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491B1 -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491B1
KR100748491B1 KR1020000085642A KR20000085642A KR100748491B1 KR 100748491 B1 KR100748491 B1 KR 100748491B1 KR 1020000085642 A KR1020000085642 A KR 1020000085642A KR 20000085642 A KR20000085642 A KR 20000085642A KR 100748491 B1 KR100748491 B1 KR 100748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gistered
gatekeeper
internet phone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6318A (ko
Inventor
정미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5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491B1/ko
Publication of KR20020056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6Call controllers; Call ser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인터넷 폰의 단축키에 정보를 등록할 경우, 상대측이 게이트키퍼에 등록한 정보(Alias Number, IP address, name 등)를 정확히 알아야 하기 때문에 이를 알기 위해서 상대측에게 구두 또는 E-mail등을 통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상대측에게 게이트키퍼에 등록된 정보를 묻어 정보를 입력할 경우에도 정보 입력시 오류에 의해 잘못된 정보를 등록시킬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H.323 프로토콜을 사용한 인터넷 폰의 단축키(Flexible Button)에 정보를 등록할 때, 그 등록하고자 하는 정보가 게이트키퍼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정보 입력시에 자동으로 확인하여, 연결 가능한 정보에 대해서만 단축키 정보로 등록될 수 있도록 하여 입력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INFORMATION REGISTRATION METHOD FOR FLEXIBLE BUTTON OF INTERNET PHONE }
도1은 종래 인터넷 폰의 단축키에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해 인터넷 폰의 단축키에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보인 순서도.
본 발명은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H.323 프로토콜을 사용한 인터넷 폰의 단축키(Flexible Button)에 정보를 등록할 때, 그 등록하고자 하는 정보가 게이트키퍼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자동으로 확인하여, 연결 가능한 정보에 대해서만 단축키 정보로 등록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처음 전화가 개발되었을 때 전화는 컴퓨터와 무관하였으나, 보급률의 증가와 진화를 거듭하면서 최근에는 개인용컴퓨터에 멀티미디어 또는 통신이 접목됨으로 인해 새로운 통신 수단으로 급 부상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종래에는 일반 전화망(PSTN)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던 전화 통화가 무선 및 인터넷 망을 통해서도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단순한 통화 기능 외에도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일반 전화의 사용이 점차 감소하고 무선 전화와 인터넷 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관련 업계에서도 그에 따라 인터넷 폰에 관한 연구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H.323 프로토콜을 적용한 인터넷 폰에도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 버튼(XFER : 전환 기능, FWRD : 포워딩 기능, HOLD : 대기 기능, VMS : 음성 안내 기능, CONF : 다자간 통화 기능)들이 이미 표준으로 정의 및 구현되어져 있다.
또한, 대부분의 H.323 인터넷 폰에는 기존의 일반전화(키폰)와 마찬가지로 일일이 전화 번호나 메뉴를 불러내어 지시하는 번거로움을 막기 위해, 언제든지 그 키만 누르면 어떤 기능이 수행되거나 특정한 메뉴가 출력되도록 배정된 단축키(Flexible Button)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상기 인터넷 폰의 단축키에 대한 정보등록 방법이 정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측에 대한 정보(상대방이 게이트키퍼에 등록한 정보)를 직접 알아낸 후에 그 정보를 단축키에 등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종래 키폰에서 단축키에 등록하는 정보는 상대측의 전화번호 한가지 였으나, 인터넷 폰을 사용할 경우에는 게이트키퍼에 등록된 정보(에일리어스(Alias) 넘버, 아이피 어드레스(IP address), 이름(name) 등) 중 어느 한가지를 등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축키란 연결 가능한 상대측 전화 번호를 특정한 키에 등록해두고, 다음에 다시 그 상대측으로 전화를 연결할 필요가 있을 때 그 전화번호가 등록된 키를 누름으로써, 간편하게 전화 연결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키폰의 경우 단축키에 등록하는 전화 번호는 교환기에 등록되어 있는 상대측 전화 번호가 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상대측이 교환기에 등록한 그 전화 번호를 정확히 등록해야만 단축키를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종래 인터넷 폰의 단축키에 정보를 등록할 경우에도, 상대측이 게이트키퍼에 등록한 정보(Alias Number, IP address, name 등)를 정확히 알고 등 록해야 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상대측에게 구두 또는 E-mail등을 통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상대측에게 게이트키퍼에 등록된 정보를 물어 정보를 입력할 경우에도 정보 입력시 오류에 의해 잘못된 정보를 등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럼, 도1을 참조하여 종래 인터넷 폰의 단축키에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단, H.323 터미널(A)은 부팅을 하게 되면 게이트키퍼(GK)와 상호간에 RAS(Registration Admition Status) 메시지(RRQ : Registration Request, RCF : Registration Confirm)를 주고 받으며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 사용자는 단축키에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프로그램 버튼(PROG)을 눌러 인터넷 폰에 부가되어 있는 여러 기능 메뉴를 출력한다(S11).
이에 따라, 메시지 출력단(가령, LCD 디스플레이)에 메뉴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면 단축키 등록을 위한 메뉴(FLEX ADMIN)를 선택하고(S12), 등록하고자 하는 단축키 버튼(FLEX)을 누른다(S13).
