능코드를 판별한 후, 현재의 상태표시를, 예를 들면 제12도 A로부터 제12도 B로 전환하는 것과 같이, 그 판별한 기기와 기능에 대응하는 범주 및 면의 표시로 전환한다(단계(137)). 또한, 단계(138)에 있어서 그 판별한 기기와 기능의 표시부분 (예를들면 제12도 B의 파선(59)으로 에워싼 부분)을 점멸표시(블링킹)하든가, 또는 그 표시부분의 표시색을 다른 부분의 표시색과 상이하게 한다. 예를 들면, 제12도 A의 중첩표시의 표시색을 녹색으로 하면, 제12도 B의 파선(59)으로 에워싼 부분의 표시색은 황색으로 한다.
제11도 예에 의하면, 상태표시중에도 시청자는 버스입력의 발생 또는 각 기기에 제어상태의 변화를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또, 제13도 및 제14도를 참조하여, 본 예의 텔레비전수상기(6)를 사용하여 홈버스정보표시의 데모를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이 경우, 텔레비전수상기(6)는 텔레비전방송신호만은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이고, 버스라인(4), (21)에는 다른 기기(10), (13) 등은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본 예의 텔레비전수상기(6)를 데모모드로 설정하는데는, 전원투입시에 그 수상기(6)의 본체측의 예를 들면 음량조정키를 누른채 파워키를 누른다. 이 때, 선국용 CPU(32)의 동작은 제13도의 단계(139)→단계(140)→단계(142)로 이행하여 데모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선국용 CPU(32)는 내장 ROM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내장 RAM내의 각 기기의 상태정보를 기억하는 영역의 내용을 초기설정한 후, 각 기기의 상태정보를, 예를 들면 제14도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차 영상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한다(단계(143), (144)). 이어서, 제14도 Z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범주별 및 면별로 모든 범주의 상태정보가 표시된다(단계(145), (146)). 그 후, 선국용 CPU(32)의 동작은 단계(140)로 귀환하고, 아직 음량조정키가 눌려 있을 때에는 다시 데모동작이 행해진다.
제13도 예에 의하면, 그 텔레비전수상기(6)는 마치 버스라인(4), (21)에 복수의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동작하므로, 시청자에게 이른바 홈버스시스템의 설명을 행하는 경우 등에 유효한 이익이 있다.
또한, 본 예의 텔레비전수상기(6)에는 제15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버스모드스위치(60)가 배설되어 있다. 이 홈버스모드스위치(60)를 조작하여 이 텔레비전수상기(6)를 홈버스모드에 설정하면, 이 텔레비전수상기(6)의 수상관(42)에는, 제15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라인(4), (21)에 접속되는 각 기기의 상태정보만이 단독으로 전체면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청색의 배경(블루백)(61)중에 예를 들면 백색의 상태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현관용 라이트(24A)가 오프되면 제15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선(63)으로 에워싼 현관라이트 OFF 의 표시가 점멸표시(블링킹) 또는 상이한 표시색의 표시로 전환되는 동시에, 그 텔레비전수상기(6)의 스피커(36)로부터 경고음이 나온다.
제15도 예에 의하면, 이 텔레비전수상기(6)는 버스라인(4), (21)에 접속된 복수의 기기의 모니터로서만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제11도에 있어서, 상태표시중에 리모콘입력이나 버스입력이 있었을 때에는 시청자에게 경고하는 의미에서 텔레비전수상기(6)의 스피커(36)로부터 경고음이 나오도록 해도 된다.
제1의 발명인 홈버스정보표시방식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 가정이나 오피스에 통상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른바 맨·머신인터페이스의 단말로서 최적의 텔레비전수상기의 영상화면에, 복수의 기기의 제어상태가 시청자의 요구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중첩하여 표시된다. 따라서, 별도 중앙제어반과 같은 것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이익이 있다.
또, 제2의 발명에 의하면, 그 중첩표시가 항상 행해지는 것이 아니므로, 시청의 장해로 되지 않는 이익이 있다.
또, 제3의 발명에 의하면, 상태표시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시청자가 희망할 때에 언제라도 그들 복수의 기기의 제어상태를 알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또, 제4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기기의 각각의 복수의 제어항목이 기기마다 상이한 표시화면으로 순차 표시되므로, 시청자가 복잡한 조작을 행하지 않고 모든 기기의 제어항목을 순차 보기 쉬운 표시로 볼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또, 제5의 발명에 의하면, 시청자는 제어상태에 변화가 있었던 기기를 신속하게 알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또, 제6의 발명에 의하면, 그 어떤 기기에 대응한 표시부분이 점멸표시되거나, 또는 다른 부분의 표시색과는 상이한 표시색으로 되므로, 시청자는 그 제어상태에 변화가 있었던 기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또, 제7의 발명에 의하면, 그들 복수의 기기의 제어상태의 종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또, 제8의 발명에 의하면, 그 텔레비전수상기에 그들 복수의 기기가 버스라인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도, 그 텔레비전수상기는 마치, 그들의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것처럼 제어상태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데모 등을 행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Claims (1)

