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423B1 - 키폰 시스템에서의 수정 다이얼링 방법 - Google Patents

키폰 시스템에서의 수정 다이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423B1
KR0169423B1 KR1019950045674A KR19950045674A KR0169423B1 KR 0169423 B1 KR0169423 B1 KR 0169423B1 KR 1019950045674 A KR1019950045674 A KR 1019950045674A KR 19950045674 A KR19950045674 A KR 19950045674A KR 0169423 B1 KR0169423 B1 KR 0169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lephone number
key
response
mod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5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1659A (ko
Inventor
이태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45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423B1/ko
Publication of KR970031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1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4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H04M1/272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using electronic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설교환 시스템의 개선된 수정 다이얼링 방법은 키입력에 대응하여 키 데이터를 리드후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키 데이터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전화번호의 수정을 나타내는 메시지 키에 응답하여 전화번호의 포지션 데이터를 감소시키고 미리 설정된 전송 포맷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수정된 키 데이터에 응답하여 수정된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통화를 시도하기 위해 인접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가짐에 의해 사용의 편리성 및 호의 달성율이 증대된다.

Description

키폰 시스템에서의 수정 다이얼링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키폰 시스템의 장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송데이타의 포맷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램 메모리 영역내의 다이얼링 데이터에 대한 맵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수정 다이얼링 방법의 플로우 챠트.
본 발명은 키폰 시스템과 같은 사설 교환기의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 다이얼링의 편리성을 개선할 수 있는 수정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1도와 같은 블록들을 가지는 키폰 시스템은 키폰전화기를 통해 제공되는 목적지 전화번호를 라인으로 송출하여 통화로를 형성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이 경우에 사용자가 다이얼링한 목적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가 통화중이면 사용자는 비지톤 즉, 화중음을 듣는다. 그러면 사용자는 전화기의 핸드셋을 훅크 온한 후 다시 이전에 다이얼링한 번호와 동일한 전화번호를 재입력하거나 인접전화번호를 다시 입력하여 다이얼링한다. 여기서, 인접 전화번호란 동일한 목적지에 2개이상의 전화번호가 있을 때 또 다른 번호를 의미한다.
동일한 번호의 다이얼링에 대한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재다이얼링 기능을 이용하여 일단 한번 입력한 전화번호를 다시 입력하지 않고서도 통화를 시도할 수가 있었다. 그렇지만, 동일한 전화번호를 재 다이얼링 기능을 이용하여 무작정 시도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대기시간을 요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화를 일단 끊은 후 인접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는데, 예를들어 타지역이나 해외 콜의 경우에 많은 입력을 요구하므로 사용자에게 매우 번거로움을 주는 불편한 문제점이 수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호출된 전화가 통화중일 때 인접 전화번호를 간단히 다이얼링할 수 있는 수정 다이얼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키폰 시스템에서의 수정 다이얼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화의 재 시도시에 이전에 다이얼링한 전화번호가 현재 다이얼링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와 비슷할 경우 다른 부분의 번호를 삭제하고 새로운 번호만을 입력함에 의해서도 자동으로 통화를 시도할 수 있는 키폰 시스템의 수정 다이얼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아스팩트에 의하면, 키입력에 대응하여 키 데이터를 리드후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키 데이터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전화번호의 수정을 나타내는 메시지 키에 응답하여 전화번호의 포지션 데이터를 감소시키고 미리 설정된 전송 포맷데이타를 전송하는 단계와, 수정된 키 데이터에 응답하여 수정된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통화를 시도하기 위해 인접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의 각 단계들은 하드웨어적인 회로에 의해 구현가능하지만 제조의 코스트측면에서 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프로그래밍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관련소자 등에 의해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 재 다이얼링 방법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그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항목들이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자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이러한 상세한 항목들이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진 구조의 특징 및 기능들은 본 발명을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제1도의 각 블록들은 본 발명에서도 적용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램 110, 롬 120, 마이크로 프로세서 100, 통화회로 130 및 전화기 인터페이스부 140는 키폰 시스템의 주장치에 포함되며, 키폰전화기 15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 14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키폰전화기 150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는 상기 통화회로 130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100에 수신되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휘발성 메모리인 램 110의 영역에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100는 저장된 전화번호를 억세스하여 리드함에 의해 재 다이얼링 또는 잘 알려진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4도를 참조하면, 제402단계의 사용자가 국선을 선택한 후 다이얼링을 하게 되면(제404단계) 해당 키 데이터가 전화기 인터페이스부 140를 통해 인가된다. 이때 다이얼 입력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던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100는 데이터 버스를 통해 해당 키 데이터를 리드하게 된다. 분석한 후 지정된 기억장소, 즉 램 110에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기억시킨다(제406단계). 이때 상기 키폰전화기 150의 액정 디스플레이(LCD)상에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가 디스플레이 되는데 사용자는 수정다이얼링을 원할 시 지정된 메시지 키를 누름에 의해(제408단계) 맨 우측번호부터 하나씩 지워진다. 이러한 기능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상의 전화번호 숫자들의 위치중 어느 위치를 지울 것인가를 가르키는 포인터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100는 기억을 하고 있어야 하며, 삭제할 데이터를 상기 키폰전화기 150로 보낼 경우에는 반드시 포지션 데이터와 블랭크 데이터를 한 세트로 하여 전송을 해야 한다(제410단계). 제2도에는 이러한 전송데이타의 포맷이 나타나 있다. 제2도의 참조번호 20는 네트워크 데이터를 가르키며, 21은 LCD 포지션을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22는 블랭크 데이터이다. 제2도의 22는 삭제된 블랭크로서 나타나며, 이때 사용자는 상기 위치에 수정할 번호를 디지트하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키폰전화기 150는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상에 상기 포지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블랭크 데이터에 해당 포지션에 블랭크 데이터를 라이트함으로써 특정 위치의 캐릭터가 지워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100는 해당 포인터를 하나 감소한 후 기억을 한다. 다시 키폰전화기 150을 통해 키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램 110에 저장된 포인터는 다시 증가한다. 수정후, 제412단계의 특정 버튼 재다이얼 키를 누름에 의해 일정시간동안 국선 릴레이를 오프시킨후 온시켜 전화번호의 재 다이얼링이 시작된다(제414,416단계). 이와 같이 상기 램110에는 상기 키 데이터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영역이 제3도와 같이 할당되어 있다. 제3도를 참조하면, 리드한 다이얼 데이터, 즉 전화번호는 영역 a에 저장되며, 이때 포인터 영역 b도 따라 증가한다. 즉, 현재 다이얼링한 개수만큼의 정보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수정된 다이얼이 재송출될 때 저장되는 각 키폰전화기 150의 재다이얼 영역에 제3도의 내용이 그대로 복사되어 상기 수정된 번호에 대응되는 다이얼 톤이 국선으로 송출된다. 다이얼 수정이 이루어질 때 현재의 디스플레인된 번호의 자리수에서 어느 위치의 포지션에 커서가 있는지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100는 인지해야 하므로 상기 포지션 데이터가 키폰전화기 150측으로 데이터 통신회로를 통해 전송되게 되며, 해당 포지션의 숫자가 지워지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다이얼 기능의 수행시 수정된 인접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함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을 꾀하는 동시에 호의 달성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상한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도면을 중심으로 예를들어 설명되고 한정되었지만, 그 동일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화와 변형이 가능함이 본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사설교환 시스템의 수정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키입력에 대응하여 키 데이터를 리드후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키 데이터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전화번호의 수정을 나타내는 메시지 키에 응답하여 전화번호의 포지션 데이터를 감소시키고 미리 설정된 전송 포맷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수정된 키 데이터에 응답하여 수정된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통화를 시도하기 위해 인접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포맷 데이터는 네트워크 데이터, 포지션 데이터 및 블랭크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전화번호에 대한 자동 메모리 기능을 가진 키폰 시스템의 수정 재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키입력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키 데이터를 리드후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키 데이터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키폰전화기의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전화번호의 수정을 나타내는 메시지 키에 응답하여 전화번호의 포지션 데이터를 감소시키고 미리 설정된 전송 포맷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수정된 키 데이터에 응답하여 수정된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통화를 시도하기 위해 인접 다이얼링을 소정횟수까지 수행하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사설교환 시스템의 수정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국선을 선택한 상태에서 키입력에 대응하여 전화번호를 리드후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전화번호의 수정을 나타내는 메시지 키에 응답하여 전화번호의 포지션 데이터를 감소시키고 설전된 블랭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재 다이얼링 키의 설정에 응답하여 스위치를 오프 시킨 후 다시 온으로 세트하는 단계와; 상기 수정된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통화를 시도하기 위해 인접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50045674A 1995-11-30 1995-11-30 키폰 시스템에서의 수정 다이얼링 방법 KR0169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674A KR0169423B1 (ko) 1995-11-30 1995-11-30 키폰 시스템에서의 수정 다이얼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674A KR0169423B1 (ko) 1995-11-30 1995-11-30 키폰 시스템에서의 수정 다이얼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659A KR970031659A (ko) 1997-06-26
KR0169423B1 true KR0169423B1 (ko) 1999-02-01

