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059B1 -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059B1
KR0169059B1 KR1019960001360A KR19960001360A KR0169059B1 KR 0169059 B1 KR0169059 B1 KR 0169059B1 KR 1019960001360 A KR1019960001360 A KR 1019960001360A KR 19960001360 A KR19960001360 A KR 19960001360A KR 0169059 B1 KR0169059 B1 KR 0169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data
audio
memory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456A (ko
Inventor
임영술
Original Assignee
임영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4499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6905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술 filed Critical 임영술
Priority to KR1019960001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059B1/ko
Publication of KR970014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 몸체내에 영상 가요 반주기 기능이 내장되어 따로 분리된 특별한 가요반주기없이 영상, 자막, 반주신호를 TV, FM 라디오등에 무선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에 관한 것으로, 소형의 마이크몸체에 영상, 자막, 반주신호를 동시에 무선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내장시킴으로써 별도의 영상/자막출력장치의 추가 설치없이 마이크하나만으로 비디오를 보면서 안내가사에 따라 노래를 부를 수 있고, 또한 이어폰을 통한 오디오음의 출력이 가능토록 하여 조용히 노래연습 또는 음악감상을 즐길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영상가요 반주기를 휴대용으로 간단히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제약을 받지 않고 집에서나 야외서나 차안등에서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제1도는 본 발명인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의 외형도.
제2도는 본 발명에서의 영상, 자막, 반주출력 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출력단의 회로블럭도.
제4도는 제3도의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조작패널 10 : 마이크몸체
11 : 마이크 21 : 프로그램 메모리
22 : MPU 40 : 영상/자막 데이타 메모리
41 : LCD 디스플레이 45 : 사운드 데이타 메모리
52 : 미디인터페이스 53 : PCM 데이타 메모리
70 : 비디오 프로세서 SW1: 전원스위치
SW2: 마이크스위치 SW3: 음조절스위치
SW4: 출력질환스위치 SW5: 이어폰볼륨스위치
JACK1: 이어폰잭스위치 JACK2: 출력잭스위치
JACK3: DC전원잭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반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마이크 몸체내에 영상 가요 반주기 기능이 내장되어 따로 분리된 특별한 가요반주기 없이 영상, 자막, 반주신호를 TV등에 무선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 영상 가요 반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마이크를 통해 노래연습을 할 수 있도록 된 영상가요 반주기의 경우는 영상 및 자막(가사)출력장치와 그에 따른 반주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거나 이들을 종합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에 의해 유선으로 화면과 스피커를 통해 영상, 자막, 반주,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가 번거롭고 휴대가 불가능하며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무선마이크의 몸체내에 영상, 자막, 반주신호를 동시에 무선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내장시켜, 따로 분리된 특별한 영상자막 출력장치와 반주장치없이 하나의 무선마이크로서 모든 기능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무선마이크와 단말기(CRT혹은 TV)가 일대일 대응으로 영상 및 자막이 표시되고 스피커를 통한 반주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무선마이크를 소형화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본 출원인에 의해 1994년 11월 12일 출원된 특허 제29700호인 “휴대용 무선 영상 가요 반주기”이다.
이러한 상기 특허를 좀더 구체화하고 개량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는 제1도에 도시되듯이 마이크 몸체(10)에 조작 스위치와 잭이 구비되고 조작패널(9) 내부에는 영상, 자막, 반주제어장치가 내재되어 있다.
