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409B1 - 카모밀 추출물을 함유하는 담배가향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카모밀 추출물을 함유하는 담배가향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409B1
KR0169409B1 KR1019950038828A KR19950038828A KR0169409B1 KR 0169409 B1 KR0169409 B1 KR 0169409B1 KR 1019950038828 A KR1019950038828 A KR 1019950038828A KR 19950038828 A KR19950038828 A KR 19950038828A KR 0169409 B1 KR0169409 B1 KR 0169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bacco
chamomile
extract
solv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8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934A (ko
Inventor
김찬호
김옥찬
장희진
권영주
이재곤
Original Assignee
박명규
재단법인한국인삼연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규, 재단법인한국인삼연초연구원 filed Critical 박명규
Priority to KR1019950038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409B1/ko
Publication of KR970019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카모밀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담배가향료에 관한 것임. 카모밀 추출물은 카모밀을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하여, 카모밀 추출물을 함유하는 담배가향료는 담배에 처리하면 담배 고유의 향끽미가 풍부하게 나타나도록 함.

Description

카모밀 추출물을 함유하는 담배가향료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카모밀 추출물을 함유하는 담배가향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담배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애연가의 기호에 부응하는 담배를 만들기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있으며, 이러한 연구중에는 담배 고유의 향을 유지하거나 또는 자극성이 적은 순한 담배를 얻기위하여 담배에 특정성분, 특히 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배합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자등은 각종 식물이 담배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카모밀의 유기 용매 추출물이 담배고유의 향을 풍부하게 발현시키고 담배 끽미를 향상시킴을 알게되었다. 특히 카모밀 추출물은 고비점 물질과 비휘발성 성분을 다량함유하고 있을뿐 아니라 식물성 수지와 지방을 함유하고 있어서 휘발성 정유를 보류시켜주기 때문에 카모밀 추출물을 함유한 담배는 보관중 담배중의 휘발성 끽미 성분의 휘발이 방지된다는데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카모밀(Matricaia camomilla L.)는 줄기가 30-60cm 높이로 곧추서고 6-9월에 노란색 꽃이피는 일년생 초본 식물로서 프로아줄렌, 파르네센, 알파-비사볼콜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소염 약리작용을 갖고 있다. 이 카모밀은 독성이 없어서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식품과 다류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담배 고유의 향을 풍부하게 하면서 끽미를 향상시키는 담배가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모밀을 헥산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용매의 끊는 점에서 1차 추출하고 추출물에 물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2차 추출한 다음, 상등액을 여과농축하여 제조한 카모밀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담배가향료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모밀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향료로 처리된 담배는 담배고유의 향을 풍부하게 나타내면서 담배 맛과 끽미가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모밀 추출물 제조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모밀을 1-10배량의 비극성 유기용매로 15-20℃에서 4-10시간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1차 추출물을 얻은 다음, 이 추출물에 극성 용매를 가하여 2차 추출한 다음, 상등액을 분리하고 뽀메농도 70°정도로 되게 농축하여 본 발명의 카모밀 추출물을 얻는다.
전술한 추출방법에서 비극성 유기용매로는 아세톤, 헥산, 벤젠, 사이클로헥산등이 사용되고 극성 용매로는 2차 추출용매가 에탄올, 메탄올, 물,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벤질알콜 및 이소프로필알콜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가향료는 필요에 따라서 카모밀 특유의 향을 보강하기위하여 필요한 향료와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가향료는 담배에 처리하면 카모밀의 강한 향이 감소되면서 담배의 고유한 맛과 향을 보강시키는 잇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실시예를 기재한다.
[실시예 1]
헥산 2000ml가 들어있는 반응용기에 카모밀 200g을 투입하고 용매의 끊는점에서 6시간동안 추출한후 여과하고 잔사에 헥산 1600ml 가하여 용매의 끊는점에서 6시간 재차 추출하여(1차 추출) 두 추출액을 합한 후 40℃이하에서 감압농축하여 카모밀 추출물(1)을 얻는다. 추출물(1)에 3배량의 20% 에탄올을 가하여 분획하고 상등액을 분리하여(2차 추출) 뽀메농도 70°로 되도록 감압농축한다. 2차 추출물의 휘발성성분 분석표 표 1에 기재한다.
이 카모밀 추출물을 황색종엽 10kg에 대하여 100g정도를 처리하여 필터 권련 담배를 체조하였다. 대조용으로 무첨가 황색종엽으로 담배를 제조하였다. 수개의 시제품 담배를 전문 시끽요원(15)에게 담배의 끽미평가 결과는 표2과 같다.
흡연결과 카모밀 추출물 향료를 첨가한 담배가 무첨가한 담배에 비해 황색종 고유의 향끽미가 보완되고 끽미가 향상되었다.
담배첨가 규제물질 분석
카모밀 추출물에 IOFI에서 규정한 규제물질이 함유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
카모밀 추출물 5g에 에테르 20ml와 물 20ml를 가하여 분획하고 에테르층을 분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2회 더 분획한 다음, 분리된 에테르층을 합쳐서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2ml로되게 농축한다. 이어서 농축된 농축물 0.3㎕를 가스분석기에 주입하고 11종의 규제화합물을 가하여 혼합한 다음,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후 나타나는 그림을 비교하였다.
가스분석기 조건 : 주입온도 : 60℃; 최종온도 : 220℃; 온도증가 : 3분당 5℃;
가스분석기 칼럼 : 스펠코왁스 20m 짜리 사용.
분석결과 규제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

