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715B1 -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715B1
KR100469715B1 KR1019970076087A KR19970076087A KR100469715B1 KR 100469715 B1 KR100469715 B1 KR 100469715B1 KR 1019970076087 A KR1019970076087 A KR 1019970076087A KR 19970076087 A KR19970076087 A KR 19970076087A KR 100469715 B1 KR100469715 B1 KR 100469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speed dial
keyset
telephone number
phon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6109A (ko
Inventor
김재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7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715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53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폰시스템의 주장치는 가입자가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를 설정된 수만큼 저장하고 있다가 가입자로부터 단축 다이얼번호 등록요구시 이 저장된 전화번호를 전송하여 준다. 그러면 키셋은 상기 전송된 전화번호를 가입자에게 표시시켜주고, 이러한 표시동작중에 가입자가 볼륨 업/다운 버튼과 간단 단축버튼을 이용하여 어느 한 전화번호를 선택하며 이 선택된 전화번호가 주장치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주장치는 상기 전송된 전화번호를 일련의 단축 다이얼번호중 비어 있는 어느 한 다이얼번호로 등록시키고, 그 등록결과에 따른 단축 다이얼번호를 상기 가입자측에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가입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입자는 보다 간편하고, 번호입력의 오류없이, 그리고 간단한 조작으로 자신이 원하는 피호출측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단축번호로서 등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방법
본 발명은 키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폰시스템은 가입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을 서비스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전환기능(FLASH), 통화보류기능(HOLD), 착신거부기능(DO NOT DISTURB), 전환기능(TRANSFER), 개인별 단축 다이얼기능(PERSONAL SPEED DIAL) 등이 있다. 이중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기능은 가입자가 호출을 원하는 피호출 가입자들의 여러 전화번호를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로 등록시켜 놓으면 이후에 그 등록된 단축번호만을 누르는 경우에도 그 피호출 가입자의 전화번호가 자동으로 다이얼링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그러나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시키는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과정(전환버튼 선택, 설정번호 선택, 단축번호 선택, 소프트버튼 선택, 전화번호 입력, 소프트버튼 입력, 전환번호 입력)을 거쳐야만 수행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많은 과정을 통해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시키기 때문에 그만큼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많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또한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이 원하는 피호출측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반드시 기억하고 있어야만 하며,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다시 피호출측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많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보다 편리하게 등록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의 등록을 위한 피호출측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않고도 등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시킬 시 그 등록되는 전화번호의 오류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키폰시스템의 주장치는 가입자가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를 설정된 수만큼 저장하고 있다가 가입자로부터 단축 다이얼번호 등록요구시 이 저장된 전화번호를 전송하여 준다. 그러면 키셋은 상기 전송된 전화번호를 가입자에게 표시시켜주고, 이러한 표시동작중에 가입자가 볼륨 업/다운 버튼과 간단 단축버튼을 이용하여 어느 한 전화번호를 선택하며 이 선택된 전화번호가 주장치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주장치는 상기 전송된 전화번호를 일련의 단축 다이얼번호중 비어 있는 어느 한 다이얼번호로 등록시키고, 그 등록결과에 따른 단축 다이얼번호를 상기 가입자측에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가입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입자는 보다 간편하고, 번호입력의 오류없이, 그리고 간단한 조작으로 자신이 원하는 피호출측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단축번호로서 등록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키폰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키폰시스템은 키셋 10과 주장치 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키셋 10과 주장치 20의 구성은 본 발명의 동작과 관련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만 한정하여 도시하고 있다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키셋 10은 표시부 12, 마이컴 14, 키입력부 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주장치 2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22와, 메모리 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서 주장치 20의 마이크로프로세서 22는 키셋 10으로부터의 통화요구에 따른 최근 전화번호를 설정된 수(예: 10개)만큼 업데이트시키면서 메모리 24에 저장한다. 즉, 키셋 10의 가입자가 10번 통화하기 전까지는 그 통화에 따른 피호출측 가입자의 전화번호가 메모리 24에 저장되게 되며, 10번 이후의 통화의 경우에는 새로운 피호출측 가입자의 전화번호가 메모리 24에 저장되고 가장 오래된 피호출측 가입자의 전화번호는 메모리 24로부터 삭제된다.
키셋 10의 표시부 12는 통상 액정표시기(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되며, 키입력부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에 요구되는 각종 기능버튼들(간단 단축버튼, 볼륨 업/다운 버튼) 및 다이얼동작을 위한 숫자버튼들로 구비된다.
지금, 가입자가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기 위해 키입력부 16상에 구비된 간단 단축버튼을 누른다고 가정하면, 마이컴 14는 이를 도 3의 31단계에서 판단하고, 간단 단축버튼이 눌리어짐에 응답하는 정보를 주장치 20으로 전송한다. 다음에 주장치 20의 마이크로프로세서 22는 메모리 24에 저장되어 있는 최근 통화한 10개의 피호출측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읽어들여 키셋 1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키셋 10의 마이컴 14는 32단계에서 주장치 20으로부터 최근 통화한 10개의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33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를 표시부 12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가입자가 키입력부 16상에 구비된 볼륨 업/다운(UP/DOWN) 버튼을 이용하여 커서(cursor)를 어느 한 전화번호에 위치시킨 후 간단 단축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때의 번호가 단축 다이얼번호로 등록시키기 위한 전화번호로서 선택되는 것이다.
즉, 키셋 10의 마이컴 14는 34단계에서 볼륨 업/다운 버튼이 눌리었는가를 판단하고, 35단계에서 간단 단축버튼이 눌리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34단계 및 35단계에서 볼륨 업/다운 버튼과 간단 단축버튼이 눌리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마이컴 14는 이때 선택된 전화번호를 36단계에서 주장치 2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주장치 20의 마이크로프로세서 22는 상기 전송된 전화번호를 일련의 단축번호중 비어있는 어느 한 단축번호로서 부여하여 메모리 24상에 등록시킨다. 이러한 단축번호 부여를 행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 22는 가입자가 선택한 전화번호가 어떠한 단축번호로 등록되었는지를 알리기 위해 이 단축번호를 마이컴 14로 전송한다. 그러면 마이컴 14는 37단계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22에 의해 부여된 단축번호를 표시부 12상에 표시시켜 가입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표시동작은 38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수행된다. 설정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는 33단계로 되돌아가 상술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입자가 이미 사용한 전화번호를 주장치가 기억하고 있다가 가입자가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할 시 제공하여 준다. 이에 따라 가입자는 보다 간편하고, 번호입력의 오류없이, 그리고 간단한 조작으로 자신이 원하는 피호출측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단축번호로서 등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키폰시스템의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4)