다음, 사용자가 정확히 알고 있는 상대측 정보(Alias, IP address, name 등)를 입력한 후(S14) 종료 버튼(ENTER)을 누른다(S15). 만약, 등록할 단축키가 많을 경우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각 단축키에 정보 등록이 완료되면, 다음에 전화를 할 경우에는 해당 단축키만 누르면 게이트키퍼(GK)로 ARQ(Admition Request) 메시지를 출력하 고, 게이트키퍼(GK) 해당 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ACF(Admition Confirm) 메시지를 출력하고, 해당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ARJ(Admition Reject)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ACF 메시지를 받으면 호접속 절차에 따라 셋업(SETUP)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상호간에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연결을 한다.
이상과 같이, 종래 H.323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은 게이트키퍼(GK)에 등록된 정보를 참조하여 정확한 정보를 등록하는 것이 아니고, 단말기 자체의 정보 저장 기능에 의해 독립적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방 단말기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H.323 프로토콜을 사용한 인터넷 폰의 단축키(Flexible Button)에 정보를 등록할 때, 그 등록하고자 하는 정보가 게이트키퍼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자동으로 확인하여, 연결 가능한 정보에 대해서만 단축키 정보로 등록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터넷 폰 단말기의 단축키에 등록할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해당 단축키 버튼을 누르고, 사용자가 알고 있는 상대측의 정보를 입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정보가 입력되면 단말기는 ARQ(Admition Request) 메시지를 게이트키퍼로 출력하여 상기 상대측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입력된 상대측의 정보가 게이트키퍼에 등록되어 있으면 사용자에게 단축키 정보로 등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절차에 따라 사용자가 등록 응답을 하여 단축키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단축키의 정보 등록을 게이트키퍼(GK)와의 통신에 의해 게이트키퍼에 등록된 정보인지를 확인하여, 게이트키퍼에 등록된 정보에 대해서만 단축키 정보로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여, 잘못된 정보의 등록을 방지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H.323 인터넷 폰 사용자가 단축키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대측의 정보가 게이트키퍼에 등록되어 있는지 모르더라도, 알고 있는 정보(일반적으로, 이름(name))에 의해 단축키의 정보로 등록을 시도하면, 단말기(인터넷 폰)는 게이트키퍼와 통신에 의해 상기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게이트키퍼에 등록된 정보에 대해서만 사용자의 확인 절차를 거쳐 단축키 정보로 등록한다.
즉, 종래의 인터넷 폰 단말기는 일반 키폰 전화기의 단축키 등록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대측에게 구두 또는 E-mail과 같은 직접적인 방법을 통해 상대측의 게이트키퍼 등록 정보를 알아내어 단축키 정보를 등록하였으며 또한, 등록 과정에서 잘못된 정보를 입력하더라도 직접 전화를 해보기 전까지는 그 사실을 알 수 없었으 나, 본 발명은 상대측에게 게이트키퍼 등록 정보를 물어보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알고 있는 정보만으로 게이트키퍼의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단축키 등록 과정에서 잘못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종래 단축키 등록 방법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단축키 버튼에 정보가 입력되면 단말기는 그 정보가 유용한 정보인지 아닌지를 게이트키퍼와의 통신에 의해 유용한 정보(즉, 게이트키퍼에 등록된 정보)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정보 입력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입력 오류 조차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럼,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해 인터넷 폰의 단축키에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단, H.323 터미널(A)이 부팅을 하여 게이트키퍼(GK)와 상호간에 RAS(Registration Admition Status) 메시지(RRQ : Registration Request, RCF : Registration Confirm)를 주고 받으며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 및 사용자가 단축키에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프로그램 버튼(PROG)을 눌러 인터넷 폰에 부가되어 있는 여러 기능 메뉴를 출력한다(S21).
이에 따라, 메시지 출력단(가령, LCD 디스플레이)에 메뉴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면 단축키 등록을 위한 메뉴(FLEX ADMIN)를 선택하고(S22), 등록하고자 하는 단축키 버튼(FLEX)을 누른다(S23).
다음, 사용자가 알고 있는 상대측 정보(일반적으로, 이름(name))을 입력한 후(S24) 종료 버튼(ENTER)을 누른다(S25).
종래의 경우, 상기 과정에 의해 모든 등록 절차가 완료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종료 버튼이 눌리면 상기 등록 정보(가령, 이름이 '홍길동'이라고 했을 때)를 포함해 ARQ(Admition Request) 메시지를 게이트키퍼(GK)로 출력한다.