Claims (2)

  1. 카모밀을 비극성 유기용매로 용매의 끊는점에서 1차 추출하고 추출물에 극성 유기용매를 가하여 2추출한 다음 상등액을 분라하여 감압농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모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담배가향료 제조방법.
  2. 청구범위 1항에서, 1차 추출용매가 헥산, 벤젠, 시클로헥산 및 아세톤 중에서 선택된 비극성 용매이고, 2차 추출용매가 에탄올, 메탄올, 물,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벤질알콜 및 이소프로필알콜 중에서 선택한 극성 용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50038828A 1995-10-31 1995-10-31 카모밀 추출물을 함유하는 담배가향료 및 그 제조방법 KR0169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828A KR0169409B1 (ko) 1995-10-31 1995-10-31 카모밀 추출물을 함유하는 담배가향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828A KR0169409B1 (ko) 1995-10-31 1995-10-31 카모밀 추출물을 함유하는 담배가향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934A KR970019934A (ko) 1997-05-28
KR0169409B1 true KR0169409B1 (ko) 1998-12-01

Family

ID=1943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8828A KR0169409B1 (ko) 1995-10-31 1995-10-31 카모밀 추출물을 함유하는 담배가향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4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887B1 (ko) * 2004-11-16 2006-05-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잎담배 물질로부터의 에스테르계 향기물질 고도 추출방법, 이 추출물을 이용한 담배 가향제 및 권련 담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887B1 (ko) * 2004-11-16 2006-05-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잎담배 물질로부터의 에스테르계 향기물질 고도 추출방법, 이 추출물을 이용한 담배 가향제 및 권련 담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934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009032C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romastoffen für Rauchprodukte
US5135010A (en) Herbal smoking materials
RU2059377C1 (ru) Курительная смесь
US5158771A (en) Nicotine compositions
CN106307606A (zh) 一种高香气烟草提取物的制备方法
CN107637858B (zh) 一种改进水提醇沉法提取的植物致香物及提取方法和应用
KR100332089B1 (ko) 길초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담배 가향료
KR100217828B1 (ko) 담배 가향료용 저 니코틴 담배 추출물 및 담배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향료 제조방법
KR0169409B1 (ko) 카모밀 추출물을 함유하는 담배가향료 및 그 제조방법
Moreira et al. Investigation of the aroma compounds from headspace and aqueous solution from the cambara (Gochnatia Velutina) honey
CN108865438A (zh) 一种烟用当归香料的制备方法及在卷烟中的应用
CN111035058B (zh) 一种废弃烟蒂中焦油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在卷烟中的应用
CN108165371A (zh) 一种鸢尾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0369460B1 (ko) 오리엔트 담배 가향료 및 그 제조방법
JP2548061B2 (ja) 着香用ジテルペノイドアルコール
CN115261136B (zh) 一种清甜韵香基模块、其制备方法及在卷烟中的应用
KR0161777B1 (ko) 담배 추출물을 이용한 담배가향료 제조방법
CN114041623B (zh) 一种旱烟特征致香成分、其制备方法和用途
Strating et al. The staling of beer
CN112226280B (zh) 一种基于桂花关键香气成分的香料及其在卷烟中的应用
Mazza et al. Essential oil of Monardafistulosa L. var. Menthaefolia, a potential source of geraniol
CN111748412A (zh) 一种烟用红枣浸膏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318303B1 (ko) 담배 가향용 바질 추출물 제조방법
Radonić et al. Volatile Constituents of Aerial Parts of Capsella rubella Reut.
KR100217000B1 (ko) 담배가향용 감초추출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