  1. 주장치와 키셋으로 이루어지는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가 상기 키셋으로부터의 통화요구에 따른 전화번호를 미리 설정된 수만큼 업데이트시키며 저장하는 (a)과정과,
    상기 키셋으로부터 단축 다이얼번호 등록 요구가 있을 시 상기 주장치가 상기 저장된 설정 수만큼의 전화번호를 상기 키셋으로 전송하는 (b)과정과,
    상기 키셋이 상기 전송된 설정 수만큼의 전화번호를 표시부상에 표시시키고 이러한 표시되는 전화번호들중 어느 한 전화번호가 선택될 시 이 선택된 전화번호를 상기 주장치로 전송하는 (c)과정과,
    상기 주장치가 상기 (c)과정에서 상기 키셋으로부터 전송된 전화번호를 일련의 단축번호중 어느 한 단축번호로 부여하여 저장하는 (d)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는 상기 (d)과정에서 부여한 단축번호를 상기 키셋으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e)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셋은 상기 (e)과정에서 전송된 단축번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표시하고, 그 설정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c)과정으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는 상기 키셋으로부터의 통화요구에 따른 전화번호를 10개만큼 업데이트시키면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76087A 1997-12-29 1997-12-29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방법 KR100469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087A KR100469715B1 (ko) 1997-12-29 1997-12-29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087A KR100469715B1 (ko) 1997-12-29 1997-12-29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109A KR19990056109A (ko) 1999-07-15
KR100469715B1 true KR100469715B1 (ko) 2005-04-06

Family

ID=3730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087A KR100469715B1 (ko) 1997-12-29 1997-12-29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491B1 (ko) * 2000-12-29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028A (ko) * 1995-08-21 1997-03-29 구자홍 키폰 전화기의 원터치 다이얼링장치
KR970064096A (ko) * 1996-02-22 1997-09-12 김광호 사설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원터치 단축다이얼 입력방법
KR19980045603A (ko) * 1996-12-10 1998-09-15 김광호 전화단말장치의 다이얼정보 자동 학습 등록방법
KR19990009895A (ko) * 1997-07-12 1999-02-05 구자홍 전화번호부 자동 형성 장치 및 방법
KR19990018682A (ko) * 1997-08-28 1999-03-15 윤종용 송화자 전화번호 표시 및 단축 다이얼링 가능한 전화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028A (ko) * 1995-08-21 1997-03-29 구자홍 키폰 전화기의 원터치 다이얼링장치
KR970064096A (ko) * 1996-02-22 1997-09-12 김광호 사설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원터치 단축다이얼 입력방법
KR19980045603A (ko) * 1996-12-10 1998-09-15 김광호 전화단말장치의 다이얼정보 자동 학습 등록방법
KR19990009895A (ko) * 1997-07-12 1999-02-05 구자홍 전화번호부 자동 형성 장치 및 방법
KR19990018682A (ko) * 1997-08-28 1999-03-15 윤종용 송화자 전화번호 표시 및 단축 다이얼링 가능한 전화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109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967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 작성 방법
US2004005235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auto-completing telephone numbers that are being manually dialed
CN1937650A (zh) 通信终端和拨号注册方法及拨号注册程序
US5454035A (en) Electronic apparatus
KR100469715B1 (ko)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방법
AU642517B2 (en) Portable telephone set comprising input keys and a shift key on different surfaces
JPS60254956A (ja) 短縮ダイヤル機能付電子電話機
KR100312525B1 (ko) 휴대전화단말장치의 사용자 메뉴 구현 방법
JP2001007915A (ja) 電話端末装置
KR20030045893A (ko) 전화단말기에서 그룹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방법
US5677950A (en) Telephone with dial history access
JPH0614098A (ja) 短縮ダイヤルリスト作成支援ツール付電話機
KR10033423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다이얼단축장치및그방법
KR1010309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JP2994285B2 (ja) 多機能電話機
KR0176403B1 (ko) 전화기에 있어서 기능조건변경방법
KR0169423B1 (ko) 키폰 시스템에서의 수정 다이얼링 방법
KR20030032092A (ko) 예측 지능형 통화키가 부착된 통신 단말기
KR100608828B1 (ko) 단축다이얼 전화번호 등록방법
KR100651491B1 (ko) 화상통화를 위한 전화번호 목록을 관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그에 따른 방법
KR1007113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국제전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KR100724409B1 (ko) 통신 단말의 단축 키 등록 방법과 상기 단축 키를 이용한통신 방법과 상기 단축 키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
KR0171833B1 (ko) 전화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단축다이얼 등록방법
JP3147362B2 (ja) 電子電話帳付き端末装置
KR100238480B1 (ko) 전화단말장치의 재다이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