Family

ID=1943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5674A KR0169423B1 (ko) 1995-11-30 1995-11-30 키폰 시스템에서의 수정 다이얼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576A (ko) * 1995-12-27 1997-07-31 김광호 전화번호 자동 다이얼링방법
KR100605918B1 (ko) * 1998-11-11 2006-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기의 전화번호부 수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659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33021A (ja) 電話装置の高速ダイヤル方法
US5966436A (en) Redialing method
KR0169423B1 (ko) 키폰 시스템에서의 수정 다이얼링 방법
JP4350209B2 (ja) 電話端末装置
US5805694A (en) Redialing method by editing telephone number in telephone terminal equipment
KR100298153B1 (ko) 통신기기의지역번호자동선택/송출방법
JP2001036630A (ja) 携帯電話装置
JPH0685894A (ja) ビデオテキストを利用した電話番号の自動ダイヤル・自動格納方法及びビデオテキストを利用した電話番号検索システム
KR0138228B1 (ko) 통화중메모기능을가지는팩시밀리장치
KR100312183B1 (ko) Isdn단말기의재다이얼링방법
KR100238480B1 (ko) 전화단말장치의 재다이얼방법
JP3147362B2 (ja) 電子電話帳付き端末装置
KR100469715B1 (ko)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방법
JPH11239205A (ja) 通信端末及び通信端末に内蔵された電話帳データの登録方法
KR960011825B1 (ko) 키폰의 재다이얼 방법
JP3714148B2 (ja) 通信装置および記憶媒体
KR19980076372A (ko)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방법
KR980013202A (ko) 간이전자교환기의 지역번호 자동 다이알 방법
JP3711306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187195B1 (ko) 통신 단말기에서의 재 다이알링 방법
JP3255438B2 (ja) 電話装置
KR100217758B1 (ko) 전화단말장치의 원 터치 다이얼방법
JP3558216B2 (ja) 通信端末装置
JP3113354B2 (ja) 電話機
KR19980013824A (ko) 휴대폰에 있어서 페이징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