  1. 화면을 가지는 영상모니터와, 영상프로그램을 공급하는 신호원과,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홈기기와, 복수의 홈기기 각각에 배설된 전기적 제어수단과로 이루어지는 홈버스정보표시방식에 있어서, 영상모니터와 복수의 홈기기 각각의 사이에 접속된 버스라인과, 복수의 홈기기 각각에 배설되어, 전기적 제어수단에 따라서 판별상태정보신호를 발생하고, 이 상태정보신호를 버스라인을 통하여 영상모니터에 전송하는 정보수단과, 영상프로그램 및 상태정보에 따라서 영상모니터의 화면상의 영상프로그램에 추가적으로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버스정보표시방식.
KR1019890015171A 1988-11-14 1989-10-23 홈버스정보표시방식 KR0170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287195 1988-11-14
JP63287195A JP2773163B2 (ja) 1988-11-14 1988-11-14 ホーム・バス情報表示方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806A KR900008806A (ko) 1990-06-04
KR0170362B1 true KR0170362B1 (ko) 1999-03-30

Family

ID=1771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171A KR0170362B1 (ko) 1988-11-14 1989-10-23 홈버스정보표시방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773163B2 (ko)
KR (1) KR01703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121A (ja) * 1996-11-21 1998-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表示装置
US6549143B1 (en) * 1999-12-22 2003-04-15 Thomson Licensing, S.A. Universal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2003308263A (ja) * 2002-04-17 2003-10-31 Ntt Communications Kk 情報家電機器の設定方法、設定システム、設定制御装置、設定情報配信装置、設定制御プログラム、設定情報配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12A (ja) * 1983-06-21 1985-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ホ−ムコントロ−ル装置
JPS6253082A (ja) * 1985-09-02 1987-03-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多地点間映像会議方式
JPH0691539B2 (ja) * 1987-02-12 1994-1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ホ−ムバス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73163B2 (ja) 1998-07-09
KR900008806A (ko) 1990-06-04
JPH02132997A (ja) 199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02718C (en) Home-bus-information system
US6297746B1 (en) Centralized apparatus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aratuses
GB2277648A (en) Combination television and videocassette recorder device with single remote control
CN104345704B (zh) 一种酒店客房无线智能中控系统及其控制方法
US20040205821A1 (en) Tv rf switching system
CN101394508A (zh) 一种具备信源输入状态显示功能的电视机
KR0170362B1 (ko) 홈버스정보표시방식
KR100210593B1 (ko) 가전기기의 통합 제어시스템
KR0172627B1 (ko) 대형영상표시시스템과 텔레비젼 수신장치
CN102685598B (zh) 一种视频切换管理装置及切换方法
JP2789677B2 (ja) ホーム・バス情報表示方式
KR100473526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기기 제어 장치
US5109284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televis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and a method therefor
JP3850894B2 (ja) 映像信号合成装置
CN101437107B (zh) 一种电视机
US200302274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receiving data from connected devices
ES2216085T3 (es) Sistema para la reproduccion de señales de sonido y/o video y para el control de equipos electronicos en diferentes habitaciones de un piso o de una casa.
JPH11220782A (ja) 機器集中管理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機器電源制御装置
KR20000028190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자 제품 제어가 가능한 텔레비젼
JPH0437479B2 (ko)
KR970025012A (ko) 텔레비젼의 외부기기 연결상태 자동안내장치
JP2001008276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JPH043720B2 (ko)
JPH06105374A (ja) 電気機器制御装置
KR100219140B1 (ko) 에이/브이기기 통합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