상기 영상, 자막, 반주제어장치는 제1도의 마이크 몸체(10)에 설치된 조작패널(23: Key-Box)의 각 기능버튼의 조작에 따라 제2도에 도시되듯이 본 영상, 자막, 반주신호를 TV, FM 라디오에 무선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마이크 몸체내에 내장시킨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로서 상기 마이크 몸체내에 내장된 장치는, 상기 영상가요 반주기 시스템운영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타가 내장된 프로그램 메모리(21)와,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21)로부터 프로그램 데이타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가요 반주기 시스템을 제어하는 MPU(22: Micro Processing Unit)와, 조작패널(9)로부터의 입력명령에 따라 영상/자막 데이타 메모리(40)로부터 영상/자막 데이타를 인출하여 비디오 프로세서(70)로 내보내고 오디오 데이타를 상기 음원회로(50)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비디오/오디오 제어 메모리(30)와, 영상/자막 데이타를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자막 데이타를 상기 비디오/오디오 제어 메모리(30)로 출력하는 영상/자막 데이타 메모리(40)와, 노래의 선곡, 예약, 지정상태등을 LCD에 나타내는 LCD 디스플레이(41)와, 미디 인터페이스(52)와 디지탈 시그널 프로세서(51)와 PCM 데이타 메모리(53)로 이루어지고, P.L.C.(32)의 제어를 받아 사운드 데이타 메모리(45)로부터의 데이타를 처리하여 이를 DAC 및 프리앰프(55)를 통해 오디오 출력단으로 출력시키는 음원회로(50)오, 상기 MPU(22)로부터의 제어를 받는 P.L.C.(32)의 제어명령에 따라 영상과 자막 데이타를 읽어 비디오 신호(R,G,B 및 동기신호)로 만들어 비디오 캡션 보드(71)로 출력시키는 비디오 프로세서(70)오, 상기 비디오 캡션 보드(71)에서 출력된 비디오 데이타를 오디오 믹서(80)에서 나오는 데이타와 믹싱하여 2체배 RF 파워앰프(92)를 통해 TV로 출력시키는 RF믹서(90)와, 마이크(11)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EQ앰프 및 음성검출기(60)와 에코 시스템(81)을 통해 처리한 음성을 상기 DAC 및 프리앰프(55)에서 출력된 오디오 데이타와 믹싱하는 오디오 믹서(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원회로(50)는 MPU(22)의 제어를 받아 음원 회로의 모든 기능을 제어하는 미디인터페이스(52: MIDI Interface)와, 펄스변조된 PCM(Pulse Coded Modulation)데이타를 저장하는 PCM 데이타 메모리(53)와, 사운드 데이타 메모리(45)로부터의 사운드 데이타와 상기 PCM데이타 메모리(53)로부터의 PCM데이타를 이용하여 디지탈 사운드로 만들어 주는 디지탈 시그널 프로세서(51: Digital Signal Processo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70)는 VDP칩과, 압축된 데이타를 풀어 일시 저장하는 비디오 RAM과, 비디오 신호 동기 분리회로(Video Signal Sync. Separation Circuit)로 이루어지고, MPU(22)와 MPU의 명령을 받은 P.L.C.(32: Program Logic Circuit)의 제어를 받아 영상 및 자막 데이타를 읽어 비디오 신호(R,G,B 및 동기신호)를 비디오 캡션 보드(71)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작을 도면 제2 내지 3도를 참조로 기술하면, 마이크 몸체(10)의 조작패널(9)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패널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영상가요 반주기 사용자가 노래선곡을 위해 상기 조작패널(9)상의 스위치를 누르면 조작패널에서 출력된 명령이 비디오/오디오 제어 메모리(30)에 입력된다.
상기 비디오/오디오 제어 메모리(30)는 P.L.C.데이타 메모리(31)와 P.L.C.(32: Program Logic Circuit)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P.L.C.는 수백개의 각종 로직 회로(Logic Circuit)를 내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내부 회로가 연결되어 하나또는 여러 개의 복잡한 로직회로를 이루며, P.L.C. TC3042(32)는 프로그램 ROM이 내장되지 않아 별도의 프로그램 데이타를 저장할수 있는 ROM을 외부에서 넣어준 것이며 마스크 타입으로 작업시에는 ROM을 내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LCD 제어, 메모리 및 각 CPU등을 MPU의 명령을 받아 제어하고 있다. 상기 P.L.C.(32)는 조작패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MPU로 하여금 제어명령을 출력하도록 하여 영상/자막 데이타 메모리(40)로부터 영상과 자막데이타를 인출하여 이것을 비디오 프로세서(70)로 보내고 더불어 상기 P.L.C.(32)는 오디오 신호 명령을 음원회로(50)로 보낸다.