그러면, 게이트키퍼(GK)는 그 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ACF 메시지를 출력하고,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ARJ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수신한 메시지가 ACF인지 아닌지를 판별하여(S26) ACF 메시지가 아니면 등록을 포기하고, ACF 메시지이면 확인 메시지("등록하시겠습니까?")를 출력한다(S27).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에 응답(OK)을 하면(S28) 비로소 단축키의 정보 등록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각 단축키에 정보 등록이 완료되면, 다음에 전화를 할 경우에는 해당 단축키만 누르면 게이트키퍼(GK)로 ARQ(Admition Request) 메시지를 출력하고, 게이트키퍼(GK) 해당 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ACF(Admition Confirm) 메시지를 출력하고, 해당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ARJ(Admition Reject)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ACF 메시지를 받으면 호접속 절차에 따라 셋업(SETUP)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상호간에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연결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은, H.323 프로토콜을 사용한 인터넷 폰의 단축키(Flexible Button)에 정보를 등록할 때, 그 등록하고자 하는 정보가 게이트키퍼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정보 입력시에 자동으로 확인하여, 연결 가능한 정보에 대해서만 단축키 정보로 등록될 수 있도록 하여 입력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인터넷 폰 단말기의 단축키에 등록할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해당 단축키 버튼을 누르고, 사용자가 알고 있는 상대측의 이름 정보를 입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름 정보가 입력되면 인터넷 폰 단말기는 ARQ(Admition Request) 메시지를 게이트키퍼로 출력하여 상기 상대측 이름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입력된 상대측의 이름 정보가 게이트키퍼에 등록되어 있으면 사용자에게 단축키 정보로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절차에 따라 사용자가 등록 응답을 하여 단축키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출력한 ARQ 메시지에 대해 게이트키퍼에 해당 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게이트키퍼는 ACF(Admition Confirm) 메시지를 출력하고 해당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ARJ(Admition Reject)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RJ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해당 정보의 등록을 바로 포기하거나, 추후 등록 예정인 경우에 대비해 등록 여부 확인 절차를 거쳐 등록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
KR1020000085642A 2000-12-29 2000-12-29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 KR100748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642A KR100748491B1 (ko) 2000-12-29 2000-12-29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642A KR100748491B1 (ko) 2000-12-29 2000-12-29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318A KR20020056318A (ko) 2002-07-10
KR100748491B1 true KR100748491B1 (ko) 2007-08-13

Family

ID=2768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642A KR100748491B1 (ko) 2000-12-29 2000-12-29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49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029A (ko) * 1995-08-29 1997-03-29 김광호 전화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단축다이얼 등록방법
KR19980019710A (ko) * 1996-09-02 1998-06-25 김광호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선택 등록방법
KR19990041528A (ko) * 1997-11-22 1999-06-15 윤종용 통신단말기에서 다이얼링수 단축방법
KR19990041506A (ko) * 1997-11-21 1999-06-15 구자홍 전화기의 전화 번호 자동 저장 방법
KR19990056109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방법
KR200217174Y1 (ko) * 2000-07-29 2001-03-15 조용범 키입력 장치를 구비한 인터넷 폰 인터페이스 장치
KR20020000171A (ko) * 2000-03-09 2002-01-04 요트.게.아. 롤페즈 2-fsk 신호 존재의 검출 방법 및 검출용 라디오 단말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029A (ko) * 1995-08-29 1997-03-29 김광호 전화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단축다이얼 등록방법
KR19980019710A (ko) * 1996-09-02 1998-06-25 김광호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선택 등록방법
KR19990041506A (ko) * 1997-11-21 1999-06-15 구자홍 전화기의 전화 번호 자동 저장 방법
KR19990041528A (ko) * 1997-11-22 1999-06-15 윤종용 통신단말기에서 다이얼링수 단축방법
KR19990056109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방법
KR20020000171A (ko) * 2000-03-09 2002-01-04 요트.게.아. 롤페즈 2-fsk 신호 존재의 검출 방법 및 검출용 라디오 단말기
KR200217174Y1 (ko) * 2000-07-29 2001-03-15 조용범 키입력 장치를 구비한 인터넷 폰 인터페이스 장치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70014029
1019980019710
1019990041506
1019990041528
1019990056109
200217174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318A (ko)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8981B2 (en) Call management service
US8000316B2 (en) IP telephone apparatus, ENUM server, terminal apparatus and IP telephone system
EP1727363B1 (en) Electronic equipment for a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68388A (ko) Sip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무조건/응답 후 호 전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GB2428347A (en) Recording telephone conversations in a conference call environment
JP2000354113A (ja) 電話装置
US20080075247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function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0748491B1 (ko) 인터넷 폰의 단축키 정보 등록 방법
KR100564984B1 (ko) 통신장치
JP2006311125A (ja) 通信装置
JP2008035476A (ja) 呼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構内交換機
CN104796488A (zh) 信息推送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US8437336B2 (en) Telephone device
JP4402344B2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ボタン電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91227B1 (ko)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휴대폰의 착신호 전환 방법
JP4258563B2 (ja) 電話システム
JP2003258999A (ja) Ip電話システムおよび端末アダプタ
JP4848835B2 (ja) Ip電話装置、電話ネットワーク、ダイヤル中継方法
KR20080019371A (ko) 음성통화와 메신저 서비스의 동시 실행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JP5367156B2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の通話接続方法
JP2008005544A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
JP2000165482A (ja) ターミナルアダプタ装置
JP2010130658A (ja) 通信システム
JP2005323283A (ja) 通信路確立装置
KR19990003101A (ko) 보안 자동 수신 모드를 갖는 화상 통신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