상기 음원회로(50)는 미디인터페이스(52), 디지탈 시그널 프로세서(51), ROM, PCM 데이타 메모리(53)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미디 인터페이스(52)는 MPU의 제어를 받아 음원회로의 모든 기능을 제어하는 CPU인터페이스이다. 또한 상기 ROM은 CPU의 실제 프로그램 데이타를 저장하고 상기 PCM 데이타 메모리(53)는 PCM 데이타를 저장한다. 상기 디지탈 시그널 프로세서(51)는 미디 인터페이스(52)로부터의 제어명령을 받아 사운드 데이타 메모리(45)로부터의 사운드 데이타와 PCM 데이타 메모리로부터의 PCM 데이타를 이용하여 디지탈 사운드를 DAC 및 프리앰프(55)로 출력한다.
상기 DAC 및 프리앰프(80)는 상기 음원 회로(50)에서 출력된 사운드 데이타인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화하여 증폭시킨다. 또한 LCD 디스플레이(41)에서는 선곡된 노래번호가 조작패널(9)의 LCD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영상자막 데이타 메모리(40)에서 출력된 영상자막 데이타는 비디오 프로세서(70)에서 처리되어 비디오 캡션보드(71: Video Caption Board)로 보내진다.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는 VDP칩, 압축된 데이타를 풀어 일시 보관하는 256K 비디오 RAM, 비디오 신호 동기 분리회로(Video Signal Sync. Separation Circuit)로 이루어지고, MPU와 MPU의 명령을 받은 P.L.C.(TC304)의 제어를 받아 영상 및 자막 데이타를 읽어 비디오 신호(R,G,B 및 동기신호)로 만들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것은 NTSC, PAL방식 겸용으로 되어 있다.
상기 비디오 캡션 보드(71)는 NTSC 포맷 RGB 합성 인코더(NTSC Format RGB Composite Encoder: BA7230)로 구성되며,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70)에서 RGB신호와 동기신호를 받아 NTSC 합성신호로 만들어 주고 RGB신호(내부 영상 및 자막)와 비디오 신호(외부 영상)을 합(mix)하여 외부 영상을 배경으로 사용하면서 자막이 흐를수 있도록 해 주고 또한 합성신호를 RGB 신호로 변화시켜 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외부 영상 제어회로(61)는 MPU(22)에서 비디오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외부영상 입력단(62)으로부터 외부신호가 있는 경우 외부 영상 동기에 따라 외부영상을 비디오 캡션 보드(71)로 보내도록 하여 외부영상을 제어한다. EQ 앰프 및 음성검출기(60)는 등화기(Equalizer)앰프와 음성 검출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등화기 앰프는 주파수 특성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증폭기이고, 음성 검출기는 음성이 출력되는 것만을 검출하여 MPU(22)로 보내면 MPU(22)에서는 반주 데이타와 음성 데이타를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하다. 상기 점수 따라 CRT화면에 그에 상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음악을 내보낸다.
상기 제2도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는 노래반주 신호로서 이것은 제3도의 오디오 믹서(80: Audio Mixer)로 입력되는데 상기 오디오 믹서(80)는 에코 시스템(81: Echo System)에서 나온 음성과 노래 반주음을 합성하여 이것을 안테나(ANT1,ANT2)쪽으로 보낸다. 상기 오디오 믹서(80)로 입력된 음은 마이크(11)에서 출력되어 상기 EQ앰프 및 음성 검출기(60)를 통해 에코 시스템(81)에 입력되는데 상기 에코시스템(81)은 음을 메아리 음으로 변화시킨다.
상기 오디오 믹서(80)에서 출력된 반주음과 사람의 음성이 합성된 오디오 신호는 이어폰 파워앰프(82)를 거쳐 증폭되어 이어폰과 잭(83)으로 보내지거나 상기 오디오 신호가 스테레오 변조기(84)에서 스테레오 음으로 바뀌고 이후 FM변조기(85)에서 FM변조되어 4체배 RF앰프(86)와 3체배 RF앰프(87)를 거쳐 증폭되어 안테나(ANT2)를 통해 FM라디오로 수신된다.
상기 오디오-믹서에서 음악 반주는 스테레오, 음성은 모노이므로 오디오 믹서를 통해 음성이 R, L 양쪽 반주와 합하며, 이때 반주신호는 모노가 되지 않고 스테레오로 분리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믹서(80)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는 모노-믹서(88)를 통하여 R,L 두 채널을 합한다. 상기 모노-믹서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는 4.5Mhz 변조(89)되고 이렇게 변조된 오디오 신호는 RF믹서(90)에서 비디오 신호와 믹싱되고 상기 믹싱된 신호는 2체배 RF파워 앰프(92)에서 증폭되어 470.4Mhz의 주파수(UHF14채널)로 안테나(ANT1)를 통해 송신되어 영상, 자막, 음향이 상기 TV또는 CRT에 나타난다.
이와같은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를 사용자가 이용할때는 마이크 몸체(10) 상부를 손으로 잡고 전원스위치(SW1)을 켠 다음, 마이크스위치(SW2)를 에코 마이크위치로 맞추고 음조절스위치(SW3)를 움직여 마이크음과 반주음의 합성비율을 강약으로 적절히 조절한다. 그 다음 출력절환스위치(SW4)를 조작하여 오디오만 들을 것인지, 비디오만 볼 것인지, 오디오와 비디오를 겸용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영상가요 반주를 위해 출력절환스위치(SW4)를 TV/라디오 겸용위치에 고정시키면, TV화면에는 영상과 노래가사 자막이 나타나고 스피커를 통해서 음성과 반주음이 출력되고 라디오(오디오) 스피커를 통해서 음성과 반주음이 동시에 출력된다. 이런 상태에서 반주와 안내자막을 따라 마이크(MIC)를 통해 노래를 부르면 멋진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것이다.
즉, 조작패널을 통해 곡이 선정되면 P.L.C.(30)에서는 메모리(40,45)에 저장된 해당하는 반주데이타, 비디오데이타, 자막데이타를 음원회로(50)와 비디오 프로세서(70)로 전송한다.
그러면 음원회로(50)에서는 반주데이타를 연주음으로 변화시켜 출력을 하고, 비디오 프로세서(70)에서는 음원에 맞춰서 자막을 출력하고 자막뒷면에 영상을 출력한다.
제4도는 제3도인 영상, 자막, 반주출력제어장치의 TV, FM라디오 출력단의 상세한 회로도이다. TV와 FM 라디오를 통해 영상과 노래가사가 화면에 나타나고 반주가 나오는 상태에서 마이크(MIC)를 통해 음성이 입력되면 이 음성신호는 마이크회로를 구성하는 등화회로(EQ)를 거치면서 프리앰프에서 자동으로 레벨조정이 이루어지고 증폭기를 거치면서 신호증폭되어 에코회로를 거치면서 음이 메아리음으로 변환된다. 상기 신호는 음조절스위치(SW3)에서 그 세기가 조절되어 출력잭스위치(JACK2)를 통해 반주신호와 영상신호가 함께 TV, FM 라디오 안테나(ANT1, ANT2)로 무선출력되어 오디오 장치를 통해 음성출력되게 됨으로써 멋진 노래연습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의 미설명부호인 JACK4는 외부 VTR이나 VCR연결용 출력 1잭스위치이며, JACK5는 보조 마이크 연결용 잭스위치이다.
한편, 이어폰잭스위치(JACK1)에 이어폰잭을 꽂으면 FM변조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므로 오디오신호를 이어폰파워앰프(82)의 스테레오 동작으로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므로 혼자만 조용히 노래연습을 실시할수가 있는 것이며, 아울러 비디오를 보면서 조용히 스테레오 음악을 감상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출력잭스위치(JACK2)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출력잭스위치(JACK2)에 외부 오디오장치의 유선잭을 연결하게 되면 FM변조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되므로 안테나(ANT2)를 통한 무선신호출력이 중단되고 유선을 통하여 마이크 및 반주신호가 외부의 오디오장치로 출력되어 일반 가요반주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소형의 마이크몸체에 영상, 자막, 반주신호를 동시에 무선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내장시킴으로써 별도의 영상/자막출력장치의 추가 설치없이 마이크하나만으로 비디오를 보면서 안내가사에 따라 노래를 부를 수 있고, 또한 이어폰을 통한 오디오음의 출력이 가능토록 하여 조용히 노래연습 또는 음악감상을 즐길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영상가요 반주기를 휴대용으로 간단히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제약을 받지 않고 집에서나 야외서나 차안에서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영상, 자막, 반주신호를 TV, FM라디오에 무선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마이크 몸체내에 내장시킨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로서 상기 마이크 몸체내에 내장된 장치는, 상기 영상가요 반주기 시스템운영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타가 내장된 프로그램 메모리(21)와,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21)로부터 프로그램 데이타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가요 반주기 시스템을 제어하는 MPU(22: Micro Processing Unit)와, 조작패널(9)로부터의 입력명령에 따라 영상/자막 데이타 메모리(40)로부터 영상/자막 데이타를 인출하여 비디오 프로세서(70)로 내보내고 오디오 데이타를 상기 음원회로(50)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비디오/오디오 제어 메모리(30)와, 영상/자막 데이타를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자막 데이타를 상기 비디오/오디오 제어 메모리(30)로 출력하는 영상/자막 데이타 메모리(40)와, 노래의 선곡, 예약, 지정상태등을 LCD에 나타내는 LCD 디스플레이(41)와, 미디 인터페이스(52)와 디지탈 시그널 프로세서(51)와 PCM 데이타 메모리(53)로 이루어지며 P.L.C.(32)의 제어를 받아 사운드 데이타 메모리(45)로부터의 데이타를 처리하여 이를 DAC 및 프리앰프(55)를 통해 오디오 출력단으로 출력시키는 음원회로(50)와, 상기 MPU(22)로부터의 제어를 받는 P.L.C.(32)의 제어명령에 따라 영상과 자막 데이타를 읽어 비디오 신호(R,G,B 및 동기신호)로 만들어 비디오 캡션 보드(71)로 출력시키는 비디오 프로세서(70)와, 상기 비디오 캡션 보드(71)에서 출력된 비디오 데이타를 오디오 믹서(80)에서 나오는 데이타와 믹싱하여 2체재 RF 파워앰프(92)를 통해 TV로 출력시키는 RF믹서(90)와, 마이크(11)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EQ앰프 및 음성검출기(60)와 에코 시스템(81)을 통해 처리한 음성을 상기 DAC 및 프리앰프(55)에서 출력된 오디오 데이타와 믹싱하는 오디오 믹서(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영상 가요 반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회로(50)는 MPU(22)의 제어를 받아 음원 회로의 모든 기능을 제어하는 미디인터페이스(52: MIDI Interface)와, 펄스변조된 PCM(Pulse Coded Modulation)데이타를 저장하는 PCM 데이타 메모리(53)와, 사운드 데이타 메모리(45)로부터의 사운드 데이타와 상기 PCM데이타 메모리(53)로부터의 PCM데이타를 이용하여 디지탈 사운드로 만들어 주는 디지탈 시그널 프로세서(51: Digital Signal Processo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70)는 VDP칩과, 압축된 데이타를 풀어 일시 저장하는 비디오 RAM과, 비디오 신호 동기 분리회로(Video Signal Sync. Separation Circuit)로 이루어지고, MPU(22)와 MPU의 명령을 받은 P.L.C.(32: Program Logic Circuit)의 제어를 받아 영상 및 자막 데이타를 읽어 비디오 신호(R,G,B 및 동기신호)를 비디오 캡션 보드(71)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믹서(80)에서 출력된 오디오 데이타가 스테레오 변조기(84)에서 변조되어 안테나(ANT2)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21)와 상기 MPU(22)는 하나의 패키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6. 제1항에 있어서, P.L.C. 데이타 메모리(31)와 P.L.C.(32)로 이루어지는 상기 비디오/오디오 제어 메모리(30)는 하나의 패키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회로(50)는 하나의 패키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21), 상기 MPU(22)와, 상기 비디오/오디오 제어 메모리(30)와, 상기 음원 회로(50)는 하나의 패키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KR1019960001360A 1996-01-23 1996-01-23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KR0169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360A KR0169059B1 (ko) 1996-01-23 1996-01-23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360A KR0169059B1 (ko) 1996-01-23 1996-01-23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456A KR970014456A (ko) 1997-03-29
KR0169059B1 true KR0169059B1 (ko) 1999-02-01

Family

ID=1944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360A KR0169059B1 (ko) 1996-01-23 1996-01-23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0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103B1 (ko) * 1999-10-22 2002-08-17 주식회사 엔터기술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반주데이타 다운로드 장치
WO2003075259A1 (en) * 2002-03-06 2003-09-12 Amusetec Co., Ltd. Portable midi converting apparatus
KR100705966B1 (ko) * 2006-06-12 2007-04-13 주식회사 엔터기술 디지털 음성 신호 파일의 재생 및 저장 기능을 내재한에코마이크
KR100764728B1 (ko) * 2005-12-14 2007-10-08 김성규 오디오 처리 기능이 구비된 노래 반주기용 무선 마이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171499A (en) * 1998-11-11 2000-05-29 Video System Co., Ltd. Portable microphone device for karaoke (sing-along) and sing-along machine
KR20000054728A (ko) * 2000-06-21 2000-09-05 최길호 휴대용 무선 반주기용 엘시디 자막기
KR20030091542A (ko) * 2002-05-28 2003-12-03 주식회사 썬테크전자 무선마이크 안테나 장치
KR101023889B1 (ko) * 2009-03-17 2011-03-22 최동화 에코기능을 갖는 마이크 음향 효과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103B1 (ko) * 1999-10-22 2002-08-17 주식회사 엔터기술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반주데이타 다운로드 장치
WO2003075259A1 (en) * 2002-03-06 2003-09-12 Amusetec Co., Ltd. Portable midi converting apparatus
KR100764728B1 (ko) * 2005-12-14 2007-10-08 김성규 오디오 처리 기능이 구비된 노래 반주기용 무선 마이크
KR100705966B1 (ko) * 2006-06-12 2007-04-13 주식회사 엔터기술 디지털 음성 신호 파일의 재생 및 저장 기능을 내재한에코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456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988B1 (ko) 반주곡조 송출용 마이크의 녹음/재생 장치
KR20010107372A (ko) 휴대용 노래방기기
JP2006293253A (ja) カラオケ装置の選曲機能とアンプ調節機能とが内臓されたデジタル無線マイク及びこれを用いたカラオケシステム。
US20060228683A1 (en) Multi-functional karaoke microphone
CN1094691C (zh) 装有激光播放机的电视接收机
KR0169059B1 (ko)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EP0806758A1 (en) Wireless accompaniment apparatus
KR200470360Y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JPH09244668A (ja) 無線歌謡伴奏装置
JP3029593U (ja) 携帯用無線映像歌謡伴奏器
US20060062396A1 (en) Optical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o transform external audio into multi-channel surround sound
KR101000720B1 (ko) 오디오신호 출력레벨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 노래반주기
CA2175961A1 (en) Wireless accompaniment apparatus
KR100662867B1 (ko) 아날로그 오디오의 디지털 변환장치
KR970000798B1 (ko) 휴대용 무선 영상가요 반주기
KR100696953B1 (ko) 마이크 보관 기능을 갖는 노래방 기기
KR100843722B1 (ko) 차량용 노래방기능을 위한 다기능 마이크로폰 장치
KR100205205B1 (ko) 비디오 컴팩트 디스크를 이용한 유무선 겸용 휴대용 영상가요 반주기
CN1165442A (zh) 无线伴奏装置
JP3237275U (ja) 音声集音器、音声集音機能付き音声送信器、および、音声認識システム
JPH0955902A (ja) 映像表示装置
JP3037015U (ja) カラーテレビ用カラオケ装置
EP1471771A2 (en) Audio reproduction apparatus and video receiving apparatus
KR200315910Y1 (ko) 휴대형 노래방기기
JP3060811U (ja) 多機能テレ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330

Effective date: 200101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10000051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330

Effective date: 200101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200001112; INVALID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300000314;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227

Effective date: 2002012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20000111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227

Effective date: 20020124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206

Effective date: 200212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300000314;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206

Effective date: 20021227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108

Effective date: 200305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3000000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108

Effective date: 2003052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